||<-2> '''{{{#white {{{+1 Lock Me I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mir.jpg|width=100%]]}}} || || '''{{{#white 발매일}}}''' || 2022년 3월 9일 || || '''{{{#white 장르}}}''' || [[얼터너티브]] || || '''{{{#white 작곡}}}''' || ?[* 작곡 및 작사를 정확히 누가 했는지 밝혀지지 않았다.] || || '''{{{#white 작사}}}''' || ?[* 작곡 및 작사를 정확히 누가 했는지 밝혀지지 않았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지아의 프로그레시브 락밴드인 [[시르쿠스 미르쿠스]]의 곡. == 성적 == 곡이 워낙 실험적인 탓에 어느 나라에서도 순위권에 들어가지 못했다. == 영상 == === 뮤직비디오 === ||<#A5393D> {{{#white '''뮤직비디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gukml7zDAA)]}}}|| 유로비전 유튜브에서는 뮤직비디오가 제대로 나오지만 정작 시르쿠스 미르쿠스의 [[https://youtu.be/O6UqeUwCldM|공식 유튜브 영상]]에서는 "비디오 안나옴 : 이 아티스트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략을 규탄합니다." 라고 적힌 유튜브에서 삭제된 영상을 보여주는 듯한 장면을 패러디했다. 멀쩡한 뮤직비디오를 막은 이유는 우크라이나에서는 전쟁이 일어나는데 자신들의 행복하고 다채로운 영상을 공개할 적절한 시기가 아니라고 느꼈기 때문이라고 한다. === 유로비전 === ||<#A5393D> {{{#white '''세미 파이널'''}}}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XiZAbqETvk)]}}}|| == 가사 == || 원어 || 한국어 번역 || ||Show me what you got On the counter From the ground up now Here we come and we all know Mama said not to show what you are Step it up now Get it done now I hate what you got Shoot it to the stars To the top now Across the moon and down We are here ’til we blow up Tryin’ hard will not get you really far Mix it up now It’s alright, pal (Circus Mircus) Take me to the space craft, take me to dance club Take me to the space craft, take me to dance club Take me to the space craft, take me to dance club Take me to the space craft, take me to dance club Now, right now, right now, right now Take me to the space craft, take me to dance club Take me to the space craft, take me to dance club Take me to the space craft, take me to dance club Take me to the space craft, take me to dance club Take me to the space craft, take me to dance club Now, right now, right now, right now Take me to the space craft, take me to dance club Lock me up, lock me down Lock me in, lock me out Lock me sideways Lock me up, lock me down Lock me in, lock me out Lock me sideways (Circus Mircus) Make it, do it, break it, and I never could take it Make it, do it, break it, and I never could take it Make it, do it, break it, and I never could take it Make it, do it, break it, and I never could take it Now, right now, right now, right now Make it, do it, break it, and I never could take it Lock me up, lock me down Lock me in, lock me out Lock me sideways Lock me up, lock me down Lock me in, lock me out Lock me sideways Lock me up (Up), lock me down (Down) Lock me in (In), lock me out (Out) Lock me sideways Lock me up (Up), lock me down (Down) Lock me in (In), lock me out (Out) Lock me sideways (Circus Mircus) ||너가 가진게 뭔지 보여봐 카운터에서 지금 완전히 여기 우리가 왔고 우린 다 알아 마마가 너가 어떤 사람인지 말하지 말라 했지 이제 나서보자고 끝내보자고 너가 가진거 마음에 안들어 별을 향해 쏴버려 지금 꼭대기로 달을 건너 아래로 우린 폭발할 때까지 여기 있어 노력하는건 널 정말 멀리 가게 만들지는 않을거야 지금 섞어보라고 괜찮으니까, 친구 (시르쿠스 미르쿠스) 날 우주선에 데려다 줘, 댄스 클럽에 데려다 줘 날 우주선에 데려다 줘, 댄스 클럽에 데려다 줘 날 우주선에 데려다 줘, 댄스 클럽에 데려다 줘 날 우주선에 데려다 줘, 댄스 클럽에 데려다 줘 지금, 지금 당장, 지금 당장, 지금 당장 날 우주선에 데려다 줘, 댄스 클럽에 데려다 줘 날 우주선에 데려다 줘, 댄스 클럽에 데려다 줘 날 우주선에 데려다 줘, 댄스 클럽에 데려다 줘 날 우주선에 데려다 줘, 댄스 클럽에 데려다 줘 날 우주선에 데려다 줘, 댄스 클럽에 데려다 줘 지금, 지금 당장, 지금 당장, 지금 당장 날 우주선에 데려다 줘, 댄스 클럽에 데려다 줘 날 위로 잠궈봐[* 사실 lock up, lock in, lock down은 영어로는 각기 다른 상황에 사용하지만 모두 한국어로는 잠그다를 의미한다. 하지만 이 가사는 그러한 뜻으로 단어를 쓴 것이 아니기에 방향을 적어서 해석한다.], 날 아래로 잠궈봐 날 안으로 잠궈봐, 날 밖으로 잠궈봐 날 옆으로 잠궈봐 날 위로 잠궈봐, 날 아래로 잠궈봐 날 안으로 잠궈봐, 날 밖으로 잠궈봐 날 옆으로 잠궈봐 (시르쿠스 미르쿠스) 만들어, 해, 부숴버려 그리고 난 그걸 결코 받아들이지 못했어 만들어, 해, 부숴버려 그리고 난 그걸 결코 받아들이지 못했어 만들어, 해, 부숴버려 그리고 난 그걸 결코 받아들이지 못했어 만들어, 해, 부숴버려 그리고 난 그걸 결코 받아들이지 못했어 지금, 지금 당장, 지금 당장, 지금 당장 만들어, 해, 부숴버려 그리고 난 그걸 결코 받아들이지 못했어 날 위로 잠궈봐, 날 아래로 잠궈봐 날 안으로 잠궈봐, 날 밖으로 잠궈봐 날 옆으로 잠궈봐 날 위로 잠궈봐, 날 아래로 잠궈봐 날 안으로 잠궈봐, 날 밖으로 잠궈봐 날 옆으로 잠궈봐 날 위로 잠궈봐 (위로), 날 아래로 잠궈봐 (아래로) 날 안으로 잠궈봐 (안으로), 날 밖으로 잠궈봐 (밖으로) 날 옆으로 잠궈봐 날 위로 잠궈봐 (위로), 날 아래로 잠궈봐 (아래로) 날 안으로 잠궈봐 (안으로), 날 밖으로 잠궈봐 (밖으로) 날 옆으로 잠궈봐 (시르쿠스 미르쿠스) || ==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2022년|2022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 [include(틀: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참가자/2022)] [[파일:lockmeini.jpg]]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2022년|2022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조지아]] 대표로 참가했지만 세미파이널에서 탈락한다. 곡 공개당시부터 매우 실험적인 곡 분위기 특성상 그 누구도 본선 진출을 기대하지 않았다. 세르비아도 [[In corpore sano|실험적인 곡]][* 물론 이 곡도 처음 공개 당시 어떤 순위가 되어도 이상하지 않은 곡으로 취급받았다. 그나마 이 곡은 Lock Me In과 달리 본선 진출을 예상하는 사람들이 많았다.]을 내보냈지만 세르비아의 경우는 관객들이 같이 박수를 치는 등 무대 몰입을 잘 한 반면 이쪽은 그 수준의 관객들의 무대 몰입을 이끌어내지는 못했다. [[분류:2022년 노래]][[분류: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참가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