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리아나]][[분류:리아나/싱글]][[분류:빌보드 핫 100 2위 노래]][[분류:빌보드 R&B/힙합 차트 1위 노래]][[분류:2022년 노래]][[분류:2022년 싱글]][[분류:사운드트랙 싱글]][[분류:블랙 팬서: 와칸다 포에버]][[분류:컨템퍼러리 R&B]][[분류:Dolby Atmos 지원 음악]] || {{{#!wiki style="margin:-4px -10px" [[파일:빌보드 로고.svg|width=100]]}}} || '''[[https://www.billboard.com/lists/best-songs-2022/|{{{#000000 빌보드 선정 2022년 최고의 곡}}}]][br]{{{#000000,#ffffff {{{+5 {{{#black 54위}}}}}}}}}''' || ---- ||<-2> '''{{{+1 Lift Me Up}}}[br]리프트 미 업'''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rihanna_Lift Me UP.jpg|width=100%]]}}} || || '''수록 영화''' || [[블랙 팬서: 와칸다 포에버]] || || '''발매일''' || [[2022년]] [[10월 28일]] || || '''아티스트''' || [[리아나]] || || '''장르''' || [[컨템퍼러리 R&B|R&B]] || || '''송라이터''' || [[리아나|Robyn Fenty]], [[라이언 쿠글러|Ryan Coogler]], [[Ludwig Göransson]], Temilade Openiyi || || '''프로듀서''' || [[Ludwig Göransson]] || || '''노래 길이''' || 3:16 || || '''레이블''' || Westbury Road, [[Roc Nation]] || || '''[[빌보드 핫 100|[[파일:빌보드 로고 흰색.svg|width=100]]]]''' || 2위 (1주) || || '''[[Official Charts|[[파일:오피셜 차트 로고.svg|width=100]]]]''' || 3위 (1주) || || '''[[스포티파이|[[파일:스포티파이 로고.svg|width=100]]]]''' || 175,502,512회 ^^2023년 2월 2일 기준^^ || || '''[[YouTube|[[파일:유튜브 로고.svg|width=100]]]]''' || 78,273,950회 ^^2023년 2월 2일 기준^^ || [목차] [clearfix] == 개요 == [[블랙 팬서: 와칸다 포에버]]의 사운드트랙 수록곡이자 엔딩 크레딧 곡. [[리아나]]가 [[ANTI]] 앨범 이후 '''무려 6년만에''' 공개하는 신곡이라 많은 기대를 모았다. == 뮤직비디오 == ||[youtube(Mx_OexsUI2M)]|| ||
'''Rihanna - Lift Me Up (From Black Panther: Wakanda Forever)'''[br]{{{-2 {{{#666666 ^^(2022. 10. 29.)^^}}}}}} || ||[youtube(UWCf7GNy6cc)]|| ||
'''Rihanna - Lift Me Up (Wakanda Forever Lyric Video)'''[br]{{{-2 {{{#666666 ^^(2022. 10. 31.)^^}}}}}} || == 가사 == || {{{#fff '''Lift Me Up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Chorus] Lift me up 날 올려줘 Hold me down 날 내려줘 Keep me close 내 곁에 있어줘 Safe and sound 무사히 [Verse 1] Burning in a hopeless dream 희망없는 꿈을 불태우며 Hold me when you go to sleep 네가 잠들 때 날 안아줘 Keep me in the warmth of your love 따스한 네 사랑으로 날 감싸안아줘 When you depart, keep me safe 네가 떠날 때 날 지켜줘 Safe and sound 무사히 [Chorus] Lift me up 날 올려줘 Hold me down 날 내려줘 Keep me close 내 곁에 있어줘 Safe and sound 무사히 [Verse 2] Drowning in an endless sea 끝없는 바닷속에 가라앉은 채 Take some time and stay with me 잠시 나와 함께 있어줘 Keep me in the strength of your arms 강한 네 팔로 날 안아줘 Keep me safe 날 지켜줘 Safe and sound 무사히 [Chorus] Lift me up 날 올려줘 Hold me down 날 내려줘 Keep me safe 날 지켜줘 Safe and sound 무사히 [Verse 3] Burning in a hopeless dream 희망 없는 꿈을 불태우며 Hold me when you go to sleep 네가 잠들 때 날 안아줘 Keep me safe 날 지켜줘 We need light, we need love 우린 빛이, 사랑이 필요해 [Chorus] (Lift me up) Lift me up in your arms (날 올려줘) 네 팔로 날 올려줘 (Hold me down) I need love, I need love, I need love (날 내려줘) 난 사랑이, 사랑이, 사랑이 필요해 (Keep me close) Hold me, hold me (내 곁에 있어줘) 날, 날 붙잡아 줘 (Safe and sound) Hold me, hold me, hold me, hold me (무사히) 날, 날, 날, 날 붙잡아 줘 (Lift me up) Hold me, hold me, hold me, hold me (날 올려줘) 날, 날, 날, 날 붙잡아 줘 (Hold me down) Hold me, hold me (날 내려줘) 붙, 붙잡아 줘 (Keep me safe) We need light, we need love (날 지켜줘) 우린 빛이, 사랑이 필요해 [br] }}} || == 성적 == 10월 마지막 주 발매곡 중 [[스포티파이]]에서 가장 높은 순위를 거둔 발매곡을 기록했다. 발매 이후 미국 [[애플뮤직]]을 비롯한 40여개국에서 1위를 기록했다. 스트리밍, 라디오 에어플레이 성적이 모두 뛰어나 [[빌보드 핫 100]]을 초토화시킨 [[테일러 스위프트]]의 정규 10집 앨범 [[Midnights]]의 리드 싱글 [[Anti-Hero(테일러 스위프트)|Anti-Hero]]와 1위를 두고 쟁탈전을 벌일 것으로 보인다. 빌보드 차트 전문 추측 계정의 11월 12일자 빌브도 차트 초기 예측에서는 2위 데뷔가 예상된다고 떴다. 스트리밍에서 상대적으로 약세를 보이고 있어 엄청난 물량공세를 펼치고 있다. [[Adele]]의 [[Easy On Me]]의 첫 주 성적을 뛰어넘을 정도로 라디오 에어플레이 플레이리스트에 자주 등장해 [[페이올라]] 의혹까지 받고 있다. 싱글도 커버만 바꾼 6종 버전을 출시해 상술이 심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그럼에도 빌보드 2위 데뷔가 거의 확실시 된 상태다. 예상대로 [[Anti-Hero(테일러 스위프트)|Anti-Hero]]를 넘지 못하고 2위로 데뷔했다. 1998년 이후 모든 포맷의 라디오 송 차트 탑텐에 진입한 네 번째 노래다. [[자넷 잭슨]]의 [[All for You]], [[레이디 가가]]의 [[Born This Way]], [[Adele]]의 [[Easy On Me]] 다음이다. 영국 차트에서 3위로 데뷔했다. 영국에서도 Anti-Hero를 꺾지 못했다. 발매 6주차인 [[샘 스미스]]와 [[킴 페트라스]]의 [[Unholy]]에도 밀렸다. 리아나의 41번째 영국 탑텐 진입곡이다. == 평가 == 디 애틀랜틱의 스펜서 콘하버는 이 노래가 "매혹적이다"라며 "이 노래는 리한나의 보컬을 중심으로 만들어졌으며 이 흔한 사운드가 리한나의 것임을 천명한다"고 말했다. [[하퍼스 바자]]의 비앙카 베탕코트는 리한나가 이 노래를 통해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처음으로 최고의 주제가상 후보에 오를지도 모른다고 언급했다. [[피치포크]]의 딜런 그린은 리한나의 목소리가 비통한 음을 점점 더 확장하는 이 발라드 노래를 띄울 정도로 마호가니처럼 빛나고 성숙해졌으며 윤기가 난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 노래 자체는 평범한 블랙팬서 영화 사운드트랙이라고 말했다. [[더 가디언]]의 샤드 디사우자는 노래 가사에 별 감흥이 없었고, 가볍고 솔직히 별 감흥이 없었다고 말했다. 그는 이 노래가 ANTI의 밝음과 거리가 먼 사는 게 지겹고 감정적으로 슬픈 가사라고 비평했다. 디샤우자는 이 노래가 리한나의 진정한 컴백곡이 아니라고 말했다. 디샤우자는 이 노래가 부드럽고, 사랑스러운 아르페지오 리듬의 하프와 잔잔하게 울려퍼지는 현악기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발라드라면서 이 노래의 공동 작곡가인 템즈의 'Free Mind'나 'Damages'와 같은 무게와 힘은 없다고 평가했다. 더 타임즈의 에드 포튼은 5점 만점에 2점을 부여했다. 리한나가 이 노래를 흠잡을 데 없이 섬세한 목소리로 불렀지만 쉽게 잊을만하고 따분하다고 평가했다. 이 노래가 마치 좋은 의도의, 공격적이지 않은 노래여야 하는 이사회 결정으로 만들어진 노래같다고 말했다. 개성이 전혀 없는 노래라고 혹평했다. == 여담 == * 감정적인 R&B 발라드로 지난 2020년 세상을 떠난 [[채드윅 보즈먼]] 헌정곡이다. 블랙 팬서 영화 음악을 작곡한 루드비히 고란손이 작곡했다. 리한나, 블랙팬서 영화 감독 라이언 쿠글러, 템즈 등이 공동 작곡에 참여했다. * 템즈는 라이언 쿠글러로부터 영화 연출 방향과 곡의 의도를 전해들은 후 자신의 인생에서 잃어버렸던 사람들을 따뜻하게 안아줄만한 노래를 쓰고 싶었다고 말했다. 그런 사람들을 위해 지금 어떤 노래를 부를지 상상했고 얼마나 그들을 그리워하고 있는지 표현하고 싶었다고 한다. 리한나가 자신의 영감을 주었기 때문에 리한나가 이 노래를 불러준 것이 영광이라고 말했다. * 이 노래는 메이저 키로 작곡됐으며 1분에 89 템포를 기록한다. A-Bm-E의 코드 진행을 따르며 이 노래에서 리한나의 음역대는 G#3에서 E5 사이다. * 이후 영화가 개봉하면서 Born Again이란 새로운 사운드트랙 싱글을 공개했다. 이 노래는 Lift Me Up과 다르게 정식 싱글컷되지는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