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2차 세계대전/소련군 항공기)] [Include(틀:항공병기 둘러보기)] ||
[[파일:Lavochkin_La-7.jpg|width=100%]]|| || '''Лавочкин Ла-7'''[* 사진은 [[이반 코제두브]]의 '''실제 탑승기'''다. 현재 [[모스크바]] 주변 모니노(Мо́нино)라는 도시의 [[https://cmvvs.ru/|항공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 [목차] == 개요 ==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활약했던 소련제 단좌 전투기 중 하나이다. 나토 코드명은 핀(Fin).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La-5]]에서 파생된 모델이었고, 1944년에 최초로 전쟁에 투입된다. 스펙에서도 알 수 있듯이 최고 속도가 상당한 편인 기체이며 조종사들은 이 기체가 독일의 기체들과 동급이라고 느꼈다. 그리고 [[Yak-9]]과 마찬가지로 [[Me262]]를 격추시키기도 했다. 그러나 수명이 짧았는지 제트기들이 본격적으로 등장하기도 전인 47년에 소련군에서 퇴역하게 된다. 반면에 체코에 수출되었던 기체들은 50년대에 퇴역한다. 이 전투기가 더더욱 유명해진 이유는, 연합군 최고의 에이스, '''[[이반 코제두브]]'''의 탑승기였기 때문이다. == 제원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La-7.svg.png]] ||<-4> {{{#ffffff '''Лавочкин Ла-7'''}}} || ||<-2> '''분류''' ||<-2> 전투기 || ||<-2> '''전장''' ||<-2> 8.6m || ||<-2> '''전폭''' ||<-2> 9.8m || ||<-2> '''전고''' ||<-2> 2.54m || ||<-2> '''승무원''' ||<-2> 1명 || ||<-2> '''익면적''' ||<-2> 17.59m² || ||<-2> '''자체중량''' ||<-2> 2,638kg || ||<-2> '''전비중량''' ||<-2> 3,315kg || ||<-2> '''엔진''' ||<-2> [[쉬베초프 ASh-82|쉬베초프 ASh-82FN]] 복열 14기통 공랭식 성형엔진 1기, 1,850마력 || ||<-2> '''최고속도''' ||<-2> 651km/h[* 6,000m] || ||<-2> '''항속거리''' ||<-2> 665km[* 44년 생산분] || ||<-2> '''최고 고도''' ||<-2> 10,450m || ||<-2> '''상승률''' ||<-2> 15.7m/s || ||<-2> '''무장''' ||<-2> 엔진 카울링에 [[ShVAK]] 20mm 기관포 2문, 문당 탄약 170발[* 몇몇 기체는 문당 탄약 100발이 들어가는 베레진 B-20 20mm 기관포 3문이 카울링에 대신 장착되기도 했다.][br]200kg의 폭탄 || == 개발사 == 앞서 [[La-5]] 문서에 나와 있듯이, 43년 정도에 들어서서 전쟁 상황에 여유가 생기자 풍동 실험을 하는 등 본격적인 개량 사업에 착수하게 되는데, 이 덕분에 기존의 형상을 변경하여 공기 역학적인 특성을 개량하고, 전방 카울링을 개량하여 엔진 가스를 차단하고, 시야를 더 좋게 만드는 등 개량을 거치게 된다. 이렇게 본격적으로 개량된 기체는 1944년에 최초 비행을 하게 되는데, La-5FN에 쓰였던 엔진을 그대로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상당한 성능 향상(최고 속도가 거의 50 kph 정도 증가)을 확인하게 된다. 이 당시 La-5또한 프로토타입 Shetsov M-71엔진을 장착하여 실험중이었는데, 이 실험 기체보다 더 성능이 좋았다.[* M-71의 성능은 몹시 뛰어났지만 신뢰성이 정말 끔찍하게 낮았다. 폴리카르포프의 유작이자 소련 최강의 전투기 중 하나였던 I-185가 취소된 것도 결국 M-71의 개발실패 때문.] 재미있는 건 이 기체도 주된 재료가 목재였다는 것이다.[* 이는 빠른 퇴역(?)에 지대한 공을 세우게 된다. 금속은 건조한 곳에 포장(?)해서 내버려 두기만 해도 상관 없지만, 목재는 썩어버리기 때문에...] 이후 미국의 [[무기대여법]]에 의해 합금 공급이 늘어나자 금속 재료 비중을 늘리게 되지만 아직도 대부분의 동체는 목재로 되어 있었다. 실전용 모델은 이전의 [[ShVAK]] [[20 mm]] [[기관포]] 2정을 제거하고 B-20 기관포[* ShVAK과 비슷한 성능을 가지고 있지만 무게가 무려 15 kg이나 가벼웠다.][* 참고로 이 기관총의 총구 속도는 770 m/s 가량으로 독일군의 [[MG 151]]의 일반탄 20mm 기준 705m/s보다 빨랐다. [[미넨게쇼스]] 탄환 기준으로도 800m/s로 그리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수준.]를 3정 장착하기로 했으나, B-20의 생산이 늦어지는 바람에 그대로 ShVAK을 장착하고 투입된다. 준수한 비행 성능 덕분에 조종사들의 반응은 좋았으나, 설계 미스로 인해 비전투 손실을 다소 보게 된다. 일례로 엔진 흡기구가 아래쪽에 나 있어 여기로 먼지 등이 빨려들어가서 훼손 된 경우 등. 이후 45년에 접어들어 B-20을 3정 장착한 모델이 투입되었는데, 어찌된 일인지 ShVAK 2정 장착된 모델보다 60kg가량 무거웠음에도 불구하고 속도가 더 빨랐다고 한다. 이렇게 화력을 강화한 이유는 이 당시 [[Fw190]] 등을 격추시키려면 20mm 두 정으로도 화력이 모자랐기 때문이라 한다. 이런저런 단점에도 불구하고 중저고도에서의 비행성능은 우수한 편으로 거의 모든 독일 기체의 수직기동에 대응이 가능했다. 이 당시까지만 해도 [[Bf109]]G형은 소련제 기체들보다 수직 기동 성능이 우월했었으나, La-7는 이 공식을 뭉개버렸다. [[Fw190]] 또한 수직 기동에서 따라잡을 수 있어서 사실상 독일군의 수직 기동에 대처할 수 있는 유일한 기체였고, 지상군에 폭격을 가한 뒤 기지를 향해 전속력으로 도주하던 Fw190을 저고도에서 유일하게 추격할 수 있는 소련제 전투기였다. 비슷한 시기에 등장했던 Yak-3보다 공중전 손실 댓수가 반 정도 밖에 안 되는 115 대였다는 것이 이를 보여준다. 저공에서만큼은 독일 공군 전투기로 추격하기가 어려웠다는 후기들을 보면, 저공에서의 성능은 확실히 뛰어난 편에 속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La-5FN 이후로 고고도성능 개선이 시원치 않아 같아 4000m 이상의 고도에서는 성능이 크게 저하되었기에 이를 보완하기 위한 여러 개량이 시도되었지만 좋은 결과는 나오지 않았다. [[P-47 썬더볼트]]처럼 터보 슈퍼차저를 장착하려는 시도가 있었다가 터보 차저가 폭발해 기체가 공중분해되는 사고가 발생해 취소되었고, 꼬리 부분에 로켓 엔진을 장착해 순간적인 가속을 통해 속도를 상승시켜 보려고 했다가[* 로켓 엔진은 3분 30초 사용 가능.] 역시 로켓 엔진이 폭발하고 간신히 착륙하는 사건도 있었다. 이 외에도 [[램제트 엔진]]을 주 날개에 각각 장착한 모델도 존재하는데, 800kph를 내도록 설계했지만 고작 680kph밖에 나질 않았다고 한다. ASh-82FN도 사실 직접연료분사에 엄연히 2단 슈퍼차저를 장착한 기체였지만 소련의 과급기 제작기술 자체가 너무나 낮고 독소전쟁이라는 총력전 상황에서 어떻게 개량을게 할 도리가 없었다. 실제로 전후 안정된 환경에서 생산된 La-9나 경량 호위전투기 [[La-11]]은 금속으로 재설계된 La-7의 뼈대에 똑같은 Ash-82FN을 사용하는데도 불구하고 고고도 성능이 훨씬 뛰어났고 La-11은 아예 고공전투가 가능했다. == 대중매체 == || [[파일:external/encyclopedia.warthunder.com/la-7.png|width=100%]] || [[파일:external/encyclopedia.warthunder.com/la-7b-20.png|width=100%]] || [[파일:external/encyclopedia.warthunder.com/la-7_dolgushin.png|width=100%]] || || {{{#white '''La-7'''}}} || {{{#white '''La-7B-20'''}}} || {{{#white '''La-7 돌구신 탑승기'''}}} || * [[워 썬더]]에서 소련의 4티어 전투기로 등장한다. [[La-5]]보다 비행 성능이 향상되었고 티어도 적절하여 라보츠킨 전투기 중에서 가장 밥값을 하는 놈이다. * 모바일 전투 [[비행 시뮬레이션]] 게임인 [[Gunship Sequel WW2]]에 소련군 3티어 전투기로 등장한다. [[파일:LA7.jpg]] [[분류:전투기]][[분류:항공 병기/세계 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