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LX)] ||<-2> {{{+1 '''LX세미콘''' }}}[br]'''LXSemicon''' || ||<-2> [[파일:LX세미콘 로고.svg|width=80%]] || || '''정식명칭''' ||주식회사 LX세미콘 || || '''영문명칭''' ||LX Semicon Co., Ltd. || || '''설립일''' ||[[1999년]] [[11월 11일]]|| || '''본사''' ||[[대전광역시]] [[유성구]] 테크로2로 222 ([[탑립동]])|| || '''업종명''' ||[[제조업]]|| || '''대표이사''' ||손보익 || || '''상장여부''' ||상장기업|| || '''기업규모''' ||'''[[대기업/대한민국|대기업]]''' || || '''상장시장''' ||[[유가증권시장]] ([[2022년]]~현재)[* [[코스닥]] 시장 ([[2010년]]~[[2022년]])]|| || '''종목코드''' ||108320 || || '''그룹''' ||[[LX그룹|[[파일:LX그룹 로고.svg|width=50px]]]] || || '''매출액''' ||1조 8988억 4600만원 ^^(2021)^^ || || '''영업이익''' ||3696억 원 ^^(2021)^^[*N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108320|#]]] || || '''순이익''' ||2964억 원 ^^(2021)^^[*N] || || '''홈페이지''' ||[[https://www.lxsemicon.com/|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KsZf5FS.gif]] || || LG 자회사 시기 실리콘웍스 로고 || [[LX그룹]] 계열 [[반도체]] 기업. 창립 당시 사명은 [[실리콘웍스]](Silicon Works)인데, 사명을 지을 때 진짜로 [[규소]](실리콘)를 가지고 일해 보자는 의미로 지었다고 한다.[* [[반도체]] 원료가 규소, 즉 실리콘이라서 그렇다.] 원래는 [[LG그룹]] 소속 기업이었지만 2021년 5월 1일, [[구본준]] 고문 측 [[LX그룹]] 으로 편입되어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되었다. == 상세 == [[대한민국]]의 [[반도체]] 기업 중 순수 반도체 설계 즉, [[팹리스]] 회사이다. 국내 팹리스 업체 중에서는 [[대한민국]] 국내 매출 1위, 영업이익 1위를 몇 년째 차지하고 있는 회사이다.[* [[대한민국]] 국내에만 한정되는 이야기로, 일반적인 외국의 팹리스 회사는 기업 규모나 직원의 수가 실리콘웍스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크다. 대표적인 예로, [[미국]]의 [[퀄컴]]이나 [[대만]]의 [[미디어텍]] 등이 있다. 그래도 실리콘웍스 역시 [[중소기업]] 딱지는 옛날에 벗어난 상태고, 연 매출 1조 이상 규모는 되기에 입지는 갖추고 있는 셈이다.] LCD driver [[집적회로|IC]], T-con, [[OLED]] driver IC, PMIC 등 설계하고 있다. 이 회사의 설계도를 바탕으로 [[파운드리]] 업체에서 반도체를 제작하고 검증 과정을 거쳐 [[LG디스플레이]]에 제품을 납품하고 있다. [[Apple]]의 [[iPad]], [[Apple Watch]], [[iPhone 12]]에 부품이 들어간 것으로 유명세를 탔으며, 그 덕에 [[주식]]이 많이 상승할 수 있었다. 국내 펩리스 회사로는 드물게 특허로 인한 이익을 취하고 있으며 하나의 제품만 올인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제품군을 개발하고 있기 때문에 미래 성장성이 강한 회사 중 하나이다. 하지만 실리콘웍스의 사업보고서에도 늘 "당사가 생산하는 디스플레이용 구동칩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 및 특성에 따라 종류가 다양합니다. 주요 패널업체 구매정책의 특성상 통상 한 달 정도 주기로 필요물량의 발주가 이루어지고 수시로 추가 물량이 발주되고 있어 수주현황은 작성하지 아니합니다."라는 문구가 들어가 있어서 수주현황은 상당히 유동적이며, 경기가 좋지 않을 때는 급격하게 실적이 나빠지기도 한다. == 사업장 위치 == 본사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테크노2로 222 (탑립동)에 위치해 있다. 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동에 양재 캠퍼스를 운영한다.[* (기존에 있던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정발산로 24 ([[장항동]]) 서울사무소,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성남대로926번길 10 (야탑동) 분당사무소 등은 이전.)] == 지배구조 == 2023년 4월 기준. || 주주명 || 지분율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LX홀딩스]] || 33.08%|| == 역사 == === [[LG그룹]] 시절 === 2014년 5월에 [[LG]]가 인수했다. === [[LX그룹]] 시절 === 2021년 5월 1일, 구본준 (주)LG 고문의 계열분리로 인해 LG상사,LG하우시스, LG MMA, 판토스와 함께 LG그룹서 분리되었다. LG MMA와 함께 전형적인 알짜기업으로 평가받으며, 과거 [[LG반도체]] 사장이었던 [[LX그룹]] 구본준 회장의 애정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로 계열 분리되는 회사 중, 부사장에서 사장으로 진급한 사람은 실리콘웍스의 손보익 사장 뿐이다. 2021년 하반기 [[LG전자]]의 SIC센터 인력과 자산을 이관해줄 것을 요청했다가 거절당했다. SIC센터는 LG전자에 있는 유일한 반도체 관련 개발조직이다. LX그룹은 [[스마트폰]] 사업을 접은 LG전자로부터 SIC센터를 양도 받아 모바일 AP와 전력 반도체 분야 설계 역량을 강화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LG전자는 향후 [[메타버스]] 및 [[자율주행]] 등 미래 사업 준비를 위해 SIC센터 양도를 거부했는데 이는 LG그룹 고위 경영진의 의중이 반영된 것으로 전해졌다. [[https://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15920|#]] 2022년 이전까진 파운드리 업체로 [[SK하이닉스|SK하이닉스시스템IC]]를 쓰다가 [[TSMC]]로 옮겼다.[[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304131547114600101236&lcode=00|#]] 2023년 2월 [[삼성디스플레이]]와 협력을 시작했다.[[https://www.sedaily.com/NewsView/29LMUAJLRI|#]][* 삼성과 LG는 경쟁 기업이기 때문에 LG그룹에 있던 시절엔 LGD가 주 고객이었다. 현재는 LX그룹에 속해 있어 LG의 경쟁사들과도 협력할 수 있게 됐고, LG에 치중된 포트폴리오를 개선하려는 목적도 있다.] [[분류:LX그룹]][[분류:대한민국의 반도체 제조사]][[분류:1999년 설립]][[분류:코스피상장법인]][[분류:대전광역시의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