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fff 제타 레티큘리 항성계}}}''' || ||<-6> {{{#!folding [ 접기 / 펼치기 ] ---- {{{#!wiki style="margin: -2px -5px" [[파일:external/img2.wikia.nocookie.net/ImagesCA0YT167.jpg|width=50%]]}}}}}} || ||<-2> [[칼파모스]] ||<-2> [[LV-223]] ||<-2> '''LV-426''' || ||<-3>
{{{#fff '''{{{+1 LV-426}}}'''}}}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mages4.wikia.nocookie.net/ImagesCATQ3D9N.jpg|width=100%]]}}} || ||<-3> '''{{{#000000 가운데 빨간색 동그라미가 그려진 위성이다.}}}''' || || '''{{{#fff 본명}}}''' ||<-2>아케론[br]Acheron || || '''{{{#fff 지역}}}''' ||<-2>[[태양계]] 외부 || || '''{{{#fff 행성계}}}''' ||<-2>제타 2 레티큘리 항성계 || || '''{{{#fff 구분}}}''' ||<-2>위성 || || '''{{{#fff 모천체}}}''' ||<-2>[[칼파모스]] || || '''{{{#fff 지구 기준 거리}}}''' ||<-2>39 광년 || || '''{{{#fff 지름}}}''' ||<-2>1,200 km || [목차] [clearfix] == 개요 == 영화 에일리언 시리즈에 등장하는 위성. 커버넌트, 에일리언 1, 2의 주 무대. [[토성]]형 행성인 [[칼파모스]]를 [[공전]]하는 세 [[위성]] 중 칼파모스 내곽을 도는 위성으로, 아케론(Acheron)[* 그리스에 있는 강으로, 신화에서는 이 강이 지하로 흘러 저승에 다다른다고 한다. 왜 이런 꺼림칙한 이름을 붙였을까...]이라는 이름이 붙여진 [[에일리언 시리즈]]의 무대이다. 함께 공전하는 위성들 중에는 [[프로메테우스(영화)|프로메테우스]]의 배경인 [[LV-223]]이 외곽을 돌고 있다. 제타 2 레티큘리 항성계에 위치하고 있으며 근처에 [[에이리언: 아이솔레이션]]의 배경이 된 제타 레티큘리 항성계[* 근처에 있는 다른 항성계이다. 응급치료를 위해 급하게 올 수 있을만큼 가까운 모양.]의 가스행성 [[KG-348]]의 정지궤도에 있는 [[세바스토폴(에이리언 시리즈)|세바스토폴 정거장]]이 위치해 있다.[* 그래서 아이솔레이션에서 사건의 원흉이 된 선장 말로우의 LV-426 착륙과 스페이스 자키(엔지니어)의 우주선을 찾고 페이스 허거에 의해 체스트 버스터가 말로의 와이프의 흉부에 심어졌을 때 급하게 응급치료를 위해 간 곳이 가까운 제타 레티큘리 항성계의 세바스토폴 정거장이었다. 그렇게 해서 정거장에 지옥이 강림한 것이다.] == [[프로메테우스(영화)|프로메테우스]] == 영화의 배경은 아니다. 그러나 영화 내에서 직접적으로 언급되진 않았지만 블루레이의 스페셜 피쳐 중 하나인 '[[피터 웨이랜드]]의 파일'의 로그를 보면 이미 이 때부터 웨이랜드 사는 LV-426의 존재를 인지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승무원 중 하나였던 [[데이빗 8]]도 이미 LV-426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었다.''' >(중략) 운명인지, 제타 2 레티큘리에 대한 쇼와 할러웨이의 관심은 서로에게 득이 됐다. 박사들은 고대 조각과 원시 동굴 벽화에 의존했지만 우리 과학 부서의 광범위한 스캔은 최근에 약하고 거의 잡히지 않을 듯한 신호가 그 시스템의 작은 달들 중 하나에서 나오는 것을 감지했다. 그리고 [[LV-223]]을 주요 목표지로 삼은 쇼와 할러웨이의 발견과는 달리, '''우리의 발견은 기원이 사실은 LV-426에서 나왔을지도 모른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 >기본 절차에 따라, [[데이빗 8]]을 승무원 중에 심을 것이다. 그리고 그는 223에서 확보한 모든 자산을 보고하고 활용하도록 여러 가지 돌발 상황에 대비하여 프로그램될 것이다. > >'''하지만 오직 데이빗만이 426에 대해 알고 있으며 때가 될 때까지 메레디스를 포함한 나머지 승무원이 최근에 우리가 발견한 전송 신호에 대해 알지 못하도록 할 것이다.''' (생략) >----- >프로메테우스 블루레이에 수록된 스페셜 피쳐 '피터 웨이랜드의 파일'의 '고요한 눈 : 엘리자베스 쇼'에서 == [[에일리언: 커버넌트]] == 커버넌트의 배경이 된다. 이번에도 본작에서 직접 언급되지는 않았으나, 블루레이에 수록된 영상에서 데이빗의 말을 따르면, 신들, 즉 엔지니어들은 자신들의 늑대(제노모프)들을 만들어 냈지만, 자신들의 기술력과 검은 액체, 제노모프의 위험성을 우려해 추방한 뒤 봉인해버렸다고 한다. 즉, '''LV-426은 제노모프의 감옥이었던 것이다.''' 이렇게 되면, 노스트로모 호가 포착한 경고 메세지와 화석화된 엔지니어의 시체도 말이 된다. == [[에일리언 1]] == [[파일:external/en.academic.ru/Alien-LV-426-Distant_Shot.png]] 시리즈의 첫작인 만큼, 타임라인에서도 처음으로 등장한 행성. 에일리언 1의 배경이 된다. 작중 언급에 따르면 원시 지구와 유사한 환경이라고 한다. 그러나 [[항성]]과의 거리가 멀어 어두운 편이다. 그리고 이곳엔 [[에일리언 알]]을 가득 실은 [[엔지니어(에이리언 시리즈)|엔지니어]]의 우주선이 착륙해 있었으며, 알 수 없는 전파를 꾸준히 발신하고 있었다.[* 처음에는 구조신호로 생각되었지만, 후에 마더의 분석에 의하면 경고신호라고 한다.] 이에 [[웨이랜드 유타니]] 사는 자사가 운용하는 우주 화물선 [[노스트로모 호]]의 승무원들로 하여금 그 우주선을 조사하도록 지시했고 영문을 모른 채 그곳을 조사하던 이들은 [[에이리언 알]]을 발견하고 [[페이스 허거]]에게 변을 당해 급하게 LV-426 행성을 떠났다. == [[에일리언: 아이솔레이션]] == 중간 회상 장면에서 등장하며, 우주 상선 아네시도라 호가 [[USCSS 노스트로모|노스트로모 호]]의 블랙 박스를 발견하는 과정에서 문제의 엔지니어 우주선을 방문하게 되고 곧 선장 말로우의 아내가 [[페이스 허거]]에게 당한다. 이외의 등장은 없다. == [[에일리언 2]] == === 해들리의 희망 식민지 === ||<-3>
{{{#fff '''{{{+1 해들리의 희망}}}'''[br] Hadley's Hope}}}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lv426.jpg|width=100%]]}}}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adley's Hope 에이리언 시리즈.jpg|width=100%]]}}} || ||<-3> '''{{{#000000 2179년 시점}}}''' || || '''{{{#fff 본명}}}''' ||<-2>해들리의 희망 식민지 || || '''{{{#fff 유형}}}''' ||<-2>테라포밍, 연구, 채굴 식민지 || || '''{{{#fff 경영사}}}''' ||<-2>Extrasolar Colonization Administration[br][[웨이랜드 유타니]] 회사 || || '''{{{#fff 설립 장소}}}''' ||<-2>제타 레티큘리 항성계, 아케론(LV-426) || ||<|2> {{{#fff '''설립'''}}} ||<-2>2157년 || ||<-2>웨이랜드 유타니 회사의 지원으로 설립 || ||<|2> {{{#fff '''에이리언[br]사태'''}}} ||<-2>2179년 6월 23일 ~ 2179년 7월 27일 || ||<-2>첫 희생자 러스 조든[* 뉴트의 아버지이다.]이 체스트 버스터로 죽은 날짜에서 식민지가 파괴된 날짜 || ||<|2> {{{#fff '''파괴'''}}} ||<-2>2179년 7월 27일 || ||<-2>핵융합 시스템의 파괴로 인한 자폭 || ||<|4> '''{{{#fff 하위 행정구역}}}''' ||<-2>3구 || ||<-2>주 건물단지[br](Main Complex) || ||<-2>변경 도시[br](Frontier Town) || ||<-2>대기정화소[br](Atmosphere Processing Plant) || || '''{{{#fff 인구}}}''' ||<-2>158명 (2179년) || || '''{{{#fff 행정관}}}''' ||<-2>알란 심슨 || || '''{{{#fff 가격}}}''' ||<-2>수백만 달러[* 카터 버크의 말에 의하면 "엄청난 액수의 가치"가 있는 곳이다. 다만 정확한 가격은 불명.] || [clearfix] ==== 개요 ==== 해들리의 희망은 웨이랜드 유타니가 지원해서 2157년 건설된 테라포밍, 연구, 채굴 영구적 식민지이다. ==== 구성원 ==== ===== 행정, 연구, 기술 관련 인물 ===== * 앨런 심슨(Alan Simpson): 식민지 행정관, 뉴트의 부모가 엔지니어의 우주선이 있는 곳으로 가서 시굴하는 것을 허가한다. 이후 2179년 6월 26일 에이리언 사태 당시 사망. * 브래드 라이데커(Brad Lydecker): 식민지 부행정관, 알란 심슨을 보좌하는 인물. 2179년 6월 에이리언 사태 당시 사망. * 데릭 러셀(Derrick Russell): 테라포밍 전문가, 2179년 당시 에이리언 사태 당시 오나거(Onager) 우주 굴착선을 타고 LV-426을 탈출하는데 성공하지만 우주선에 침입한 에이리언에 의해 LV-223에 불시착한다. 2179년 10월 사망했다. * 그렉 한사드(Greg Hansard): 전 테라포밍 전문가, 2179년 에이리언 사태 이전 데릭 러셀에게 자리를 물려주었다. * 아론(Aaron): 식민지 주민 * 빌 앤드루스(Bill Andrews): 식민지 주민 * 조엘 애셔(Joel Asher): 식민지 간호사 * 보스타인(Borstein): 건축가, 2179년 에이리언 사태 이전 미나 오스터맨에게 자리를 물려주고 다른 웨이랜드 유타니 소속 식민지로 이주했다. * 놀란 케일(Nolan Cale): 자원 시굴자, 2179년 에이리언 사태 당시 오나거(Onager) 우주 굴착선을 타고 LV-426을 탈출하는데 성공하지만 우주선에 침입한 에이리언에 의해 LV-223에 불시착한다. 이후 [[검은 액체]]와 접촉해서 괴물이 되고 나서 데릭 러셀에게 죽는다. * 루이자 캔트렐(Luisa Cantrell): 식민지 주민, 2179년 에이리언 사태 당시 웨이랜드 유타니 소속 우주 과학선을 타고 탈출하는데 성공한다. * 제네비브 디오네(Genevieve Dione): 온실 감독관, 2179년 에이리언 사태 당시 오나거(Onager) 우주 굴착선을 타고 LV-426을 탈출하는데 성공하지만 우주선에 침입한 에이리언에 의해 LV-223에 불시착한다. 2179년 10월 31일 [[검은 액체]]에 의해 변이된 놀란 케일에 의해 사망했다. * 커티스 핀치(Curtis Finch): 테라포밍 기술자, 오토 핀치의 형제. 2179년 에이리언 사태 이전 대기정화소를 수리하러 가다가 다리를 다치고 2179년 6월 10일 과다출혈로 사망했다. * 오토 핀치(Otto Finch): 자원 시굴자, 커티스 핀치의 형제. 2179년 6월 10일 식민지 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정신붕괴해서 식민지 해병대에게 죽었다. * 브로나 플래허티(Bronagh Flaherty): 식민지 주방장. 2179년 6월 에이리언 사태 당시 사망했다. * 카티 후쿠아(Khati Fuqua): 과학 연구팀 연구자. 2179년 6월 26일, [[체스트 버스터]]로 인해 사망했다. * 스테판 그룬월드(Stefan Gruenwald): 식민지 주민, 2179년 6월 26일, 주 건물단지에 침입한 에이리언에 의해 사망했다. * 조쉬 헤이즈(Josh Hayes): 식민지 주민. * 엘레나 이달고 박사(Dr. Elena Hidalgo): 웨이랜드 유타니 소속 과학 연구팀 연구자. 2179년 6월 26일 대기정화소에서 에이리언의 염산에 몸이 접촉해서 사망했다. * 앤 리들리 조든(Anne Ridley Jorden): 뉴트의 어머니, 자원 시굴자. 2179년 6월 26일, 주 건물단지에 침입한 에이리언에 의해 사망했다. * [[레베카 "뉴트" 조든]](Rebecca "Newt" Jorden): 2179년 6월 26일 ~ 2179년 7월 27일 에이리언 사태의 식민지 생존자. * 러셀 "러스" 조든(Russell "Russ" Jorden): 뉴트의 아버지, 자원 시굴자. 2179년 6월 23일 [[체스트 버스터]]로 인해 사망했다. 에이리언 사태의 첫 희생자. * 팀 "티미" 조든(Tim "Timmy" Jorden): 뉴트의 오빠. 2179년 6월 26일 주 건물단지에 침입한 에이리언에 의해 사망했다. * 테오 코미스키 박사(Dr. Theo Komiskey): 식민지 의사. 2179년 6월 에이리언 사태 당시 사망했다. * 켐브렐(Kembrell): 식민지 주민. * 켄트 박사(Dr. Kent): 식민지 주민. * 잭 리(Zak Li): 식민지 주민. * 체스터 링 박사(Dr. Chester Ling): 식민지 주민. * 로니(Loney): 식민지 주민. * 루포(Lupo): 식민지 주민. * 존 마라척(John Marachuk): 식민지 정비 기술자. 2179년 7월 17일 페이스 허거를 강제로 얼굴에서 떼어내려다 질식사했다. * 빅스 박사(Dr. Biggs): 식민지 외과 전문의. 2179년 7월 17일 존 마라척의 페이스 허거를 떼어내는데 성공했다. 이후 7월 27일 [[엘렌 리플리]] 및 미 식민 해병대가 식민지에 도착하기 이전 에이리언에 의해 사망 추정. * 게인스포드(Gainsford): 식민지 의학 기술자. 2179년 7월 17일 빅스 박사가 존 마라척의 페이스 허거를 떼어낸 이후 마라척의 시체로 CAT 스캔 및 MRI 검사를 했다. 이후 7월 27일 [[엘렌 리플리]] 및 미 식민 해병대가 식민지에 도착하기 이전 에이리언에 의해 사망 추정. * 메리(Mary): 식민지 주민. 2179년 7월 27일 [[엘렌 리플리]] 및 미 식민 해병대 일행에게 대기정화소에서 발견되지만 [[체스트 버스터]]로 인해 사망했다. 유언은 "제발... 죽여줘요." 뉴트와 함께 7월 27일 시점까지 생존해 있던 식민지 주민이었다. 배우는 [[https://avp.fandom.com/wiki/Barbara_Coles|바바라 콜스(Barbara Coles)]]. * 크리스 마이어스(Chris Meyers): 식민지 주민. * 서맨사 모네(Samantha Monet): 식민지 주민. * 모리 박사(Dr. Mori): 웨이랜드 유타니 소속 과학 연구팀 연구자. 일본인 남성이며, 2179년 6월 26일 에이리언 사태 당시 웨이랜드 유타니 소속 우주 과학선을 타고 탈출하는데 성공한다. * 웨스 나바로(Wes Navarro): 식민지 주민. * 미나 오스터맨(Mina Osterman): 다른 웨이랜드 유티니 식민지로 이주한 보스타인을 대신해서 식민지 건축가를 맡은 인물. 2179년 6월 에이리언 사태 당시 사망했다. * 닐라 파르바티(Neela Parvati): 식민지 주민. 2179년 6월 26일 주 건물단지에 침입한 에이리언에 의해 사망했다. * 바솔로뮤 리스 박사(Dr. Bartholomew Reese): 웨이랜드 유타니 소속 과학 연구팀 팀장. 2179년 7월 19일 에이리언 식민지 침입 당시 머리에 총을 쏴 자살했다. * 리지 루소(Lizzie Russo): 식민지 주민. * 볼크(Volk): 식민지 주민. * 사이다 와르시(Saida Warsi): 식민지 주민. * 모 화이팅(Mo Whiting): 식민지 주민. ===== 미 식민 해병대 보안 담당 ===== * 데미안 브래켓 대위(Captain Demian Brackett): 해들리의 희망 식민지 소속 미 식민 해병대 부대의 지휘관. 2179년 6월 26일 에이리언 사태 당시 웨이랜드 유타니 소속 우주 과학선을 타고 탈출하는데 성공한다. * 줄리사 패리스 중위(Lieutenant Julisa Paris): 해들리의 희망 식민지 소속 미 식민 해병대 부대원. 브래켓 대위 다음 가는 부대 지휘관이다. 2179년 6월 26일 에이리언 사태 당시 웨이랜드 유타니 소속 우주 과학선을 타고 탈출하는데 성공한다. * 코글린 중사(Sergeant Coughlin): 해들리의 희망 식민지 소속 미 식민 해병대 부대원. 2179년 6월 25일 주 건물단지의 의료실을 지키다가 침입한 에이리언에게 죽었다. * 알도 크롤리 중사(Sergeant Aldo Crowley): 해들리의 희망 식민지 소속 미 식민 해병대 부대원. 2179년 6월 26일 주 건물단지에 침입한 에이리언에게 죽었다. * 마빈 드레이퍼 중사(Sergeant Marvin Draper): 해들리의 희망 식민지 소속 미 식민 해병대 부대원. 에이리언 사태 당시 일부 식민 해병대를 이끌고 드래켓 대위에게 반기를 들었다. 2179년 6월 26일 주 건물단지에 침입한 에이리언에게 죽었다. * 페티그루 상병(Corporal Pettigrew): 해들리의 희망 식민지 소속 미 식민 해병대 부대원. 마빈 드레이퍼가 드래켓 대위에게 반기를 들었을 때 지지한 인물이다. 2179년 6월 26일 대기정화소에서 탈출하다 에이리언에게 죽었다. * 보리스 체노브스키 이병(Private Boris Chenovski): 해들리의 희망 식민지 소속 미 식민 해병대 부대원. 2179년 6월 26일 주 건물단지에서 민간인 생존자들을 지키다 침입한 에이리언에게 죽었다. * 던피 이병(Private Dunphy): 해들리의 희망 식민지 소속 미 식민 해병대 부대원. 2179년 6월 26일 주 건물단지에서 민간인 생존자들을 지키다 침입한 에이리언에게 죽었다. * 하우어 이병(Private Hauer): 해들리의 희망 식민지 소속 미 식민 해병대 부대원. 2179년 6월 26일 대기정화소의 에이리언을 소탕하려 일부 부대원들과 함께 갔지만 에이리언에게 잡혀 죽었다. * 조플린 코니히 이병(Private Joplin Konig): 해들리의 희망 식민지 소속 미 식민 해병대 부대원. 2179년 6월 25일 엔지니어의 우주선을 방문하고 나서 페이스허거에 기습당해 죽었다. * 스타모비치 이병(Private Stamovich): 해들리의 희망 식민지 소속 미 식민 해병대 부대원. 마빈 드레이퍼가 드래켓 대위에게 반기를 들었을 때 지지한 인물이다. 2179년 6월 26일 대기정화소에서 길을 잃고 에이리언에게 죽었다. * 앤키타 유세프 이병(Private Ankita Yousseff): 해들리의 희망 식민지 소속 미 식민 해병대 부대원. 마빈 드레이퍼가 드래켓 대위에게 반기를 들었을 때 지지한 인물이다. 2179년 6월 26일 일부 부대원들과 LV-426을 탈출하려 시도했지만 에이리언에게 죽었다. * 긴츨러 이병(Private Ginzler): 해들리의 희망 식민지 소속 미 식민 해병대 부대원. 2179년 6월 에이리언 사태 당시 사망 추정. * 이쪼 이병(Private Izzo): 해들리의 희망 식민지 소속 미 식민 해병대 부대원. 2179년 6월 26일 에이리언에게 죽었다. * 응우옌 이병(Private Nguyen): 해들리의 희망 식민지 소속 미 식민 해병대 부대원. 마빈 드레이퍼가 드래켓 대위에게 반기를 들었을 때 지지한 인물이다. 2179년 6월 26일 에이리언에게 죽은 것으로 추정된다. * 식스토 이병(Private Sixto): 해들리의 희망 식민지 소속 미 식민 해병대 부대원. 2179년 6월 26일 에이리언에게 죽은 것으로 추정된다. * 지미 발렌테 이병(Private Jimmy Valente): 해들리의 희망 식민지 소속 미 식민 해병대 부대원. 2179년 6월 23일 뉴트의 아버지 러스 조던의 몸에서 나온 에이리언이 성장하고 난후 에이리언에게 죽었다. ==== 작중 행적 ==== 전작 [[에일리언 1]]의 노스트로모 사건으로부터 57년이 지난 후 LV-426은 그간 [[웨이랜드 유타니]]에서 파견한 행성 개척자들의 [[테라포밍]]이 다수 진행되어 해들리의 희망(Hadley's Hope)이라는 영구적 식민지를 건설하고 인간이 살 수 있는 환경으로 개조했지만 기본적으론 여전히 척박하며, 총 158명, 70여 가구의 개척자 주민들이 이주해 있는 상태였다. 하지만 [[레베카 "뉴트" 조든|뉴트]]네 일가가 엔지니어의 우주선에 찾아갔다가 [[페이스 허거]]의 희생양이 된 것을 시작으로 에일리언들이 주민들을 숙주로 대량 번식해 식민지인들은 전멸했으며, [[엘렌 리플리]]를 비롯한 우주 해병대가 구조를 위해 파견되었을 때엔 이미 뉴트 혼자만 생존해 있는 상태였다. 그리고 해병대와 에일리언들의 전투 와중에 발생된 대기 정화 시스템의 큰 손상이 동력원인 [[핵융합]] 시스템에도 영향을 미쳤고, 결국 대폭발과 함께 시설도 박살난다. 그러나 엔지니어의 우주선은 멀쩡히 살아남았으며, 곧 웨이랜드 유타니가 그곳을 자신들의 연구 기지로 개조하게 된다. 게다가 근처 동굴에서 새로운 [[퀸 에일리언]]이 등극하게 된다. == [[에이리언: 콜로니얼 마린스]] == 플레이어는 에일리언 3 이후의 LV-426을 배경으로 웨이랜드 유타니 및 에일리언들과 사투를 벌이게 되며, 스페이스 자키의 유적을 탐험하게 된다.[* 여담으로 엔지니어의 시체를 발견한 주인공 윈터가 "신이시여!"하면서 놀라움을 금치 못하자, 오닐이 그에게 "저건 너의 신이 아니야."라고 농담을 던진다.] 결국 해병대는 웨이랜드 유타니와 에일리언을 물리치는데 성공하지만, 이 과정에서 웨이랜드 유타니의 기밀 정보가 군부에 넘어가게 되며, 곧 에일리언에 관심을 가지게 된 군부는 [[피오리나 161]]에서 [[엘렌 리플리]]의 흔적을 발견해 채취한다. 그리고 200년 뒤 리플리와 퀸 에일리언을 거의 완벽하게 재생하는데 성공하며, 이것이 [[에일리언 4]]의 시작이다. == 에이리언: 애프터매스 == 에이리언: 에프터매스라는 코믹스가 나왔는데 설정상으로 해들리의 희망 식민지 멸망 2179년 이후 35년이나 지난 뒤인 2214년 대기여과장치가 파괴되고 핵폭발등으로 인해서 핵겨울로 꽁꽁 얼어붙은 LV-426으로 웨이랜드 유타니에 저항하는 극단주의성을 가진 저널리즘 그룹 레니게이드 XM이 도착, 남겨진 잔해 등을 파헤치며 이곳의 기록이 소실된 것에 대한 이유[* 여기에는 식민지 해병대였었던 자넷 바스퀘즈의 조카, 커터 바스퀘즈도 있어서 자신의 숙모의 기록이 소실된것에 대한 의구심등도 있다.] 등을 탐사하다가, 발광하는 에이리언(작내 설명으로는, 유일하게 남겨진 개체로 핵폭발의 영향으로 인해 변이되면서, 번쩍번쩍 빛나게 되었으며, 산성피는 저온화상을 입힐 정도의 액체 질소로 바뀌었다고 한다.)에 맞서지만 모든 인원들이 죽으면서 진실은 그렇게 은폐되는 스토리다. 여기서 [[웨이랜드 유타니]]의 회장 [[유타니(에이리언 시리즈)|유타니]]와 이사들이 등장하는데, 회사의 손실이 있겠지만 표본이 살아있다고 말하는 것을 보면 여전히 에이리언 연구 기지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에일리언 4]] 소설판 == 게디먼 박사가 복제된 리플리에게 LV-426은 [[에일리언 2]]에서 일어난 사건으로 인해 더이상 거주 불가능하다고 이야기해준다. [[분류:에이리언 시리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