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br] {{{+5 {{{#a50034,#fb5093 '''LG CLASS'''}}}}}} [br] {{{-3 {{{#a50034,#fb5093 '''LG-F620L/K/S''' }}}}}} [br] [br] || ||<-3> [[파일:LGCLASS_1.jpg|width=100%]] || || {{{#c7c7c7 '''블루블랙'''}}} || {{{#ffffff '''골드'''}}} || {{{#5d5d5d,#a2a2a2 '''실버'''}}} || [목차] [clearfix] == 개요 == [[LG전자]]가 2015년 9월 21일에 출시한 [[안드로이드(운영체제)|안드로이드]] [[스마트폰]]. == 사양 == * 메모리 사양 중 한국 내수용 사양에 해당하는 경우 '''{{{#ff0000,#ff0000 빨간색 글씨}}}'''로 표기. ||<-2>[[SoC|프로세서]]||<-2>[[퀄컴 스냅드래곤 4]]10 MSM8916 [[SoC]]. [[ARM Cortex-A53]] MP4 1.2 GHz [[CPU]], [[퀄컴 Adreno]] 306 [[GPU]] || ||<-2>[[메모리]]||<-2>1.5 / {{{#ff0000,#ff0000 2}}} GB LPDDR3 SDRAM, 16 GB [[eMMC]] 4.5 규격 내장 메모리, micro SDXC (최대 2 TB 지원) || ||<-2>[[디스플레이|디스]][br][[디스플레이|플레이]]||<-2>5.0인치 [[해상도/목록|HD]](1280 x 720) RGB 서브픽셀 방식의 IPS TFT-LCD (294 ppi)[br]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터치 스크린]], 고릴라 글래스 3 || ||<-2>[[네트워크]]||<-2>[[LTE]] Cat.4, [[4G|HSPA+]] 42Mbps, [[WCDMA|HSDPA & HSUPA & UMTS]], [[GSM|GSM & EDGE]]|| ||<-2>근접통신||<-2>[[Wi-Fi]] 802.11b/g/n[* 2.4GHz 1T1R 전용. 5GHz, 2T2R 이상은 잡지 못한다.], [[블루투스]] 4.1, [[NFC]] || ||<-2>[[카메라]]||<-2>전면 800만 화소, 후면 1,300만 화소 [[AF]] 및 [[LED]] [[플래시(카메라)|플래시]] || ||<-2>[[배터리]]||<-2>내장형 Li-ion 2050 mAh || ||<-2>[[운영체제]]||<-2>[[안드로이드(운영체제)/버전|안드로이드]] 5.1 (Lollipop) → 6.0 (Marshmallow)[* 2016년 4월 24일 기준, 한국 내수용 모델인 LG-F620S/K/L만 실시.][br][[LG UI|LG UX]] 4.0 || ||<-2>규격||<-2>71.8 x 142 x 7.4 mm, 147 g || ||<-2>색상[* 제품 공개 당시 같이 공개된 기본 색상에 볼드 처리]||<-2>'''블루블랙''', '''골드''', '''실버''' || ||<-2>단자정보||<-2>USB 2.0 micro Type-B x 1, 3.5 mm 단자 x 1 || ||<|2>기[br]타|| '''기본''' ||<|2> [[FM#s-2]] [[라디오]] 지원 || - || || '''{{{#ff0000,#ff0000 한국}}}''' ||[[VoLTE]] 지원, 지상파 [[DMB]] 및 고화질 스마트 [[DMB]] 지원 || == 상세 == [[LG전자]]가 뜬금없이 [[https://www.facebook.com/theLGstory/photos/a.172052942825104.34980.169840393046359/1028997203797336/|2015년 9월 15일에 예고]]했던 중보급형 [[스마트폰]]이다. [[LG전자]] 최초의 풀 메탈 바디 [[스마트폰]]으로, 기본 색상은 블루블랙, 골드, 실버로 총 3종이다. 사양은 우선 AP로 [[퀄컴 스냅드래곤 4]]10 MSM8916를 사용한다. [[ARM Cortex-A53]] 쿼드코어 [[CPU]]와 [[퀄컴 Adreno]] 306 [[GPU]]를 사용한다. 이는 기존에 [[LG전자]]가 한국 시장에 출시했던 중보급형 [[스마트폰]]인 [[LG Volt]]와 [[LG band Play]]와 동일한 AP이다. RAM은 LPDDR3 SDRAM 방식이며 1.5 GB와 2GB이다. 내장 메모리는 [[eMMC]] 4.5규격의 낸드 플래시를 사용하며 16 GB 단일 모델로, micro SD 카드로 용량 확장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는 5.0인치 HD 720p 해상도를 지원하며 패널은 IPS TFT-LCD 디스플레이를 사용한다. 지원 [[LTE]] 레벨은 Cat.4로 다운로드 최대 150 Mbps, 업로드 최대 50 Mbps를 보장한다. 배터리 용량은 내장형 2050 mAh이다. [[LG전자]]가 내장형 [[배터리]]를 탑재한 보기드문 경우로, 과거, [[옵티머스 뷰]] 출시 당시, '세미 내장형'이라 하면서 내장형 [[배터리]]이긴 하나, 손 쉽게 교체가 가능하다는 것을 어필했던 것을 고려하면 실질적으로 내장형 배터리를 앞세운 [[스마트폰]]은 [[옵티머스 G]] 이후로 등장한 매우 드문 경우의 기기이다. 후면 [[카메라]]는 1,300만 화소 [[카메라]]를 탑재했으며 전면 [[카메라]]는 [[LG G4]]와 동일한 카메라 센서를 사용해 800만 화소 [[카메라]]를 탑재했다. 안드로이드 5.1 롤리팝을 기본으로 탑재했다. 공개 당시 펌웨어 버전은 5.1.1이다. == 추가 기능 및 주변기기 == == 출시 == === 한국 출시 === 2015년 9월 9일, 국립전파연구원에서 [[http://bbs2.ruliweb.daum.net/gaia/do/ruliweb/default/mobile/57/read?articleId=1843218&bbsId=G003&searchKey=subjectNcontent&itemId=9&sortKey=depth&searchValue=class|전파인증을 취득]]했다. [[KT]] 모델과 [[LG U+]] 모델이 인증받았으며 [[SK텔레콤]] 모델은 [[LG U+]] 모델의 파생 모델로 취급되었다. 2015년 9월 21일, [[LG전자]] 블로그를 통해 [[http://social.lge.co.kr/newsroom/mc/lg_class_0920/|공개 및 출시가 발표]]되었다. 출고가는 399,300 원으로 책정되었다. 다만, [[퀄컴 스냅드래곤 4]]10 MSM8916를 AP로 탑재한 국내 중보급형 [[스마트폰]] 시장에서 반 년이상 왕좌에서 떨어지지 않고있는 [[갤럭시 그랜드 맥스]]가 존재하기 때문에 힘든 싸움을 할 것이라 예상되고 있다. 이후, 글로벌 출시가 진행되면서 기본적인 RAM 용량은 1.5 GB이며 한국 내수용이 2 GB로 상향되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2015년 11월 2주차 주간 판매량 Top 10에서 [[갤럭시 그랜드 맥스]]를 꺾고 [[http://www.dailian.co.kr/news/view/539749/|10위에 랭크]]되면서 드디어 [[LG전자]] [[스마트폰]]이 주간 판매량 Top 10 차트에 진입하여 LG전자의 스마트폰 중 가장 많이 팔린 대표 스마트폰으로 등극하였다.[* 다만, 마냥 좋아할 수는 없다. 반대로 말하면 2015년 11월 1주차 까지는 [[LG전자]] [[스마트폰]]이 주간 판매량 Top 10 차트에 존재하지도 않았다는 의미가 되기 때문이다. 게다가 [[LG전자]]의 2015년도 하반기를 담당할 하이엔드 [[스마트폰]]인 [[LG V10]]은 차트에 진입하지도 못했다. 즉, 주간 판매량 Top 10 차트에서 [[LG전자]]는 중보급형 [[스마트폰]] 하나만 올려놓은 것 뿐이라는 것이다. [[갤럭시 그랜드 맥스]]를 이겼다는 점에서 위안을 가질 수 있겠으나 이미 출시된 지 10개월이 지난 구형 기기이며 [[http://www.kbench.com/?q=node/157332|9위에 랭크된 기기]]가 [[삼성전자]]의 [[갤럭시 센스]]이기 때문에 LG CLASS가 중급형 [[스마트폰]]의 대표주자가 되었다라고 하기는 여전히 무리인 상황이다.] === 한국 외 지역 === 유럽 지역에 순차적으로 출시되고 있다. 또한, 정식 발매명이 'LG Zero'로 변경되어 출시되는 경우도 존재한다. == 소프트웨어 지원 == === 제조사 공식 === ==== [[안드로이드 마시멜로|6.0 마시멜로]] ==== 2016년 4월 24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LG-F620S/K/L의 안드로이드 6.0 마시멜로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최초 운영체제 버전은 6.0.0이며 빌드 버전은 v20b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6년 4월 1일이다.[* 그런데, 한국 내수용 중 [[KT]] 모델인 LG-F620K만 빌드 버전이 20a이며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6년 3월 1일이다.] 또한, OTA를 통한 무선 업그레이드는 지원하지 않고 LG Bridge를 통한 유선 업그레이드만 지원한다. 해당 업그레이드를 통해 배터리 최적화 기능이 추가되었고, 노크 코드 기능이 개선되었다고 한다. 2016년 7월 말 경, 한국 내수용 모델인 LG-F620S/K/L의 안드로이드 6.0 마시멜로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6.0.0이며 빌드 버전은 v20c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6년 7월 1일이다. == 기타 == * 한국 시장 기준 2015년 9월에 출시된 [[TG앤컴퍼니 Luna]]를 대놓고 의식해서 출시한 [[스마트폰]]이라는 평가가 많다. 하지만 Luna의 하드웨어 사양에 크게 미치지 못하며 오히려 [[갤럭시 A5]]에 가까운 하드웨어를 가지고 있다. [[갤럭시 그랜드 맥스]]와 경쟁을 시작했으며 결국 우위를 차지했으나 이제는 [[갤럭시 J5]]를 이겨야하는 처지에 놓여있다. 하지만 LG전자의 [[스마트폰]] 중에서는 가장 잘 팔렸다. * 후면 버튼과 카메라가 유난히 눈에 띌 정도로 튀어나와 있는 [[못코리|개성있는 디자인]]을 갖고 있다. [[카툭튀]] 중에서 랭킹권을 지키고 있다. * 대리점 현장에서 안팔리는 스마트폰으로 재고가 부족하다. 사는 사람도 없지만 쓰는 사람은 많다. * 전면 카메라가 AF를 잘 못잡는다. 육안으로 보기에도 흐린데도 AF 문양이 초록색이 되는 것을 목격할 수 있다. * LG의 중보급형 스마트폰으로써 무리한 작업 등을 구동하지 않는다면 좋은 선택이겠으나 확실히 배터리 용량과 성능이 아쉬운 기종이다. 실제로 많은 벤치마크에서 삼성전자 갤럭시 그랜드 맥스 등 여러 보급형 기종과 다투고 있다. * 네이버 인증서 발급이 불가능한 기종이다. [[분류:스마트폰(안드로이드)/LG]][[분류:스마트 디바이스/201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