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1 '''Kay(f)bop(t)'''}}} || ||<-2> '''유형''' ||[[굴절어]] || ||<-2> '''어순''' ||주어-목적어-서술어 (SOV) || ||<-2> '''서자방향''' ||좌횡서 (왼쪽부터 [[가로쓰기]]) || ||<-2> '''문자''' ||[[로마자|라틴 문자]] || ||<-2> '''계통''' ||[[인공어]]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XhxjI3t6Ht4)] 2015년 다니엘 스완슨(Daniel Swanson)이 자신의 웹사이트 [[https://crazyninjageeks.wordpress.com/2015/11/28/introduction-to-kayfdanfsantaptvlirtsangbesputvombngagtvlimpkayfsnafkayfgaf-boptvegpdaffshofbompvlimpgafvlimpgaf/|crazyninjageeks]]에 공개한 [[인공어]]. 실제로 사용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닌 '''농담 언어'''로, [[https://badconlangingideas.tumblr.com|Bad Conlanging Ideas]]라는 [[Tumblr]] 커뮤니티를 바탕으로 최대한 비실용적인 특징들만을 모아서 만들어졌다. == 명칭 == 통상적으로 불리는 명칭인 Kay(f)bop(t)는 사실 공식 명칭 '''Kay(f)dan(f)san(t)ap(t)vlir(t)sang(b)es(p)u(t)vom(b)ngag(t)vlim(p)kay(f)sna(f)kay(f)ga(f) Bop(t)veg(p)daf(f)shof(b)*om(p)vlim(p)ga(f)vlim(p)ga(f)'''을 축약한 것이다. 이렇게 말도 안 되게 긴 이름은 후술할 [[접사]] 체계에서 기인한 Kay(f)bop(t) 단어들의 공통된 특징으로, 뜻은 다음과 같다. * Kay(f)dan(f)san(t)ap(t)vlir(t)sang(b)es(p)u(t)vom(b)ngag(t)vlim(p)kay(f)sna(f)kay(f)ga(f) (명사) - 제한되고, 유한하며, 예상 그대로의, 먹을 수 없으며, 죽지 않고, 위대하며, 가격(미국 달러)은 한 자리 수인 언어 * Kay(f)dan(f) - 언어(language) * san(t)ap(t) - 주격(nominative)을 나타냄. * vlir(t) - 유한한(finite) * sang(b) - 예상 그대로의(expected) * es(p)u(t) - 먹을 수 없는(inedible) * vom(b) - 그 외(other)[* [[문법적 성]]의 하나.] * ngag(t) - 죽지 않는(undying) * vlim(p)kay(f)sna(f) - 위대한(epic) * kay(f)ga(f) - 시장 가치가 한 자리 수임(market value is probably a 1 digit number) * Bop(t)veg(p)daf(f)shof(b)*om(p)vlim(p)ga(f)vlim(p)ga(f) (형용사) - 보통의 언어보다 훨씬 쓸모없는[* 이 단어의 원래 뜻은 '해당 분류의 평균적인 것보다 ±99만큼 쓸모있는(99 standard deviations from the mean usefulness)'이므로 '보통의 언어보다 훨씬 쓸모있는'이라는 뜻을 의도했을 수도 있지만, 언어의 특성상 그럴 가능성은 낮다.] == [[음소]] == === 자음 체계 === ||<-2> || '''[[양순음]]''' || '''[[순치음]]''' || '''[[치음]]''' || '''[[치경음]]''' || '''[[후치경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양[[掌|장]]음''' || '''[[掌|장]][[面|면]]음''' || ||<-2> '''[[비음]]''' || m || - || - || n || - || - || ŋ || - || - || - || ||<|2>'''[[파열음]]''' || 경음 || p || - || - || t || - || - || k ||<|2> ʔ || - || - || || 연음 || b || - || - || d || - || - || g || - || - || ||<|2>'''[[마찰음]]''' || 경음 || - || f || θ || s || ʃ || - || - ||<|2> h || - || - || || 연음 || - || v || - || z || ʒ || - || - || - || - || ||<-2> '''[[접근음]]''' || w || - || - || l || ɹ || j || w || - || - || - || ||<|2> '''[[흡착음]]''' || 좌측 || - || - || - || ǁ || - || - || - || - || - || - || || 우측 || - || - || - || ǁ[* Kay(f)bop(t)은 혀의 왼쪽에서 내는 치경 흡착음과 오른쪽에서 내는 것을 각각 !와 *로 표기하여 구별한다.] || - || - || - || - || - || - || ||<-2> '''[[충격음]]''' || - || - || - || - || - || - || - || - || % || @ || 자음들은 대체로 영어와 비슷하나, 조음 방향의 좌우가 구별되는 설측 치경 흡착음은 물론 양 손바닥을 빠르게 마주쳐 내는 [[박수|양장 충격음]], 손바닥과 이마를 빠르게 마주쳐 내는 [[facepalm|장면 충격음]] 등 전 세계 어느 언어에서도 전혀 찾아볼 수 없는 소리가 존재한다. 양장 충격음의 경우 [[펭귄]]과 관련된 의미를 지닌 형태소에서만 실현된다. === 모음 체계 === ||<|2> ||<-2> [[전설모음|{{{#373a3c,#ddd '''전설''' }}}]] ||<-2> [[후설모음|{{{#373a3c,#ddd '''후설'''}}}]] || || [[평순모음|{{{#373a3c,#ddd '''평''' }}}]] || [[원순모음|{{{#373a3c,#ddd '''원''' }}}]] || [[평순모음|{{{#373a3c,#ddd '''평''' }}}]] || [[원순모음|{{{#373a3c,#ddd '''원''' }}}]] || || [[고모음|{{{#373a3c,#ddd '''고'''}}}]] || i~ɪ || - || - || u~ʊ~ʌ || || [[중고모음|{{{#373a3c,#ddd '''중고'''}}}]] || e~ɛ || ø || - || o~ɔ~ɑ || || [[저모음|{{{#373a3c,#ddd '''저'''}}}]] || æ~a~e~ɑ~ɒ || - || - || - || 기본 5모음 체계에 전설 원순 중고모음 ø가 추가된 구조로, 하나의 문자로 표기되는 모음의 발음 허용 범위가 과할 정도로 넓은 것이 특징이다. === 음소 모자 === Kay(f)bop(t)의 가장 대표적인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음소 모자(phonemic hats)는 각 음절 뒤 괄호 안에 기호로 표시된다. 종류는 [[페도라]], [[탑햇]], [[야구 모자]], [[천산갑]] 모양 모자[* 가지고 있지 않을 경우 [[칠면조]] 모양 모자로 대체할 수 있지만, 그렇게 하는 사람은 신뢰할 수 없는 것으로 간주된다고 한다. [[https://crazyninjageeks.wordpress.com/2015/11/28/kayfbopt-phonetics-and-romanization/|#]] --당연히-- 제작자 본인도 구할 수 없었는지 스완슨의 유튜브 채널에서 이 언어를 말하는 영상을 보면 [[닭]] 모양 모자로 대신하는 것을 볼 수 있다.]의 4가지가 있고, 각각 (f), (t), (b), (p)로 표시한다. 모든 음절은 그에 대응하는 음소 모자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Kay(f)bop(t)를 실제로 구사하려면 '''한 음절마다 계속해서 이 4가지 모자를 빠르게 바꿔 써야 한다.''' 한 예로, Kay(f)bop(t)의 공식 명칭을 말하는 데만 무려 16번 모자를 바꿔 써야 하는 것이다. Kay(f)bop(t)의 주요 목적인 비실용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대목. == [[문법]] == === 접사 체계 === Kay(f)bop(t)는 [[이쓰쿠일]]처럼 어근에 수많은 접사(대부분 [[접미사]])가 더해져 굴절하며 의미를 더한다. 그러나 문맥이나 화자의 의도에 따라 전달할 의미의 구체성을 조절할 수 있는 이쓰쿠일과 다르게 Kay(f)bop(t)는 모든 접미사가 '''필수적'''이며, 그렇기에 상황에 관계없이 모든 단어가 무지막지하게 길다. ====# 명사 #==== 명사는 다음 8개의 접사가 그 순서로 붙어 굴절된다. * 격(case) * 주격(nominative): -san(t)ap(t)- * 대격(accusative): -ap(t)- * 재내격(inessive): -san(t)-[* 어근 가운데에 붙는 [[접요사]]이다.] * 전처격(antessive): gyin(p)-[* 어근 앞에 붙는 [[접두사]]이다.] * 후처격(postessive): -nai(b)ai(b)ai(b)- * [* 여기서부터의 세 격은 실제 존재하지 않고, '격'을 의미하는 영어 단어 'case'를 이용한 말장난이다.]서류(brief) - -gye(t)- * 옷(suit) - -sa(p)- * 혹시나(justin)[* just in case, 혹은 영화감독이자 배우인 저스틴 케이스(Justin Case).] - -ja(t)ja(t)- * 수(number) * 유한(finite) - -vlir(t)- * 무한(infinite) - -vig(t)- * 화자의 예상에 부합 여부(matches speaker's expectation) * 부합함(yes) - -sang(b)- * 부합하지 않음(no) - -sing(b)- * 애매하게 부합함(yes, but not to that extent) - -sung(b)- * 식용 여부(is it food) * 먹을 수 있음(yes) - -des(p)nu(t)- * 먹을 수 없음(no) - -es(p)u(t)- * 문법적 성(grammatical gender) * 인간(human) - -vom(b)ngo(p)- * 인간 외 후생동물(non-human metazoan) - -yak(b)- * 후생동물 외 후편모생물(non-metazoan opisthokonts) - -gal(p)- * 속씨식물(angiosperms) - -ni(b)nin(b)- * 겉씨식물(gymnosperms) - -hak(t)- * 규산염 광물(silicate minerals) - -an(b)do(t)- * 그 외(other) - -vom(b)- * 사망 원인(manner of death) * 음독(poison) - -ngo(p)gag(b)- * 멍청함(stupidity) - -ngo(p)da(t)- * 웜뱃(wombat) - -gag(b)- * 가스 흡입(smoke inhalation) - -jup(f)- * 떨어지는 모루(falling anvil) - -uff(f)da(t)- * 떨어지는 모루가 아닌 무거운 물체(falling heavy object, non-anvil) - -a(f)- * 죽지 않음(immortality) - -ngag(t)- * 쇠망치(sledgehammer) - -bang(t)bang(t)- * 전투 도끼(battle-ax) - -ka(t)tie(t)- * 단두대(guillotine) - -da(t)- * 양(sheep) - -ngag(t)- * 펭귄(penguin) - -%ap(t)- * 그 외(other) - -e(f)- * 멋진 정도(awesomeness) * 별로 미만(below meh) - -vlim(p)kay(f)- * 별로(meh) - -vost(t)grog(f)- * 괜찮음(ok) - -grog(f)kay(f)- * 멋있음(cool) - -yam(t)ack(t)vlim(p)- * 훌륭함(great) - -ash(f)tin(f)vlim(p)- * 놀라움(amazing) - -grog(f)- * 굉장함(awesome) - -vlim(p)- * 입에 담을 수 없을 정도로 위대함(unspeakably epic) - -vlim(p)kay(f)sna(f)- * 시장 가치(market value) - 추정 가치를 [[미국 달러]]로 나타내고, 그 뒤에 나타낸 수의 [[상용로그]] 값을 쓴다. ====# 동사 #==== * 수(number) * 유한(finite) - -vlir(t)- * 무한(infinite) - -vig(t)- * 화자의 예상에 부합 여부(matches speaker's expectation) * 부합함(yes) - -sang(b)- * 부합하지 않음(no) - -sing(b)- * 애매하게 부합함(yes, but not to that extent) - -sung(b)- * 화자의 정신 상태(speaker's mental state) * 완전히 정상이고 이성적(totally normal and rational) - -es(p)- * 알딸딸하게 취함(buzzed) - -niz(t)- * 꽤 취함(fairly drunk) - -ha(p)ha(p)- * 완전히 취함(high) - -gor(t)gan(t)- * 헛것이 보임(on any number of hallucinogens) - -vis(b)ick(b)- * 열정이 넘침(overcome with passion) - -not(p)dan(f)iel(f)- * 수학을 하는 중(doing mathematics) - -dan(f)iel(f)- * 공황 상태(panicking) - -al(p)so(p)not(p)dan(f)iel(f)- * 요일(day of the week) * 일요일(Sunday) - -snal(t)- * 월요일(Monday) - -u(t)- * 화요일(Tuesday) - -yan(b)- * 수요일(Wednesday) - -glarg(p)- * 목요일(Thursday) - -kang(f)vu(p)- * 금요일(Friday) - -zim(p)- * 13일의 금요일(Friday the 13th) - -ec(t)to(t)morph(t)- * 토요일(Saturday) - -zzz(b)- * 화자의 솔직한 정도(degree to which the speaker is lying) * 거짓말(lying) * 주제가 빵 상자 이상으로 중요한 경우(subject class >= breadbox) - -ag(f)nar(b)- * 주제가 빵 상자보다 덜 중요한 경우(subject class < breadbox) - -sim(t)dyot(p)- * 진실(telling the truth) * 주제가 빵 상자 이상으로 중요한 경우 - -vom(b)- * 주제가 빵 상자보다 덜 중요한 경우 - -gland(t)- * 과장(exaggerating) * 주제가 빵 상자 이상으로 중요한 경우 - -fish(b)- * 주제가 빵 상자보다 덜 중요한 경우 - -zim(b)- * 진실이지만 오해의 소지가 있음(the statement is true but misleading) * 주제가 빵 상자 이상으로 중요한 경우 - -sta(t)tist(t)- * 주제가 빵 상자보다 덜 중요한 경우 - -ics(t)- * 교육적 목적으로 단순화됨(simplifying for pedagogical purposes) * 주제가 빵 상자 이상으로 중요한 경우 - -chem(p)- * 주제가 빵 상자보다 덜 중요한 경우 - -ist(p)ry(p)- * 멋진 정도(awesomeness) * 별로 미만(below meh) - -vlim(p)kay(f)- * 별로(meh) - -vost(t)grog(f)- * 괜찮음(ok) - -grog(f)kay(f)- * 멋있음(cool) - -yam(t)ack(t)vlim(p)- * 훌륭함(great) - -ash(f)tin(f)vlim(p)- * 놀라움(amazing) - -grog(f)- * 굉장함(awesome) - -vlim(p)- * 입에 담을 수 없을 정도로 위대함(unspeakably epic) - -vlim(p)kay(f)sna(f)- * 오류 범위의 백분율(percentage error bar) == [[어휘]] == Kay(f)bop(t)의 어근 하나는 최대 18개의 서로 다른 뜻을 가질 수 있으며, 각 의미 사이에는 그 어떤 연관성이나 공통점도 찾아볼 수 없다. 예를 들어, 어근 'bos(t)bum(p)*el(b)fup(t)bol(t)lol(p)'의 뜻은 다음과 같다. > 아브암페어(abampere), 아키메네스(abampere), 광고(advertising), 마취(anaesthesia), 부탄인(Bhutanese), 성직자(clergy), 눈에 띄는(conspicuous), 고기가 많은(meaty), 인류애(philanthropy), 채석장(quarry), 지붕 위(rooftop), 트랜지스터(transistor), 3신 일체(trimurti), 비브리오균의(vibrionic) 이렇게 단어의 의미가 다양하다 보니, 하나의 글이 두 개 이상의 완전히 다른 의미로 해석되는 일은 부지기수이다. 이것을 이용한 것이 바로 이 문서 상단 영상에도 소개되어 있는 글로, 같은 글이 [[창세기]] 11장의 Babel Text와 [[Never Gonna Give You Up]] 1절의 가사로 동시에 해석될 수 있다. [[밈(인터넷 용어)|밈]]에 대한 다니엘 스완슨의 실로 놀라운 집념을 엿볼 수 있는 부분. == 외부 링크 == * [[https://crazyninjageeks.wordpress.com/2015/11/28/introduction-to-kayfdanfsantaptvlirtsangbesputvombngagtvlimpkayfsnafkayfgaf-boptvegpdaffshofbompvlimpgafvlimpgaf/|공식 웹사이트]]. 제작자 본인이 쓴 언어에 대한 여러 정보를 담고 있다. * [[https://raw.githubusercontent.com/mr-martian/kaybop/master/lex.csv|어휘 목록]]. * [[https://www.youtube.com/@dangswan|다니엘 스완슨의 유튜브 채널]]. 전술한 창세기 11장 글을 읽는 법도 여기서 확인할 수 있다. [[분류:인공어]][[분류:굴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