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KoP 역대 대회)] |||| [[파일:KOP_2019_logo.png|width=250]] || |||| '''{{{#e0c26f KING of Performai 2019}}}''' || || '''{{{#e0c26f 대회 기간}}}''' || 2019년 9월 27일 ~ 2020년 2월 28일 || || '''{{{#e0c26f 주최}}}''' ||<|2> [[세가|[[파일:세가 로고.svg|width=150]]]] || || '''{{{#e0c26f 주관}}}''' || || '''{{{#e0c26f 경기장}}}''' || [[JAEPO]] 2020 세가 부스 메인 스테이지[br]([[마쿠하리 멧세]]) || || '''{{{#e0c26f 중계 플랫폼}}}''' || [[https://www.youtube.com/channel/UCVkqs_Q88BDmyaWwjYJ8_I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 '''{{{#e0c26f 일정}}}''' || || '''{{{#e0c26f 온라인 예선}}}''' || 2019년 9월 27일 ~ 2019년 10월 29일 || || '''{{{#e0c26f 에리어 대회}}}''' || 2020년 11월 9일 ~ 2020년 1월 12일 || || '''{{{#e0c26f 결승 대회}}}''' || 2020년 2월 28일 || [clearfix] [목차] == 개요 == [[https://maimai.sega.jp/kop2019/|홈페이지]] 세가 아케이드 리듬게임 대회인 [[KING of Performai]]의 첫 대회. 2019년 9월 27일부터 2020년 2월 8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종목은 [[maimai DX]][* 결승 대회는 [[maimai DX PLUS]]] 단일 종목으로 개최되었다. == 일정 == * 2019년 * 9월 18일: 개최 발표 및 홈페이지 개설 * 9월 18일 ~ 10월 29일: 온라인 예선 엔트리 * --9월 18일--[* 버그로 인해 연기] 9월 27일 ~ 10월 29일: 온라인 예선 * 11월 9일: 에리어 대회 시작 * 2020년 * 1월 12일: 에리어 대회 모든 일정 종료 * 2월 28일: 결승 대회 == 대회 진행 == 전체적인 대회 진행 방식으로는 우선 온라인 예선을 통해 선발된 플레이어가 각 지역별 에리어 대회에 출전하게 되고, 각 지역별 에리어 대회에서 우승한 플레이어가 결승 대회에 진출하는 방식이다. 기존 [[천하제일리겜축제]]의 포맷과 거의 유사하다. === 온라인 예선 === ||<-2> '''온라인 예선 과제곡'''[br]2019/9/27 12:00 ~ 2019/10/29 22:59 || || '''곡명''' || '''난이도''' || || [[Alea jacta est!]] || {{{#skyblue STANDARD}}} {{{#8324ff MASTER 13}}} || || [[Oshama Scramble!]] || {{{#fd006b D}}}{{{#orange E}}}{{{#ffcc21 LU}}}{{{#54C320 X}}}{{{#3182ff E}}} {{{#8324ff MASTER 13}}} || || [[Blows Up Everything]] || {{{#fd006b D}}}{{{#orange E}}}{{{#ffcc21 LU}}}{{{#54C320 X}}}{{{#3182ff E}}} {{{#cfa9eb Re:MASTER 13+}}} || *온라인 대회에 엔트리 할때 지역을 고르게 된다. 실제로 사는 지역과 달라도 상관은 없지만, 한번 지역을 선택하면 바꿀 수 없다. *엔트리 이후 JAIA 가맹점 오락실에서 플레이하면 점수를 등록할 수 있다. 이때 1플레이에 순서 상관없이 3곡을 모두 선곡해야만 랭킹에 등록된다. *순위는 3곡의 달성률 합계로 결정되며, 동률일 경우 먼저 점수를 등록한 쪽이 우위를 가져가게 된다. *각 지역별 32명이 해당 지역의 에리어 대회에 진출하게 된다. === 에리어 대회 === *에리어 대회는 각 지역 온라인 예선 상위 32명이 예선전과 토너먼트를 거쳐 결승 대회에 진출할 플레이어 1명을 선발하는 대회이다. *먼저 예선은 과제곡 목록 중 한곡을 추첨하여 32명이 모두 플레이하고, 달성률 상위 8명이 토너먼트에 진출하게 된다. *토너먼트의 준준결승과 준결승은 예선과 똑같은 과제곡 목록에서 한곡을 추첨하고, 결승은 별개의 과제곡 목록에서 곡을 추첨한다. 단 한번 추첨된 곡은 다시 추첨되면 제외하고 다시 추첨한다. *달성률이 같을 경우 디럭스 스코어가 더 높은 플레이어가 승리한다. 디럭스 스코어도 같을 경우 추가로 곡을 추첨해 한번 더 플레이하게 된다. *과제곡 목록은 [[https://maimai.sega.jp/kop2019/area/|#]]에서 확인할 수 있다. === 결승 대회 === ||<-6> '''지역별 결승 대회 진출자''' || ||<-2> 간토A ||<-2> 간토B ||<-2> 간토C || ||<-2> たけるん ||<-2> よしき ||<-2> すいふー || ||<-2> 기타간토 ||<-2> 홋카이도 ||<-2> 도호쿠 || ||<-2> ReMiRiA ||<-2> KOTaNΦZR ||<-2> Tempu*Cs || ||<-2> 주부 ||<-2> 긴키A ||<-2> 긴키B || ||<-2> ぷりっつ ||<-2> Crowd*RJ ||<-2> knm || ||<-3> 주고쿠·시코쿠 ||<-3> 규슈·오키나와 || ||<-3> いえばりーん ||<-3> Amakage![*불참] || *결승 대회에서는 각 지역별 대표 총 11명이 예선과 토너먼트를 통해 우승자를 가리게 된다. *예선에서는 과제곡 2곡중에서 추첨된 한곡을 모든 플레이어가 한번씩 플레이해 달성률이 가장 높은 4명이 토너먼트에 진출하게 된다. *토너먼트에서는 각 플레이어가 1패턴씩 선택해 총 2패턴을 플레이하여 달성률 합계가 더 높은 플레이어가 승리하게 된다. 단, 한번 선택한 패턴은 다시 선택할 수 없으며, 결승에서는 2패턴에 추가 지정곡 1곡을 더해 총 3곡으로 우승자를 가리게 된다. *달성률이 같을 경우 디럭스 스코어가 더 높은 플레이어가 승리한다. 디럭스 스코어도 같을 경우 추가로 곡을 추첨해 한번 더 플레이하게 된다. ==== 예선 블록 ==== ||<-2>
'''결승 대회 예선 블록 과제곡''' || || '''곡명''' || '''난이도''' || || --[[TEmPTaTiON(maimai 시리즈)|TEmPTaTiON]]-- || --{{{#fd006b D}}}{{{#orange E}}}{{{#ffcc21 LU}}}{{{#54C320 X}}}{{{#3182ff E}}} {{{#8324ff MASTER 14+}}}-- || || '''[[アポカリプスに反逆の焔を焚べろ]]''' || '''{{{#fd006b D}}}{{{#orange E}}}{{{#ffcc21 LU}}}{{{#54C320 X}}}{{{#3182ff E}}} {{{#8324ff MASTER 14}}}''' || ||<-5>
'''결승 대회 예선 블록 결과''' || || '''지역''' || '''플레이어''' || '''달성률''' || '''순위''' || '''진출 여부''' || || 기타간토 || ReMiRiA || 100.8093% || 6위 || || || 홋카이도 || KOTaNΦZR || 100.7563% || 7위 || || || 간토A || たけるん || 100.8662% || 5위 || || || 긴키B || knm || 100.1217% || 10위 || || || 긴키A || Crowd*RJ || 100.8991% || '''4위''' || '''O''' || || 간토C || すいふー || 100.9186% || '''2위''' || '''O''' || || 주부 || ぷりっつ || 100.3777% || 9위 || || || 간토B || よしき || '''100.9571%''' || '''1위''' || '''O''' || || 도호쿠 || Tempu*Cs || 100.9043% || '''3위''' || '''O''' || || 주고쿠·시코쿠 || いえばりーん || 100.7423% || 8위 || || ==== 토너먼트 준결승 ==== ||<-5>
'''준결승 1경기''' || || 선곡자 || 선곡 || 난이도 || Tempu*Cs || すいふー || || Tempu*Cs || [[雷切-RAIKIRI-]] || {{{#skyblue STANDARD}}}[br]{{{#8324ff MASTER 14}}} || '''100.9679%''' || 100.9094% || || すいふー || [[QZKago Requiem]] || {{{#skyblue STANDARD}}}[br]{{{#cfa9eb Re:MASTER 14+}}} || 100.4863% || '''100.8590%''' || ||<-3> 합계 || 201.4562% || '''201.7684%''' || ||<-3> 결과 || 탈락 || '''결승 진출''' || ||<-5>
'''준결승 2경기''' || || 선곡자 || 선곡 || 난이도 || Crowd*RJ || よしき || || Crowd*RJ || [[Blows Up Everything]] || {{{#fd006b D}}}{{{#orange E}}}{{{#ffcc21 LU}}}{{{#54C320 X}}}{{{#3182ff E}}}[br]{{{#cfa9eb Re:MASTER 14}}} || 100.5666% || '''100.7888%''' || || よしき || [[怒槌]] || {{{#skyblue STANDARD}}}[br]{{{#8324ff MASTER 14}}} || 100.4871% || '''100.8033%''' || ||<-3> 합계 || 201.0537% || '''201.5921%''' || ||<-3> 결과 || 탈락 || '''결승 진출''' || ==== 토너먼트 결승 ==== ||<-5>
'''결승''' || || 선곡자 || 선곡 || 난이도 || すいふー || よしき || || すいふー || [[FFT]] || {{{#skyblue STANDARD}}}[br]{{{#cfa9eb Re:MASTER 14}}} || 100.8788% || '''100.9444%''' || || よしき || [[PANDORA PARADOXXX]] || {{{#skyblue STANDARD}}}[br]{{{#8324ff MASTER 14+}}} || 100.8170% || '''100.9772%''' || || '''신곡''' || '''[[Valsqotch]]''' || '''{{{#fd006b D}}}{{{#orange E}}}{{{#ffcc21 LU}}}{{{#54C320 X}}}{{{#3182ff E}}}[br]{{{#8324ff MASTER 14+}}}''' || '''99.7115%''' || 99.0075% || ||<-3> 합계 || '''301.4073%''' || 300.9291% || ||<-3> 결과 || '''우승''' || 준우승 || 요시키가 타선곡과 자선곡에서 모두 앞서가며 크게 격차를 벌렸고, 그것이 그대로 우승으로 이어지나 싶었지만, '''마지막 곡인 신곡 Valsqotch에서 스이후가 뒤집으며[* 곡 공개 후 소개하는 시간을 잠깐 가질 때 코하D가 "마이마이에서 BPM 125입니다."라고 언급했던만큼 초견살이 심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실제로도 다르지 않았다. 요시키가 초반부터 0.45% 가량 잃고 시작했는데, 중반 고난도 24비트 트릴에서 스이후가 크게 실수하면서 후반 돌입 직전까지는 다시 동률이 되었다. 그뒤로는 초반과 유사하게 스이후가 더 안정적인 처리력을 선보이며 최후살 직전까지 0.3% 앞서간 상태였다. 그리고 마지막 순간, 요시키가 16비트 터치 회전을 통째로 틀려버리는 바람에 0.4%나 뒤쳐져버렸고 이는 1, 2라운드에서 보여준 안정성의 차이가 무색할만큼 총점 차이를 벌리는 원인이 되었다.] 역전승으로 우승을 거머쥐게 되었다!''' === 결과 === ||
{{{+1 '''KING of Performai 2019 우승자'''}}} || ||<:> {{{+1 '''すいふー'''}}} || 요약하자면 '''초견력 차이'''. 기존 KAC 등의 대회에서도 볼 수 있었듯이 당일 발표 신곡이 반영되는 경우 신곡으로 얼마든지 뒤집을 수 있다는 것을 그대로 보여줬다. == ZENZA of Performai 2019 == 종목에 포함되지 않았던 [[온게키 SUMMER]]과 [[CHUNITHM CRYSTAL]]을 대상으로 하는 이벤트성 대회. 별도의 예선을 거치지 않고 초청전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각 기종당 3명씩 초청되어 1명이 부전승하는 토너먼트 방식으로 치러지며, 곡은 추첨으로 1곡씩만 플레이해서 승패를 가린다. === [[온게키 SUMMER]] === ||<-4> '''ZENZA of Performai 2019 온게키 SUMMER 참가자''' || || 부전승 ||<-3> 준결승 || || めんつゆ[* 인게임 닉네임은 MN2U.BOT] || F.A || vs || けにちの[* 인게임 닉네임은 RIKA.UNO] || *LUNATIC 패턴을 제외한 14+레벨 곡들 중에서 1곡을 추첨해 플레이하고 테크니컬 스코어가 더 높은 플레이어가 승리한다. *테크니컬 스코어가 같을 경우 MISS수가 더 적은 사람이 승리하고, MISS수도 같을 경우 가위바위보(...)로 승자를 결정한다. ==== 준결승 ==== ||<-4> '''준결승''' || || 과제곡 || 난이도 || F.A || けにちの || || [[Good bye, Merry-Go-Round.]] || {{{#8324ff MASTER 14+}}} || 1006637 || '''1009417''' || ||<-2> 결과 || 탈락 || '''결승 진출''' || [[KONMAI|서로 화면이 뒤바뀌었다.]] ==== 결승 ==== ||<-4> '''결승''' || || 과제곡 || 난이도 || めんつゆ || けにちの || || [[Titania]] || {{{#8324ff MASTER 14+}}} || 1009050 || '''1009417''' || ||<-2> 결과 || 준우승 || '''우승''' || 우승자인 けにちの는 특전으로 [[R'N'R Monsta]]를 선행 플레이했다. === [[CHUNITHM CRYSTAL]] === ||<-4> '''ZENZA of Performai 2019 CHUNITHM CRYSTAL 참가자''' || ||<-3> 준결승 || 부전승 || || まてぞん || vs || S.Fran || すとら || '''그런데...''' ||<-6> '''ZENZA of Performai 2019 CHUNITHM CRYSTAL 참가자''' || ||<-3> 준결승 A조 ||<-3> 준결승 B조 || || まてぞん || vs || S.Fran || すとら || vs || '''[[Godspeed]]''' || '''당시 게스트로 참석했던 [[Godspeed]]가 깜짝 참전했다!''' *13+레벨 이상의 오리지널 곡들 중 1곡을 추첨해 플레이하고 스코어가 더 높은 플레이어가 승리한다. *스코어가 같을 경우 MISS수가 더 적은 사람이 승리하고, MISS수도 같을 경우 가위바위보(...)로 승자를 결정한다. ==== 준결승 ==== ||<-4> '''준결승 A조''' || || 과제곡 || 난이도 || まてぞん || S.Fran || || [[Killing Rhythm]] || {{{#8324ff MASTER 14}}} || '''1009082''' || 1008705 || ||<-2> 결과 || '''결승 진출''' || 탈락 || ||<-4> '''준결승 B조''' || || 과제곡 || 난이도 || すとら || Godspeed || || [[Gate of Doom]] || {{{#8324ff MASTER 13+}}} || '''1009629''' || 997197 || ||<-2> 결과 || '''결승 진출''' || 탈락 || ==== 결승 ==== ||<-4> '''결승''' || || 과제곡 || 난이도 || まてぞん || すとら || || '''[[Trrricksters!!]]''' || '''{{{#8324ff MASTER 14}}}''' || 1005601 || '''1006586''' || ||<-2> 결과 || 준우승 || '''우승''' || 결승은 깜짝 발표된 신곡인 [[Trrricksters!!]]로 진행되었다. [[분류:KING of Perform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