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하위 문서, top1=KBS 제3라디오/편성표)] [include(틀:다른 뜻1, other1=1981년에 폐국한 라디오 채널, rd1=KBS 제3방송)] [include(틀:다른 뜻1, other1=1990년에 폐국한 텔레비전 채널, rd1=KBS 3TV)] [include(틀:한국방송공사의 송출 채널)] [include(틀:대한민국의 라디오방송국)] ||<-5> {{{#!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KBS 3Radio 로고.svg|width=150&theme=light]][[파일:KBS 3Radio 로고 화이트.svg|width=150&theme=dark]] ||{{{#ef3268,#fff '''{{{+1 KBS 3Radio}}}'''[br]KBS 사랑의 소리방송[br]KBS 제3중파방송[br]{{{-2 (KBS 제3표준FM방송)}}}}}} ||}}} || ||<-5> {{{#fff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를 위한 복지 전문채널'''}}} || ||<-3> '''국가''' ||<-2>[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2> {{{#!wiki style="margin: 0 -20px" {{{#fff '''개국'''}}}}}} ||<-2> {{{#!wiki style="margin: 0 -10px" {{{#fff '''[[중파방송|{{{#ffffff AM(MW)}}}]]'''}}}}}} ||<-2>[[2000년]] [[1월 1일]] {{{-3 '''([age(2000-01-01)]주년)'''}}} (KBS 제3라디오) || ||<-2> {{{#!wiki style="margin: 0 -10px" {{{#fff '''[[표준FM|{{{#ffffff 표준FM}}}]]'''}}}}}} ||<-2>[[2010년]] [[4월 20일]] {{{-3 '''([age(2010-04-20)]주년)'''}}} (KBS 제3라디오 표준FM) || ||<|2> {{{#!wiki style="margin: 0 -20px" {{{#fff '''호출[br]부호'''}}}}}} ||<-2> {{{#!wiki style="margin: 0 -10px" {{{#fff '''[[중파방송|{{{#ffffff AM(MW)}}}]]'''}}}}}} ||<-2>HLKC (전국)[* 과거 동양라디오의 호출부호였으며, 원래는 각 중계소별로 별도의 호출부호를 부여받아 이어오고 있었으나, 2002년 고시 개정과 함께 호출부호를 본사의 HLKC로 통일했다.] || ||<-2> {{{#!wiki style="margin: 0 -10px" {{{#fff '''[[표준FM|{{{#ffffff 표준FM}}}]]'''}}}}}} ||<-2>HLKC-SFM (수도권)[* 현재는 수도권으로 한정되어 있으나 위 중파 호출부호의 선례로 봤을 때는 이 부호가 전국 호출부호가 될 가능성이 높다.] || ||<-3> '''{{{#FFFFFF 구분}}}''' ||<-2>[[지상파|지상파]] [[공영방송|공영라디오]] || ||<-3> '''{{{#FFFFFF 분야}}}''' ||<-2>다문화 및 복지 전문채널 || ||<|3> {{{#!wiki style="margin: 0 -20px" {{{#fff '''주파수'''}}}}}} ||<-2> {{{#!wiki style="margin: 0 -10px" {{{#fff '''[[중파방송|{{{#ffffff AM(MW)}}}]]'''}}}}}} ||<-2>'''1134㎑''' [[수도권(대한민국)|[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f3268,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수도권)]]]|'''936㎑''' [[창원시|[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f3268,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창원)]]]|'''576㎑'''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f3268,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전남 동부)]| '''675㎑''' [[전주시|[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f3268,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전주)]]] || ||<-2> {{{#!wiki style="margin: 0 -10px" {{{#fff '''[[표준FM|{{{#ffffff 표준FM}}}]]'''}}}}}} ||<-2>'''104.9㎒''' [[수도권(대한민국)|[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f3268,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수도권)]]] || ||<-2> {{{#!wiki style="margin: 0 -20px" {{{#fff '''[[위성방송|{{{#ffffff 위성방송}}}]]'''}}}}}} ||<-2>[[무궁화 6호]] '''12523V'''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f3268,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동북아향)]|'''3'''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f3268,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가상)] || ||<-3> '''방송망''' ||<-2>[[한국방송공사]] || ||<|2> {{{#!wiki style="margin: 0 -20px" {{{#fff '''방송[br]품질'''}}}}}} ||<-2> {{{#!wiki style="margin: 0 -30px" {{{#fff '''지상파'''}}}}}} ||<-2>[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f3268,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1채널 모노럴 사운드)] || ||<-2> {{{#!wiki style="margin: 0 -30px" {{{#fff '''인터넷/[br]위성'''}}}}}} ||<-2>[[AAC|[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f3268,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2ch MPEG-4 AAC)]]]^^(192kbps, 48kHz)^^[br][[MPEG|[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ef3268,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MPEG Audio Layer-2)]]] || ||<-3> '''언어''' ||<-2>[[한국어]] || ||<|5> {{{#!wiki style="margin: 0 -20px" '''가청취[br]권역'''}}} ||<|2><-2>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주간}}}'''}}} ||<-2>[[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 [[전라북도|전북]], [[남해|남해안권]] 일원 || ||<-2>[[경상북도|경북]], [[전라남도|전남서부]], [[충청도|충청]], [[강원특별자치도|강원]] 일부 || ||<-2>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야간}}}'''}}} ||<-2>[[대한민국]] 전역 || ||<-2> {{{#!wiki style="margin: 0 -10px" '''[[표준FM|{{{#ffffff 표준FM}}}]]'''}}} ||<-2>[[서울특별시|서울]], [[인천광역시|인천]], [[경기도]] 일부 || ||<-2> {{{#!wiki style="margin: 0 -20px" {{{#fff '''인터넷/[br][[위성방송|{{{#ffffff 위성}}}]]'''}}}}}} ||<-2>[[세계]] 전역[* 다만, 위성방송은 한반도 근처에서 멀어질수록 큰 사이즈의 위성안테나를 필요로 한다. 인터넷은 제한이 없지만 통신망이 제한적인 환경이라면 청취가 곤란할 수도 있다.] || ||<-3> '''운영주체''' ||<-2>한국방송공사 제작1본부 라디오센터 || ||<-2> {{{#!wiki style="margin: 0 -20px" {{{#fff '''방송책임'''}}}}}} || {{{#!wiki style="margin: 0 -10px" {{{#fff '''편성'''}}}}}} ||<-2>정일서 ,,(라디오센터장),, || ||<-3> '''소유''' ||<-2>[[한국방송공사]] || [목차] [clearfix] == 개요 == [[한국방송공사]]에서 운영하는 사회적 약자[* 중에서도 장애인, 노인, 다문화가정.] 전문 라디오 채널이자 HLKC 대역국의 표준방송. 호출부호는 HLKC(AM) / HLKC-SFM(FM), 주파수 1134㎑[* 중파방송 기준]/104.9㎒[* 초단파(VHF-Mid, 표준FM) 방송 기준], 출력은 각각 500㎾와 2㎾로 설정되어 있다. 위성 주파수는 수직파 12523이다. [[1980년]] [[12월 1일]]부터 [[1981년]] [[9월 7일]]까지 송출된 [[KBS 제3방송|같은 이름의 라디오 채널]]과는 무관한 채널이다. 이 방송의 직접적인 전신은 [[한국방송공사|KBS]]와 [[서강대학교]]가 합작하여, [[KBS 제1라디오|KBS 1라디오]]의 수도권 표준FM 주파수(97.3MHz) 부설 특수 오디오 캐리어(SCA)로 송출했던 '사랑의 소리방송'[* [[http://youtu.be/0II3WGM1rgc|이 방송을 청취하려면 SCA 전용 수신기가 필요했다.]]]이고, 이 특수 SCA 방송은 [[1995년]] [[12월 20일]]에 개시했다. [[2000년]] [[1월 1일]]에 KBS 제3라디오가 개국되어 [[서울특별시]], [[강원도]] 영동권[* 2000년 8월 제2라디오에서 전환되었으며 [[강릉시]], [[속초시]], [[양양군]]. AM 중계소가 [[양양군]] 손양면에 있었으나, 현재는 폐쇄되었다.]에서만 방송하다가, [[2003년]]에 광주, 순천, 군산, 창원의 [[KBS 제2라디오|2라디오]] 주파수를 3라디오로 전환하여 전국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대신 [[KBS대구방송총국]]은 당시 3라디오로 전환하지 않고 [[KBS 제2라디오|해피FM]]을 AM과 표준FM으로 병행 송출하고 있으며, 이는 비수도권 중에서는 유일하다. 대구와 달리 강릉, 광주, 순천, 군산, 창원은 AM을 전부 3라디오로 전환하면서 [[KBS 제2라디오|해피FM]]을 표준FM으로만 송출한다.[* 이 중 강릉, 순천, 군산은 지역국 기능 조정을 거치면서 각 권역별 총국(강원권-춘천/전남권-광주/전북권-전주)의 중계소로 격하됐고, 이후 강릉과 광주 채널은 표준FM 전환조차 이루어지지 못한 채 폐지됐다.] [[2009년]] 말부터 표준FM 주파수 개국을 목적으로 수도권 한정으로 FM 97.7MHz로 시험방송을 하다가, [[2010년]] [[4월 20일]]에 FM 104.9MHz로 [[표준FM]] 방송을 시작했다.[* 다만, 같은 곳에서 송신 중인 [[EBS FM]](104.5㎒), [[cpbc FM]](105.3㎒)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송출 출력이 10㎾에서 2㎾로 하향하여 축소 허가난 상태. 이후 97.7㎒는 [[KBS 2FM]] 성남 중계소 주파수로 재활용되었다.] 참고로 그 표준FM은 스테레오가 아닌 '''모노'''로 송출 중이다. 같은 관악산에서 스테레오 송출하는 [[EBS FM]]과의 간섭 문제가 모노 송출의 큰 요인이 되겠지만, [[한국방송공사|KBS]]가 '장애인한테는 스테레오 송출은 필요없다'고 판단했을지도 모른다.[* 한쪽 귀만 들리는 [[청각장애인]]들도 있다.] 또한 모노 방송은 스테레오 방송보다 대역폭이 좁아 주파수 확보에 유리한 이점이 있기 때문에 향후 다른 FM 방송보다 전국 FM 방송망 확충이 용이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위성방송이나 인터넷 방송을 통해서는 스테레오로 청취할 수 있다. 한편 AM 주파수는 [[2010년]] [[1월 1일]]부터 수도권 지역 AM 주파수를 서울 개봉송신소 639㎑에서 경기 화성송신소 1134㎑로 변경하면서 서울 개봉송신소 운용이 중단되었고,[* 그런데 4월 이전에는 639㎑와 1134㎑의 병행 송출이 이루어졌었다. 실제로 2010년 2월 경기도 [[광명시]]에서 두 주파수의 병행 송출이 확인됐다.] [[2010년|동년]] [[3월 10일]][* 소래송신소 개소 40주년 기념행사 뉴스 보도에 나온 연혁표 참조.[[http://www.youtube.com/watch?v=XCejoIOEAow|출처]]] 동년 4월에 개봉송신소는 폐쇄되었다. 주파수와 송신소 변경 목적은 개봉송신소 폐지와 KBS 제3라디오 가청지역 확대. 그 전부터 개봉송신소 인근 주민들은 송신 전자파 때문에 지속적인 이전을 요구해 왔으며, 개봉송신소 주변에 [[1990년대]] 후반부터 아파트가 들어서기 시작했으니... 2012년 가을에 개봉송신소는 사무소 건물만 제외하고는 안테나 시설이 전부 철거된 상태였고, 2015년 현재는 구로구 산하 교육복지기관으로 리모델링됐다. 시기 미상으로 강릉과 광주에서 '''표준FM 전환조차 이루어지지 못한 채''' 3라디오 AM 송출이 중단됐으며 해당 지역에선 낮에는 인터넷 기반의 [[콩(KBS)|콩]]이나 [[KBS+]]을 통해서만 3라디오를 청취할 수 있게 되었다.[* 500kW 대출력의 본사 AM(1134KHz)으로도 광주는 전리층 없는 한낮에 송신소에서 전파가 도달하기엔 거리가 먼 편이고 양양 역시 [[태백산맥]]이 중간에 막고 있기 때문. 다만 밤에는 전리층의 영향으로 이 주파수를 통해서도 깨끗하게 청취할 수 있긴 하다.] 표준FM 송중계소를 개설하여 대체 지상파 청취수단을 마련했던 1라디오의 [[KBS충주방송국|충주국]]과 소출력 AM 중계소와 비교하면 매우 아쉬운 부분. 다만, 상술했듯이 주파수 확보가 용이한 FM 모노 방송의 특성상 향후 뒤늦게나마 해당 지역에 표준FM이 마련될 여지는 아직 있긴 하다. 장애인 전문 라디오 채널인만큼 장애인과 관련한 분야의 프로그램을 많이 편성하며, 그 중 장애인 관련 내용을 종합적으로 다루는 프로그램은 "[[내일은 푸른하늘]]"과 "[[함께하는 세상 만들기]]" 등 2개의 프로그램이 양대산맥이고,[* 이 외에 다른 프로그램들은 시각장애인을 타겟으로 한 프로그램이 대부분이다.] 이 중 "[[내일은 푸른하늘]]"은 [[2000년]] [[1월 1일]]에 이 방송이 최초 개국함과 동시에 [[KBS 제1라디오|1라디오]]에서 넘어온 프로그램이다. 그리고 이 방송에서 방송되는 프로그램 중 "[[소설극장]]"은 이 방송의 전신인 [[KBS 제1라디오]] SCA 방송(특수 방송)에서 방송했던 프로그램 중 현재까지 이어져 왔다.[* 이 프로그램과 마찬가지로 지금은 폐지된 "[[연속낭독]]"도 이 방송의 전신인 [[KBS 제1라디오]] SCA 방송에서 방송된 프로그램 중 [[2000년]] [[1월 1일]]부터 폐지 때까지 이어져 왔다.] == 광고 ==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은 내보내지 않는다. 사회적 약자인 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방송인 만큼 수신료와 발전기금 등 공적 자금으로 방송하여 공익성을 최우선으로 해야 하기 때문이다.[* 명분상으로는 그렇지만 프로그램들의 특성상 라디오 드라마 외에는 광고를 기대할 수 없는 것도 광고방송을 하지 않는 이유로 꼽힌다.] 이 외에도 KBS가 송출하는 채널 중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이 없는 라디오 채널로는 [[KBS 제1라디오]], [[KBS 1FM]], [[KBS 한민족방송]], [[KBS 월드 라디오]], [[EBS FM]], [[국방FM]]이 있다. == 주파수 == * [[EBS FM]], [[국방FM]]처럼 지역방송의 자체 프로그램은 없다. 모든 프로그램을 본사 라디오센터에서 제작하며, 방송권역은 수도권, 호남, 경남이다. === AM === ※ 호출부호의 괄호는 예전에 쓰였다가 [[2002년]] 고시 개정으로 더 이상 쓰지 않음을 뜻한다. ||
{{{#white '''지역(총)국'''}}} || {{{#white '''호출부호'''}}} || {{{#white '''주파수[br](㎑)'''}}} || {{{#white '''출력[br](㎾)'''}}} || {{{#white '''송신소'''}}} || {{{#white '''송신소 주소'''}}} || '''{{{#white 가청권역}}}''' || || 본사 || HLKC[*A [[동양방송]] 라디오→[[KBS 제3방송]]이 썼던 호출부호였다.] || 1134[* 수도권 AM 주파수의 경우 일본 도쿄의 [[분카 방송]]과 주파수가 동일하여 국내에서는 정파 시간 외에 [[분카 방송]]을 깨끗이 청취하기 어렵다. 심지어는 KBS 3라디오의 출력이 [[분카 방송]](100kW)보다 5배나 강한 탓에 일본 국내에서도 혼신되는 지역이 많을 정도이다. 다만 2020년 9월 15일부터 12월 16일까지는 송신 설비 교체 작업(정확히는 송신기와 안테나 간 feed 케이블 교체 공사)으로 휴지한 적이 있었으며, 이 기간 동안에는 KBS 3라디오 방송 시간에도 [[분카 방송]]의 선명한 청취가 가능했다. 그리고 생각보다 한국에서의 분카방송의 수신 감도도 꽤 강한 편이라 아마추어 무선용 라디오나 DX를 할 수 있을 정도의 좋은 라디오, 그리고 중파 루프 안테나가 있으면 방위에 따라 [[분카 방송]]이 역으로 사랑의 소리방송을 묻어버리는 경우도 있다.(주로 한반도 남부 지역) 과거에는 [[KBS 한민족방송|KBS 한민족 제1방송]]이 사용했던 주파수였다.] || 500 || 화 성 || [[경기도]] [[화성시]] 마도면 두곡리 113 || 수도권 일원, 충청 대부분 지역, 강원 영서[br]북한(개성, 황해남북도)[* 야간에는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청취 가능.] || || 순천 || (HLKZ)[* 우연의 일치인지 이 호출부호는 [[대한민국]] 최초의 텔레비전 방송국인 [[대한방송|HLKZ-TV]]와 같다. 차이점이라면 HLKZ-TV는 TV방송임을 말하는 -TV가 붙어있는 것 뿐. 현재는 채널 이관과 함께 사실상의 중계소로 격하되면서 본사의 호출부호를 그대로 사용, 송신한다.] || 576 || 10 || 순 천 || [[전라남도]] [[순천시]] 해룡면 대안리 974-2 || 전남 남해안, 경남 서남해안 || || 전주 || (HLAS) || 675 || 10 || 대 야 || [[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 죽산리 380-4 || 전북 서부, 전남 서해안, 충남(보령∙서천∙부여) || || 창원 || (HLKD) || 936 || 10 || 가 포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가포동 산96 || 경남 동남해안, 부산 || ==== 폐지된 주파수 ==== ||
{{{#white '''지역(총)국'''}}} || {{{#white '''호출부호'''}}} || {{{#white '''주파수[br](㎑)'''}}} || {{{#white '''출력[br](㎾)'''}}} || {{{#white '''송신소'''}}} || {{{#white '''당시 송신소 소재지'''}}} || '''{{{#white 당시 가청권역}}}''' || ||본사 || HLKC[*A] || 639[* 과거에는 TBC [[동양방송|동양라디오]]와 그 후신인 [[KBS 제3방송]]이 사용했던 주파수였다. 역사는 별개지만 어쨌든 우연히 제3라디오로 돌아온 셈.] || 50|| 개 봉[* 송신 당시 안테나 탑의 높이는 120m였다. 예비 안테나도 존재했으며 높이는 80m였다. 2006년 중파 DRM 시험 송출이 이루어진 적이 있다. [[http://journal.kobeta.com/%EB%94%94%EC%A7%80%ED%84%B8%EC%8B%9C%EB%8C%80%EC%9D%98%20%EB%9D%BC%EB%94%94%EC%98%A4%EB%B0%A9%EC%86%A1/|#]]] || [[서울특별시]] [[구로구]] 개봉2동 195-2 || 수도권 일원, 충청 대부분 지역[br]북한(개성, 황해남북도) || ||강릉[* 원래 속초방송국 2라디오의 주파수와 호출부호였으나 2라디오 표준FM을 개국하면서 3라디오로 전환되었고, 이후 [[KBS강릉방송국]]에 흡수되었다. 양양중계소의 폐지 후, HLCS 호출부호는 [[대구원음방송]]에 넘어갔다.] ||(HLCS) || 1008|| 50||양 양[* 2002년 태풍 [[루사(태풍)|루사]]의 여파로 중계소에 침수 피해가 발생한 적이 있다. [[https://www.haein.com/bbs/bbs_download.php?idx=67&download=1|자동 다운로드(PDF)]] 안테나는 한 쌍이 존재했으며, 높이는 90m였다. 예비 안테나도 존재했으며 높이는 36m였다.] ||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손양면 송전리 17-1 || 강원 영동, 북한(강원도, 함경남도) || ||광주 ||(HLAA) || 1224|| 20||비 아[* 당시 안테나 탑의 높이는 120m였다.] || [[광주광역시]] [[광산구]] 수완동 1148 || 광주, 전남 중서부, 전북 남부 || === FM === ||
{{{#white '''지역(총)국'''}}} || {{{#white '''호출부호'''}}} || {{{#white '''주파수[br](㎒)'''}}} || {{{#white '''출력[br](㎾)'''}}} || {{{#white '''송신소'''}}} || {{{#white '''송신소 주소'''}}} || '''{{{#white 가청권역}}}''' || || 본사[* 오직 수도권에서만 송출된다.] || HLKC-SFM || 104.9 || 2[* [[cpbc FM]], [[EBS FM]]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출력이 10㎾가 아닌 2㎾로 허가되어 있다.] || 관악산 || 경기 안양시 동안구 비산동 산5 || 서울 일원, 인천[* 강화, 옹진 제외]∙경기[* 수원, 성남, 의정부, 안양, 부천, 광명, 안산, 시흥, 군포, 의왕, 과천, 용인, 고양, 김포, 구리, 하남, 남양주, 광주] 일부[* [[EBS FM]] 백운산 송신소와의 주파수가 동일하여 여주, 이천, 양평, 안성 동부[* 일죽면, 죽산면] 지역에서는 청취가 곤란하다.] || == 프로그램 == === 아침(오전 6시 ~ 오전 9시) === ==== [[대한민국 인기가요]](06:00 ~ 07:00) ==== [[KBS 한민족방송|한민족방송]]의 프로그램을 그대로 수중계하며, 자정에 재방송된다. ==== [[KBS 오디오북-최고의 클립]](07:00 ~ 07:20) ==== 20시에 재방송되고 다음날 4시에 [[KBS 제1라디오|1라디오]]로도 방송된다. ==== [[라디오 극장]](평일 07:20 ~ 07:40) ==== [[KBS 한민족방송|한민족방송]]의 라디오 극장을 재방송한다. ==== [[다큐멘터리 역사를 찾아서]](주말 07:20 ~ 07:40) ==== [[KBS 한민족방송|한민족방송]]의 다큐멘터리 역사를 찾아서를 재방송한다. ==== [[와이파이 한국인]](07:40 ~ 07:54) ==== [[KBS 제1라디오|1라디오]]에서 방송했던 와이파이 드라마 시리즈를 재방송하며, [[2021년]] [[2월 1일]]부터 [[2022년]] [[7월 29일]]까지 "[[와이파이 삼국지]]"를, [[2022년]] [[7월 30일]]부터 [[2023년]] [[7월 8일]]까지 "[[와이파이 초한지]]"를 재방송하다가, [[2023년]] [[7월 10일]]부터 "[[와이파이 한국인]]"을 재방송한다. ==== [[5분 여행기, 구석구석 코리아]](07:54 ~ 07:59) ==== [[KBS 한민족방송|한민족방송]]의 5분 여행기, 구석구석 코리아를 재방송한다. ==== 3R 채널스파트(07:59 ~ 08:00) ==== 채널 ID 스폿. 이전에는 사실상 [[공감 코리아, 우리는 한국인]] 홍보 스폿으로 작용했다. ==== [[아름다운 우리가곡]](08:00 ~ 08:05) ==== [[유지철(아나운서)|유지철]] 아나운서가 진행하는 5분 가곡 프로그램이다. 16시에 재방송된다. ==== [[건강 365]](평일 08:05 ~ 08:55, 주말 08:05 ~ 09:00) ==== 건강 관련 프로그램. [[KBS 제1라디오|1라디오]]에서 새벽 5시 경에 방송한 것을 재방송하며, 오후 4시 5분에 한 차례 더 재방송한다. ==== [[바른말 고운말]](평일 08:55 ~ 08:57) ==== [[KBS 제1라디오/프로그램#s-2.1.7]] 문서의 해당 문단 참조. ==== 장애인식개선캠페인(평일 08:57 ~ 08:58) ==== [[KBS 제1라디오|1라디오]]와 똑같은 내용의 캠페인을 1시간 먼저 내보낸다. ==== 3R 채널스파트(평일 08:58 ~ 09:00) ==== 채널 홍보 스팟으로, BGM[* 2022년 기준 유희열 소품집 1번 트랙 [[http://www.youtube.com/watch?v=RUwtgft1icA|'공원에서']]]에 맞춰 내레이터가 3라디오 및 3라디오의 주요 프로그램을 홍보하고 있다. === 낮(오전 9시 ~ 오후 5시) === ==== [[함께하는 세상 만들기]](09:00 ~ 10:00) ==== [[김기만(아나운서)|김기만]] 아나운서가 진행하는 프로그램으로 22시에 재방송된다. ==== KBS 3R 뉴스(10:00 ~ 10:05) ==== [[아침 뉴스]] 프로그램. 평일 10시에 5분 동안 방송한다. ==== [[오늘의 신문]](평일 10:05 ~ 11:40) ==== 신문 낭독 프로그램. [[김현태(아나운서)|김현태]] 아나운서는 월, 금요일 진행, [[성세정]] 아나운서는 수요일 진행, [[한상헌]] 아나운서는 화, 목요일 진행이며, 성우 [[천송이(성우)|천송이]]는 매일 진행한다. ==== [[경제로 통일로]](토요일 10:00 ~ 10:50) ==== [[KBS 한민족방송|한민족방송]]의 경제로 통일로를 재방송한다. 문서 참조. ==== [[KBS 무대]](토요일 10:50 ~ 11:40) ==== [[KBS 한민족방송|한민족방송]]의 KBS 무대를 재방송한다. 문서 참조. ==== [[통일사용설명서]](일요일 10:00 ~ 10:50) ==== 문서 참조. 원래 [[KBS 제1라디오|1라디오]]에서 방송됐으나, [[2021년]] [[10월 3일]]부터 [[KBS 한민족방송|한민족방송]]으로 채널을 옮긴 프로그램으로 3라디오에서는 매주 일요일 10시에 방송한다. ==== [[라디오 문학관]](일요일 10:50 ~ 11:40) ==== [[태의경]] 아나운서가 진행하는 [[KBS 한민족방송|한민족방송]]의 [[라디오 드라마]] 프로그램이다. 3라디오에 재송신된지는 꽤 오래되었다. ==== [[소설극장]](11:40 ~ 12:00) ==== 소설 낭독 드라마 프로그램. 20시 20분에 재방송하고 다음날 4시 20분에 [[KBS 제1라디오|1라디오]]로도 방송한다. ==== KBS 3R 뉴스(12:00 ~ 12:05) ==== || 연도 || 날짜 || 시간 || || 2003년 || 6월 2일 || 12:00~12:10 || || 2018년 || 10월 1일 || 12:00~12:05 || [[낮 뉴스]] 프로그램. 평일 12시에 5분 동안 방송한다. [[2003년]] [[6월 2일]]에 신설했으며, 원래는 10분 뉴스였으나, [[2018년]] [[10월 1일]]부터 방송 분량이 단축되어 5분 뉴스로 변경되었다. ==== [[노래선물]](평일 12:05, 주말 12:00 ~ 13:00) ==== 가수 [[강원래]]가 진행하는 음악 프로그램. ==== [[내일은 푸른하늘]](13:00 ~ 14:00) ==== 원래 [[KBS 제1라디오|1라디오]]에서 방송했으나, [[2000년]] [[1월 1일]] 3라디오 개국과 함께 3라디오로 채널을 옮겼다. 19시에 재방송한다. [[이재홍(아나운서)|이재홍]] 아나운서가 진행한다. ==== KBS 3R 뉴스(14:00 ~ 14:05) ==== 오후 뉴스 프로그램. 평일 14시에 5분 동안 방송한다. ==== [[출발! 멋진 인생]](평일 14:05, 주말 14:00 ~15:00) ==== [[이지연(1947)|이지연]]이 진행하는 시니어 프로그램. ==== [[공감 코리아, 우리는 한국인]](월~토요일 15:00 ~ 16:00) ==== [[유지철(아나운서)|유지철]] 아나운서가 진행하는 다문화 프로그램으로 새벽 2시에 재방송된다. 또한, [[KBS 제1라디오|1라디오]]의 관악산 송신소 계획정파일에 한해 해당 채널에서 새벽 1시에 재방송한다. ==== [[명사들의 책읽기]](일요일 15:00 ~ 16:00) ==== 독서 관련 프로그램으로 다음날 2시에 재방송한다. 진행자는 윤지영 아나운서 === 저녁(오후 5시 ~ 오후 9시) === ==== [[문화 공감]](17:00 ~ 17:55) ==== 문서 참조. 원래 [[KBS 제1라디오|1라디오]]에서 방송됐으나, [[2018년]] [[5월 28일]]부터 [[KBS 한민족방송|한민족방송]]으로 채널을 옮긴 프로그램으로 3라디오에서는 매일 오후 5시에 방송된다. ==== 강유정의 영화관, 정여울의 도서관(17:55 ~ 18:00) ==== 배우 강유정과 정여울 작가가 진행하는 영화와 책을 소재로 하는 프로그램. '강유원의 책과 세계' 후속으로 2019년 [[KBS 제1라디오|1라디오]]에 신규 편성되었으며, 3라디오에는 2019년 3월 4일부터 재송신되고 있다. 첫 방송때부터 배우연구소 백은하 소장이 문학 서적을 소개하는 정여울 작가의 카운터 파트너로서 영화를 소개했으며, 2022년 1월부터 이다혜 씨네21 기자가 카운터 파트너 자리를 인계받아 진행했다가, 2023년 5월부터 평론가 강유정이 카운터 파트너 자리를 인계받아 진행한다. ==== [[우리는 한가족]](평일 18:00 ~ 19:00) ==== [[장수연]] 아나운서가 진행하는 평일 시각장애인 전문 프로그램으로 23시에 재방송된다. ==== [[세상보기]](주말 18:00 ~ 19:00) ==== 시각장애인 방송인 심준구가 진행하는 주말 시각장애인 전문 프로그램으로 23시에 재방송된다. === 밤(오후 9시 ~ 밤 12시) === 21시부터 1시간[* 1TV에서 추념식 등의 특집 편성이 있을 시에는 수중계 시간이 앞당겨질 수 있다.] 동안은 [[KBS 제1라디오|1라디오]]를 수중계하며, 22시부터는 오전과 저녁 시간대의 프로그램을 재방송한다. ==== [[KBS 뉴스 9]](평일 21:00 ~ 21:30, 주말 21:00 ~ 21:20) ==== [[KBS 1TV]]의 [[KBS 뉴스 9]]를 그대로 수중계한다. ==== [[지금 이 사람]](평일 21:30 ~ 21:58) ==== ==== [[스포츠 스포츠]](주말 21:20 ~ 21:58) ==== ==== KBS 58분 날씨(21:58 ~ 22:00)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KBS 제1라디오/프로그램, 문단=2.6)] === 심야(밤 12시 ~ 새벽 3시) === 오후 시간대의 프로그램을 재방송한다. 그리고 새벽 1시에는 "[[세월따라 노래따라]]"를 재방송한다. ==== [[세월따라 노래따라]](01:00 ~ 02:00) ==== [[KBS 한민족방송|한민족방송]]에서 방영중인 최장수 음악 프로그램으로 3라디오와 [[KBS 제1라디오|1라디오]]에서도 재방송된다. ==== [[정파(방송)|정파 방송]](03:00 ~ 05:54) ==== KBS 제3라디오는 매일 3시부터 5시 54분까지는 [[정파(방송)|방송을 하지 않는다.]] 이 시간에 주파수를 맞춰보면 아무 소리도 나지 않다가 정시에 맞춘 시보음만 수신되는 걸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방송 시작 10분 전에 시험방송 차원에서 테스트 톤이 송출되고 있다. 중간 시보음은 평소에 쓰는 4초 시보음을 사용하고 있다.] >지금까지 여러분께서는 대한민국 서울에서 방송해드리는 KBS 한국방송 제3라디오 사랑의 소리방송을 들으셨습니다. >KBS 3라디오 사랑의 소리방송은 수도권 FM 104.9㎒, AM 1134㎑, 전주 675㎑, 창원 936㎑, 순천 576㎑로 >매일 오전 6시부터 다음날 오전 3시까지 하루 21시간 방송해드리고 있습니다. >KBS 한국방송은 2023년 방송지표를 '신뢰로 여는 통합의 창 KBS'로 정했습니다.[* 예외로 2021년에는 그동안 즐겨 썼던 어구인 '~로 정했습니다.'가 안나왔고 방송지표임에도 '방송지표를' 이라는 언급을 따로 하지 않았다.] >KBS는 신뢰로 여는 통합의 미래, 대한민국의 열린 창이 되겠습니다. >KBS 한국방송은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심의규정을 준수합니다. >라디오 방송 편성책임자는 라디오센터장 ○○○[*23A 2023년 기준 정일서.] 입니다. >다음 방송시간까지 안녕히 계십시오. >애국가(전체)[* 2라디오와 달리 끝까지 나가지 않고 4절 후렴구 말미에 페이드 아웃된다.] >----- >'''방송종료멘트.'''[*2023 2023년, [[남현종]] 아나운서가 녹음] 이후 방송을 마친다.[* AM 1134kHz, FM 104.9㎒ 기준으로 방송 종료 이후 새벽 03:05~05:35까지 연주소 송신을 끊으며 방송 시작 10분 전까지 새벽 4시, 아침 5시 시보 빼곤 아무 소리도 안나온다.] ==== 개시방송/여기는 제3라디오(05:54 ~ 06:00) ==== KBS 제3라디오의 라디오 방송 고지(告知). 쉽게 말하면 화면조정시간의 라디오 버전이라고 보면 된다. 종료고지는 바로 위 정파 방송 문단에 기술되어 있고 이 문단에서는 시작고지를 기술하고 있다. >(정파) >KBS 사가(1절) >청취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여기는 대한민국 서울에서 방송해드리는 KBS 한국방송 제3라디오 사랑의 소리방송입니다. >KBS 3라디오 사랑의 소리방송은 수도권 FM 104.9㎒, AM 1134㎑, 전주 675㎑, 창원 936㎑, 순천 576㎑로 >매일 오전 6시부터 다음날 오전 3시까지 하루 21시간 방송해드리고 있습니다. >KBS 한국방송은 2023년 방송지표를 '신뢰로 여는 통합의 창 KBS'로 정했습니다.[* 예외적으로 2021년에는 그동안 즐겨썼던 어구인 '~로 정했습니다.'가 안 나왔고 방송지표임에도 '방송지표를' 이라는 언급을 따로 하지 않았다.] >KBS는 신뢰로 여는 통합의 미래, 대한민국의 열린 창이 되겠습니다. >KBS 한국방송은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심의규정을 준수합니다. >라디오 방송 편성책임자는 라디오센터장 ○○○[*23A 2023년 기준 정일서.] 입니다. >애국가(전체) >좋은방송 밝은내일 KBS가 6시를 알려드립니다. KBS 제3라디오 사랑의 소리방송입니다. HLKC >---- >'''방송시작멘트'''[*2023] [[분류:KBS 라디오]][[분류:대한민국의 방송]][[분류:라디오 방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