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국의 바둑 기전)] ||<:><-2>{{{#fff '''{{{+2 KBS 바둑왕전}}}'''[br]KBS 바둑王戰 / KBS杯 }}}|| || 주관 ||[[한국기원]] || || 주최, 후원 ||[[한국방송공사|KBS]] || ||<|2> 중계 ||[[KBS 1TV]] ([[일요일]] 새벽 0시 35분[* 1시에서 다소 당겨졌다.]) || ||진행 : [[김여원]] / 해설 : [[박정상]] 九단 (41기 ~) || || 상금 ||총 상금 1억 1,600만 원(우승 2,000만원, 준우승 600만원) || || 대회방식 ||본선 8강 [[토너먼트(스포츠)|토너먼트]] 단판 승부[* 40기까지는 결승 3번기 승부였으나 41기부터 결승도 단판으로 진행한다.][br](전기 시드 2명, 주최사 시드 1명, 랭킹 상위 5명 초청) || || 대국규정 ||제한시간 각자 5분, 30초 초읽기 5회 || || 계가 ||한국룰 덤 6.5집 || || 최근 우승자 ||[[신진서]] 九단 ([[제41기 KBS 바둑왕전]]) || || 최다 우승자 ||[[이창호]] 九단 (11회) || || 홈페이지 ||[[http://www.kbs.co.kr/1tv/sisa/baduk/|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한국기원]] 주관 [[바둑]] 기전. [[한국방송공사]] 주최로 열리며, [[TV 바둑 아시아 선수권대회]]를 위한 차원에 가깝다. 전신은 1979년 10월에 시작된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9100100329205008&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9-10-01&officeId=00032&pageNo=5&printNo=10462&publishType=00020|이었다.]] 1980년부터 현 명칭으로 변경. 원래는 [[KBS 1TV|KBS1]]-[[KBS 3TV|KBS3]](현 [[EBS 1TV|EBS1]])에서 했다가 1990년에 [[KBS 2TV|KBS2]]로, 1996년 15기 11국부터 KBS위성1-KBS KOREA를 거쳐 2005년부터 KBS1로 다시 옮겼다. 2010년 29기부터 타이틀 로고 및 OP영상, 테마곡을 변경했으며, 35기부터 다시 변경하였다.[* 3D CG 오프닝은 14기에서 처음 도입.] == 상세 == 속기바둑 중에서도 굉장히 제한시간이 짧은 편에 속한다. 그리고 본방송이 [[자정]] 조금 넘은 시간에 있다. 물론 실제 대국과 녹화는 며칠 전에 하며 대국시간은 15:00. 직전 대회인 38기 대회의 본방송 시간과 달리 주간시간대에 방송된 적도 많다. 해당 내역은 아래와 같다(방송사별 짧은 공백기간은 제외). * [[KBS 1TV|KBS1]] : 1980년 1월 6일~1980년 12월 28일, 1998년 5월 20일~21일[* 당시 특별생방송으로 진행되었던 16기 결승으로, 이 기간 오프닝 타이틀에 당시 KBS의 바둑 국제대회 중계 시그널을 사용했었다.] * [[KBS 2TV|KBS2]] : 1987년 3월 8일~1987년 5월 10일 * 이제는 [[한국교육방송공사|남남]]이 바둑강의용 된 지 오래인 [[KBS 3TV|구 KBS 3TV]](...) : 1982년 9월 26일~1990년 12월 23일[* 이후 1991년부터 2014년까지 로 계승된다.] * [[KBS N LIFE|KBS 코리아]] : 2002년 3월 3일~2005년 6월 12일(2002년 8월 10일, 8월 17일, 9월 2일, 10월 13일만 제외[* 그나마도 이 땐 자정 전(밤 11시)에 본방송을 시작했었다. 차주 편성 제외.]) * [[KBS 1TV|KBS 위성 1]] : 1997년 3월 9일~1998년 1월 4일, 1998년 5월 20일~21일(KBS1과 재송신 및 동시방송) * [[KBS N LIFE|KBS 위성 2]] : 1999년 6월 20일~2001년 7월 29일 [[한국기원]]에 기보가 올라오지 않고, [[KBS 1TV|KBS]] 본방송에서만 보이며 방영 후 사이버오로 및 한국기원 국내뉴스에 소식이 전해진다. [[일본기원]]([[NHK배]])과 중국기원(CCTV배)은 기보가 올라와서 [[http://www.go4go.net/go/]] 같은 사이트에 업로드되는데 한국 KBS 바둑왕전만 이렇다. 한국기원에야 찾으라면 찾을 수 있다. 하지만, 36기의 경우 4월 이후로 업데이트가 없다.(1회전 일부 올라옴) 한때는 [[노영하]] 9단의 말솜씨로 사랑받았던 바둑 기전이었으나, [[2017년]] 바둑왕전은 [[2017년 공영방송 총파업]] 여파로 1회전 이후 진행이 중단되었다.(방송은 10월 22일 16강전 김기용 - 한승주가 최신) 이후 12월 13일에 한국기원에서 재개되었다. '''방송 녹화를 하지 않고''' 그냥 대회만 속행한 상태였다. 다행히 2018년 3월 11일 준결승전부터 방송을 재개했다. 2018년에는 원래 전년도 [[12월]]에 하는 바둑왕전 예선이 취소되어 KBS 바둑왕전이 완전히 취소된다는 이야기가 있었다. 하지만 [[한국방송공사]]의 파업이 끝나면서 [[2018년]] [[3월]]에 KBS 바둑왕전 예선이 다시 잡혔다. 하지만 이미 4개월이나 일정이 늦어진 상태라, 2018년 대회는 그야말로 '''급조대회'''의 [[끝판왕]]이 되었다. 31기 대회까진 스튜디오 변화 없이 달랑 바둑판 보드 하나만 놓고 기보를 설명했으나, 32기 대회부터 스튜디오를 현대식으로 개편했다. 그러나 기수를 거쳐가면서 오프닝이나 자막 등등의 변화가 있었다곤 하지만 저작권의 문제 때문인지 변천사를 알 수 있는 영상이 보이지 않는다. == [[TV 바둑 아시아 선수권대회]] 출전권 == KBS 바둑왕전, NHK배, CCTV 상위 입상자들이 모여서 하는 세계대회인 [[TV 바둑 아시아 선수권대회]]의 예선에 가깝다. KBS 바둑왕전 우승자와 준우승자는 자동으로 진출한다. 그리고 3위는 우승자와 준우승자 중에서 이미 TV 바둑 아시아 선수권대회 우승자(차년도 시드)에 겹칠 경우에 공석이 되는 관계로 선발전을 치러서 이길 경우 출전할 수 있다. 2019년 31회 대회 끝으로 폐지되었다. == 대회 중지 == [[2019년]] [[11월]], [[한국방송공사]]는 [[시청률]] 부진으로 인해 [[제38기 KBS 바둑왕전]]을 끝으로 KBS 바둑왕전을 완전히 중지하기로 했다. [[2020년]] [[TV아시아]]에 한국 바둑기사들이 출전하는 것을 마지막으로 TV아시아 한국 기사 출전 또는 한국 개최 역시 포기하기로 했다. 그러나 2020년 대회 개최불발 및 대회가 폐지되고, 본선을 8강으로 단축하는것으로 변경하여 재개되었으나 2021년 대회 끝으로 폐지되는듯 보였으나 2023년 1월, 한국기원 홈페이지에 제41기 대진표가 공지되면서 아직 폐지가 되지 않았음을 알렸다. == 역대 기록자 == * 김원 6단 * 홍맑은샘 아마 7단 (재일교포) * 채영석 아마 5단 * 온승훈 아마 6단 == 역대 계시자 == * 승순선 아마 5단 * 강효숙 아마 4단 * 김미동 아마 4단 * 강나연 아마 5단 * 이지영 아마 4단 * 김선희 아마 5단 * 민윤경 아마 5단 * 김민이 아마 5단 == 대회 규모 축소 == [[한국기원]] 홈페이지 內 '8월 일정' 페이지에는 어째서인지 '''제39기 KBS바둑왕전 예선'''이 기록되어 있다. 본선 8강 체제로 변형해 치르는 것으로 보인다.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370&aid=0000005584|#]] [[2020년]]에 한해 KBS에서 한 해 더 기회를 줬다고 한다. 이번에는 '''[[시청률]]을 올릴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 지난 대회처럼 녹화 방송을 하게 된 거 같으니[* 변화가 있다면 [[4K UHD]] 영상으로 녹화 방송을 한다는 점이다.] 별 수 없지만, 그것보다도 편성시간대를 '''(변한 거 1도 없이)자정'''(...)으로 잡으면 답이 없다...[* 당연하다면 당연하지만 사람들이 잘 안보는 시간대다. 특히나 아침에 일찍 일어나고 저녁에 일찍 잠드는 생활패턴을 지닌 중장년, 노년층 시청자가 많은 바둑의 경우 더더욱.]--한국기원은 힘이 없다 는 걸 간접적으로 보여질 수도 있고..-- 이번에도 자정/새벽 시간대로 편성이 잡히며 시청률은 포기해야되는 상황이 와 버렸다. 2021년 9월 29일 한국기원을 통해 제40기 KBS 바둑왕전 대진표가 올라왔다. 40기 대회도 8강 토너먼트로 진행될 예정이다. 이번 대회부터 예선전을 없애고 전기 시드 2명, 주최사 KBS측의 시드 1명, 랭킹 상위자 5명[* 불참자는 차순위자로 대체] 총 8명을 초청해서 대결하는 초청전으로 바뀌어 제한기전으로 분류되었고 41기 부터 결승전은 단판승부로 변경되었다. == 역대 대회 == * [[2017년]]: [[제36기 KBS 바둑왕전]] * [[2018년]]: [[제37기 KBS 바둑왕전]] * [[2019년]]: [[제38기 KBS 바둑왕전]] * [[2020년]]: [[제39기 KBS 바둑왕전]] * [[2021년]]: [[제40기 KBS 바둑왕전]] * [[2023년]]: [[제41기 KBS 바둑왕전]] == 역대 진행자 == * 정수현 九단 * [[최유진(바둑캐스터)|최유진]] 캐스터 * [[노영하]] 九단 (1983년 ~ 2013년) * [[박정상]] 九단 (2013년 ~ 2019년, 2023년 ~) * [[송태곤]] 九단 (2020 ~ 2021) * [[이소용]] 캐스터(2017 ~ 2021), * [[김여원]] 캐스터(2023 ~ ) == 역대 우승자 == ||<:>회차 ||<:>연도 ||<:>우승자 ||<:>전적 ||<:> 준우승자 ||<:> 비고 || ||<:> 1 ||<:> [[1980년]] ||<:> [[조훈현]] 八단 || 2:0 ||<:> [[노영하]] 七단 ||   || ||<:> 2 ||<:> [[1982년]] ||<:> 조훈현 九단 || 2:0 ||<:> [[김희중(바둑)|김희중]] 七단 ||   || ||<:> 3 ||<:> [[1983년]] ||<:> [[서봉수]] 七단 || 2:0 ||<:> 김좌기 四단 ||   || ||<:> 4 ||<:> [[1984년]] ||<:> 조훈현 九단 || 2:1 ||<:> 서봉수 八단 ||   || ||<:> 5 ||<:> [[1985년]] ||<:> [[하찬석]] 七단 || 2:1 ||<:> 김희중 七단 || 생전 5기 우승 || ||<:> 6 ||<:> [[1986년]] ||<:> 조훈현 九단 || 2:1 ||<:> 김희중 七단 ||   || ||<:> 7 ||<:> [[1987년]] ||<:> 조훈현 九단 || 2:0 ||<:> [[서능욱]] 八단 ||   || ||<:> 8 ||<:> [[1988년]] ||<:> [[이창호]] 三단 || 2:0 ||<:> [[김수장]] 七단 ||<:> [[이창호]], 한국 [[바둑 기전]] 최연소 [[우승]](만 13세 6개월) || ||<:> 9 ||<:> [[1989년]] ||<:> 조훈현 九단 || 2:1 ||<:> 서능욱 八단 ||   || ||<:> 10 ||<:> [[1990년]] ||<:> 조훈현 九단 || 2:0 ||<:> 서능욱 八단 ||   || ||<:> 11 ||<:> [[1991년]] ||<:> 이창호 六단 || 2:1 ||<:> 조훈현 九단 ||   || ||<:> 12 ||<:> [[1992년]] ||<:> 조훈현 九단 || 2:0 ||<:> [[유창혁]] 六단 ||   || ||<:> 13 ||<:> [[1994년]] ||<:> 이창호 七단 || 2:0 ||<:> 조훈현 九단 ||   || ||<:> 14 ||<:> [[1995년]] ||<:> 유창혁 七단 || 2:0 ||<:> 이창호 七단 ||   || ||<:> 15 ||<:> [[1996년]] ||<:> 조훈현 九단 || 2:1 ||<:> 이창호 九단 ||   || ||<:> 16 ||<:> [[1997년]] ||<:> 조훈현 九단 || 2:0 ||<:> 이창호 九단 ||   || ||<:> 17 ||<:> [[1998년]] ||<:> 이창호 九단 || 2:0 ||<:> 정수현 九단 ||   || ||<:> 18 ||<:> [[1999년]] ||<:> 조훈현 九단 || 2:0 ||<:> 이창호 九단 ||   || ||<:> 19 ||<:> [[2000년]] ||<:> [[목진석]] 五단 || 2:1 ||<:> 이창호 九단 ||<:> 본격 포스트 이창호 시대를 알림 || ||<:> 20 ||<:> [[2001년]] ||<:> 이창호 九단 || 2:0 ||<:> [[이세돌]] 三단 ||   || ||<:> 21 ||<:> [[2002년]] ||<:> 이창호 九단 || 2:1 ||<:> 이상훈(大) 七단 ||   || ||<:> 22 ||<:> [[2003년]] ||<:> [[송태곤]] 五단 || 2:0 ||<:> [[박병규]] 四단 ||   || ||<:> 23 ||<:> [[2004년]] ||<:> 이창호 九단 || 2:0 ||<:> [[조한승]] 七단 ||   || ||<:> 24 ||<:> [[2005년]] ||<:> 이창호 九단 || 2:0 ||<:> 유창혁 九단 ||   || ||<:> 25 ||<:> [[2006년]] ||<:> 이세돌 九단 || 2:0 ||<:> [[최철한]] 九단 ||   || ||<:> 26 ||<:> [[2007년]] ||<:> 이창호 九단 || 2:1 ||<:> 조한승 七단 ||   || ||<:> 27 ||<:> [[2008년]] ||<:> 이창호 九단 || 2:1 ||<:> 이세돌 九단 ||   || ||<:> 28 ||<:> [[2009년]] ||<:> 이창호 九단 || 2:0 ||<:> [[강동윤]] 九단 ||<:> 이창호 통산 '''11회''' 우승 및 대회 최초 3연패 || ||<:> 29 ||<:> [[2010년]] ||<:> [[박정환(바둑기사)|박정환]] 八단 || 2:0 ||<:> [[백홍석(1986)|백홍석]] 七단 ||   || ||<:> 30 ||<:> [[2011년]] ||<:> 박정환 九단 || 2:0 ||<:> 백홍석 九단 ||   || ||<:> 31 ||<:> [[2012년]] ||<:> 박정환 九단 || 2:1 ||<:> 이창호 九단 ||   || ||<:> 32 ||<:> [[2013년]] ||<:> 이세돌 九단 || 2:1 ||<:> 박정환 九단 ||   || ||<:> 33 ||<:> [[2014년]] ||<:> 이동훈 四단 || 2:0 ||<:> 박정환 九단 || 이동훈, 국내대회 첫 우승  || ||<:> 34 ||<:> [[2015년]] ||<:> 박정환 九단 || 2:1 ||<:> 이세돌 九단 ||   || ||<:> 35 ||<:> [[2016년]] ||<:> 이세돌 九단 || 2:0 ||<:> [[나현(바둑기사)|나 현]] 七단 ||   || ||<:> 36 ||<:> [[제36기 KBS 바둑왕전|2017년]] ||<:> 박정환 九단 || 2:0 ||<:> [[김지석(바둑)|김지석]] 九단 ||   || ||<:> 37 ||<:> [[제37기 KBS 바둑왕전|2018년]] ||<:> [[신민준]] 九단 || 2:0 ||<:> 박정환 九단 ||<:> [[신민준]], 종합바둑기전 '''첫''' 우승 || ||<:> 38 ||<:> [[제38기 KBS 바둑왕전|2019년]] ||<:> [[신진서]] 九단 || 2:1 ||<:> 신민준 九단 ||   || ||<:> 39 ||<:> [[제39기 KBS 바둑왕전|2020년]] ||<:> 신진서 九단 || 2:0 ||<:> [[안성준(바둑)|안성준]] 八단 || 안성준 선수, 특별승단[* 국내대회 준우승 시 1단 승단] 규정 적용으로 九단으로 승단함 || ||<:> 40 ||<:> [[제40기 KBS 바둑왕전|2021년]] ||<:> 신진서 九단 || 2:0 ||<:> 박정환 九단 ||   || ||<:> 41[* 이 대회부터 결승을 단판승부로 진행한다.] ||<:> [[제41기 KBS 바둑왕전|2023년]] ||<:> 신진서 九단 || 1:0 ||<:> 박정환 九단 || 신진서, 바둑왕전 사상 첫 '''4연패''' || [[조훈현]] 九단과 [[이창호]] 九단이 각각 11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세돌]] 九단은 의외로 3회 우승에 그쳤다. [[박정환]] 九단이 5회(3연패 포함), [[신진서]] 九단은 4회(최근 4연패 중이다.) 우승. == 경쟁 프로그램 == * MBC 바둑제왕전 (1982~1995) - 해당 프로는 [[윤기현]] 九단이 해설을 맡았다. * SBS 세계 바둑 최강전 (1992~1997) [[분류:KBS 바둑왕전]][[분류:나무위키 바둑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