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KBO 퓨처스리그/시즌]][[분류:KBO 리그/2022년]] [include(틀:상위 문서, top1=KBO 퓨처스리그)] [include(틀:KBO 퓨처스리그/역대 시즌)] ||<-4>
<:> '''{{{#A3D3D7 2022 신한은행 SOL KBO 퓨처스리그}}}''' || ||<:><-4> [[파일:2022 KBO 퓨처스리그 엠블럼.svg|width=300]] || ||<:> '''{{{#A3D3D7 기간}}}''' ||<-3> [[2022년]] [[4월 5일]] ~ [[10월 6일]] || ||<|2><:> '''{{{#A3D3D7 참가팀}}}''' || '''북부리그''' ||<-2> [[LG 트윈스/2군|LG 트윈스]], [[고양 히어로즈]], [[두산 베어스/2군|두산 베어스]], [[SSG 랜더스/2군|SSG 랜더스]], [[한화 이글스/2군|한화 이글스]] || ||<:> '''남부리그''' ||<-2> [[상무 피닉스 야구단]], [[롯데 자이언츠 2군|롯데 자이언츠]], [br] [[NC 다이노스/2군|NC 다이노스]], [[삼성 라이온즈/2군|삼성 라이온즈]], [[kt wiz/2군|kt wiz]], [[KIA 타이거즈/2군|KIA 타이거즈]] || ||<:> '''{{{#A3D3D7 리그 스폰서}}}''' ||<:><-3> [[신한은행|[[파일:신한은행 베이직 로고.svg|width=100&theme=light]][[파일:신한은행 베이직 로고 (흰색).svg|width=100&theme=dark]]]] || [목차] [clearfix] == 개요 == [[KBO 퓨처스리그]]의 2022 시즌을 정리한 문서. == 변경사항 == * 지난 시즌과는 다르게 [[신한은행]]이 KBO리그와 KBO 퓨처스 리그 모두 타이틀 스폰서를 맡았다. == 방식 == * 작년과 같이 북부와 남부 2개 리그로 나뉘어 진행된다. 단 작년에 비해 북부리그는 팀당 8경기가 증가해 팀당 112경기를, 남부리그는 팀당 115경기를 소화해 10월 6일까지 총 625경기가 열린다. * 경기 개시 시간은 13시이며, 7월 8일부터 8월 21일까지는 서머 리그 기간으로 혹서기 선수 보호와 경기력 향상을 위해 모든 경기를 야간 경기인 18시에 진행한다. 서머 리그 기간에는 기존 KBO리그 구장뿐만 아니라 연고 도시 외 춘천에 19경기, 울산에도 9경기를 편성한다. * 경기 취소 시 7, 8월을 제외하고는 다음날 더블헤더로 편성되며 해당 경기는 1, 2차전 모두 7이닝 경기로 치러진다. == [[KBO 퓨처스 올스타전]] == == 최종 순위 == === 북부리그 === ||
'''{{{#white 순위}}}''' || '''{{{#white 팀}}}''' || '''{{{#white 경기수}}}''' || '''{{{#white 승}}}''' || '''{{{#white 무}}}''' || '''{{{#white 패}}}''' || '''{{{#white 승률}}}''' || '''{{{#white 게임차}}}''' || || 1위 || [[한화 이글스/2군|한화 이글스]] || 98 || 63 || 2 || 33 || 0.656 || 0.0 || || 2위 || [[LG 트윈스/2군|LG 트윈스]] || 103 || 56 || 4 || 43 || 0.566 || 8.5 || || 3위 || [[고양 히어로즈]] || 102 || 49 || 4 || 49 || 0.500 || 15.0 || || 4위 || [[SSG 랜더스/2군|SSG 랜더스]] || 98 || 39 || 5 || 54 || 0.419 || 22.5 || || 5위 || [[두산 베어스/2군|두산 베어스]] || 102 || 32 || 4 || 66 || 0.327 || 32.0 || === 남부리그 === ||
'''{{{#white 순위}}}''' || '''{{{#white 팀}}}''' || '''{{{#white 경기수}}}''' || '''{{{#white 승}}}''' || '''{{{#white 무}}}''' || '''{{{#white 패}}}''' || '''{{{#white 승률}}}''' || '''{{{#white 게임차}}}''' || || 1위 || [[상무 피닉스 야구단]] || 99 || 78 || 0 || 21 || 0.788 || 0.0 || || 2위 || [[NC 다이노스/2군|NC 다이노스]] || 106 || 54 || 5 || 47 || 0.535 || 25.0 || || 3위 || [[삼성 라이온즈/2군|삼성 라이온즈]] || 103 || 52 || 4 || 47 || 0.525 || 26.0 || || 4위 || [[롯데 자이언츠/2군|롯데 자이언츠]] || 108 || 47 || 2 || 59 || 0.443 || 34.5 || || 5위 || [[kt wiz/2군|kt wiz]] || 105 || 41 || 3 || 61 || 0.402 || 38.5 || || 6위 || [[KIA 타이거즈/2군|KIA 타이거즈]] || 104 || 36 || 1 || 67 || 0.350 || 44.0 || === 번외 경기 === * 열리지 않았다. == 정규 시즌 기록 1위 == * 실제 수상이 이뤄지는 부문은 굵게 표시. * 군경팀 복무 선수 중 시즌 말미 원소속 팀에 복귀·등록된 경우는 군경팀 소속을 기준으로 분류. * 투수 ||
|| {{{#white 북부리그}}} || {{{#white 남부리그}}} || || 등판경기 || [[성동현]](LG) / 42경기 || [[안광준]](kt) / 49경기 || || '''평균자책점''' || [[이지강]](LG) / 2.38 || [[김기훈(야구선수)|김기훈]](상무) / 2.95 || || '''승리''' || [[송윤준]](한화) / 15승 || [[김민규(1999)|김민규]](상무), [[이상영]](상무), [[이원준(야구선수)|이원준]](상무) / 10승 || || 패전 || [[박웅(야구선수)|박웅]](두산), [[윤수호(야구선수)|윤수호]](두산), [[장빈(야구선수)|장빈]](두산) / 9패 || [[강이준]](KIA) / 10패 || || 세이브 || [[박승주(야구선수)|박승주]](고양) / 13세이브 || [[김민(야구선수)|김민]](상무) / 12세이브 || || 홀드 || [[강정현]](LG) / 11홀드 || [[배동현]](상무) / 10홀드 || || 이닝 || [[박웅(야구선수)|박웅]] / 105 2/3이닝 || [[이상영]](상무) / 119 2/3이닝 || || 탈삼진 || [[이지강]](LG) / 85개 || [[이상영]](상무) / 109개 || || 사사구 || [[윤수호(야구선수)|윤수호]](두산) / 70개 || [[강이준]](KIA) / 86개 || || 피안타 || [[박웅(야구선수)|박웅]](두산) / 128개 || [[이상영]](상무) / 110개 || || 피홈런 || [[장빈(야구선수)|장빈]](두산) / 11개 || [[정대혁]](롯데) / 12개 || * 타자 ||
|| {{{#white 북부리그}}} || {{{#white 남부리그}}} || || 출장경기 || [[양경식]](고양) / 96경기 || [[김주현(1993)|김주현]](롯데) / 99경기 || || '''타율''' || [[이주형(2002)|이주형]](고양) / 0.349 || [[최원준(1997)|최원준]](상무) / 0.382 || || 안타 || [[양경식]], [[이주형(2002)|이주형]](고양) / 87개 || [[최원준(1997)|최원준]](상무) / 124개 || || 2루타 || [[이주형(2002)|이주형]](고양) / 19개 || [[최준우]](상무) / 26개 || || 3루타 || [[유상빈]](한화) / 6개 || [[이유찬]](상무), [[김성윤]](삼성) / 5개 || || '''홈런''' || [[주성원]](고양), [[김민혁(1996)|김민혁]](두산), [[홍성호(야구선수)|홍성호]](두산) / 10개 || [[오장한]](NC) / 17개 || || '''타점''' || [[정민규]](한화) / 51타점 || [[최준우]](상무) / 83타점 || || 득점 || [[양경식]] (고양) / 65득점 || [[이유찬]], [[최원준(1997)|최원준]] / 90득점 || || 도루 || [[신민재(1996)|신민재]](LG) / 34개 || [[이유찬]](상무) / 34개 || || 사사구 || [[양경식]](고양) / 59개 || [[최원준(1997)|최원준]](상무) / 95개 || || 삼진 || [[김동준(2002)|김동준]](두산) / 92개 || [[오장한]](NC) / 90개 || || 출루율 || [[신민재(1996)|신민재]](LG) / 0.429 || [[최원준(1997)|최원준]](상무) / 0.509 || || 장타율 || [[이주형(2002)|이주형]](고양) / 0.490 || [[최원준(1997)|최원준]](상무) / 0.511 || == 팀별 문서 == * 개별 문서가 있거나 기록이 서술된 팀만 표기한다. * [[고양 히어로즈/2022년]] * [[삼성 라이온즈/2군/2022년]] == 중계 방송사 == * [[한국야구위원회|KBO]] [[https://www.youtube.com/channel/UCoVz66yWHzVsXAFG8WhJK9g/featured|유튜브]] [* 기존 중계제작업체 '스포카도'가 2020년부터 2022년까지 퓨처스리그 중계권 계약을 체결한 상태였지만, 회사가 운영을 중단한 것으로 추정된다. 2022년에는 KBO 중계 4사(KBS N, MBC 플러스, SBS미디어넷, SPOTV)가 퓨처스 중계권을 계약한 뒤 다시 외주제작을 맡기는 형태로 KBO 유튜브 자체중계가 되었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