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KBO 퓨처스리그/시즌]][[분류:KBO 리그/2017년]] [include(틀:상위 문서, top1=KBO 퓨처스리그)] [include(틀:KBO 퓨처스리그/역대 시즌)] ||<-3><#FFFFFF><:> || ||<#151B54><:> '''{{{#ffffff 기간}}}''' ||<-2> 2017년 4월 4일 ~ 9월 3일 || ||<#151B54><|2><:> '''{{{#ffffff 참가팀}}}''' || '''북부리그''' || [[LG 트윈스/2군|LG 트윈스]], [[두산 베어스/2군|두산 베어스]], [[경찰 야구단|경찰]], [br] [[화성 히어로즈]], [[고양 다이노스]], [[SK 와이번스/2군|SK 와이번스]] || ||<:> '''남부리그''' || [[롯데 자이언츠 2군|롯데 자이언츠]], [[삼성 라이온즈/2군|삼성 라이온즈]], [[상무 피닉스 야구단]], [br] [[KIA 타이거즈/2군|KIA 타이거즈]], [[kt wiz/2군|kt wiz]], [[한화 이글스/2군|한화 이글스]] || ||<#151B54><:> '''{{{#ffffff 리그 스폰서}}}''' ||<:><-2> 없음 || [목차] == 소개 == == 변경사항 == * 규정 변화 : 2017 시즌을 앞두고 퓨처스리그의 경우에는 크게 4가지 규정 변화가 있다. * 경기 시작 시간은 13시로 기존과 동일하지만, 혹서기인 7월과 8월 동안은 16시에 시행하는 것으로 변경됐다. 특히 무더위가 가장 심할 시기를 '퓨처스 서머리그'로 지정해 이 기간의 모든 평일경기는 18시에, 주말경기는 18시 30분에 시작하기로 하며 경기도 1군 경기장이나 제2홈구장에서 열렸다. 사정에 따라 필요시에는 11시나 16시, 18시(야간) 경기도 가능하다. * 월요일 경기도 편성돼 1군 구장에서도 경기할 수 있게 됐다. 이 경우 휴식일은 월요일에서 목요일로 변경된다. * 기존의 엔트리에서 제외될 경우 3일간 등록 제한 규정이 사라졌고 당일 엔트리 등록제로 변경됐다. * 우천 순연돼 재편성된 인터리그 경기가 다시 기타 사유로 인해 취소될 경우에는 추가 편성하지 않기로 했다. * 2016년 10월 13일 열린 이사회에서 국내 프로구단에 입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해외에 진출했다가 귀국한 선수 중 올림픽, 아시안 게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프리미어 12 등 주요 국제대회에서 국가대표로 참가한 선수의 경우 '''국내 복귀를 조건으로''' 군경팀 소속으로 퓨처스리그 출전을 허용하기로 했다. 그러나 이 규정 변경이 사실상 [[이대은]] 1명만을 위한 특혜라는 비판이 만만치 않았다.[* 실제로 이대은 외에 개정된 규정을 적용받을 선수는 현실적으로 없다.] 그리고 국내 복귀 조건이 명시만 했을 뿐 '''강제성이 없다'''는 문제도 있다. 2차지명 참가를 의무화하지 않은데다가 다시 외국 프로 팀과 계약할 경우 어떤 조치를 취한다는 조항도 빠져 있다. 이러한 규정의 미비는 이대은의 신인 2차지명 참가 결정 직전까지 이어진 숱한 논란을 불렀으며 아직도 해당 조항은 개정이 되지 않은 상태다. * [[경찰 야구단]]의 연고지가 [[춘천시]]로의 변경이 추진된다. [[http://www.chmbc.co.kr/news/chnews_view.asp?seq_num=20170208003400000000T&page=1&sn=&sc=&ss=on&air=2017-02-08&word=|춘천 mbc 뉴스]] 춘천시는 [[의암 야구장]]을 홈으로, [[한국야구위원회|KBO]]에서는 경찰 야구단 숙소를 건설하는 방안으로 협의가 진행중이라고하며 협의가 완료되면 강원도에 연고를 둔 첫 야구단이 탄생하게 될듯[* [[삼미 슈퍼스타즈]]-[[청보 핀토스]]-[[태평양 돌핀스]]-[[현대 유니콘스]] 당시 광역 연고로 포함 되었지만 야구 경기는 강원도에서 열리지 않았고 현재도 [[한화 이글스]](영서)-[[삼성 라이온즈]](영동)에 연고를 두고 있지만 어디까지나 1차 지명 대상 지역일 뿐이지 지역 연고와는 무관하다. 군산상고와 전주고를 대상으로 1차지명권을 행사할 수 있는 [[NC 다이노스]]가 군산 홈 경기를 추진하다가 포기한 이유가 이 때문이다.] 했으나 막판 협상이 흐지부지 되며 별 이야기가 안 나왔다. 의무경찰 폐지 결정으로 경찰 야구단이 몇 년 안에 해체될 예정이라 굳이 연고 협약을 계속 진행할 이유가 없어서였을 듯. == [[KBO 퓨처스 올스타전]] == [[KBO 퓨처스 올스타전#s-12]] 참조. == 최종 순위 == 위에서 언급됐듯이 재편성된 인터리그 경기가 다시 취소될 경우 추가 편성하지 않아 각 팀이 치른 경기는 96경기보다 적었다. === 북부리그 === || '''{{{#white 순위}}}''' || '''{{{#white 팀}}}''' || '''{{{#white 경기수}}}''' || '''{{{#white 승}}}''' || '''{{{#white 무}}}''' || '''{{{#white 패}}}''' || '''{{{#white 승률}}}''' || '''{{{#white 게임차}}}''' || || 1위 || [[경찰 야구단]] || 95 || 55 || 6 || 34 || 0.618 || 0.0 || || 2위 || [[SSG 랜더스/2군|SK 와이번스]] || 91 || 46 || 7 || 38 || 0.548 || 6.5 || || 3위 || [[고양 히어로즈|화성 히어로즈]] || 93 || 44 || 8 || 41 || 0.518 || 9.0 || || 4위 || [[NC 다이노스/2군|고양 다이노스]] || 93 || 43 || 2 || 48 || 0.473 || 13.0 || || 5위 || [[LG 트윈스/2군|LG 트윈스]] || 95 || 41 || 6 || 48 || 0.461 || 14.0 || || 6위 || [[두산 베어스/2군|두산 베어스]] || 95 || 27 || 7 || 61 || 0.307 || 27.5 || === 남부리그 === || '''{{{#white 순위}}}''' || '''{{{#white 팀}}}''' || '''{{{#white 경기수}}}''' || '''{{{#white 승}}}''' || '''{{{#white 무}}}''' || '''{{{#white 패}}}''' || '''{{{#white 승률}}}''' || '''{{{#white 게임차}}}''' || || 1위 || [[상무 피닉스 야구단]] || 94 || 62 || 4 || 28 || 0.689 || 0.0 || || 2위 || [[KIA 타이거즈/2군|KIA 타이거즈]] || 93 || 48 || 5 || 40 || 0.545 || 13.0 || || 3위 || [[kt wiz/2군|kt wiz]] || 92 || 42 || 13 || 37 || 0.532 || 14.5 || || 4위 || [[한화 이글스/2군|한화 이글스]] || 95 || 44 || 5 || 46 || 0.489 || 18.0 || || 5위 || [[삼성 라이온즈/2군|삼성 라이온즈]] || 94 || 40 || 6 || 48 || 0.455 || 21.0 || || 6위 || [[롯데 자이언츠/2군|롯데 자이언츠]] || 94 || 34 || 3 || 57 || 0.374 || 28.5 || === 번외경기 === || '''{{{#white 팀}}}''' || '''{{{#white 경기수}}}''' || '''{{{#white 승}}}''' || '''{{{#white 무}}}''' || '''{{{#white 패}}}''' || '''{{{#white 승률}}}''' ||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5 || 3 || 0 || 2 || 0.600 || == 정규시즌 기록 1위 == 실제 수상이 이뤄지는 부문은 굵게 표시. * 투수 || || 북부리그 || 남부리그 || || 등판경기 || 조태진(화성) / 45경기 || 정태승(롯데) / 40경기 || || '''평균자책점''' || [[이대은]](경찰) / 2.93 || [[임지섭]](상무) / 2.68 || || '''승리''' || [[김태훈(1992)|김동준]](경찰) / 10승 || [[임지섭]](상무) / 11승 || || 패전 || [[김윤환(1995)|김윤환]](화성) / 8패 || [[김병현(1998)|김병현]](한화) / 10패 || || 세이브 || [[홍성민]](경찰) / 14세이브 || [[구승민]](상무) / 14세이브 || || 홀드 || [[남윤성(야구)|남윤성]](SK), [[이영준(1991)|이영준]](화성), 조태진(화성) / 11홀드 || [[강동연]](상무) / 9홀드 || || 이닝 || [[김태훈(1992)|김동준]](경찰) / 103이닝 || [[박세진]](kt) / 107⅓이닝 || || 탈삼진 || [[이대은]](경찰) / 140개[* 2010년 [[임준혁]](당시 상무)의 탈삼진 기록(135개) 경신.] || [[임지섭]](상무) / 117개 || || 사사구 || 송주영(두산) / 50개 || 이지원(롯데) / 60개 || || 피안타 || [[이인복(야구선수)|이인복]](경찰) / 119개 || [[박세진]](kt) / 128개 || || 피홈런 || [[김태훈(1992)|김동준]](경찰) / 22개 || [[김병현(1998)|김병현]](한화) / 16개 || * 타자 || || 북부리그 || 남부리그 || || 출장경기 || [[윤형준|윤대영]](경찰) / 93경기 || [[김민혁(1995)|김민혁]](상무) / 93경기 || || '''타율''' || [[홍창기]](경찰) / 0.401 || [[유민상(야구선수)|유민상]](kt) / 0.367 || || 안타 || [[윤형준|윤대영]](경찰) / 118안타 || [[김민혁(1995)|김민혁]](상무) / 136안타[* 2013년 [[강구성]](당시 NC)의 안타 기록(114안타) 경신.] || || 2루타 || [[윤형준|윤대영]](경찰) / 27개 || [[노진혁]](상무) / 29개[* 2014년 [[조평호]](당시 NC)의 2루타 기록(28개) 경신.] || || 3루타 || [[김인태(야구선수)|김인태]](두산), [[김재현(1987)|김재현]](SK), [[정수빈]](경찰) / 7개 || [[김민혁(1995)|김민혁]](상무) / 8개 || || '''홈런''' || [[윤형준|윤대영]](경찰) / 24개 || [[문상철]](상무) / 36개[* 2016년 [[한동민]](당시 상무)의 홈런 기록(22홈런) 경신. 리그 통합 한 시즌 최다 홈런 기록 경신.] || || '''타점''' || [[윤형준|윤대영]](경찰) / 98타점 || [[문상철]](상무) / 101타점[* 2016년 [[한동민]](당시 상무)의 타점 기록(85타점) 경신. 리그 통합 한 시즌 최다 타점 기록 타이.][* 한 시즌 최다타점 기록은 2010년 [[김재환(야구선수)|도핑적발선수]]의 상무 소속으로 거둔 101타점] || || 득점 || [[홍창기]](경찰) / 73득점 || [[김민혁(1995)|김민혁]](상무) / 89득점[* 2010년 [[정형식]](당시 삼성)의 득점 기록(74득점) 경신.] || || 도루 || [[최민재(야구선수)|최민재]](SK) / 24개 || [[김민혁(1995)|김민혁]](상무) / 37개 || || 사사구 || [[홍창기]](경찰) / 64개 || [[오준혁]](KIA) / 62개 || || 삼진 || [[김도현(야구선수)|김도현]](SK) / 79개 || [[문상철]](상무) / 84개 || || 출루율 || [[홍창기]](경찰) / 0.510 || [[유민상(야구선수)|유민상]](kt) / 0.448 || || 장타율 || [[윤형준|윤대영]](경찰) / 0.668 || [[문상철]](상무) / 0.696 || == 중계 방송사 == * [[SPOTV]] * [[MBC SPORTS+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