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KBO 리그/역대 타이틀홀더)] * '''{{{#red 빨간 글씨}}}'''는 그 기록이 한국프로야구 최고 또는 최다 기록임을 뜻한다. [목차] == 다승 == ||
'''연도''' || '''이름''' || '''소속팀''' || '''기록''' || '''비고''' || || 1982 || [[박철순]] || [[OB 베어스]] || 24 ||'''3관왕'''(다승&평균자책점&승률)&'''MVP''' || || 1983 || [[장명부]] || [[삼미 슈퍼스타즈]] || '''{{{#red 30}}}''' ||단일 시즌 최다 승 [br]'''{{{#red 유일무이 한 시즌 30승}}}''''''''' [br]골든글러브 || || 1984 || [[최동원]] || [[롯데 자이언츠]] || 27 ||'''MVP'''&'''골든글러브''', 한국시리즈 4승 || ||<|2> 1985 || [[김시진]] ||<|2> [[삼성 라이온즈]] ||<|2> 25[br](공동 1위) ||<|2>2관왕(다승&승률)&골든글러브[br]'''{{{#red 유일무이 동반 25승}}}''' || || [[김일융]] || || 1986 || [[선동열]] || [[해태 타이거즈]] || 24 ||'''2관왕'''(다승&평균자책점)&'''MVP'''&'''골든글러브''' || || 1987 || [[김시진]] || 삼성 라이온즈 || 23 ||골든글러브 || || 1988 || [[윤학길]] || 롯데 자이언츠 || 18 || - || || 1989 ||<|3> [[선동열]] ||<|3> 해태 타이거즈 || 21 ||'''3관왕'''(다승&평균자책점&승률)&'''MVP'''&'''골든글러브''' || || 1990 || 22 ||'''최초 2년 연속 다승왕'''[br]'''{{{#red 유일무이 2년 연속 20승}}}'''[br]'''3관왕'''(다승&평균자책점&승률)&'''MVP'''&'''골든글러브''' || || 1991 || 19 ||{{{#red '''유일무이 3년 연속 다승왕'''}}} [br]'''3관왕'''(다승&평균자책점&승률)&'''골든글러브''' || || 1992 || [[송진우(야구)|송진우]] || [[빙그레 이글스]] || 19 ||2관왕(다승&구원왕) || || 1993 || [[조계현]] || 해태 타이거즈 || 17 ||구단 통산 5번째 다승왕 || ||<|2> 1994 || [[이상훈(좌완투수)|이상훈]] || [[LG 트윈스]] ||<|2> 18[br](공동 1위) || - || || [[조계현]] || 해태 타이거즈 || - || || 1995 || [[이상훈]] || LG 트윈스 || 20 ||2년 연속 다승왕 [br]2관왕(다승&승률)&골든글러브 || ||<|2> 1996 || [[구대성]] || [[한화 이글스]] ||<|2> 18[br](공동 1위) ||'''4관왕'''(다승&평균자책점&구원왕&승률)&'''MVP'''&'''골든글러브''' || || [[주형광]] || 롯데 자이언츠 ||2관왕(다승&탈삼진) || || 1997 || [[김현욱(야구)|김현욱]] || [[쌍방울 레이더스]] || 20 ||'''3관왕'''(다승&평균자책점&승률) || || 1998 || [[김용수]] || LG 트윈스 || 18 ||2관왕(다승&승률) || || 1999 || [[정민태]] ||<|4> [[현대 유니콘스]] || 20 ||골든글러브 || ||<|3> 2000 || [[김수경(야구)|김수경]] ||<|3> 18[br](공동 1위) ||'''{{{#red 유일무이 팀내 3명 공동 수상}}}''' || || [[임선동]] ||2관왕(다승&탈삼진)&골든글러브 || || [[정민태]] ||2년 연속 다승왕 || ||<|2> 2001 || [[손민한]] || 롯데 자이언츠 ||<|2> 15[br](공동 1위) ||2관왕(다승&승률)[br]유일무이 꼴찌팀 다승왕 || || [[신윤호(1975)|신윤호]] || LG 트윈스 ||'''3관왕'''(다승&구원왕&승률)&'''골든글러브''' || || 2002 || [[마크 키퍼]] || [[KIA 타이거즈]] || 19 ||외국인 최초 다승왕 || || 2003 || [[정민태]] || 현대 유니콘스 || 17 ||2관왕(다승&승률)&골든글러브 || ||<|3> 2004 || [[게리 레스]] || [[두산 베어스]] ||<|3> 17[br](공동 1위) || - || || [[다니엘 리오스]]* || KIA 타이거즈 || - || || [[배영수]] || 삼성 라이온즈 ||'''2관왕'''(다승&승률)&'''MVP'''&'''골든글러브''' || || 2005 || [[손민한]] || 롯데 자이언츠 || 18 ||'''2관왕'''(다승&평균자책점)&'''MVP'''&'''골든글러브'''[br]구단 통산 5번째 다승왕 || || 2006 || [[류현진]] || 한화 이글스 || 18 ||'''{{{#red 유일무이 트리플 크라운&MVP&신인왕&골든글러브 동시 석권}}}''' || || 2007 || [[다니엘 리오스]] || 두산 베어스 || 22 ||'''3관왕'''(다승&평균자책점&승률)&'''MVP'''&'''골든글러브''' || || 2008 || [[김광현]] || [[SK 와이번스]] || 16 ||'''2관왕'''(다승&탈삼진)&'''MVP'''&'''골든글러브''' || ||<|3> 2009 || [[아킬리노 로페즈]] || KIA 타이거즈 ||<|3> 14[br](공동 1위) ||골든글러브 || || [[윤성환]] || 삼성 라이온즈 ||구단 통산 5번째 다승왕 || || [[조정훈(야구선수)|조정훈]] || 롯데 자이언츠 || - || || 2010 || [[김광현]] || SK 와이번스 || 17 || - || || 2011 || [[윤석민(투수)|윤석민]] || KIA 타이거즈 || 17 ||'''트리플 크라운'''+'''승률 1위'''('''4관왕''')&'''MVP'''&'''골든글러브'''[br]구단 통산 10번째 다승왕 || || 2012 || [[장원삼]] ||<|2> 삼성 라이온즈 || 17 ||골든글러브 || ||<|2> 2013 || [[배영수]] ||<|2> 14[br](공동 1위) ||역대 최고 평균자책점 다승왕 || || [[크리스 세든]] || SK 와이번스 || - || || 2014 || [[앤디 밴 헤켄]] || [[넥센 히어로즈]] || 20 ||골든글러브 || || 2015 || [[에릭 해커]] || [[NC 다이노스]] || 19 ||2관왕(다승&승률)&골든글러브 || || 2016 || [[더스틴 니퍼트]] || 두산 베어스 || 22 ||'''3관왕'''(다승&평균자책점&승률)&'''MVP'''&'''골든글러브''' || ||<|2> 2017 || [[양현종]] ||<|2> KIA 타이거즈 ||<|2> 20[br](공동 1위) ||'''MVP&골든글러브''' || || [[헥터 노에시]]* ||2관왕(다승&승률) || || 2018 || [[세스 후랭코프]] ||<|3> [[두산 베어스]] || 18 ||'''2관왕'''(다승&승률)[br]구단 통산 5번째 다승왕[*전신포함 [[OB 베어스]]] || || 2019 || [[조쉬 린드블럼]] || 20 ||'''3관왕'''(다승&탈삼진&승률)&'''MVP'''&'''골든글러브''' || || 2020 || [[라울 알칸타라]] || 20 ||'''2관왕'''(다승&승률)&'''골든글러브''' || ||<|2> 2021 || [[데이비드 뷰캐넌]] || 삼성 라이온즈 ||<|2> 16 [br] (공동 1위) || - || || [[에릭 요키시]] || [[키움 히어로즈]] || - || || 2022 || [[케이시 켈리]] || LG 트윈스 || 16 ||구단 통산 5번째 다승왕 || || 2023 || [[에릭 페디]] || NC 다이노스 || 20 ||'''3관왕'''(다승&평균자책점&탈삼진) || ||<-11>
'''수상 후 경과 년도 ^^전신 포함 / 해체 구단 제외^^''' || || '''[[KIA 타이거즈|{{{#ffffff KIA}}}]]''' || '''[[삼성 라이온즈|{{{#ffffff 삼성}}}]]''' || '''[[두산 베어스|{{{#ffffff 두산}}}]]''' || '''[[SSG 랜더스|{{{#ffffff SSG}}}]]''' || '''[[LG 트윈스|{{{#ffffff LG}}}]]''' || '''[[롯데 자이언츠|{{{#ffffff 롯데}}}]]''' || '''[[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 '''[[NC 다이노스|{{{#ffffff NC}}}]]''' || '''[[kt wiz|{{{#ffffff kt}}}]]''' || '''[[키움 히어로즈|{{{#ffffff 키움}}}]]''' || || [age(2017-01-01)]년 || [age(2021-01-01)]년 || [age(2020-01-01)]년 || [age(2013-01-01)]년 || [age(2022-01-01)]년 || [age(2009-01-01)]년 || '''[age(2006-01-01)]년''' || [age(2023-01-01)]년 || [*없음] || [age(2021-01-01)]년 || == 평균자책점 == ||
'''연도''' || '''이름''' || '''소속팀''' || '''기록''' || '''비고''' || || 1982 || [[박철순]] || [[OB 베어스]] || 1.82 ||'''3관왕'''(다승&평균자책점&승률)&'''MVP''' || || 1983 || [[하기룡]] || [[MBC 청룡]] || 2.33 ||최초 2점대 평균자책점으로 1위 || || 1984 || [[장호연]] || OB 베어스 || 1.58 || - || || 1985 ||<|7> [[선동열]] ||<|7> [[해태 타이거즈]] || 1.70 || - || || 1986 || 0.99 ||최초 0점대 평균자책점 [br]최초 2년 연속 평균자책점 1위 [br]'''2관왕'''(다승&평균자책점)&'''MVP'''&'''골든글러브''' || || 1987 || 0.89 ||'''최초 3년 연속 평균자책점 1위''' [br]2관왕(평균자책점&승률) || || 1988 || 1.21 ||'''최초 4년 연속 평균자책점 1위''' [br]골든글러브 || || 1989 || 1.17 ||'''최초 5년 연속 평균자책점 1위''' [br]'''3관왕(다승&평균자책점&승률)'''&'''MVP'''&'''골든글러브''' || || 1990 || 1.13 ||'''최초 6년 연속 평균자책점 1위''' [br]'''3관왕'''(다승&평균자책점&승률)&'''MVP'''&'''골든글러브''' || || 1991 || 1.55 ||'''{{{#red 유일무이 7년 연속 평균자책점 1위}}}''' [br]'''3관왕'''(다승&평균자책점&승률)&'''골든글러브''' || || 1992 || [[염종석]] || [[롯데 자이언츠]] || 2.33 ||'''신인왕'''&'''골든글러브''' || || 1993 || 선동열 || 해태 타이거즈 || '''{{{#red 0.78}}}''' ||{{{#red '''단일 시즌 최저 평균자책점'''}}} [br]2관왕(평균자책점&구원왕)&골든글러브 || || 1994 || [[정민철]] || [[한화 이글스]] || 2.15 ||2관왕(평균자책점&탈삼진) || || 1995 || [[조계현]] || 해태 타이거즈 || 1.71 || - || || 1996 || [[구대성]] || 한화 이글스 || 1.88 ||'''4관왕'''(다승&평균자책점&구원왕&승률)&'''MVP'''&'''골든글러브''' || || 1997 || [[김현욱(야구)|김현욱]] || [[쌍방울 레이더스]] || 1.88 ||'''3관왕'''(다승&평균자책점&승률) || || 1998 || [[정명원]] || [[현대 유니콘스]] || 1.86 || - || || 1999 || [[임창용]] || [[삼성 라이온즈]] || 2.14 || - || || 2000 || 구대성 || 한화 이글스 || 2.77 || - || || 2001 || [[박석진]] || 롯데 자이언츠 || 2.98 || - || || 2002 || [[나르시소 엘비라]] || 삼성 라이온즈 || 2.50 ||외국인 최초 평균자책점 1위 || || 2003 || [[셰인 바워스]] || 현대 유니콘스 || 3.01 ||최초 3점대 평균자책점으로 1위 || || 2004 || [[박명환]] || [[두산 베어스]] || 2.50 ||2관왕(평균자책점&탈삼진) || || 2005 || [[손민한]] || 롯데 자이언츠 || 2.46 ||'''2관왕'''(다승&평균자책점)&'''MVP'''&'''골든글러브''' || || 2006 || [[류현진]] || 한화 이글스 || 2.23 ||'''{{{#red 유일무이 트리플 크라운&MVP&신인왕&골든글러브 동시 석권}}}''' || || 2007 || [[다니엘 리오스]]* || 두산 베어스 || 2.07 ||'''3관왕'''(다승&평균자책점&승률)&'''MVP'''&'''골든글러브''' || || 2008 || [[윤석민(투수)|윤석민]] || [[KIA 타이거즈]] || 2.33 || - || || 2009 || [[김광현]] || [[SK 와이번스]] || 2.80 ||2관왕(평균자책점&승률) || || 2010 || 류현진 || 한화 이글스 || 1.82 ||2관왕(평균자책점&탈삼진)&골든글러브[br]11년만에 1점대 평균자책점으로 1위 || || 2011 || 윤석민 || KIA 타이거즈 || 2.45 ||'''트리플 크라운'''+'''승률 1위'''('''4관왕''')&'''MVP'''&'''골든글러브''' || || 2012 || [[브랜든 나이트(야구)|브랜든 나이트]] || [[넥센 히어로즈]] || 2.20 || - || || 2013 || [[찰리 쉬렉]] || [[NC 다이노스]] || 2.48 || - || || 2014 || [[릭 밴덴헐크]] || 삼성 라이온즈 || 3.18 ||2관왕(평균자책점&탈삼진) [br]가장 높은 평균자책점으로 1위 || || 2015 || [[양현종]] || KIA 타이거즈 || 2.44 || - || || 2016 || [[더스틴 니퍼트]] || 두산 베어스 || 2.95 ||'''3관왕'''(다승&평균자책점&승률)&'''MVP'''&'''골든글러브''' || || 2017 || [[라이언 피어밴드]] || [[kt wiz]] || 3.04 || - || || 2018 || [[조쉬 린드블럼]] || [[두산 베어스]] || 2.88 ||골든글러브 || || 2019 || [[양현종]] || [[KIA 타이거즈]] || 2.29 || - || || 2020 || [[에릭 요키시]] || [[키움 히어로즈]] || 2.14 || - || || 2021 || [[아리엘 미란다]] || [[두산 베어스]] || 2.33 ||2관왕(평균자책점&탈삼진)&MVP&골든글러브 || || 2022 || [[안우진]] || 키움 히어로즈 || 2.11 ||2관왕(평균자책점&탈삼진)& 골든글러브 || || 2023 || [[에릭 페디]] || NC 다이노스 || 2.00 ||'''3관왕'''(다승&평균자책점&탈삼진) || ||<-11>
'''수상 후 경과 년도 ^^전신 포함 / 해체 구단 제외^^''' || || '''[[KIA 타이거즈|{{{#ffffff KIA}}}]]''' || '''[[삼성 라이온즈|{{{#ffffff 삼성}}}]]''' || '''[[두산 베어스|{{{#ffffff 두산}}}]]''' || '''[[SSG 랜더스|{{{#ffffff SSG}}}]]''' || '''[[LG 트윈스|{{{#ffffff LG}}}]]''' || '''[[롯데 자이언츠|{{{#ffffff 롯데}}}]]''' || '''[[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 '''[[NC 다이노스|{{{#ffffff NC}}}]]''' || '''[[kt wiz|{{{#ffffff kt}}}]]''' || '''[[키움 히어로즈|{{{#ffffff 키움}}}]]''' || || [age(2019-01-01)]년 || [age(2014-01-01)]년 || [age(2021-01-01)]년 || [*없음] || [age(2022-01-01)]년 || '''[age(2005-01-01)]년''' || [age(2010-01-01)]년 || [age(2023-01-01)]년 || [age(2017-01-01)]년 || [age(2022-01-01)]년 || == 탈삼진 == * 한국프로야구에서 최다탈삼진상은 1993년에 신설됐다. ||
'''연도''' || '''이름''' || '''소속팀''' || '''기록''' || '''비고''' || || 1982 || [[노상수]] || [[롯데 자이언츠]] || 141 || - || || 1983 || [[장명부]] || [[삼미 슈퍼스타즈]] || 220 ||골든글러브 || || 1984 || [[최동원]] || 롯데 자이언츠 || 223 ||'''MVP'''&'''골든글러브''' || || 1985 || [[김시진]] || [[삼성 라이온즈]] || 201 ||골든글러브 || || 1986 || 선동열 || [[해태 타이거즈]] || 214 ||'''MVP'''&'''골든글러브''' || || 1987 || 최동원 || 롯데 자이언츠 || 163 || - || || 1988 ||<|4> 선동열 ||<|5> 해태 타이거즈 || 200 ||골든글러브 || || 1989 || 198 ||최초 2년 연속 탈삼진 1위 [br]'''MVP'''&'''골든글러브''' || || 1990 || 189 ||'''최초 3년 연속 탈삼진 1위''' [br]'''MVP'''&'''골든글러브''' || || 1991 || 210 ||'''{{{#red 유일무이 4년 연속 탈삼진 1위}}}''' [br]골든글러브 || || 1992 || [[이강철]] || 155 || - || ||<-5> '''1993년 탈삼진왕 타이틀 신설''' || || '''연도''' || '''이름''' || '''소속팀''' || '''기록''' || '''비고''' || || 1993 || [[김상엽]] || 삼성 라이온즈 || 170 || - || || 1994 || [[정민철]] || [[한화 이글스]] || 196 ||2관왕(평균자책점&탈삼진) || || 1995 || [[이대진]] || 해태 타이거즈 || 163 || - || || 1996 || [[주형광]] || 롯데 자이언츠 || 221 ||2관왕(다승&탈삼진) || || 1997 || 정민철 || 한화 이글스 || 160 || - || || 1998 || 이대진 || 해태 타이거즈 || 183 || - || || 1999 || [[김수경(야구)|김수경]] ||<|2> [[현대 유니콘스]] || 184 || - || || 2000 || [[임선동]] || 174 ||2관왕(다승&탈삼진)&골든글러브 || || 2001 || [[페르난도 에르난데스]] || [[SK 와이번스]] || 215 ||외국인 최초 탈삼진 1위 || || 2002 || [[김진우(1983)|김진우]] || [[KIA 타이거즈]] || 177 || - || || 2003 || [[이승호(1976)|이승호]] || [[LG 트윈스]] || 157 || - || || 2004 || [[박명환]] ||<|2> [[두산 베어스]] || 162 ||2관왕(평균자책점&탈삼진) || ||<|2> 2005 || [[다니엘 리오스]] ||<|2> 147[br](공동 1위) || - || || [[배영수]] || 삼성 라이온즈 || - || || 2006 ||<|2> [[류현진]] ||<|2> 한화 이글스 || 204 ||'''{{{#red 유일무이 트리플 크라운&MVP&신인왕&골든글러브 동시 석권}}}''' || || 2007 || 178 ||2년 연속 탈삼진 1위 || || 2008 || [[김광현]] || SK 와이번스 || 150 ||'''2관왕'''(다승&탈삼진)&'''MVP'''&'''골든글러브''' || || 2009 ||<|2> 류현진 ||<|2> 한화 이글스 || 188 || - || || 2010 || 187 ||2년 연속 탈삼진 1위 [br]2관왕(평균자책점&탈삼진)&골든글러브 || || 2011 || [[윤석민(투수)|윤석민]] || KIA 타이거즈 || 178 ||'''트리플 크라운'''+'''승률 1위'''('''4관왕''')&'''MVP'''&'''골든글러브''' || || 2012 || 류현진 || 한화 이글스 || 210 || - || || 2013 || [[레다메스 리즈]] || LG 트윈스 || 188 || - || || 2014 || [[릭 밴덴헐크]] ||<|2> 삼성 라이온즈 || 180 ||2관왕(평균자책점&탈삼진) || || 2015 || [[차우찬]] || 194 ||역대 최고 평균자책점 탈삼진왕 || || 2016 || [[마이클 보우덴]] || 두산 베어스 || 160 || - || || 2017 || [[메릴 켈리]] || SK 와이번스 || 189 || - || || 2018 || [[키버스 샘슨]] || 한화 이글스 || 195 || - || || 2019 || [[조쉬 린드블럼]] || 두산 베어스 || 189 ||'''3관왕'''(다승&탈삼진&승률)&'''MVP'''&'''골든글러브''' || || 2020 ||<:> [[댄 스트레일리]] ||<:> 롯데 자이언츠 ||<:> 205 || - || || 2021 || [[아리엘 미란다]] || 두산 베어스 || '''{{{#red 225}}}''' ||{{{#red '''단일 시즌 최다 탈삼진'''}}}&{{{#red '''단일 시즌 외국인 최다 탈삼진'''}}} [br]2관왕(평균자책점&탈삼진)&MVP&골든글러브 || || 2022 || [[안우진]] || [[키움 히어로즈]] || 224 ||2관왕(평균자책점&탈삼진) || || 2023 || [[에릭 페디]] || [[NC 다이노스]] || 209 ||'''3관왕'''(다승&평균자책점&탈삼진) || ||<-11>
'''수상 후 경과 년도 ^^전신 포함 / 해체 구단 제외^^''' || || '''[[KIA 타이거즈|{{{#ffffff KIA}}}]]''' || '''[[삼성 라이온즈|{{{#ffffff 삼성}}}]]''' || '''[[두산 베어스|{{{#ffffff 두산}}}]]''' || '''[[SSG 랜더스|{{{#ffffff SSG}}}]]''' || '''[[LG 트윈스|{{{#ffffff LG}}}]]''' || '''[[롯데 자이언츠|{{{#ffffff 롯데}}}]]''' || '''[[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 '''[[NC 다이노스|{{{#ffffff NC}}}]]''' || '''[[kt wiz|{{{#ffffff kt}}}]]''' || '''[[키움 히어로즈|{{{#ffffff 키움}}}]]''' || || '''[age(2011-01-01)]년''' || [age(2015-01-01)]년 || [age(2021-01-01)]년 || [age(2017-01-01)]년 || [age(2022-01-01)]년 || [age(2020-01-01)]년 || [age(2018-01-01)]년 || [age(2023-01-01)]년 || [*없음] || [age(2022-01-01)]년 || == 세이브 == * 2003년까지는 구원승+세이브를 합쳐서 [[세이브 포인트]]로 계산하여 구원왕을 선정하였다. 그러므로 최다 세이브라고 구원왕이 되는 것은 아니었다. * '''{{{#green 초록색}}}'''은 당해 세이브 1위지만 구원왕을 수상하지 못한 경우이다. ||
'''연도''' || '''이름''' || '''소속팀''' || '''기록''' || '''비고''' || || 1982 || [[황규봉]] || [[삼성 라이온즈]] || 11 || - || || 1983 || [[황태환]] ||<|2> [[OB 베어스]] || 14 || - || || 1984 || [[윤석환]] || 25 ||'''신인왕''' || || 1985 || [[권영호(야구선수)|권영호]] || 삼성 라이온즈 || 26 || - || || 1986 ||<|2> [[김용수]] ||<|2> [[MBC 청룡]] || 26 || - || || 1987 || 24 ||최초 2년 연속 세이브 1위 || || 1988 || '''[[이상군|{{{#green 이상군}}}]]''' || [[빙그레 이글스]] || 16 || - || || 1989 || 김용수 || MBC 청룡 || 22 || - || || 1990 || [[송진우(야구)|송진우]] || 빙그레 이글스 || 27 || - || || 1991 || [[조규제]] || [[쌍방울 레이더스]] || 27 ||'''신인왕''' || || 1992 || 송진우 || 빙그레 이글스 || 17 || - || || 1993 || [[선동열]] || [[해태 타이거즈]] || 31 ||단일 시즌 최초 30세이브 [br]골든글러브 || || 1994 || [[정명원]] || [[태평양 돌핀스]] || 40 ||단일 시즌 최초 40세이브 [br]골든글러브 || || 1995 || 선동열 || 해태 타이거즈 || 33 || - || || 1996 || '''{{{#green 정명원}}}''' || [[현대 유니콘스]] || 26 || - || || 1997 || [[이상훈(좌완투수)|이상훈]] || [[LG 트윈스]] || 37 || - || || 1998 || [[임창용]] || 해태 타이거즈 || 34 || - || || 1999 || '''{{{#green 임창용}}}''' || 삼성 라이온즈 || 38 ||2년 연속 세이브 1위 || || 2000 || [[진필중]] ||<|3> [[두산 베어스]] || 42 || - || || 2001 || '''{{{#green 진필중}}}''' || 23 ||2년 연속 세이브 1위 || || 2002 || '''{{{#green 진필중}}}''' || 31 ||'''최초 3년 연속 세이브 1위''' || ||<|2> 2003 || '''{{{#green 이상훈}}}''' || LG 트윈스 ||<|2> 30[br](공동 1위) || - || || [[조웅천]] || [[SK 와이번스]] || KBO 최초 홀드왕에 이어 세이브왕 등극 || ||<-5> '''2003년 이전에는 '[[세이브 포인트|세이브+구원승]]'으로 '구원왕' 타이틀을 시상했다. 하단 '구원왕' 항목 참조''' || ||<-5> '''2004년 부터 '세이브'만으로 '최다세이브상' 타이틀을 시상했다''' || || 2004 || [[임창용]] || 삼성 라이온즈 || 36 || - || || 2005 || [[정재훈(1980)|정재훈]] || 두산 베어스 || 30 || - || || 2006 ||<|3> [[오승환]] ||<|3> 삼성 라이온즈 || '''{{{#red 47}}}''' ||단일 시즌 최다 세이브 || || 2007 || 40 ||2년 연속 세이브 1위 || || 2008 || 39 ||'''3년 연속 세이브 1위''' || ||<|2> 2009 || [[이용찬]] || 두산 베어스 ||<|2> 26[br](공동 1위) ||신인왕 || || [[존 애킨스]] || [[롯데 자이언츠]] ||유일무이 외국인 세이브 1위 || || 2010 || [[손승락]] || [[넥센 히어로즈]] || 26 || - || || 2011 ||<|2> 오승환 ||<|2> 삼성 라이온즈 || '''{{{#red 47}}}''' ||단일 시즌 최다 세이브 타이 [br]'''최초 무패 세이브 1위''' || || 2012 || 37 ||2년 연속 세이브 1위 || || 2013 ||<|2> [[손승락]] ||<|2> 넥센 히어로즈 || 46 ||골든글러브 || || 2014 || 32 ||2년 연속 세이브 1위 [br] 역대 최고 평균자책점(4.33) 세이브왕|| || 2015 || 임창용 || 삼성 라이온즈 || 33 ||최고령 30세이브 [br]최고령 세이브 1위 || || 2016 || [[김세현(야구선수)|김세현]] || 넥센 히어로즈 || 36 ||'''무패 세이브 1위''' || || 2017 || 손승락 || 롯데 자이언츠 || 37 || - || || 2018 || [[정우람]] || [[한화 이글스]] || 35 || - || || 2019 || [[하재훈]] || SK 와이번스 || 36 ||'''데뷔 시즌 최다 세이브''' || || 2020 || [[조상우]] || [[키움 히어로즈]] || 33 || - || || 2021 || 오승환 || 삼성 라이온즈 || 44 ||역대 최고령 40세이브 [br]역대 최고령 세이브왕 || || 2022 || [[고우석]] || LG 트윈스 || 42 ||역대 최연소 40세이브 || || 2023 || [[서진용]] || [[SSG 랜더스]] || 42 || || ||<-11>
'''수상 후 경과 년도 ^^전신 포함 / 해체 구단 제외^^''' || || '''[[KIA 타이거즈|{{{#ffffff KIA}}}]]''' || '''[[삼성 라이온즈|{{{#ffffff 삼성}}}]]''' || '''[[두산 베어스|{{{#ffffff 두산}}}]]''' || '''[[SSG 랜더스|{{{#ffffff SSG}}}]]''' || '''[[LG 트윈스|{{{#ffffff LG}}}]]''' || '''[[롯데 자이언츠|{{{#ffffff 롯데}}}]]''' || '''[[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 '''[[NC 다이노스|{{{#ffffff NC}}}]]''' || '''[[kt wiz|{{{#ffffff kt}}}]]''' || '''[[키움 히어로즈|{{{#ffffff 키움}}}]]''' || || [age(1998-01-01)]년 || [age(2021-01-01)]년 || [age(2009-01-01)]년 || [age(2019-01-01)]년 || [age(2022-01-01)]년 || [age(2017-01-01)]년 || '''[age(1992-01-01)]년''' || [*없음] || [*없음] || [age(2020-01-01)]년 || == 홀드 == * 한국프로야구에서 홀드는 2000년부터 집계되었다. 최다홀드상 역시, 2000년에 신설됐다. ||
'''연도''' || '''이름''' || '''소속팀''' || '''기록''' || '''비고''' || || 2000 || [[조웅천]] || [[현대 유니콘스]] || 16 || - || || 2001 ||<|3> [[차명주]] ||<|3> [[두산 베어스]] || 18 || - || || 2002 || 17 ||최초 2년 연속 홀드 1위 || ||<|2> 2003 ||<|2> 16[br](공동 1위) ||'''{{{#red 유일무이 3년 연속 홀드 1위}}}''' || || [[이상열(야구)|이상열]] || 현대 유니콘스 || - || || 2004 || [[임경완]] || [[롯데 자이언츠]] || 22 ||단일 시즌 최초 20홀드 || || 2005 || [[이재우]] || 두산 베어스 || 28 || - || || 2006 || [[권오준]] || [[삼성 라이온즈]] || 32 ||단일 시즌 최초 30홀드 || || 2007 || [[류택현]] || [[LG 트윈스]] || 23 ||최고령 홀드 1위 || || 2008 || [[정우람]] || [[SK 와이번스]] || 25 || - || || 2009 || [[권혁]] || 삼성 라이온즈 || 20 || - || || 2010 || [[정재훈(1980)|정재훈]] || 두산 베어스 || 23 || - || || 2011 || 정우람 ||<|2> SK 와이번스 || 25 || - || || 2012 || [[박희수]] || 34 || - || || 2013 ||<|2> [[한현희]] ||<|2> [[넥센 히어로즈]] || 27 || - || || 2014 || 31 ||2년 연속 홀드 1위 || || 2015 || [[안지만]] || 삼성 라이온즈 || 37 || - || || 2016 || [[이보근]] || 넥센 히어로즈 || 25 ||역대 최고 평균자책점(4.45) 홀드왕|| || 2017 || [[진해수]] || LG 트윈스 || 24 || - || || 2018 || [[오현택]] || 롯데 자이언츠 || 25 || - || || 2019 || [[김상수(투수)|김상수]] || 키움 히어로즈 || '''{{{#red 40}}}''' ||'''{{{#red 유일무이 단일 시즌 40홀드}}}''' [br]단일 시즌 최다 홀드 || || 2020 || [[주권(야구선수)|주권]] || kt wiz || 31 || - || || 2021 || [[장현식]] || [[KIA 타이거즈]] || 34 || - || || 2022 || [[정우영(야구선수)|정우영]] || LG 트윈스 || 35 || || || 2023 || [[박영현]] || kt wiz || 32 ||'''2000년대 생 최초 투수 타이틀홀더'''[br]최연소 홀드 1위 || ||<-11>
'''수상 후 경과 년도 ^^전신 포함 / 해체 구단 제외^^''' || || '''[[KIA 타이거즈|{{{#ffffff KIA}}}]]''' || '''[[삼성 라이온즈|{{{#ffffff 삼성}}}]]''' || '''[[두산 베어스|{{{#ffffff 두산}}}]]''' || '''[[SSG 랜더스|{{{#ffffff SSG}}}]]''' || '''[[LG 트윈스|{{{#ffffff LG}}}]]''' || '''[[롯데 자이언츠|{{{#ffffff 롯데}}}]]''' || '''[[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 '''[[NC 다이노스|{{{#ffffff NC}}}]]''' || '''[[kt wiz|{{{#ffffff kt}}}]]''' || '''[[키움 히어로즈|{{{#ffffff 키움}}}]]''' || || [age(2021-01-01)]년 || [age(2015-01-01)]년 || '''[age(2010-01-01)]년''' || [age(2012-01-01)]년 || [age(2022-01-01)]년 || [age(2018-01-01)]년 || [*없음] || [*없음] || [age(2023-01-01)]년 || [age(2019-01-01)]년 || == 승률 == * 1982년부터 1985년까지는 규정이닝 이상을 던진 투수에 한해서 상이 수여됐다. * 1986년부터 1988년까지는 규정이닝 이상을 투구&10승 이상을 기록한 투수에 한해서 상이 수여됐다. * 1989년부터는 규정이닝에 상관없이 10승 이상을 기록한 투수에 한해서 상이 수여된다. ||
'''연도''' || '''이름''' || '''소속팀''' || '''기록''' || '''비고''' || || 1982 || [[박철순]] || [[OB 베어스]] ||0.857(24승 4패) ||'''3관왕'''(다승&평균자책점&승률)&'''MVP''' || || 1983 || [[이길환]] || [[MBC 청룡]] ||0.682(15승 7패) ||역대 최저 승률 승률왕 || || 1984 || [[황규봉]] ||<|2> [[삼성 라이온즈]] ||0.833(10승 2패) || - || ||<|2> 1985 || [[김시진]] ||0.833(25승 5패)[br](공동 1위) ||2관왕(다승&승률)&골든글러브 || || [[윤석환]] ||<|2> OB 베어스 ||0.833(5승 1패)[br](공동 1위) ||유일무이 한 자릿수 승으로 승률 1위 || || 1986 || [[최일언]] ||0.826(19승 4패) || - || || 1987 || [[선동열]] || [[해태 타이거즈]] ||0.875(14승 2패) ||2관왕(평균자책점&승률) || || 1988 || 윤석환 || OB 베어스 ||0.813(13승 3패) ||2관왕(승률&구원왕) || || 1989 ||<|3> 선동열 ||<|3> 해태 타이거즈 ||0.875(21승 3패) ||'''3관왕'''(다승&평균자책점&승률)&'''MVP'''&'''골든글러브''' || || 1990 ||0.786(22승 6패) ||최초 2년 연속 승률 1위 [br]'''3관왕'''(다승&평균자책점&승률)&'''MVP'''&'''골든글러브''' || || 1991 ||0.826(19승 4패) ||'''{{{#red 유일무이 3년 연속 승률 1위}}}''' [br]'''3관왕'''(다승&평균자책점&승률)&'''골든글러브''' || || 1992 || [[오봉옥]] || 삼성 라이온즈 ||'''{{{#red 1.000}}}'''(13승 무패) ||'''최초 승률 10할''' [br]단일 시즌 최고 승률 || || 1993 || [[정민철]] || [[빙그레 이글스]] ||0.813(13승 3패) || - || || 1994 || [[김홍집(야구)|김홍집]] || [[태평양 돌핀스]] ||0.800(12승 3패) || - || || 1995 || [[이상훈(좌완투수)|이상훈]] || [[LG 트윈스]] ||0.800(20승 5패) ||2관왕(다승&승률)&골든글러브 || || 1996 || [[구대성]] || [[한화 이글스]] ||0.857(18승 3패) ||'''4관왕'''(다승&평균자책점&승률&구원왕)&'''MVP'''&'''골든글러브''' || || 1997 || [[김현욱(야구)|김현욱]] || [[쌍방울 레이더스]] ||0.909(20승 2패) ||'''3관왕'''(다승&평균자책점&승률) || ||<|2> 1998 || [[김수경(야구)|김수경]] || [[현대 유니콘스]] ||0.750(12승 4패) ||공동 1위 [br]'''신인왕''' || || [[김용수]] || LG 트윈스 ||0.750(18승 6패) ||공동 1위 [br]2관왕(다승&승률) || || 1999 || [[문동환]] || [[롯데 자이언츠]] ||0.810(17승 4패) || - || || 2000 || [[송진우(야구)|송진우]] || 한화 이글스 ||0.867(13승 2패) || - || ||<|3> 2001 || [[발비노 갈베스]] || 삼성 라이온즈 ||0.714(10승 4패)[br](공동 1위) ||최초 외국인 승률 1위 || || [[손민한]] || 롯데 자이언츠 ||0.714(15승 6패)[br](공동 1위) ||2관왕(다승&승률) || || [[신윤호(1975)|신윤호]] || LG 트윈스 ||0.714(15승 6패)[br](공동 1위) ||'''3관왕'''(다승&승률&구원왕)&'''골든글러브''' || || 2002 || 김현욱 || 삼성 라이온즈 ||'''{{{#red 1.000}}}'''(10승 무패) ||단일 시즌 최고 승률 타이 || || 2003 || [[정민태]] || 현대 유니콘스 ||0.895(17승 2패) ||2관왕(다승&승률)&골든글러브 || || 2004 || [[배영수]] ||<|2> 삼성 라이온즈 ||0.895(17승 2패) ||'''2관왕'''(다승&승률)&'''MVP'''&'''골든글러브''' || || 2005 || [[오승환]] ||0.909(10승 1패) ||'''신인왕''' || || 2006 || [[전준호(1975)|전준호]] || 현대 유니콘스 ||0.778(14승 4패) || - || || 2007 || [[다니엘 리오스]] || [[두산 베어스]] ||0.815(22승 5패) ||'''3관왕'''(다승&평균자책점&승률)&'''MVP'''&'''골든글러브''' || || 2008 || [[채병용]] ||<|2> [[SK 와이번스]] ||0.833(10승 2패) || - || || 2009 || [[김광현]] ||0.857(12승 2패) ||2관왕(평균자책점&승률) || || 2010 || [[차우찬]] || 삼성 라이온즈 ||0.833(10승 2패) || - || || 2011 || [[윤석민(투수)|윤석민]] || [[KIA 타이거즈]] ||0.773(17승 5패) ||'''트리플 크라운'''+'''승률 1위'''('''4관왕''')&'''MVP'''&'''골든글러브''' || || 2012 || [[미치 탈보트]] || 삼성 라이온즈 ||0.824(14승 3패) || - || || 2013 || [[류제국]] || LG 트윈스 ||0.857(12승 2패) || - || || 2014 || [[헨리 소사]] || [[넥센 히어로즈]] ||0.833(10승 2패) ||대체 외국인 투수 최초 승률왕 || || 2015 || [[에릭 해커]] || [[NC 다이노스]] ||0.792(19승 5패) ||2관왕(다승&승률)&골든글러브 || || 2016 || [[더스틴 니퍼트]] || 두산 베어스 ||0.880(22승 3패) ||'''3관왕'''(다승&평균자책점&승률)&'''MVP'''&'''골든글러브''' || || 2017 || [[헥터 노에시|헥터 노에시*]] || KIA 타이거즈 ||0.800(20승 5패) ||2관왕(다승&승률) || || 2018 || [[세스 후랭코프]] ||<|3> 두산 베어스 ||0.857(18승 3패) ||'''2관왕'''(다승&승률) || || 2019 || [[조쉬 린드블럼]] ||0.870(20승 3패) ||'''3관왕'''(다승&탈삼진&승률)&'''MVP'''&'''골든글러브''' || || 2020 ||<:> [[라울 알칸타라]] ||<:>0.909(20승 2패) ||'''2관왕'''(다승&승률)&'''골든글러브''' || || 2021 || [[앤드류 수아레즈]] || LG 트윈스 ||0.833(10승 2패) || - || || 2022 || [[엄상백]] ||<|2> [[kt wiz]] ||0.846(11승 2패) ||9년 만의 토종 승률왕[* 종전 기록 2013년 LG [[류제국]]] || || 2023 || [[윌리엄 쿠에바스]] || {{{#red '''1.000'''}}}(12승 무패) ||외국인 투수 역대 최초 '''무패 승률왕'''[* 1992년 [[오봉옥]], 2002년 [[김현욱(야구)|김현욱]]에 이어 21년만의 '''무패''' 승률왕을 달성했다. 선발승으로만 무패 승률왕을 달성한 최초의 선수라는 기록도 세웠다.] || ||<-11>
'''수상 후 경과 년도 ^^전신 포함 / 해체 구단 제외^^''' || || '''[[KIA 타이거즈|{{{#ffffff KIA}}}]]''' || '''[[삼성 라이온즈|{{{#ffffff 삼성}}}]]''' || '''[[두산 베어스|{{{#ffffff 두산}}}]]''' || '''[[SSG 랜더스|{{{#ffffff SSG}}}]]''' || '''[[LG 트윈스|{{{#ffffff LG}}}]]''' || '''[[롯데 자이언츠|{{{#ffffff 롯데}}}]]''' || '''[[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 '''[[NC 다이노스|{{{#ffffff NC}}}]]''' || '''[[kt wiz|{{{#ffffff kt}}}]]''' || '''[[키움 히어로즈|{{{#ffffff 키움}}}]]''' || || [age(2017-01-01)]년 || [age(2012-01-01)]년 || [age(2020-01-01)]년 || [age(2009-01-01)]년 || [age(2021-01-01)]년 || [age(2001-01-01)]년 || '''[age(2000-01-01)]년''' || [age(2015-01-01)]년 || [age(2023-01-01)]년 || [age(2014-01-01)]년 || == [[세이브 포인트]] == * 구원승+세이브를 합친 [[세이브 포인트]]로 구원왕을 수상한 기록으로, 1982년부터 2003년까지 존재했다가 2004년에 폐지되고 대신에 최다세이브상이 신설됐다. * '''{{{#green 초록색}}}'''은 당해 세이브 1위가 아니지만 구원상을 수상한 경우이다. ||
'''연도''' || '''이름''' || '''소속팀''' || '''기록''' || '''비고''' || || 1982 || [[황규봉]] || [[삼성 라이온즈]] || 19 ||8승+11세이브 || || 1983 || [[황태환]] ||<|2> [[OB 베어스]] || 20 ||6승+14세이브 || || 1984 || [[윤석환]] || 35 ||10승+25세이브 [br]'''신인왕''' || || 1985 || [[권영호(야구선수)|권영호]] || 삼성 라이온즈 || 28 ||2승+26세이브 || || 1986 ||<|2> [[김용수]] ||<|2> [[MBC 청룡]] || 35 ||9승+26세이브 || || 1987 || 33 ||9승+24세이브 [br]최초 2년 연속 구원왕 || || 1988 || '''{{{#green 윤석환}}}''' || OB 베어스 || 27 ||13승+14세이브(세이브 2위) [br]2관왕(구원왕&승률) || || 1989 || 김용수 || MBC 청룡 || 27 ||5승+22세이브 || || 1990 || [[송진우(야구)|송진우]] || [[빙그레 이글스]] || 38 ||11승+27세이브 || || 1991 || [[조규제]] || [[쌍방울 레이더스]] || 34 ||7승+27세이브 [br]'''신인왕''' || || 1992 || 송진우 || 빙그레 이글스 || 25 ||8승+17세이브 [br]2관왕(구원왕&다승) || || 1993 || [[선동열]] || [[해태 타이거즈]] || 41 ||10승+31세이브 [br]2관왕(구원왕&평균자책점)&골든글러브 || || 1994 || [[정명원]] || [[태평양 돌핀스]] || 44 ||4승+40세이브 [br]골든글러브 || || 1995 || 선동열 || 해태 타이거즈 || 38 ||5승+33세이브 || || 1996 || '''[[구대성|{{{#green 구대성}}}]]''' || [[한화 이글스]] || 40 ||16승+24세이브(세이브 2위) [br]'''4관왕'''(구원왕&다승&평균자책점&승률)&'''MVP'''&'''골든글러브''' || || 1997 || [[이상훈(좌완투수)|이상훈]] || [[LG 트윈스]] || 47 ||10승+37세이브 || || 1998 || [[임창용]] || 해태 타이거즈 || 42 ||8승+34세이브 || || 1999 || '''{{{#green 진필중}}}''' ||<|2> [[두산 베어스]] || '''{{{#red 52}}}''' ||16승+36세이브(세이브 2위) [br]단일 시즌 최다 세이브포인트 || || 2000 || [[진필중]] || 47 ||5승+42세이브 || || 2001 || '''[[신윤호(1975)|{{{#green 신윤호}}}]]''' || LG 트윈스 || 32 ||14승+18세이브(세이브 4위) [br]'''3관왕'''(구원왕&다승&승률)&'''골든글러브''' || || 2002 || '''[[조용준|{{{#green 조용준}}}]]''' || [[현대 유니콘스]] || 37 ||9승+28세이브(세이브 2위) [br]'''신인왕''' || || 2003 || [[조웅천]] || [[SK 와이번스]] || 36 ||6승+30세이브 || === 비공식 기록(2004~) === * 위에서 설명하였듯이 구원왕 수상은 2003년까지 수상하였고 2004년에 폐지되었다. 대신에 최다세이브상이 신설됐다. 비공식 기록은 2004년부터 세이브 포인트 1위를 적어놓았다. 재미로 보길 바란다. * '''{{{#green 초록색}}}'''은 당해 세이브 1위가 아니지만 세이브 포인트 1위를 한 경우이다. ||
'''연도''' || '''이름''' || '''소속팀''' || '''기록''' || '''비고''' || || 2004 || '''[[조용준|{{{#green 조용준}}}]]''' || [[현대 유니콘스]] || 44 ||10승+34세이브(세이브 2위) || || 2005 || [[정재훈(1980)|정재훈]] || [[두산 베어스]] || 31 ||1승+30세이브 || || 2006 ||<|3> [[오승환]] ||<|3> [[삼성 라이온즈]] || 51 ||4승+47세이브 || || 2007 || 44 ||4승+40세이브 || || 2008 || 40 ||1승+39세이브 || || 2009 || [[존 애킨스]] || [[롯데 자이언츠]] || 29 ||3승+26세이브[* [[이용찬]]과 세이브 공동 1위다.] || || 2010 || [[손승락]] || [[넥센 히어로즈]] || 28 ||2승+26세이브 || || 2011 ||<|2> 오승환 ||<|2> 삼성 라이온즈 || 48 ||1승+47세이브 || ||<|2> 2012 ||<|2> 39 [br](공동 1위) ||2승+37세이브 || || '''[[스캇 프록터|{{{#green 스캇 프록터}}}]]''' || 두산 베어스 ||4승+35세이브(세이브 2위) || || 2013 || 손승락 || 넥센 히어로즈 || 49 ||3승+46세이브 || || 2014 || '''{{{#green 임창용}}}''' ||<|2> 삼성 라이온즈 || 36 ||5승+31세이브(세이브 2위) || || 2015 || [[임창용]] || 38 ||5승+33세이브 || || 2016 || [[김세현(야구선수)|김세현]] || 넥센 히어로즈 || 38 ||2승+36세이브 || || 2017 || 손승락 || 롯데 자이언츠 || 38 ||1승+37세이브 || || 2018 || [[정우람]] || [[한화 이글스]] || 40 ||5승+35세이브 || || 2019 || '''[[고우석|{{{#green 고우석}}}]]''' || [[LG 트윈스]] || 42 ||8승+34세이브(세이브 2위) || || 2020 || [[조상우]] || [[키움 히어로즈]] || 38 ||5승+33세이브 || || 2021 || 오승환 || 삼성 라이온즈 || 44 ||44세이브 || || 2022 || 고우석 || LG 트윈스 || 46 ||4승+42세이브 || || 2023 || 서진용 || SSG 랜더스 || 47 ||5승+42세이브 || ||<-11>
'''기록 후 경과 년도 ^^전신 포함 / 해체 구단 제외^^''' || || '''[[KIA 타이거즈|{{{#ffffff KIA}}}]]''' || '''[[삼성 라이온즈|{{{#ffffff 삼성}}}]]''' || '''[[두산 베어스|{{{#ffffff 두산}}}]]''' || '''[[SSG 랜더스|{{{#ffffff SSG}}}]]''' || '''[[LG 트윈스|{{{#ffffff LG}}}]]''' || '''[[롯데 자이언츠|{{{#ffffff 롯데}}}]]''' || '''[[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 '''[[NC 다이노스|{{{#ffffff NC}}}]]''' || '''[[kt wiz|{{{#ffffff kt}}}]]''' || '''[[키움 히어로즈|{{{#ffffff 키움}}}]]''' || || [age(2022-01-01)]년 || [age(2021-01-01)]년 || '''[age(2012-01-01)]년''' || [age(2023-01-01)]년 || [age(2022-01-01)]년 || [age(2017-01-01)]년 || [age(2018-01-01)]년 || [*없음] || [*없음] || [age(2020-01-01)]년 || == 기타 == === 투수 다관왕이 나오지 않은 해 === * 1999년 * 2002년 * 2012년 * 2013년 === 선동열의 트리플 크라운 및 4관왕 인정 여부 === 탈삼진왕 타이틀이 생긴 건 1993년이다. * 1992년까지는 최다탈삼진상이 존재하지 않았다. * 1992년까지는 [[트리플 크라운/야구|트리플크라운]]은 '다승&평균자책점&승률'이었다가, 1993년부터 '다승&평균자책점&탈삼진'으로 변경되었다. 1992년까지의 기준에 따르면, 최초의 트리플 크라운은 1982년의 [[박철순]]이 '다승&평균자책점&승률'으로 기록한 것이다. 1986년 [[선동열]]은 다승과 평균자책점에서 1위에 오르고 탈삼진도 1위였으나, 승률은 1위가 아니었다. 이런 이유로 선동열이 이해 달성한 한국프로야구 최초의 트리플 크라운이 제대로 인정받지 못했지만, 21세기 현재는 인정받고 있다. 1989~1991년 3년간 선동열은 다승, 평균자책점, 승률, 탈삼진에서 모두 1위를 기록하였다. 어느 기준으로 보더라도 트리플 크라운을 만족하므로, 3년 연속 트리플 크라운은 큰이견이 없이 인정되고 있다. 다만, 탈삼진왕이 공식적으로 없었던 시기이므로 4관왕은 인정받지 못했다. 따라서 이 항목에서도 3관왕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런 이유로 1996의 [[구대성]]의 다승&평균자책점&구원왕&승률 1위로 기록한 것이 최초의 투수 4관왕으로 인정되고 있다. == 관련 문서 == * [[KBO MVP]] * [[KBO 신인상]] * [[KBO 골든글러브 역대 수상자]] [[분류:KBO 리그/역대 수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