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K3·4리그)] [include(틀:하위 문서, top1=K3·4리그/시상 내역/역대)] [목차] == 시상 기준 == 규정이나 시상에 있어서 [[K3리그]]와 [[K4리그]]간 구분이 없을때는 (공통)으로 표시하며, 구분이 있을 경우 괄호 안에 리그 이름을 넣어 표기한다. === 단체상(공통) === * [[K3리그]], [[K4리그]] 공통으로, 최고의 프런트를 갖춘 팀에겐 "베스트 프런트" 상패가, 가장 페어플레이적인 모습을 보인 팀에게 "페어플레이팀" 상패가, [[인스타그램]], [[유튜브]]등 뉴미디어의 활용에 있어서 가장 우수한 팀에게는 "뉴미디어" 상패가 수여된다. * 또한 사회공헌활동을 가장 많이한 팀에게는 "플레이투게더" 상패가, 유료 최다관중 1위부터 3위까지의 팀에게는 "최다관중" 상패가 수여되고, 최다관중상"을 받기 위해서는 전체 홈경기의 80% 이상에서 유료관중제도를 운영해야 한다.[* 다만 이 두 항목은 [[코로나19]]같은 거리두기가 중시되는 상황 속에서 구단의 사회봉사활동이나 관중 입장이 충분히 시행되기 어려웠기 때문에 2020년 시상식에서는 넘어간 것으로 보인다.] === 개인상(K3, K4 개별) === * 모든 개인상의 평가는 정규리그 개최경기에 한한다. * 득점상, 도움상[* 2021년 신설], BEST 11, 영플레이어, 챔피언십 MVP 총 5개 항목에서 선수를 선정하여 트로피와 상금을 수여하며, 영플레이어의 경우에는 21세 이하(U21) 선수에 한해서만, 챔피언십 MVP의 경우에는 챔피언십 참가팀 소속선수에 한해서만 수여될수 있다. * 영플레이어상은 정규리그 경기의 50% 이상에서 출전한 선수만 대상으로 하며, 해당하는 선수가 없을 경우에는 K3리그 혹은 K4리그 포상위원회를 통해 최종 선정한다. * K3리그는 2명, K4리그는 1명씩 최우수지도자를 선정한다. === [[2020년]] === [[파일:k3k4league_official_20201214_214918_0.jpg|width=600]] *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으로 진행된다. * [[STN SPORTS]], [[네이버]] 스포츠, KFATV_Live [[유튜브]]에서 생중계된다. [youtube(FFYJmcgbBbw)] ==== 단체상(공통) ==== * 뉴미디어상 : [[청주 FC]] (K3), [[FC 남동]] (K4) * 베스트프런트상 : [[천안시 축구단]] (K3), [[전주시민축구단]] (K3) * 페어플레이팀 : [[부산교통공사 축구단]] (K3), [[울산시민축구단]] (K4) ==== 개인상([[K3리그/2020년|K3리그]]) ==== * MVP : [[최용우]] (부산)[*A 20경기 15득점] * 베스트 11 : [include(틀:K3리그/베스트 11/2020년)] * 최우수지도자 : [[윤성효]] 감독 (김해) * 우수지도자 : [[백기홍]] 코치 (김해) * 득점왕 : [[최용우]] (부산)[*A] * 영플레이어 : [[윤민호(축구선수)|윤민호]] (경주시민)[* 1999년생, MF, 19경기 2득점], [[김도훈(2001)|김도훈]] (전주)[* 2001년생, MF, 15경기, 연령별 대표팀][* 재밌게도, 둘 모두 [[울산 현대]]의 유스인 [[현대고등학교(울산)|현대고등학교]] 출신이다.] ==== 개인상([[K4리그/2020년|K4리그]]) ==== * MVP : [[허건(축구선수)|허건]] (파주)[* 득표율 73%] * 최우수지도자 : [[이은노]] (파주) * 득점왕 : [[유동규(축구선수)|유동규]] (인천남동)[* MF, 15득점] * 영플레이어 : [[성정윤]] (고양)[* 2001년생, FW, 24경기 7득점], [[전성수(축구선수)|전성수]] (양평)[* 2000년생, FW, 16경기 4득점] ==== 여담 ==== [[파일:124142211.png|width=600]] [youtube(JZcQ_4zi8JY)] * 이 시상식에서 당시 [[부산교통공사 축구단]] 소속이던 [[최용우]] 선수가 개인상 3관왕(득점왕, 베스트11, MVP)을 달성해 비대면으로 진행된 시상식에 선수로써는 유일하게 출장하였는데, K3리그 MVP 트로피의 실물을 처음 보고 [[족발]]같다고 평하면서, [[강성주(축구인)|강성주]] 진행자의 요청에 따라 돼지 다리를 뜯어먹는 개그 감성 잔뜩의 퍼포먼스를 보여주었다. * K3리그, K4리그 두 리그의 영플레이어상 수상자 4인은 모두 이듬해인 [[2021년]]의 새 시즌을 앞두고 겨울이적시장에서 다른 팀으로 이적했다. 특이하게도 모두 결과적으로는 [[K3리그]] 팀으로 향했는데, [[윤민호(축구선수)|윤민호]]는 [[김포 FC]]로, [[김도훈(2001)|김도훈]]은 [[울산시민축구단]]으로, [[성정윤]]은 [[파주시민축구단]]으로 이적했고, [[전성수(축구선수)|전성수]]는 [[K리그1]]의 [[성남 FC]]로 임대복귀했다가 다시 [[강릉시민축구단]]으로 임대되었다. * K4리그 득점왕을 수상한 [[유동규(축구선수)|유동규]]는 [[K리그1]] [[인천 유나이티드]]에 영입되며 프로 무대를 처음 밟았고, 4부리그에서 1부리그로 단숨에 뛰어오른 한국판 [[제이미 바디]] 신화를 써냈다. * K3리그 시즌 베스트 11의 공격수 부문에 선정된 '고대앙리' [[박희성]]은 [[K리그2]]의 [[전남 드래곤즈]]로 이적하며 프로로 복귀했다. === [[2021년]] === ==== 단체상(공통) ==== * 뉴미디어상 : [[천안시 축구단]] (K3), [[인천남동구민축구단]] (K4) * 베스트프런트상 : [[FC 목포]] (K3), [[당진시민축구단]] (K4) * 페어플레이팀 : [[파주시민축구단]] (K3), [[시흥시민축구단]] (K4) ==== 개인상([[K3리그/2021년|K3리그]]) ==== * MVP : [[정의찬(축구선수)|정의찬]] (김포) * 베스트 11 : [include(틀:K3리그/베스트 11/2021년)] * 최우수지도자 : [[고정운]] (김포) * 득점왕 : [[김종석(축구선수)|김종석]] (천안) * 도움왕 : [[이영찬(축구선수)|이영찬]] (목포) * 영플레이어 : [[전성수(축구선수)|전성수]] (강릉) ==== 개인상([[K4리그/2021년|K4리그]]) ==== * MVP : [[정승용]] (포천) * 최우수지도자 : [[조만근]] (포천) * 득점왕 : [[이창훈(1995)|이창훈]] (시흥) * 도움왕 : [[정승용]] (포천) * 영플레이어 : [[김영준(2000)|김영준]] (포천) == [[/시상 내역/역대|역대 시상 내역]]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K3·4리그/시상 내역/역대)] [[분류:K3·4리그]][[분류:대한민국의 축구상]][[분류:2020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