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국산미사일)] [include(틀:현대전/한국 기갑차량)] ||
[[파일:ab5416bbbe5147b29cb483ee280e3459_8.jpg|width=100%]] || || '''K-31 천마''' || [목차] [clearfix] == 개요 == ||
[youtube(QSnPmVJ99W0)] || || [youtube(xOg-ycq4tVY)] || || [youtube(51nOb59KLik)] || || '''대한민국 육군 공식 K-31 천마 운용 영상''' || '''K-31 천마'''(天馬)는 [[대한민국 육군]]이 운용하는 자주 대공 유도탄 체계로, 5km 이하의 저고도에서 접근하는 비행체 및 공중침투요인에 대한 근접 방어를 담당한다. [[1960년대]]에 도입한 [[호크 대공미사일]]의 사거리(40km)보다 가까운 범위의 대공 방어 체계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자, [[1987년]]부터 '한국형 단거리 지대공 유도무기 사업(KSAM-1)'을 계획, [[프랑스]]와의 기술제휴로 R-440 [[크로탈]] 미사일을 개량하여 [[1997년]] 개발을 완료하였다. [[1999년]]부터 실전 배치되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 제원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 0%, #0000 20%, #0000 80%, #000)" '''[[대한민국 육군|{{{#fff 대한민국 육군}}}]] {{{#fff 자주 단거리}}} [[지대공 미사일|{{{#fff 지대공}}}]] [[미사일|{{{#fff 유도탄}}}]][br]{{{#fff {{{+2 K-31 천마}}}}}}[br]{{{#fff 天馬}}}'''}}}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천마자주대공미사일.gif|width=100%]]}}}|| ||<-2> {{{#ffffff {{{-2 2016년 12월 육군 방공 실사격 훈련에서 촬영된 영상}}}}}} || ||<|3> '''{{{#white 개발}}}''' ||[[1987년]] {{{-2 한국형단거리지대공유도무기 사업(KSAM-1)}}} 계획[br][[1997년]] 개발 완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8]] [[대한민국]] || ||[[국방과학연구소]][br][[두산인프라코어]] [br][[LG이노텍]][br]삼성 탈레스[br][[한화 디펜스]] || || '''{{{#white 운용}}}''' ||[[대한민국 육군]] || || '''{{{#white 중량}}}''' ||26톤 || ||<|2> '''{{{#white 크기}}}''' ||전장 7.1m || ||전폭 3.40m, 전고 5.40m || || '''{{{#white 승무원}}}''' ||4명 || || '''{{{#white 배치}}}''' ||[[1999년]] ~ {{{-2 (실전 배치중)}}} || || '''{{{#white 탄약 적재량}}}''' ||단거리 지대공 미사일 8발 || ||<|5> '''{{{#white 미사일 제원}}}''' ||탄두중량 11kg || ||기동 한계 35G || ||유효 사거리 9 km || ||속도 마하 2.6 || ||광학식 근접신관 || || '''{{{#white {{{-2 포탑 구동 범위}}}}}}''' ||방위각 360도[br]고각 70도 || || '''{{{#white 레이더}}}''' ||S-밴드 탐색 레이더[br]Ku-밴드 추적 레이더 || ||<|2> '''{{{#white 탐지거리}}}''' ||반경 20km || ||고도 5km || ||<|2> '''{{{#white 추적거리}}}''' ||반경 16 km || ||고도 5km || || '''{{{#white 엔진 출력}}}''' ||520마력 || || '''{{{#white 항속 거리}}}''' ||500km || == 역사 == ||
[[파일:PR-대통령+영부인%2FPR-1993%2F칼라%2FPR-1993-0665%2F2400dpi%2FPR-1993-0665-004.jpg|width=100%]] || [[파일:external/farm9.staticflickr.com/7633871820_53c4662f42_b.jpg|width=100%]] || || '''1993.10.01에 촬영된 사진'''[br]자세히 보면 사진 왼쪽 조명 부근에 천마 2호란 글자가 있다. || '''실사격 훈련 중인 천마''' || 과거 유럽국가들은 레이피어, 크로탈, 롤란드 등의 하나의 차량에 탐색레이더와 화력통제레이더 미사일을 탑재하는 시스템으로 저고도 방공시스템을 꾸렸는데, 한국 육군도 이러한 형태를 추종하였다. 천마 미사일체계도 기본적인 개발은 [[국방과학연구소]](ADD)에서 했으며 다양한 업체들이 참여하여 완성되었다. 이는 한국군의 대부분의 무기체계 개발과 유사하다. 모든 기술이 국산 개발 품목은 아니고 탈레스에 합병된 [[프랑스]]의 방산기업 톰슨-CSF[*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면 1978년 삼성항공으로 최초 출범하여 이후 1991년 삼성전자 특수사업부로 명맥을 이어가다, 2000년 삼성전자와 톰슨-CSF사가 합자하여 삼성톰슨CSF를 설립하여 현재의 기업 형태를 갖추게 된다.이듬해 2001년 톰슨-CSF가 탈레스에 합병되면서 삼성탈레스로 개편되고, 이후 2015년 삼성그룹이 사업조직 개편을 위해 삼성탈레스 지분을 한화그룹에 전량 매각하여 현재는 [[한화시스템]]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이 개발한 [[크로탈]] 미사일 체계에서 추적 및 탐색 장비 기술을 기술을 제휴받아 국산화하였다. 반면에 유도 미사일은 LG정밀([[LIG넥스원]][* 과거 LG이노텍(舊 LG정밀)의 방산사업부에 속했다.])에서 독자개발한 물건으로, 자료에 따라 크로탈 미사일의 라이센스나 약간 손만 본 크로탈 미사일의 한국형 버전으로 소개되는 경우도 있으나 이는 잘못된 것이다. 실제 미사일 발사영상을 보면 미사일 형태가 천마와 크로탈이 전혀 다르다. 천마의 차체는 [[K200]] 기반으로 잘못 알려지기도 했으나, 실제로는 비호와 마찬가지로 [[K-21]]에 기반을 둔 신규차체이다.[* 舊 두산 DST, 두산인프라코어, 더 거슬러 올라가면 대우종합기계 시절로까지 간다.] 그 밖에도 중소기업까지 포함, 대략 13개 업체가 개발/생산에 참여하였다. 2011년 12월 19일 100여 대 배치를 완료했다.[[http://news.hankooki.com/lpage/politics/201112/h2011121910202891040.htm|#]] 1년당 10대 미만의 저율 생산이 이루어졌다. 2020년부터 천마에 쓰인 TWTA를 반도체 기반 소자(SSPA)로 바꾸는 개량을 진행했다. SSPA는 TWTA에 비하여 사용 전력은 절반 정도이면서도 수명주기도 월등히 길다고 한다. 예열이 필요 없고 수리와 유지보수도 간편하며 성능에도 영향이 큰 부품이다. 가령 [[SPS-540K]] 연구에서는 탐지거리 25%, 탐지고각 40%, 탐지고도는 100% 더 우수한 결과가 나왔다.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jhst3103&logNo=221819808785|#]] [[K-30 비호]]에 비해서 후속 차량 소식이 딱히 없는데 일단 한화쪽에서는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jhst3103&logNo=221394586229&navType=tl|비호2 라는 명칭의 복합 대공차량]]을 해외수출로 제안한 적이 있지만 육군 측에서는 덜 중요한 야전방공보단 주요 항공/기갑 무기체계 도입에 집중하느라 천마의 경우에는 SSPA개량 정도로 만족하는 분위기이다. 사실 북한 육군의 항공전력이 처참한 수준이라 제대로된 대전차미사일도 못 굴리는 북한 헬기전력에[* 북한이 운용 중인 [[Mi-24]]들은 제대로된 유지 보수도 안 되어서 실제로 공개된 장면이 매우 드물 정도이며 그나마 [[MD 500]] 계열에 [[9K11]] 계열 미사일이 달린 게 확인되었지만 9K11로는 천마는커녕 비호/천호와의 교전도 힘들다.] 천마 정도만 되어도 대응에 지장이 없는 것 또한 사실이다. == 특징 == 미사일 성능은 최고속도 마하 2.6, 최대 기동한계 35G이며 유효사거리는 9km다. 레이더는 탐색레이더와 추적레이더로 나뉜다. 탐색레이더는 멀리서 날아오는 적기를 탐색하는 장비로, 상세한 정보는 알 수 없으나 대체로 어느 방향에서 적기가 날아오는지, 고속기인지 저속기인지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고 한다. 탐지거리 20km, 탐지고도 5km이다. 이후 천마는 탐색레이더에 포착된 적기 방향을 향해 추적레이더를 돌리며, 적기가 추적레이더의 추적 범위 내로 들어오면 곧 적기에 대한 상세제원(거리 및 각도, 고도 등)을 산출한다. 추적레이더의 추적 거리는 최대 30km이다. 다만 탐색레이더에서 탐색이 된 항공기에 대하여 추적이 가능하므로 20km이다. 추적고도는 5km이다. 이윽고 적기가 천마 미사일 사거리 내로 들어오면 미사일이 발사된다. 추적 레이더는 미사일과 적기를 동시에 추적한다. 그러면 추적레이더가 측정한 미사일과 적기 사이의 거리, 고도, 각도차이 등을 고려, 천마 차체의 지령송신기가 미사일에게 어느 방향으로 어떻게 경로를 수정하라고 지령을 내린다. 미사일은 이 지령대로 적기를 향해 날아가 격추시킨다. 미사일이 10여 미터 이내로 비껴나갔다면 이번에는 [[근접신관]]이 작동하여 적기를 공격한다. 자주대공포 [[K-30 비호]]와 함께 육군의 단거리 방공망을 담당한다. 가격은 국군 장비들 중에서는 비싼 축에 속한다. 그래서 [[K-30 비호]]와는 달리 군단급 이상의 부대에만 배치되어 운영 중이다. 1기 가격은 '''무려 150억 원'''으로 62억 원 정도 하는 [[K-30 비호]]를 3문이나 구입할 수 있고, 40억 원 정도 하는 [[K1A1]] 전차를 4대 가까이 구입할 수 있는 엄청난 액수다. 다만 해외의 유사 무기체계와 대비하면 100억 원이나 저렴해 가성비는 좋다고 한다. 그리고 천마는 비호였다면 격추 못할, 보다 높은 고도에서 고속으로 비행하는 항공기도 격추할 수 있으며, 그런 정도의 방공체계에 기동성까지 부여해 기갑부대와 같이 행동할 수 있도록 만들어 국군에서 아직 대체제가 없는 물건이니 가격만 보고 따질 수는 없는 일이다. 유도 미사일 1발당 가격은 3억 원에 이르기 때문에 실사격 훈련 또한 매우 드물어서 1년마다 전 군에서 1소대(2기)를 뽑아서 하는 정도에 머무르고 있다. 차체 하단부에 자폭용 소이수류탄을 보관해 둔다고 한다. 유사시 적의 탈취를 막는 용도다. 통신장비의 노획으로 인한 암호통신체계의 폭로와 탑재장비의 소프트웨어 노출 등에 대한 대처법이다. 어떤 군에서든 정보를 다루는 장비 분야는 자폭 능력을 부여할 때가 많다. 무기의 핵심부라 할 수 있는 탐지추적장치 부문은 삼성탈레스가 유지보수를 전담하다 2012년부터 일부 비핵심부품을 일반경쟁품목으로 전환했다. 이후 방위사업청 전직 간부와 무자격업체가 로비를 벌여 계약성사 후 유지보수비를 8배나 부풀려 부당이득을 취했다. 2013년 12월 중순에 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에 적발되어 관련자들 모두 불구속 입건되었다.[[http://m.hankooki.com/t_view.php?WM=hk&FILE_NO=aDIwMTMxMjE2MDMzNDAzMjE5NTAuaHRt&ref=|#]] 컴퓨터에 '''[[진공관]]'''을 사용한다는 오보가 있다. [[https://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469&aid=0000502271&date=20200603&type=1&rankingSeq=9&rankingSectionId=100|#]] 여기의 진공관은 진행파관(TWTA)으로, 연산용이 아니며 광대역 주파수를 증폭하는 역할이다. 현대에도 많은 레이더 장비가 진행파관을 사용한다. == 미디어 == === 게임 === ==== [[워록(게임)|워록]] ==== 장비로 등장한다. 한 번 록온 한 뒤 최대 8발까지 연사를 하는데, 게임 특성상 레이더고 나발이고 그저 육안으로 적기를 탐지해야 록온이 가능하다보니 고수가 공격기를 잡으면 운이 좋지 않은 이상 한 번도 쏴보지도 못하고 파괴되기 일쑤다. 반대로 능선 아래나 건물 아래에 숨어 있다가 적기가 지나가면 바로 공격을 하는 식으로 플레이를 하면 [[FIM-92 스팅어|스팅어]]에는 죽어도 안 맞던 날고 기는 고수들도 맥없이 터져 나가는 위력을 보여주신다. 공격기는 잡기 어렵지만 정찰헬기와 공격헬기, 치누크는 이동속도도 느리고 제대로 타격을 하려면 지상에 접근을 해야 하다보니 천마가 상대적으로 우세한 편이다.[* 물론 치누크는 맷집이 사기적이어서 천마로도 안 터진다.] 천마가 등장하는 맵에선 보통 게파르트도 함께 등장하는데, 게파르트에 비해 위력이 확실하다 보니 상대적으로 좀 더 인기가 많다. ==== [[마피아42]] ==== <최종병기>컬렉션의 그림 또한 바로 이것을 모티브로 한 것. ==== [[팰콘 4.0]] ==== 한반도 전장에서 KSAM이라는 이름을 달고 대한민국 국군 대공전차로 등장한다. == 관련 문서 == * [[국산무기]] * [[대공 미사일]] [[https://blog.naver.com/armynuri2017/221846650671|만화로 보는 천마]] == 둘러보기 == [include(틀:기갑차량 둘러보기)]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천마, version=72, paragraph=3)] [[분류:대공 미사일]][[분류:지상 병기/현대전]][[분류:대한민국 국군/기갑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