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K리그)] ||<-5><:>{{{#!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5deg, #ec2329 50%, #001d49 50%)" '''{{{#ffffff 역대 K리그}}}'''}}} || ||<:> [[K리그/2002년|2002 시즌]] ||<:> {{{+1 ←}}} ||<:> '''2003 시즌''' ||<:> {{{+1 → }}} ||<:> [[K리그/2004년|2004 시즌]] || ||
<-99><:> '''[[K리그|{{{#white 삼성 하우젠 K리그 }}}]] {{{#ffffff 2003 시즌 참가 구단}}}''' || ||<:> [[파일:국군체육부대 부대마크.svg|height=50]] ||<:><#EEEEEE> [[광주 상무 불사조]] ||<:> [[파일:대구 FC 엠블럼 (2003~2011).svg|height=50]] ||<:><#EEEEEE> [[대구 FC]] ||<:> [[파일:대전 시티즌 로고(원형).svg|width=50]] ||<:><#EEEEEE> [[대전 하나 시티즌|대전 시티즌]] ||<:> [[파일:부산 아이콘스 엠블럼(2003~2004).svg|height=50]] ||<:><#EEEEEE> [[부산 아이파크|부산 아이콘스]] || ||<:> [[파일:부천 SK 로고.svg|height=50]] ||<:><#EEEEEE> [[제주 유나이티드|부천 SK]] ||<:> [[파일:성남 일화 천마 엠블럼 (5성).svg|width=50]] ||<:><#EEEEEE> [[성남 FC|성남 일화 천마]] ||<:> [[파일:수원 삼성 블루윙즈(2성)엠블럼.svg|height=50]] ||<:><#EEEEEE> [[수원 삼성 블루윙즈]] ||<:> [[파일:안양 LG 치타스 엠블럼(3성/2002~2003).svg|height=50]] ||<:><#EEEEEE> [[FC 서울|안양 LG 치타스]]|| ||<:> [[파일:울산 현대 엠블럼 (1999~2010).svg|height=50]] ||<:><#EEEEEE> [[울산 현대|울산 현대 호랑이]] ||<:> [[파일:전남 드래곤즈 엠블럼(2001~2014).svg|width=50]] ||<:><#EEEEEE> [[전남 드래곤즈]] ||<:>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 (2000~2005).svg|width=70]] ||<:><#EEEEEE> [[전북 현대 모터스]] ||<:> [[파일:포항 스틸러스 로고.svg|height=50]] ||<:><#EEEEEE> [[포항 스틸러스]] || [목차] == 개요 == 전시즌 [[2002 월드컵]]으로 인한 흥행을 오래 이어가지 못한 만큼 내실 확보나 관중 동원, 경기력 제고 등에 있어 분발이 요구되었던 시즌. 프로축구연맹에서는 정규리그에 비해 권위가 떨어져 제 역할을 하지 못했던 [[리그컵]]과 [[슈퍼컵]]을 중단하였고, 연고지민들에게 보다 많은 관전기회를 제공키 위해 '''4라운드 풀리그'''로 한 시즌을 돌리게 된다. 신생팀 [[대구 FC]]가 [[대구 스타디움|대구 월드컵 경기장]]을 홈경기장 삼아 리그에 참가하였고, 실업축구에 참가하던 상무가 [[광주 월드컵 경기장]]에 새로이 자리잡아 [[김천 상무 FC|광주 상무 불사조]]란 이름으로 리그의 일원이 되어 총 팀 수는 10팀에서 12팀으로 늘어났다. 즉 각 팀당 치루어야 할 리그 경기 수는 44경기가 되었다. 한편 용병 보유한도는 2002 시즌 일시적인 7명 보유 3명 출장 체제[* 2002 월드컵 대비 대표팀이 장기합숙 체제로 들어가면서 구단들의 주전급 선수 부재를 메꾸기 위한 임시방편이었다.]에서 4명 보유 3명 출장으로 정상화되었으며, 2002년에 이어 신인 자유계약제도가 2년차에 접어들어 [[정조국]], [[김진규(1985)|김진규]], [[정성룡]], [[김정우(축구인)|김정우]] 등이 프로에 입문하였다. == 클럽 순위 == ||
<#c50b0b><:><-13> {{{+5 {{{#410648 2003 K-리그}}}}}} || ||<|2> 순위 ||<|2> 팀 ||<|2> 경기 ||<|2> 승 ||<|2> 무 ||<|2> 패 ||<|2> 득점 ||<|2> 실점 ||<|2> 득실차 ||<|2> 승점 ||<|2> 비고 ||||<-2> 2003 시즌 컵 대회[* 볼드체는 우승팀이다.] || ||<:> [[AFC 챔피언스 리그|ACL]][* 이 대회가 추춘제로 치러진 마지막 시즌으로, AFC 챔피언스 리그 2002-03 대회의 예선은 2002년, 본선 경기는 2003년에 치러졌다. 2004 시즌부터는 K리그와 동일하게 춘추제로 치러진다.] ||<:> [[대한축구협회 FA컵/2003년|FA컵]] || ||<:> '''1''' ||[[파일:성남 일화 천마 엠블럼 (2000-2005).svg|width=30]]'''[[성남 FC|성남 일화 천마]]''' ||<:> 44 ||<:> 27 ||<:> 10 ||<:> 7 ||<:> 85 ||<:> 50 ||<:> +35 ||<:> 91 ||<:> ||<:> 조별 ||<:> 16강 || ||<:> 2 ||[[파일:울산 현대 엠블럼 (1999~2010).svg|width=30]]'''[[울산 현대|울산 현대 호랑이]]''' ||<:> 44 ||<:> 20 ||<:> 13 ||<:> 11 ||<:> 63 ||<:> 44 ||<:> +19 ||<:> 73 ||<:> ||<:> ||<:> 4강 || ||<:> 3 ||[[파일:수원 삼성 블루윙즈 엠블럼 (1998~2007).svg|width=30]]'''[[수원 삼성 블루윙즈]]''' ||<:> 44 ||<:> 19 ||<:> 15 ||<:> 10 ||<:> 59 ||<:> 46 ||<:> +13 ||<:> 72 ||<:> ||<:> ||<:> 32강 || ||<:> 4 ||[[파일:전남 드래곤즈 엠블럼(2001~2014).svg|width=30]]'''[[전남 드래곤즈]]''' ||<:> 44 ||<:> 17 ||<:> 20 ||<:> 7 ||<:> 65 ||<:> 48 ||<:> +17 ||<:> 71 ||<:> ||<:> ||<:> 준우승 || ||<:> '''5'''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 (2000~2005).svg|width=30]]'''[[전북 현대 모터스]]''' ||<:> 44 ||<:> 18 ||<:> 15 ||<:> 11 ||<:> 72 ||<:> 58 ||<:> +14 ||<:> 69 ||<:> ||<:> ||<:> '''우승''' || ||<:> 6 ||[[파일:대전 시티즌 로고(원형).svg|width=30]]'''[[대전 하나 시티즌|대전 시티즌]]''' ||<:> 44 ||<:> 18 ||<:> 11 ||<:> 15 ||<:> 50 ||<:> 51 ||<:> -1 ||<:> 65 ||<:> ||<:> 조별 ||<:> 8강 || ||<:> 7 ||[[파일:포항 스틸러스 로고.svg|width=30]]'''[[포항 스틸러스]]''' ||<:> 44 ||<:> 17 ||<:> 13 ||<:> 14 ||<:> 53 ||<:> 46 ||<:> +7 ||<:> 64 ||<:> ||<:> ||<:> 8강 || ||<:> 8 ||[[파일:안양 LG 치타스 엠블럼.svg|width=30]]'''[[FC 서울|안양 LG 치타스]]''' ||<:> 44 ||<:> 14 ||<:> 14 ||<:> 16 ||<:> 69 ||<:> 68 ||<:> +1 ||<:> 56 ||<:> ||<:> ||<:> 32강 || ||<:> 9 ||[[파일:부산 아이콘스 엠블럼(2003~2004).svg|width=30]]'''[[부산 아이파크|부산 아이콘스]]''' ||<:> 44 ||<:> 13 ||<:> 10 ||<:> 21 ||<:> 47 ||<:> 71 ||<:> -30 ||<:> 49 ||<:> ||<:> ||<:> 32강 || ||<:> 10 ||[[파일:광주 상무 불사조 엠블렘.svg|width=30]]'''[[광주 상무 불사조]]''' ||<:> 44 ||<:> 13 ||<:> 7 ||<:> 24 ||<:> 41 ||<:> 60 ||<:> -19 ||<:> 46 ||<:> ||<:> ||<:> 16강 || ||<:> 11 ||[[파일:대구 FC 엠블럼 (2003~2011).svg|width=30]]'''[[대구 FC]]''' ||<:> 44 ||<:> 7 ||<:> 16 ||<:> 21 ||<:> 38 ||<:> 60 ||<:> -22 ||<:> 37 ||<:> ||<:> ||<:> 8강 || ||<:> 12 ||[[파일:부천 SK 로고.svg|width=30]]'''[[제주 유나이티드|부천 SK]]''' ||<:> 44 ||<:> 3 ||<:> 12 ||<:> 29 ||<:> 39 ||<:> 73 ||<:> -34 ||<:> 21 ||<:> ||<:> ||<:> 4강 || * '''{{{#ffd700 K리그 2003 시즌 우승}}}''' * '''{{{#59DA50 AFC 챔피언스리그 2004 시즌 진출}}}''' ||<:>
'''{{{+2 삼성 하우젠 K-리그 2003 우승}}}''' || ||<:><#ffffff>[[파일:성남 일화 천마 엠블럼 (6성).svg|width=200]] [br] [[성남 FC|성남 일화 천마]] || ||<:> 6번째 우승 || == 수상내역 == ||
<:> '''{{{#ffffff 수상}}}''' ||<:> '''{{{#ffffff 이름}}}''' ||<:> '''{{{#ffffff 소속}}}''' || ||<:> '''MVP''' ||<:> [[김도훈]] ||<:> [[성남 일화 천마]] || ||<:> '''감독상''' ||<:> [[차경복]] ||<:> [[성남 일화 천마]] || ||<:> '''신인상''' ||<:> [[정조국]] ||<:> [[안양 LG 치타스]] || 우승 : [[성남 FC|성남 일화 천마]] 득점왕 : [[김도훈]] (성남, 28골) 도움왕 : [[에드밀손]] (전북, 14개) 베스트 11 * GK : [[서동명]](울산) * DF : [[김태영(1970)|김태영]](전남), [[최진철]](전북), [[산토스]](포항), [[김현수(1973년 3월)|김현수]](성남) * MF : [[신태용]](성남), [[데니스(축구)|데니스]](성남), [[이관우]](대전), [[김남일]](전남) * FW : [[김도훈]](성남), [[마그노]](전북) * 페어플레이상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여담 == * [[2002년 한일 월드컵]]을 성공적인 개최와 더불어 [[브라질]] 경제의 파탄으로 인해 수준급 용병들이 대거 영입된 시기이기도 하다.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호나우두]]와 투톱을 서기도 했던 도도와, 후술 하겠지만 전북과 전남 사이의 갈등을 유발시킨 마그노, [[골든컵]]에서 [[카카]], [[호비뉴]]와 함께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뛰었던 [[따바레즈]]등이 이 시기에 입단했다. [[https://www.sports-g.com/2014/01/24/%EC%97%AD%EB%8C%80-%EC%B5%9C%EA%B3%A0-%EA%B8%B0%EB%9F%89%EC%9D%98-%EC%9A%A9%EB%B3%91-%EC%9D%91%EB%8B%B5%ED%95%98%EB%9D%BC-2003-k%EB%A6%AC%EA%B7%B8|관련 기사]]. * [[성남 FC|성남 일화 천마]]가 전 시즌에 이어서 구단 역사상 두 번째 3연패를 달성하면서 여섯 번째 우승컵을 차지했다.[* 서울 연고 시절 포함이다.] 전 시즌의 우승이 소속팀에 국가대표 선수가 적어 대표팀 소집에 대한 피해가 상대적으로 덜해서 가능했다는 폄하를 불식시키는[* 사실 2002시즌은 월드컵 끝나고 시작했지만], 시즌 초반부터 선두로 치고 나가 2위권을 압도적인 차이로 제압하고 이뤄낸 퍼펙트한 우승이었다. '''실제로, 2003년의 [[성남 FC|성남 일화 천마]]를 K리그 역대 최강의 스쿼드로 거론하기도 한다.[[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JMT1&articleno=1922146&categoryId=278403®dt=20080124184411|#]]''' * 성남의 [[신태용]]이 사상 최초로 [[60-60 클럽|60골-60도움]] 기록을 달성하였다. * 신생팀 [[대구 FC|대구]]가 당초 팀명을 '''대구 이글스'''라고 선정했다가 '[[한화 이글스]] 따라하냐'는 축구팬-야구팬들의 단합된 디스 끝에 철회하고 대구 FC라는 밋밋한 팀명으로 선회하였다.[* 참고로 이런 센스는 부천이 몇 년 전에 이미 했다.] * [[대구 월드컵 경기장]]에서 열린 대구의 창단 첫 경기에는 무려 45210명의 관중이 운집하였다. 이는 당시 기준으로 K리그 역대 최다 관중. 요즘이야 [[서울|천만명이 사는 도시]]에 자리한 [[FC 서울|어떤 팀]]이 종종 4만, 5만, 심지어 6만대 관중까지 찍지만 지방도시에서, 그것도 야구인기가 엄청난 대구에서 이만한 관중수를 기록했다는 것은 대단한 수치이며 아직까지도 역대 K리그 최다관중 10위권에 서울 홈경기가 아닌 경기로는 유일하게 포함되어 있다. * [[대전 하나 시티즌|대전]]의 돌풍이 거셌다. 시즌 초반부터 승승장구하더니 한때 성남 바로 아래인 2위까지 점령했다. [[김은중]]-[[이관우]] 콤비가 공격을, [[최은성]]이 후방을 책임졌으며, 다른 팀에서 버림받았거나 실업축구를 전전하던 무명 출신인 김종현, 이경수, 한정국, 주승진, 이창엽, 임영주 등이 한 팀에 모여 일궈낸 기적적인 성적이었다. 전 시즌의 FA컵 우승에 이어 리그에서의 돌풍에 대전시민들도 열광했고 [[대전 월드컵 경기장]]에는 홈경기 때마다 1만여명의 관중이 운집하여 대전에 '축구특별시'라는 별칭을 선사해 주었다. * 그전 시즌 신병호의 '손병호 사건'으로 불타오르던 [[전북 현대 모터스|전북]]과 [[전남 드래곤즈|전남]]간의 라이벌 매치, 즉 '호남 더비'가 더욱 격렬해지기 시작한 시즌이기도 하다. 그 촉매제는 바로 브라질 국적의 외국인 선수 마그노였다. 원래 전남이 마그노를 점찍고 계약서에 싸인만 남겨두고 있었는데, 계약을 체결하기 위해 전남의 연고지인 [[광양시]]를 찾은 마그노는 ''''이런 깡촌에서 축구 못 한다!''''며 도망치고 만다. 그리고 며칠 후 전주에 나타나 전북과 계약을 맺어버린 것.(...) 전남 입장에선 당연히 빡칠만한 사건이었고, 전북 입장에서도 자기 팀에서 펄펄 나는 선수를 다른 팀 팬들이 욕하는데 기분이 좋을 리가 있나. 정작 마그노는 2003 시즌에 베스트11을 수상하며 K리그를 정복하더니 홀라당 [[J리그]]로 이적해 버렸다. * [[제주 유나이티드|부천]]이 22경기 무승이라는 K리그에 길이 남을 기록을 세운 것이 이 시즌이다. 터키에서 외인 감독 트나즈 트라판을 데려왔는데 대체 왜 감독으로 선임했는지 모를 정도로 미스테리한 인물이다. 한때는 터키 국가대표 감독까지 맡을 정도로 잘나갔던 할배라는데 결국 부천을 거하게 말아먹고 감독 커리어를 마감하셨다. * 44라운드라는 미친 일정에 구단은 이래저래 고생이 많았지만 긍정적인 결과도 있었다. 일단 장기적인 레이스를 감안하고 선수단을 운영해야 하기 때문에 감독들 입장에선 당연히 불가피하게 선수기용폭을 넓게 가져가야 했고, 이는 그동안 2군에 묻혀 있던 준수한 기량의 선수들이 활약할 기회로 연결되었으며 한편으로는 유망주들에게도 경기경험이 주어지는 결과를 낳았다. 그리고 각 팀마다 한 시즌 동안 22번의 홈 경기를 개최했기 때문에 그만큼 연고지 주민들에게 노출기회가 잦았고 이는 각 구단들이 연고지 주민들에게 '우리 지역 팀'으로 인식되는 계기가 되었다. == 다른 시즌 보기 == [include(틀:K리그1 역대 시즌)] [각주] [[분류:K리그/역대 시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