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2012년 10월부터 12월까지 MBS의 [[아니메이즘]]을 통해 방영한 [[GoHands]]의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작품의 테마는 '인연(キズナ, '''K'''izuna)'이다. 혁신적인 작가 집단이라 자평하는 GoRA와 애니메이션 제작사 [[GoHands]]가 함께 제작하는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GoRA는 미야자와 타츠키=아리사와 마미즈/{{{#red 레드}}}(DEAMON SEEKERS), 후루하시 히데유키/{{{#deepskyblue 블루}}}([[기신태동|참마성인 데몬베인 - 기신태동]]), 아자노 코우헤이/{{{#green 그린}}}([[Black Blood Brothers]]), 카베이 유카코/{{{#gold 옐로우}}}([[키리]]), 라이라쿠 레이/{{{#pink 핑크}}}(슬픈 키메라), [[스즈키 스즈(작가)|스즈키 스즈]]/{{{#darkorange 오렌지}}}([[흡혈귀의 일상생활]]), [[타카하시 야시치로]]/{{{#black 블랙}}}([[작안의 샤나]])의 작가로 구성된 집단이다. 애니메이션 방영 전 100일 동안 '100DAYS x VISUAL'라는 이벤트를 통해 공식 홈페이지에서 하루에 하나씩 캐릭터들의 목소리와 함께 대사, 이미지를 제공하기도 했다. 작중 인물들은 모두 [[일본 신화]]에서 이름을 따온 것이라는데 떡밥이 될지는 미수. 일단 모티브가 된 신들이 대개 일본 건국 신화에서 따온 거고, 이들은 신화 속에서 연결이 되어 있는 지라... 4화에서 지나가는 강좌로 언뜻 일본 신화 내용이 언급되기도 한다. 작중 배경이 되는 학원섬 아시나카 학원(葦中学園)도 아시하라노나카츠쿠니(葦原中国)[* [[일본서기]]에 나오는 표현으로, 일본을 가리키는 말.]에서 따온 듯. == TVA == === 1기: K === ||<-2>
{{{#ffffff,#ffffff '''{{{+1 K}}}''' (2012)}}}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attachment/AniK.png|width=100%]]}}} || ||<-2> {{{#ffffff,#fff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
'''{{{#ffffff,#ffffff 장르}}}''' ||[[배틀물]], [[군상극]] || || '''{{{#ffffff,#ffffff 원작}}}''' ||[[GoHands]] || || '''{{{#ffffff,#ffffff 감독}}}''' ||<|2>[[스즈키 신고]] || || '''{{{#ffffff,#ffffff 캐릭터 디자인}}}''' || || '''{{{#ffffff,#ffffff 시리즈 구성}}}''' ||미야자와 타츠키(宮沢龍生) || || '''{{{#ffffff,#ffffff 시리즈 디렉터}}}''' ||카나자와 히로미츠(金澤洪充)[br][[쿠도 스스무]] || || '''{{{#ffffff,#ffffff 총 작화감독}}}''' ||후루타 마코토(古田 誠) || || '''{{{#ffffff,#ffffff 메카니컬 디자인 }}}''' ||오오쿠보 히로시(大久保 宏) || || '''{{{#ffffff,#ffffff 메인 애니메이터}}}''' ||우치다 타카유키(内田孝行)[br]오오쿠보 히로시[br][[나카이 준]][br]이모토 카즈아키(井元一彰) || || '''{{{#ffffff,#ffffff 프롭 디자인}}}''' ||[[키시다 타카히로]] || || '''{{{#ffffff,#ffffff 미술 감독}}}''' ||노무라 마사노부(野村正信) || || '''{{{#ffffff,#ffffff 색채 설계}}}''' ||사이토 유코(斉藤友子) || || '''{{{#ffffff,#ffffff 촬영 감독}}}''' ||후쿠시 토오루(福士 享)[br]오오이즈미 히로시(大泉 鉱) || || '''{{{#ffffff,#ffffff CGI 디렉터}}}''' ||나가미네 요시노리(長嶺義則) || || '''{{{#ffffff,#ffffff 편집}}}''' ||탄 아야코(丹 彩子) || || '''{{{#ffffff,#ffffff 음향 감독}}}''' ||타카하시 히데오(高橋秀雄)[br]타나카 료(田中 亮) || || '''{{{#ffffff,#ffffff 음향 효과}}}''' ||타나카 호츠미(田中秀実) || || '''{{{#ffffff,#ffffff 음향 제작}}}''' ||드림 포스 || || '''{{{#ffffff,#ffffff 음악}}}''' ||엔도 미키오(遠藤幹雄) || || '''{{{#ffffff,#ffffff 음악 제작}}}''' ||[[킹 레코드(일본)|STARCHILD]] || || '''{{{#ffffff,#ffffff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키시모토 링고(岸本鈴吾) || || '''{{{#ffffff,#ffffff 애니메이션 제작}}}''' ||[[GoHands]] || || '''{{{#ffffff,#ffffff 제작}}}''' ||K-Project, MBS || || '''{{{#ffffff,#ffffff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12년 10월|2012. 10. 05.]] - 2012. 12. 28. || || '''{{{#ffffff,#ffffff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TBS 테레비TBS]] / (금) 01:30[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애니맥스 코리아]] / (금) 23:00 || || '''{{{#ffffff,#ffffff 국내 스트리밍 서비스}}}''' ||[[Laftel]] [[https://laftel.net/item/22651|▶]] || || '''{{{#ffffff,#ffffff 편당 러닝타임}}}''' ||24분 || || '''{{{#ffffff,#ffffff 화수}}}''' ||13화 || || '''{{{#ffffff,#ffffff 국내 심의 등급}}}'''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관련 규정|[[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373a3c 15세 이상 시청가}}}]] || || '''{{{#ffffff,#ffffff 관련 사이트}}}''' ||[[http://k-project-1st.jpn.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 || [[애니메이션/2012년 10월|2012년 10월 5일]]부터 방영하여 총 13화로 완결되었다. PV 영상에서는 스즈키 신고 특유의 화려한 영상미와 유명 성우들이 대거 참여한 애니로 많은 사람들의 기대를 받았지만 1화의 좋지 않은 전개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실망]]했다. 그것과는 별개로 극장판 수준의 작화 퀄리티가 호평받고 3화부터는 [[떡밥]]도 조금씩 풀어주며 내용이 점점 정상 궤도에 올라가서 이야기가 잘 잡히고 괜찮다고 호평받았다. [[이누×보쿠 SS/애니메이션|이누×보쿠 SS]]처럼 시청자들의 성별을 가리지 않고 겨냥한 듯하다. 특히 등장인물들 간 관계성과 함께 BL계통 오타쿠들을 노린 남캐들의 연출이 워낙 노골적이어서 알파벳 케이가 아니고 [[게이]]라는 말장난이 곧잘 나오는 편이다. 반면 19금은 아니지만 네코의 대놓고 색기 폭발하는 장면들이 많은 걸 보니 남덕 역시 노린 것으로 보이지만 15금답지 않게 매우 수위높은 노출을 부담스러워하는 평가도 많다. 방영 전부터 엄청난 기대를 주었던 것과는 달리 여러가지 단점들로 이대로 간다면 제2의 [[길티 크라운]]이 될 것 같다는 우려도 있었다. 방영 후 반응은 그다지 고평가받지 못했지만 그럭저럭 평가는 나쁘지 않았다. 적어도 길티 크라운만큼의 취급은 받지 않는다.[* DVD/BD 판매량이 길티크라운과 비슷하다고 해서 비슷한 취급을 할 수 없는 게, 이쪽은 1쿨 애니메이션이며 회사의 인지도 차이 및 연출, 성우 캐스팅의 차이가 크게 나기 때문. K 역시 성우들 캐스팅이 우수했다.] 국내에서는 [[애니플러스]]에서 방영될 거라는 예측이 많았지만 [[애니맥스]]에서 자막판으로 한일 동시방영을 확정했다. 10월 19일부터 매주 금요일 밤 11시에 방영했다. 시청등급은 15세 이상 시청가였지만 일부 IPTV 편성표에는 12세 이상 시청가였다. 1화 배역 소개 자막의 다양한 글꼴을 거의 재현한데다 각 화의 영어 부제를 전부 [[한국어]]로 번역했다. 다만 '클랜'을 '크란', 토츠카 타타라의 이름을 '도츠카'나 '타타로'로 [[오타]]냈다. 15세 이상 시청가 등급으로 방영되었기 때문에 네코의 나체, 그리고 스오우 미코토와 쿠사나기 이즈모의 [[흡연]]은 모자이크 처리했다. 엔딩은 원본의 네코 나체 때문에 통째로 바꿨다. 바뀐 영상은 캐릭터 소개 영상의 느낌이 강하며, 위화감 없이 잘 만든 편인데 마지막에 네코가 분홍색 고양이가 되는 장면은 편집하지 않았다. 영상이 바뀐 부분에서는 일본어 크레딧이 따로 들어가지 않았지만 마지막에 다시 원래대로 나올 때는 기존의 일본어 크레딧이 나오기 때문에 사람에 따라 호불호가 갈릴 수 있다. 11화의 반전을 방영 전에 정확히 예측한 사람이 있다.[[http://bbs2.ruliweb.daum.net/gaia/do/ruliweb/family/230/read?articleId=15854406&objCate1=&bbsId=G005&searchKey=subject&itemGroupId=&itemId=75&sortKey=depth&searchValue=K&platformId=&pageIndex=1|#]] 그리고 13화의 최후, 속편 극장판 상영이 결정되었다. ==== 주제가 ==== ===== 오프닝 ===== * '''KINGS''' (1화 ~ 12화) * 작사: atsuko * 작곡: atsuko, KATSU * 편곡: KATSU * 노래: [[angela]] * 가사(TVA v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일본어 || 애니맥스 코리아 자막 || ||{{{-1 Worries slowly come and kiss tell me what's your name?[br][br]また惹かれ合っては[br]比べ合う事でけなして[br][br]何度夜が巡ろうとも[br]真っ暗闇のどっかで欠けた 自分のpieceだったら[br]Search and kiss destroy[br][br]Big bang 野蛮な情熱 冷静な衝突 血を見るまで容赦はしないの?[br]Big bang 確かめたい 繋がっていたい 本当は怖いの?[br][br]未完成な愛をぐっと振りかざして[br]分かりたい 分からない 分からず屋[br]相反する正義に集う輩さ[br]一瞬の安らぎに 寄り添って}}} ||{{{-1 천천히 다가와 키스해줘요 나에게 이름을 말해줘요[br][br]서로에게 마음을 주고는[br]비교하며 상처를 주네요[br][br]몇 번의 밤이 돌고 돌아도[br]칠흑 같은 어둠 속 지옥에 빠져 있다면[br]Search and Kiss and Destroy[br][br]Big wave! 야만적인 정열 냉정한 충돌 피투성이가 되면서도 용서할 순 없나요?[br]Big wave! 사랑을 확인하고 싶어 놓치고 싶지 않아 사실은 두려운 건가요?[br][br]미완성의 사랑이지만 힘차게 나가보자[br]알고 싶다면서도 모르겠다면 고집불통[br]상반되는 정의에 모여드는 자들이여[br]한순간의 평온에 기대어}}} ||}}} ===== 엔딩 ===== * '''차가운 방에 홀로(冷たい部屋、一人)''' * 작사: atsuko * 작곡: atsuko, KATSU * 편곡: KATSU * 노래: [[네코(K)|네코]] (CV: [[코마츠 미카코]] (2화 ~ 5화, 7화 ~ 12화) * 가사(TVA v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일본어 || 애니맥스 코리아 자막 || ||{{{-1 冷たい部屋の隅に 射し込んできた夕陽だったら[br]近づいてみても感情は無くて 裏切りも無い[br][br]今日も明日も一人で きっとそれが普通のことで[br]交わす言葉も無く 一日を終える時[br][br]例えば 優しさはどれくらいの[br]ぬくもりかも知らないで[br]そんなにそんなに簡単じゃない[br]心の距離[br][br]冷たい部屋の隅に 小さくなったまま}}} ||{{{-1 차가운 방 한쪽 구석으로 물들어 오는 석양[br]가까이 다가가도 감정이 없어 날 버리지 않네[br][br]오늘도 내일도 나 홀로 혼자인 게 당연한 것처럼[br]대화도 없이 하루가 끝나갈 무렵[br][br]상냥함은 어느 정도의[br]따스함일까?[br]그렇게 간단하지 않은[br]마음의 거리[br][br]차가운 방 한쪽 구석에서 작아져 버린 채}}} ||}}} * '''Circle of Friends''' (6화) * 작사: TOMBOW * 작곡·편곡: 미야자키 마코토(宮崎 誠) * 노래: [[토츠카 타타라]] (CV : [[카지 유우키]]) * '''To be with U!''' (13화) * 작사: atsuko * 작곡: atsuko, KATSU * 편곡: KATSU * 노래: [[angela]] ===== 삽입곡 ===== * '''언젠가의 제로부터 (いつかのゼロから)''' (PV 3탄, 2화) * 작사: atsuko * 작곡: atsuko, KATSU * 편곡: KATSU * 노래: [[angela]] * '''경계선 Set me free (境界線 Set me free)''' (PV 4탄) * 작사: atsuko * 작곡: atsuko, KATSU * 편곡: KATSU * 노래: [[angela]] * '''레퀴엠 오브 레드 (レクイエム・オブ・レッド)''' (13화) * 작사: atsuko * 작곡: atsuko, KATSU * 편곡: KATSU * 노래: [[쿠시나 안나]] (CV : [[호리에 유이]]) & 적의 클랜즈맨 ==== 회차 목록 ==== * 전화 콘티: [[스즈키 신고]], 카나자와 히로미츠(金澤洪充) ||
'''회차''' || '''제목'''[* 국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맥스 코리아]]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 || '''각본''' || '''연출''' || '''레이아웃[br]작화감독''' || '''캐릭터[br]작화감독''' || '''방영일''' || || {{{-2 #01}}} || {{{-2 Knight[br]기사}}} || {{{-2 후루하시 히데유키[br](古橋秀之)}}} || {{{-2 [[쿠도 스스무]]}}} || {{{-2 스즈키 신고}}} || {{{-2 이시모리 아이[br](石森 愛)[br]마스다 히로미[br](舛田裕美)}}} || {{{-2 2012.10.05.}}}[br],,[[https://youtu.be/l3gUBPhPhK4|하이라이트]],, || || {{{-2 #02}}} || {{{-2 kitten[br]어린 고양이}}} || {{{-2 스즈키 스즈[br](鈴木 鈴)}}} ||<|2> {{{-2 스기세 유이치[br](杉生祐一)}}} || {{{-2 후루타 마코토[br](古田 誠)}}} || {{{-2 스즈키 쇼코[br](鈴木祥子)}}} || {{{-2 2012.10.12.}}}[br],,[[https://youtu.be/DBhM0kWA8Ys|하이라이트]],, || || {{{-2 #03}}} || {{{-2 KITCHEN[br]키친}}} || {{{-2 미야자와 타츠키[br](宮沢龍生)}}} ||<-2> {{{-2 마츠모토 타쿠야[br](松本卓也)}}} || {{{-2 2012.10.19.}}}[br],,[[https://youtu.be/3hQhIc2NMwE|하이라이트]],, || || {{{-2 #04}}} || {{{-2 Knock-on effect[br]도미노 효과}}} || {{{-2 라이라쿠 레이[br](来楽 零)}}} || {{{-2 쿠도 스스무}}} || {{{-2 후루타 마코토}}} || {{{-2 후루타 마코토[br]스즈키 쇼코}}} || {{{-2 2012.10.26.}}}[br],,[[https://youtu.be/W49bsglpfLI|하이라이트]],, || || {{{-2 #05}}} || {{{-2 Knife[br]나이프}}} || {{{-2 아자노 코헤이[br](あざの耕平)}}} || {{{-2 스기세 유이치}}} || {{{-2 마츠모토 타쿠야[br]후루타 마코토[br]우치다 타카유키[br](内田孝行)}}} || {{{-2 토키 유키[br](土岐由紀)[br]스즈키 쇼코[br]모리 미유키[br](森 美幸)}}} || {{{-2 2012.11.02.}}}[br],,[[https://youtu.be/VtGpxU1kQlw|하이라이트]],, || || {{{-2 #06}}} || {{{-2 Karma[br]카르마}}} || {{{-2 라이라쿠 레이}}} || {{{-2 쿠도 스스무}}} || {{{-2 이시모리 아이[br]마츠모토 타쿠야[br]후루타 마코토}}} || {{{-2 이시모리 아이[br]우치다 타카유키}}} || {{{-2 2012.11.09.}}}[br],,[[https://youtu.be/pRA9Baoeh-A|하이라이트]],, || || {{{-2 #07}}} || {{{-2 Key[br]열쇠}}} || {{{-2 후루하시 히데유키}}} || {{{-2 카나자와 히로미츠}}} || {{{-2 이모토 카즈아키[br](井元一彰)[br]마츠모토 타쿠야}}} ||<|2> {{{-2 토키 유키[br]스즈키 쇼코[br]모리 미유키}}} || {{{-2 2012.11.16.}}}[br],,[[https://youtu.be/Z1iZyd_6pn4|하이라이트]],, || || {{{-2 #08}}} || {{{-2 Kindling[br]점화}}} || {{{-2 타카하시 야시치로[br](高橋弥七郎)}}} || {{{-2 요코미네 카츠마사[br](横峯克昌)}}} || {{{-2 우치다 타카유키}}} || {{{-2 2012.11.23.}}}[br],,[[https://youtu.be/JW19afyEfAI|하이라이트]],, || || {{{-2 #09}}} || {{{-2 Knell[br]불길한 징조}}} || {{{-2 후루하시 히데유키}}} || {{{-2 쿠도 스스무}}} || {{{-2 후루타 마코토[br]스즈키 신고}}} || {{{-2 반조야 유스케[br](坂上谷悠介)[br]타치바나 마사유키[br](立花昌之)[br]우에키 리나[br](植木理奈)[br]카와다 이즈미[br](河田 泉)}}} || {{{-2 2012.11.30.}}}[br],,[[https://youtu.be/GEpWyr4GLeo|하이라이트]],, || || {{{-2 #10}}} || {{{-2 Kaleidoscope[br]Kaleidoscope(만화경)}}} || {{{-2 라이라쿠 레이}}} || {{{-2 카나자와 히로미츠}}} || {{{-2 이모토 카즈아키[br]우치다 타카유키[br]마츠모토 타쿠야}}} || {{{-2 토키 유키[br]스즈키 쇼코[br]모리 미유키}}} || {{{-2 2012.12.07.}}}[br],,[[https://youtu.be/FfVTkJn0zHY|하이라이트]],, || || {{{-2 #11}}} || {{{-2 Killer[br]킬러}}} ||<|2> {{{-2 아자노 코헤이}}} || {{{-2 요코미네 카츠마사}}} || {{{-2 후루타 마코토[br]우치다 타카유키}}} || {{{-2 반조야 유스케[br]타치바나 마사유키[br]우에키 리나[br]카와다 이즈미}}} || {{{-2 2012.12.14.}}}[br],,[[https://youtu.be/kMY0k62TyXw|하이라이트]],, || || {{{-2 #12}}} || {{{-2 Adolf・K・Weismann[br][[아돌프 K 바이스만]]}}} || {{{-2 카나자와 히로미츠}}} || {{{-2 마츠모토 타쿠야[br]후루타 마코토[br]우치다 타카유키}}} || {{{-2 토키 유키[br]스즈키 쇼코[br]모리 미유키}}} || {{{-2 2012.12.21.}}}[br],,[[https://youtu.be/QP9XKviXQ7Q|하이라이트]],, || || {{{-2 #13}}} || {{{-2 King[br]왕}}} || {{{-2 카베이 유카코[br](壁井ユカコ)}}} || {{{-2 쿠도 스스무}}} || {{{-2 스즈키 신고[br]후루타 마코토[br]마츠모토 타쿠야}}} || {{{-2 반조야 유스케[br]타치바나 마사유키[br]우에키 리나[br]카와다 이즈미}}} || {{{-2 2012.12.28.}}}[br],,[[https://youtu.be/ZZwKPFYGvMo|하이라이트]],, || BD / DVD 전권 발매일을 모두 공개하면서, 모든 회차의 제목도 함께 공개되어버렸다. 12화를 제외하면 [[C(애니메이션)|제목처럼 모두 알파벳 K로 시작하며]], 12화에도 K는 들어간다. === 2기: K RETURN OF KINGS === ||<-2>
{{{#ffffff,#ffffff '''{{{+1 K RETURN OF KINGS}}}''' (2015)}}}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9FeAqHx.jpg|width=100%]]}}} || ||<-2> {{{#ffffff,#fff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
'''{{{#ffffff,#ffffff 장르}}}''' ||[[배틀물]], [[군상극]] || || '''{{{#ffffff,#ffffff 원작}}}''' ||[[GoHands]] || || '''{{{#ffffff,#ffffff 감독}}}''' ||<|2>[[스즈키 신고]] || || '''{{{#ffffff,#ffffff 캐릭터 디자인}}}''' || || '''{{{#ffffff,#ffffff 시리즈 구성}}}''' ||타카하시 야시치로(高橋弥七郎) || || '''{{{#ffffff,#ffffff 시리즈 디렉터}}}''' ||카나자와 히로미츠(金澤洪充) || || '''{{{#ffffff,#ffffff 총 작화감독}}}''' ||후루타 마코토(古田 誠) || || '''{{{#ffffff,#ffffff 메카니컬 디자인 }}}''' ||오쿠보 히로시(大久保宏) || || '''{{{#ffffff,#ffffff 메인 애니메이터}}}''' ||우치다 타카유키(内田孝行)[br]오쿠보 히로시[br]오카다 나오키(岡田直樹) || || '''{{{#ffffff,#ffffff 프롭 디자인}}}''' ||[[키시다 타카히로]] || || '''{{{#ffffff,#ffffff 미술 감독}}}''' ||나이토 타케시(内藤 健) || || '''{{{#ffffff,#ffffff 미술 설정}}}''' ||[[키시다 타카히로]][br][[스즈키 신고]] || || '''{{{#ffffff,#ffffff 색채 설계}}}''' ||사이토 유코(斉藤友子) || || '''{{{#ffffff,#ffffff 촬영 감독}}}''' ||토자와 유이치로(戸澤雄一朗) || || '''{{{#ffffff,#ffffff CGI 디렉터}}}''' ||키쿠치 타카노리(菊地貴紀) || || '''{{{#ffffff,#ffffff 편집}}}''' ||탄 아야코(丹 彩子) || || '''{{{#ffffff,#ffffff 음향 감독}}}''' ||요코타 치카코(横田知加子) || || '''{{{#ffffff,#ffffff 음향 효과}}}''' ||타나카 호츠미(田中秀実) || || '''{{{#ffffff,#ffffff 음향 제작}}}''' ||글로비전(グロービジョン) || || '''{{{#ffffff,#ffffff 음악}}}''' ||엔도 미키오(遠藤幹雄) || || '''{{{#ffffff,#ffffff 음악 제작}}}''' ||[[킹 레코드(일본)|STARCHILD]] || || '''{{{#ffffff,#ffffff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키시모토 링고(岸本鈴吾) || || '''{{{#ffffff,#ffffff 애니메이션 제작}}}''' ||[[GoHands]] || || '''{{{#ffffff,#ffffff 제작}}}''' ||K-Project, MBS || || '''{{{#ffffff,#ffffff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15년 10월|2015. 10. 02.]] - 2015. 12. 26. || || '''{{{#ffffff,#ffffff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TBS 테레비|TBS]] / (토) 01:55[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애니맥스 코리아]] / (토) 23:30 || || '''{{{#ffffff,#ffffff 국내 스트리밍 서비스}}}''' ||[[Laftel]] [[https://laftel.net/item/24988|▶]] || || '''{{{#ffffff,#ffffff 편당 러닝타임}}}''' ||24분 || || '''{{{#ffffff,#ffffff 화수}}}''' ||13화 || || '''{{{#ffffff,#ffffff 국내 심의 등급}}}'''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관련 규정|[[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373a3c 15세 이상 시청가}}}]] || || '''{{{#ffffff,#ffffff 관련 사이트}}}''' ||[[http://k-project-come-back.jpn.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 || 제목은 K RETURN OF KINGS로 변경되었다. 2015년 10월 3일 첫 방영. 동년 12월 26일 13화로 완결되었다. 일본 TBS에서 매주 토요일 오전 01:55 방영, 한국 동시 방영 채널은 1기와 같은 [[애니맥스]]로 매주 토요일 오후 11:30분 방영. 2기 1화의 시청률이 심야 애니인데도 3%로 상당히 잘 나왔다. [[애니메이션/2015년 10월|2015년 4분기]] 첫째 주 심야 애니 중에서 무려 '''1위'''다. 2015년 8월 11일, 오프닝과 엔딩에 쓰일 곡의 정보가 나왔다. 오프닝은 [[쿠시나 안나]] 역의 성우 [[호리에 유이]]의 「アシンメトリー」, 엔딩은 カスタマイZ의 「解」이다. 발매일은 각각 2015년 11월 4일과 2015년 11월 18일. 6화 방영 후 애니메이션 잡지 Animage 12월호에서 K 2기 10화까지의 중요 스포일러가 실리는 사건이 발생했다. 그리고 잡지사는 공식적으로 사과를 전하고 제작진은 되도록 스포일러를 보지 않기를 당부했다. 문제는 이 스포일러가 2기가 본격적인 궤도로 오르는 매우 중요한 에피소드인 바람에 판매량에도 타격이 가는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그리고 우려는 현실이 되었다. ==== 주제가 ==== ===== 오프닝 ===== * '''Asymmetry(アシンメトリ)''' (2화 ~ 12화) [youtube(0xTEksnrmEw)] * 작사: atsuko * 작곡: atsuko, KATSU * 편곡: KATSU * 노래: [[쿠시나 안나]] (CV: [[호리에 유이]]) * 가사(TVA v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일본어 || 애니맥스 코리아 자막 || ||{{{-1 まっさらな櫛で髪をとかして 真っ赤な林檎のくちびる[br]真っ白いキャンバスを彩ってる 真ん中に在るべき意識[br][br]怖い(怖くない) 辛い(辛くない) 迷い(迷わない) 寂しい(うん)[br]寒い(温かい) 赤い(尊い) この世界は儚き アシンメトリー[br][br]ねえ愛が 永遠に 繋ぐ絆と炎[br]心ひとつ 逃げ隠れたりはしないわ[br]ねえ愛は きっとある 未完成と知る頃に[br]君にKissをあげる[br][br]ねえ強く 抱いてみて 繋ぐ絆と炎[br]咲き誇れる戦いのKissを放つわ[br]Glassの中 Yes, I do 唯一無二のColorで[br]君にKissをあげる}}} ||{{{-1 새 빗으로 머리를 빗으며 새빨간 사과 같은 입술[br]새하얀 캔버스를 색칠하는 한가운데 있어야 할 의식[br][br]무서워 (무섭지 않아) 괴로워 (괴롭지 않아) 망설이고 있어 (망설이지 않아) 외로워[br]추워 (따뜻해) 붉은 (소중해) 이 세상은 덧없는 Asymmetry[br][br]있잖아, 사랑이 영원히 이어진 인연과 불꽃[br]마음 한 조각도 도망치거나 숨지 않을 거야[br]있잖아, 사랑은 분명 있어 미완성인 줄 알던 시절에[br]네게 키스를 줄게[br][br]있잖아, 힘껏 안아 봐 이어진 인연과 불꽃[br]화려하게 피어날 싸움의 키스를 보내줄게[br]Glass의 안 Yes, I do 유일무이한 Color로[br]네게 키스를 줄게}}} ||}}} ===== 엔딩 ===== * '''해(解)''' (2화 ~ 12화) [youtube(nozJanOKNKs)] * 작사: 미야자와 타츠키(宮沢龍生) * 작곡: GRP, Shun Kusakawa * 편곡: GRP * 노래: customiZ(カスタマイZ) * 가사(TVA v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일본어 || 애니맥스 코리아 자막 || ||{{{-1 So They say “We are the dead”[br]So They say “We are the dead”[br]So They say “We are the dead”[br][br]But We live Love[br][br]夢見ちゃって馬鹿に ハマらなくてスポイル (くだらねぇ)[br]人並みの人生 俺には届かなくて (なってねぇ)[br][br]語られ決められた 行方[br]誰にも見えてる答え 越えて[br]こんな支配のルールに 異 異 異 異[br][br]繋がり無くなって どうでもいいなんて[br][br]冷えて消えた 俺たちの約束[br]your time fear bye[br][br]不燃性な澱が溜まって[br]崩壊起こす危険な炎[br][br]すれ違った解  夢がほどけて[br]重なっていくCRY 一人で泣いて[br]癒えない傷抱え 壊していく[br][br]May hear your soul 虚ろな世界[br]Say What you need 欠けゆく絆[br]見失うことなく 魂に問え[br][br]透明になったwhy 世界を受け入れ[br]戦いの声 新しい風[br]誰にも気づかれず 掴んでいく[br][br]May hear your soul 冷たい未来[br]Say What you need 消えてく祈り[br]足掻き叫び吠え 魂に問え}}} ||{{{-1 So They say “We are the dead”[br]So They say “We are the dead”[br]So They say “We are the dead”[br][br]But We live Love[br][br]꿈을 꿔서 바보짓 빠지지 않고 Spoil (시시해)[br]평범한 인생 내게는 닿지 않아서 (않아서)[br][br]얘기되고 정해진 행방[br]아무에게나 보이는 답을 넘어[br]이런 지배 규칙에 No, No, No, No[br][br]동료가 없어도 상관없다고[br][br]차갑게 사라진 우리들의 약속[br]your time fear bye[br][br]불연성의 응어리가 쌓여[br]붕괴를 일으키는 위험한 불꽃[br][br]엇갈려 버린 해답 꿈이 풀려가[br]거듭되는 CRY 혼자서 울어[br]아물지 않는 상처를 안고 부숴나가네[br][br]May hear your soul 텅 빈 세상[br]Say What you need 사라져 가는 인연[br]놓치는 일 없이 영혼에게 물어라[br][br]투명해진 Why 세상을 받아들여[br]싸움의 목소리 새로운 바람[br]누구도 눈치 못 채게 포착해 가지[br][br]May hear your soul 차가운 미래[br]Say What you need 사라져 가는 기도[br]버둥대고 절규하며 영혼에게 물어라}}} ||}}} * '''KIZUNA''' (13화) * 작사: atsuko * 작곡: atsuko, KATSU * 편곡: KATSU * 노래: [[angela]] ===== 삽입곡 ===== * '''Circle of Friends''' (1화) * 작사: TOMBOW * 작곡·편곡: 미야자키 마코토(宮崎 誠) * 노래: [[토츠카 타타라]] (CV : [[카지 유우키]]) ==== 회차 목록 ==== ||
'''회차''' || '''제목'''[* 국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맥스 코리아]]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방영일''' || || {{{-2 #01}}} || {{{-2 Knave}}} || {{{-2 미야자와 타츠키[br](宮沢龍生)}}} ||<|2> {{{-2 [[스즈키 신고]][br]카나자와 히로미츠[br](金澤洪充)}}} ||<|2> {{{-2 요코미네 카츠마사[br](横峯克昌)}}} || {{{-2 스즈키 신고[br]후루타 마코토[br](古田 誠)[br]오카다 나오키[br](岡田直樹)}}} || {{{-2 日: 2015.10.02.[br]韓: 2015.10.03.}}}[br],,[[https://youtu.be/3UtjQERG9Wc|하이라이트]],, || || {{{-2 #02}}} || {{{-2 Kindness}}} || {{{-2 라이라쿠 레이[br](来楽 零)}}} || {{{-2 스즈키 신고[br]후루타 마코토[br]타케모토 다이키[br](武本大樹)}}} || {{{-2 日: 2015.10.09.[br]韓: 2015.10.10.}}}[br],,[[https://youtu.be/vBM5tX4KVbg|하이라이트]],, || || {{{-2 #03}}} || {{{-2 Kismet}}} || {{{-2 스즈키 스즈[br](鈴木 鈴)}}} || {{{-2 [[시마즈 히로유키]]}}} || {{{-2 요코미네 카츠마사[br]카나자와 히로미츠}}} || {{{-2 스즈키 신고[br]후루타 마코토[br]마츠모토 타쿠야[br](松本卓也)[br]우에키 리나[br](植木理奈)}}} || {{{-2 日: 2015.10.16.[br]韓: 2015.10.17.}}}[br],,[[https://youtu.be/eywjjdz8yvo|하이라이트]],, || || {{{-2 #04}}} || {{{-2 Knot}}} ||<|2> {{{-2 타카하시 야시치로[br](高橋弥七郎)}}} ||<|2> {{{-2 스즈키 신고[br]시마즈 히로유키}}} || {{{-2 카나자와 히로미츠}}} || {{{-2 스즈키 신고[br]후루타 마코토[br]타치바나 마사유키[br](立花昌之)}}} || {{{-2 日: 2015.10.23.[br]韓: 2015.10.24.}}}[br],,[[https://youtu.be/mH3yzBbAt4Y|하이라이트]],, || || {{{-2 #05}}} || {{{-2 Ken}}} || {{{-2 요코미네 카츠마사}}} || {{{-2 후루타 마코토[br]우치다 타카유키[br](内田孝行)[br]우에키 리나}}} || {{{-2 日: 2015.10.30.[br]韓: 2015.10.31.}}}[br],,[[https://youtu.be/aVhxpxf6xo8|하이라이트]],, || || {{{-2 #06}}} || {{{-2 Keeper}}} || {{{-2 미야자와 타츠키}}} ||<|2> {{{-2 스즈키 신고[br]카나자와 히로미츠}}} || {{{-2 카나자와 히로미츠}}} || {{{-2 후루타 마코토[br]마츠모토 타쿠야[br]타케모토 다이키}}} || {{{-2 日: 2015.11.07.[br]韓: 2015.11.08.}}}[br],,[[https://youtu.be/ZE3SLn7q4gc|하이라이트]],, || || {{{-2 #07}}} || {{{-2 Kickdown}}} || {{{-2 후루하시 히데유키[br](古橋秀之)}}} || {{{-2 스즈키 신고[br]카나자와 히로미츠}}} || {{{-2 후루타 마코토[br]우치다 타카유키[br]타케모토 다이키[br]우에키 리나}}} || {{{-2 日: 2015.11.14.[br]韓: 2015.11.15.}}}[br],,[[https://youtu.be/Q8R5IJt08q0|하이라이트]],, || || {{{-2 #08}}} || {{{-2 Kaput}}} || {{{-2 카베이 유카코[br](壁井ユカコ)}}} || {{{-2 스즈키 신고[br]시마즈 히로유키}}} || {{{-2 카나자와 히로미츠}}} || {{{-2 스즈키 신고[br]후루타 마코토[br]마츠모토 타쿠야[br]타케모토 다이키}}} || {{{-2 日: 2015.11.21.[br]韓: 2015.11.22.}}}[br],,[[https://youtu.be/eLkavJAtsV8|하이라이트]],, || || {{{-2 #09}}} || {{{-2 Kid's room}}} || {{{-2 후루하시 히데유키}}} || {{{-2 스즈키 신고[br]카나자와 히로미츠}}} || {{{-2 타치바나 마사유키}}} || {{{-2 스즈키 신고[br]후루타 마코토[br]우에키 리나}}} || {{{-2 日: 2015.11.28.[br]韓: 2015.11.29.}}}[br],,[[https://youtu.be/RPsRa7o21ss|하이라이트]],, || || {{{-2 #10}}} || {{{-2 Keystone}}} || {{{-2 라이라쿠 레이}}} || {{{-2 스즈키 신고[br]시마즈 히로유키}}} || {{{-2 카나자와 히로미츠[br]야마기시 테츠이치[br](山岸徹一)}}} || {{{-2 스즈키 신고[br]후루타 마코토[br]오카다 나오키}}} || {{{-2 日: 2015.12.05.[br]韓: 2015.12.06.}}}[br],,[[https://youtu.be/J7eseVRSSa0|하이라이트]],, || || {{{-2 #11}}} || {{{-2 Kali-yuga}}} || {{{-2 스즈키 스즈}}} || {{{-2 스즈키 신고[br]카나자와 히로미츠}}} || {{{-2 요코미네 카츠마사}}} || {{{-2 스즈키 신고[br]후루타 마코토[br]오카다 나오키[br]타케모토 다이키}}} || {{{-2 日: 2015.12.12.[br]韓: 2015.12.13.}}}[br],,[[https://youtu.be/QCiPsikXWxs|하이라이트]],, || || {{{-2 #12}}} || {{{-2 Knuckle bump}}} || {{{-2 카베이 유카코}}} || {{{-2 스즈키 신고[br]시마즈 히로유키}}} || {{{-2 카나자와 히로미츠}}} || {{{-2 후루타 마코토[br]오카다 나오키[br]우에키 리나[br]타치바나 마사유키[br]타케모토 다이키}}} || {{{-2 日: 2015.12.19.[br]韓: 2015.12.20.}}}[br],,[[https://youtu.be/g89b5RvpCmk|하이라이트]],, || || {{{-2 #13}}} || {{{-2 Kings}}} || {{{-2 아자노 코헤이[br](あざの耕平)}}} || {{{-2 스즈키 신고[br]카나자와 히로미츠}}} || {{{-2 요코미네 카츠마사}}} || {{{-2 후루타 마코토[br]오카다 나오키[br]타치바나 마사유키[br]우에키 리나}}} || {{{-2 日: 2015.12.26.[br]韓: 2015.12.27.}}}[br],,[[https://youtu.be/zcdutJCuOkE|하이라이트]],, || == 극장판 == === K MISSING KINGS === ||<-2>
{{{#ffffff '''{{{+1 K: 미싱 킹즈}}}'''[br]K MISSING KINGS}}}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K(애니메이션)/movie_k.jpg|width=100%]]}}} || ||<-2> {{{#fff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
'''{{{#ffffff 장르}}}''' ||{{{#373a3c [[배틀물]], [[군상극]]}}} || || '''{{{#ffffff 원작}}}''' ||{{{#373a3c [[GoHands]]}}} || || '''{{{#ffffff 감독 / 캐릭터 디자인}}}''' ||{{{#373a3c [[스즈키 신고]]}}} || || '''{{{#ffffff 각본}}}''' ||{{{#373a3c GoRA}}} || || '''{{{#ffffff 시리즈 디렉터}}}''' ||{{{#373a3c 카나자와 히로미츠(金澤洪充)}}} || || '''{{{#ffffff 콘티}}}''' ||{{{#373a3c [[스즈키 신고]][br]카나자와 히로미츠[br][[시마즈 히로유키]]}}} || || '''{{{#ffffff 연출}}}''' ||{{{#373a3c 카나자와 히로미츠[br]요코미네 카츠마사(横峯克昌)}}} || || '''{{{#ffffff 총 작화감독}}}''' ||{{{#373a3c 후루타 마코토(古田 誠)}}} || || '''{{{#ffffff 프롭 디자인}}}''' ||{{{#373a3c [[키시다 타카히로]]}}} || || '''{{{#ffffff 메카니컬·총기 디자인 }}}''' ||{{{#373a3c 오쿠보 히로시(大久保宏)}}} || || '''{{{#ffffff 메인 애니메이터}}}''' ||{{{#373a3c 우치다 타카유키(内田孝行)}}} || || '''{{{#ffffff 작화감독}}}''' ||{{{#373a3c 오카다 나오키(岡田直樹)[br]후루타 마코토[br][[스즈키 신고]]}}} || || '''{{{#ffffff 촬영 감독}}}''' ||{{{#373a3c 후쿠시 토오루(福士 享)}}} || || '''{{{#ffffff CGI 디렉터}}}''' ||{{{#373a3c 키쿠치 타카노리(菊地貴紀)}}} || || '''{{{#ffffff 미술 감독}}}''' ||{{{#373a3c 나이토 타케시(内藤 健)}}} || || '''{{{#ffffff 색채 설계}}}''' ||{{{#373a3c 사이토 유코(斉藤友子)}}} || || '''{{{#ffffff 편집}}}''' ||{{{#373a3c 탄 아야코(丹 彩子)}}} || || '''{{{#ffffff 음향 감독}}}''' ||{{{#373a3c 타나카 료(田中亮)}}} || || '''{{{#ffffff 음향 효과}}}''' ||{{{#373a3c 야마타니 나오토(山谷尚人)[br]오가타 야스노리(緒方康恭)}}} || || '''{{{#ffffff 음향 제작}}}''' ||{{{#373a3c 글로비전}}} || || '''{{{#ffffff 음악}}}''' ||{{{#373a3c 엔도 미키오(遠藤幹雄)}}} || || '''{{{#ffffff 음악 제작}}}''' ||{{{#373a3c STARCHILD}}} || || '''{{{#ffffff 제작}}}''' ||{{{#373a3c K-Project}}} || || '''{{{#ffffff 수입사}}}''' ||{{{#373a3c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주)머스트씨무비릴리징컴퍼니}}} || || '''{{{#ffffff 배급사}}}''' ||{{{#373a3c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무빅]][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주)머스트씨무비릴리징컴퍼니}}} || || '''{{{#ffffff 개봉일}}}''' ||{{{#373a3c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4년 7월 12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5년 4월 16일}}} || || '''{{{#ffffff 화면비}}}''' ||{{{#373a3c }}} || || '''{{{#ffffff 상영 시간}}}''' ||{{{#373a3c 73분 40초}}} || || '''{{{#ffffff 월드 박스오피스}}}''' ||{{{#373a3c }}} || || '''{{{#ffffff 대한민국 총 관객수}}}''' ||{{{#373a3c 1,509명}}} || || '''{{{#ffffff 상영 등급}}}''' ||{{{#!wiki style="margin: 0px 10px" '''[[12세 관람가|[[파일:영등위_12세이상_초기.svg|width=40]] {{{#000000 12세 이상 관람가}}}]]'''}}} || || '''{{{#ffffff 공식 홈페이지}}}''' ||{{{#373a3c [[http://k-project-movie.jpn.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 || 제목은 K MISSING KINGS. [[2014년]] [[7월 12일]] 개봉. 1기와 2기 사이의 내용을 다뤘다. 국내에서도 [[2015년]] [[4월 16일]]에 개봉하였다. 주제가: Different Colors - angela 삽입곡: -フレイム·オブ·レッド- / -Flame Of Red- - 호리에 유이(쿠시나 안나役) 작화 수준은 역시나 높은 편. 그런데 상영 시간도 그렇게 길지 않은데다가 1기와 2기의 연결고리 스토리라 극장판을 보지 않으면 2기 내용을 매끄럽게 이해하기 힘들다. 그래서 극장판보다는 TV판으로 방영했어야 하지 않느냐는 의견도 있었다. DVD/BD 누적 판매량은 11,000장 === K SEVEN STORIES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sevens.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_Seven_Stories_mainimg.png|width=100%]]}}} || ||<-2> {{{#ffffff 키 비주얼}}} || [[파일:external/k-project-come-back.jpn.com/img_logo-K7S.png]] 2016년 4월 30일에 공개된 K의 새로운 극장판 애니메이션. 2018년 여름에 시리즈로 나온다고 2017년 9월 8일에 공개되었다. K: Sevens Stories Based on R:B K: Sevens Stories Based on SIDE:BLUE K: Sevens Stories Based on SIDE:GREEN K: Sevens Stories Based on Lost Small World K: Sevens Stories Based on Memory of Red K: Sevens Stories Based on Circle Vision K: Sevens Stories Based on New Story ==== Episode 1 R:B 〜BLAZE〜 ==== ||<-2>
{{{#ffffff '''{{{+1 극장판 K seven stories: [br]RB BLAZE}}}'''[br]K SEVEN STORIES Episode 1 R:B 〜BLAZE〜}}}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_Seven_Stories_Episode 1_mainimg.png|width=100%]]}}} || ||<-2> {{{#fff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
'''{{{#ffffff 장르}}}''' ||{{{#373a3c [[배틀물]], [[군상극]]}}} || || '''{{{#ffffff 원작}}}''' ||{{{#373a3c GoRa × [[GoHands]]}}} || || '''{{{#ffffff 감독 / 캐릭터 디자인}}}''' ||{{{#373a3c [[스즈키 신고]]}}} || || '''{{{#ffffff 각본}}}''' ||{{{#373a3c 아자노 코헤이(あざの耕平)(GoRA)}}} || || '''{{{#ffffff 시리즈 구성}}}''' ||{{{#373a3c 라이라쿠 레이(来楽 零)(GoRA)}}} || || '''{{{#ffffff 콘티}}}''' ||{{{#373a3c [[시마즈 히로유키]][br][[스즈키 신고]]}}} || || '''{{{#ffffff 연출}}}''' ||{{{#373a3c 카나자와 히로미츠(金澤洪充)}}} || || '''{{{#ffffff 총 작화감독}}}''' ||{{{#373a3c 후루타 마코토(古田 誠)}}} || || '''{{{#ffffff 프롭 디자인}}}''' ||{{{#373a3c [[키시다 타카히로]]}}} || || '''{{{#ffffff 메카니컬 디자인 }}}''' ||{{{#373a3c 오쿠보 히로시(大久保宏)}}} || || '''{{{#ffffff 메인 애니메이터}}}''' ||{{{#373a3c 우치다 타카유키(内田孝行)[br]오쿠보 히로시[br]오카다 나오키(岡田直樹)}}} || || '''{{{#ffffff 작화감독}}}''' ||{{{#373a3c 아다치 쇼헤이(安達翔平)[br]우미노 루리(海野瑠璃)[br]오카다 나오키[br]타니 케이지(谷 圭司)[br]후루타 마코토}}} || || '''{{{#ffffff 동화 감독}}}''' ||{{{#373a3c 아사오쿠 유스케(麻奥裕介)}}} || || '''{{{#ffffff 촬영 감독}}}''' ||{{{#373a3c 토자와 유이치로(戸澤雄一朗)}}} || || '''{{{#ffffff 미술 감독}}}''' ||{{{#373a3c 나이토 타케시(内藤 健)}}} || || '''{{{#ffffff 색채 설계}}}''' ||{{{#373a3c 아라키 류스케(荒木隆介)}}} || || '''{{{#ffffff 특수 효과}}}''' ||{{{#373a3c 하시즈메 유우(橋爪 優)}}} || || '''{{{#ffffff 편집}}}''' ||{{{#373a3c GoHands Laboratory[br]타도코로 사오리(田所さおり)}}} || || '''{{{#ffffff 음향 감독}}}''' ||{{{#373a3c 타나카 료(田中 亮)}}} || || '''{{{#ffffff 음향 효과}}}''' ||{{{#373a3c 키타카타 마사미(北方将実)}}} || || '''{{{#ffffff 음향 제작}}}''' ||{{{#373a3c 글로비전}}} || || '''{{{#ffffff 음악}}}''' ||{{{#373a3c 엔도 미키오(遠藤幹雄)}}} || || '''{{{#ffffff 음악 제작}}}''' ||{{{#373a3c [[킹 레코드(일본)|킹 레코드]]}}} || || '''{{{#ffffff 애니메이션 제작}}}''' ||{{{#373a3c GoHands}}} || || '''{{{#ffffff 제작}}}''' ||{{{#373a3c k-7project}}} || || '''{{{#ffffff 배급사}}}''' ||{{{#373a3c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무빅]]}}} || || '''{{{#ffffff 개봉일}}}''' ||{{{#373a3c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8년 7월 7일}}} || || '''{{{#ffffff 화면비}}}''' ||{{{#373a3c }}} || || '''{{{#ffffff 상영 시간}}}''' ||{{{#373a3c }}} || || '''{{{#ffffff 월드 박스오피스}}}''' ||{{{#373a3c }}} || || '''{{{#ffffff 상영 등급}}}''' ||{{{#373a3c }}} || || '''{{{#ffffff 공식 홈페이지}}}''' ||{{{#373a3c [[http://k-project.jpn.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 || ==== Episode 2 SIDE:BLUE 〜천랑과 같이〜 ==== ||<-2>
{{{#ffffff '''{{{+1 극장판 K Sevens Stories: [br]SIDE : BLUE ~천랑과 같이~}}}'''[br]K SEVEN STORIES Episode 2 SIDE:BLUE 〜天狼の如く〜}}}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_Seven_Stories_Episode 2_mainimg.png|width=100%]]}}} || ||<-2> {{{#fff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
'''{{{#ffffff 장르}}}''' ||{{{#373a3c [[배틀물]], [[군상극]]}}} || || '''{{{#ffffff 원작}}}''' ||{{{#373a3c GoRa × [[GoHands]]}}} || || '''{{{#ffffff 감독 / 캐릭터 디자인}}}''' ||{{{#373a3c [[스즈키 신고]]}}} || || '''{{{#ffffff 각본}}}''' ||{{{#373a3c 후루하시 히데유키(古橋秀之)}}} || || '''{{{#ffffff 시리즈 구성}}}''' ||{{{#373a3c 라이라쿠 레이(来楽 零)(GoRA)}}} || || '''{{{#ffffff 콘티}}}''' ||{{{#373a3c [[시마즈 히로유키]][br][[스즈키 신고]]}}} || || '''{{{#ffffff 연출}}}''' ||{{{#373a3c 타치바나 마사유키(立花昌之)}}} || || '''{{{#ffffff 총 작화감독}}}''' ||{{{#373a3c 후루타 마코토(古田 誠)}}} || || '''{{{#ffffff 프롭 디자인}}}''' ||{{{#373a3c [[키시다 타카히로]]}}} || || '''{{{#ffffff 메카니컬 디자인 }}}''' ||{{{#373a3c 오쿠보 히로시(大久保宏)}}} || || '''{{{#ffffff 메인 애니메이터}}}''' ||{{{#373a3c 우치다 타카유키(内田孝行)[br]오쿠보 히로시[br]오카다 나오키(岡田直樹)}}} || || '''{{{#ffffff 작화감독}}}''' ||{{{#373a3c 우에키 리나(植木理奈)[br]우미노 루리(海野瑠璃)[br]오카다 나오키[br]후루타 마코토}}} || || '''{{{#ffffff 동화 감독}}}''' ||{{{#373a3c 아사오쿠 유스케(麻奥裕介)}}} || || '''{{{#ffffff 촬영 감독}}}''' ||{{{#373a3c 토자와 유이치로(戸澤雄一朗)}}} || || '''{{{#ffffff 미술 감독}}}''' ||{{{#373a3c 나이토 타케시(内藤 健)}}} || || '''{{{#ffffff 색채 설계}}}''' ||{{{#373a3c 아라키 류스케(荒木隆介)}}} || || '''{{{#ffffff 특수 효과}}}''' ||{{{#373a3c 하시즈메 유우(橋爪 優)}}} || || '''{{{#ffffff 편집}}}''' ||{{{#373a3c GoHands Laboratory[br]타도코로 사오리(田所さおり)}}} || || '''{{{#ffffff 음향 감독}}}''' ||{{{#373a3c 타나카 료(田中 亮)}}} || || '''{{{#ffffff 음향 효과}}}''' ||{{{#373a3c 키타카타 마사미(北方将実)}}} || || '''{{{#ffffff 음향 제작}}}''' ||{{{#373a3c 글로비전}}} || || '''{{{#ffffff 음악}}}''' ||{{{#373a3c 엔도 미키오(遠藤幹雄)}}} || || '''{{{#ffffff 음악 제작}}}''' ||{{{#373a3c [[킹 레코드(일본)|킹 레코드]]}}} || || '''{{{#ffffff 애니메이션 제작}}}''' ||{{{#373a3c GoHands}}} || || '''{{{#ffffff 제작}}}''' ||{{{#373a3c k-7project}}} || || '''{{{#ffffff 배급사}}}''' ||{{{#373a3c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무빅]]}}} || || '''{{{#ffffff 개봉일}}}''' ||{{{#373a3c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8년 8월 4일}}} || || '''{{{#ffffff 화면비}}}''' ||{{{#373a3c }}} || || '''{{{#ffffff 상영 시간}}}''' ||{{{#373a3c }}} || || '''{{{#ffffff 월드 박스오피스}}}''' ||{{{#373a3c }}} || || '''{{{#ffffff 상영 등급}}}''' ||{{{#373a3c }}} || || '''{{{#ffffff 공식 홈페이지}}}''' ||{{{#373a3c [[http://k-project.jpn.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 || ==== Episode 3 SIDE:GREEN 〜덮어쓴 세계〜 ==== ||<-2>
{{{#ffffff '''{{{+1 극장판 K Sevens Stories: [br]SIDE : GREEN ~덮어쓴 세계~}}}'''[br]K SEVEN STORIES Episode 3 SIDE:GREEN 〜上書き世界〜}}}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_Seven_Stories_Episode 3_mainimg.png|width=100%]]}}} || ||<-2> {{{#fff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
'''{{{#ffffff 장르}}}''' ||{{{#373a3c [[배틀물]], [[군상극]]}}} || || '''{{{#ffffff 원작}}}''' ||{{{#373a3c GoRa×[[GoHands]]}}} || || '''{{{#ffffff 감독 / 캐릭터 디자인}}}''' ||{{{#373a3c [[스즈키 신고]]}}} || || '''{{{#ffffff 각본}}}''' ||{{{#373a3c 스즈키 린(鈴木 鈴)}}} || || '''{{{#ffffff 시리즈 구성}}}''' ||{{{#373a3c 라이라쿠 레이(来楽 零)(GoRA)}}} || || '''{{{#ffffff 콘티}}}''' ||{{{#373a3c 카나자와 히로미츠(金澤洪充)[br][[스즈키 신고]]}}} || || '''{{{#ffffff 연출}}}''' ||{{{#373a3c 야마기시 테츠이치(山岸徹一)}}} || || '''{{{#ffffff 총 작화감독}}}''' ||{{{#373a3c 후루타 마코토(古田 誠)}}} || || '''{{{#ffffff 프롭 디자인}}}''' ||{{{#373a3c [[키시다 타카히로]]}}} || || '''{{{#ffffff 메카니컬 디자인 }}}''' ||{{{#373a3c 오쿠보 히로시(大久保宏)}}} || || '''{{{#ffffff 메인 애니메이터}}}''' ||{{{#373a3c 우치다 타카유키(内田孝行)[br]오쿠보 히로시[br]오카다 나오키(岡田直樹)}}} || || '''{{{#ffffff 작화감독}}}''' ||{{{#373a3c 아다치 쇼헤이(安達翔平)[br]후루타 마코토}}} || || '''{{{#ffffff 동화 감독}}}''' ||{{{#373a3c 아사오쿠 유스케(麻奥裕介)}}} || || '''{{{#ffffff 촬영 감독}}}''' ||{{{#373a3c 토자와 유이치로(戸澤雄一朗)}}} || || '''{{{#ffffff 미술 감독}}}''' ||{{{#373a3c 나이토 타케시(内藤 健)}}} || || '''{{{#ffffff 색채 설계}}}''' ||{{{#373a3c 아라키 류스케(荒木隆介)}}} || || '''{{{#ffffff 특수 효과}}}''' ||{{{#373a3c 하시즈메 유우(橋爪 優)}}} || || '''{{{#ffffff 편집}}}''' ||{{{#373a3c GoHands Laboratory[br]타도코로 사오리(田所さおり)}}} || || '''{{{#ffffff 음향 감독}}}''' ||{{{#373a3c 타나카 료(田中 亮)}}} || || '''{{{#ffffff 음향 효과}}}''' ||{{{#373a3c 키타카타 마사미(北方将実)}}} || || '''{{{#ffffff 음향 제작}}}''' ||{{{#373a3c 글로비전}}} || || '''{{{#ffffff 음악}}}''' ||{{{#373a3c 엔도 미키오(遠藤幹雄)}}} || || '''{{{#ffffff 음악 제작}}}''' ||{{{#373a3c [[킹 레코드(일본)|킹 레코드]]}}} || || '''{{{#ffffff 애니메이션 제작}}}''' ||{{{#373a3c GoHands}}} || || '''{{{#ffffff 제작}}}''' ||{{{#373a3c k-7project}}} || || '''{{{#ffffff 배급사}}}''' ||{{{#373a3c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무빅]]}}} || || '''{{{#ffffff 개봉일}}}''' ||{{{#373a3c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8년 9월 1일}}} || || '''{{{#ffffff 화면비}}}''' ||{{{#373a3c }}} || || '''{{{#ffffff 상영 시간}}}''' ||{{{#373a3c }}} || || '''{{{#ffffff 월드 박스오피스}}}''' ||{{{#373a3c }}} || || '''{{{#ffffff 상영 등급}}}''' ||{{{#373a3c }}} || || '''{{{#ffffff 공식 홈페이지}}}''' ||{{{#373a3c [[http://k-project.jpn.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 || ==== Episode 4 Lost Small World 〜우리 저편에〜 ==== ||<-2>
{{{#ffffff '''{{{+1 극장판 K: Sevens Stories: [br]LOST Small World ~우리 저편에~}}}'''[br]K SEVEN STORIES Episode 4 Lost Small World 〜檻の向こうに〜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_Seven_Stories_Episode 4_mainimg.png|width=100%]]}}} || ||<-2> {{{#fff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
'''{{{#ffffff 장르}}}''' ||{{{#373a3c [[배틀물]], [[군상극]]}}} || || '''{{{#ffffff 원작}}}''' ||{{{#373a3c GoRa×[[GoHands]]}}} || || '''{{{#ffffff 감독 / 캐릭터 디자인}}}''' ||{{{#373a3c [[스즈키 신고]]}}} || || '''{{{#ffffff 각본}}}''' ||{{{#373a3c 카베이 유카코(壁井ユカコ)}}} || || '''{{{#ffffff 시리즈 구성}}}''' ||{{{#373a3c 라이라쿠 레이(来楽 零)(GoRA)}}} || || '''{{{#ffffff 콘티}}}''' ||{{{#373a3c [[시마즈 히로유키]][br][[스즈키 신고]]}}} || || '''{{{#ffffff 연출}}}''' ||{{{#373a3c 요코미네 카츠마사(横峯克昌)}}} || || '''{{{#ffffff 총 작화감독}}}''' ||{{{#373a3c 후루타 마코토(古田 誠)}}} || || '''{{{#ffffff 프롭 디자인}}}''' ||{{{#373a3c [[키시다 타카히로]]}}} || || '''{{{#ffffff 메카니컬 디자인 }}}''' ||{{{#373a3c 오쿠보 히로시(大久保宏)}}} || || '''{{{#ffffff 메인 애니메이터}}}''' ||{{{#373a3c 우치다 타카유키(内田孝行)[br]오쿠보 히로시[br]오카다 나오키(岡田直樹)}}} || || '''{{{#ffffff 작화감독}}}''' ||{{{#373a3c 아다치 쇼헤이(安達翔平)[br]오카다 나오키[br]후루타 마코토}}} || || '''{{{#ffffff 동화 감독}}}''' ||{{{#373a3c 아사오쿠 유스케(麻奥裕介)}}} || || '''{{{#ffffff 촬영 감독}}}''' ||{{{#373a3c 토자와 유이치로(戸澤雄一朗)}}} || || '''{{{#ffffff 미술 감독}}}''' ||{{{#373a3c 나이토 타케시(内藤 健)}}} || || '''{{{#ffffff 색채 설계}}}''' ||{{{#373a3c 아라키 류스케(荒木隆介)}}} || || '''{{{#ffffff 특수 효과}}}''' ||{{{#373a3c 하시즈메 유우(橋爪 優)}}} || || '''{{{#ffffff 편집}}}''' ||{{{#373a3c GoHands Laboratory[br]타도코로 사오리(田所さおり)}}} || || '''{{{#ffffff 음향 감독}}}''' ||{{{#373a3c 타나카 료(田中 亮)}}} || || '''{{{#ffffff 음향 효과}}}''' ||{{{#373a3c 키타카타 마사미(北方将実)}}} || || '''{{{#ffffff 음향 제작}}}''' ||{{{#373a3c 글로비전}}} || || '''{{{#ffffff 음악}}}''' ||{{{#373a3c 엔도 미키오(遠藤幹雄)}}} || || '''{{{#ffffff 음악 제작}}}''' ||{{{#373a3c [[킹 레코드(일본)|킹 레코드]]}}} || || '''{{{#ffffff 애니메이션 제작}}}''' ||{{{#373a3c GoHands}}} || || '''{{{#ffffff 제작}}}''' ||{{{#373a3c k-7project}}} || || '''{{{#ffffff 배급사}}}''' ||{{{#373a3c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무빅]]}}} || || '''{{{#ffffff 개봉일}}}''' ||{{{#373a3c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2018년 10월 6일}}} || || '''{{{#ffffff 화면비}}}''' ||{{{#373a3c }}} || || '''{{{#ffffff 상영 시간}}}''' ||{{{#373a3c }}} || || '''{{{#ffffff 월드 박스오피스}}}''' ||{{{#373a3c }}} || || '''{{{#ffffff 상영 등급}}}''' ||{{{#373a3c }}} || || '''{{{#ffffff 공식 홈페이지}}}''' ||{{{#373a3c [[http://k-project.jpn.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 || ==== Episode 5 Memory of Red 〜BURN〜 ==== ||<-2>
{{{#ffffff '''{{{+1 극장판 K Sevens Stories: [br]메모리 오브 레드 ~BURN~}}}''' [br]K SEVEN STORIES Episode 5 メモリー・オブ・レッド 〜BUR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_Seven_Stories_Episode 5_mainimg.png|width=100%]]}}} || ||<-2> {{{#fff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
'''{{{#ffffff 장르}}}''' ||{{{#373a3c [[배틀물]], [[군상극]]}}} || || '''{{{#ffffff 원작}}}''' ||{{{#373a3c GoRa×[[GoHands]]}}} || || '''{{{#ffffff 감독 / 캐릭터 디자인}}}''' ||{{{#373a3c [[스즈키 신고]]}}} || || '''{{{#ffffff 각본}}}''' ||{{{#373a3c 후루하시 히데유키(古橋秀之)}}} || || '''{{{#ffffff 시리즈 구성}}}''' ||{{{#373a3c 라이라쿠 레이(来楽 零)(GoRA)}}} || || '''{{{#ffffff 콘티}}}''' ||{{{#373a3c [[시마즈 히로유키]][br][[스즈키 신고]]}}} || || '''{{{#ffffff 연출}}}''' ||{{{#373a3c 타치바나 마사유키(立花昌之)}}} || || '''{{{#ffffff 총 작화감독}}}''' ||{{{#373a3c 후루타 마코토(古田 誠)}}} || || '''{{{#ffffff 프롭 디자인}}}''' ||{{{#373a3c [[키시다 타카히로]]}}} || || '''{{{#ffffff 메카니컬 디자인 }}}''' ||{{{#373a3c 오쿠보 히로시(大久保宏)}}} || || '''{{{#ffffff 메인 애니메이터}}}''' ||{{{#373a3c 우치다 타카유키(内田孝行)[br]오쿠보 히로시[br]오카다 나오키(岡田直樹)}}} || || '''{{{#ffffff 작화감독}}}''' ||{{{#373a3c 아다치 쇼헤이(安達翔平)[br]우미노 루리(海野瑠璃)[br]후루타 마코토}}} || || '''{{{#ffffff 동화 감독}}}''' ||{{{#373a3c 아사오쿠 유스케(麻奥裕介)}}} || || '''{{{#ffffff 촬영 감독}}}''' ||{{{#373a3c 토자와 유이치로(戸澤雄一朗)}}} || || '''{{{#ffffff 미술 감독}}}''' ||{{{#373a3c 나이토 타케시(内藤 健)}}} || || '''{{{#ffffff 색채 설계}}}''' ||{{{#373a3c 아라키 류스케(荒木隆介)}}} || || '''{{{#ffffff 특수 효과}}}''' ||{{{#373a3c 하시즈메 유우(橋爪 優)}}} || || '''{{{#ffffff 편집}}}''' ||{{{#373a3c GoHands Laboratory[br]타도코로 사오리(田所さおり)}}} || || '''{{{#ffffff 음향 감독}}}''' ||{{{#373a3c 타나카 료(田中 亮)}}} || || '''{{{#ffffff 음향 효과}}}''' ||{{{#373a3c 키타카타 마사미(北方将実)}}} || || '''{{{#ffffff 음향 제작}}}''' ||{{{#373a3c 글로비전}}} || || '''{{{#ffffff 음악}}}''' ||{{{#373a3c 엔도 미키오(遠藤幹雄)}}} || || '''{{{#ffffff 음악 제작}}}''' ||{{{#373a3c [[킹 레코드(일본)|킹 레코드]]}}} || || '''{{{#ffffff 애니메이션 제작}}}''' ||{{{#373a3c GoHands}}} || || '''{{{#ffffff 제작}}}''' ||{{{#373a3c k-7project}}} || || '''{{{#ffffff 배급사}}}''' ||{{{#373a3c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무빅]]}}} || || '''{{{#ffffff 개봉일}}}''' ||{{{#373a3c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8년 11월 3일}}} || || '''{{{#ffffff 화면비}}}''' ||{{{#373a3c }}} || || '''{{{#ffffff 상영 시간}}}''' ||{{{#373a3c }}} || || '''{{{#ffffff 월드 박스오피스}}}''' ||{{{#373a3c }}} || || '''{{{#ffffff 상영 등급}}}''' ||{{{#373a3c }}} || || '''{{{#ffffff 공식 홈페이지}}}''' ||{{{#373a3c [[http://k-project.jpn.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 || ==== Episode 6 Circle Vision 〜Nameless Song〜 ==== ||<-2>
{{{#ffffff '''{{{+1 극장판 K Sevens Stories: [br]Circle Vision ~Nameless Song~}}}'''[br]K SEVEN STORIES Episode 6 Circle Vision 〜Nameless S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_Seven_Stories_Episode 6_mainimg.png|width=100%]]}}} || ||<-2> {{{#fff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
'''{{{#ffffff 장르}}}''' ||{{{#373a3c [[배틀물]], [[군상극]]}}} || || '''{{{#ffffff 원작}}}''' ||{{{#373a3c GoRa×[[GoHands]]}}} || || '''{{{#ffffff 감독 / 캐릭터 디자인}}}''' ||{{{#373a3c [[스즈키 신고]]}}} || || '''{{{#ffffff 각본}}}''' ||{{{#373a3c 타카하시 야시치로(高橋弥七郎)}}} || || '''{{{#ffffff 시리즈 구성}}}''' ||{{{#373a3c 라이라쿠 레이(来楽 零)(GoRA)}}} || || '''{{{#ffffff 콘티}}}''' ||{{{#373a3c [[시마즈 히로유키]][br][[스즈키 신고]]}}} || || '''{{{#ffffff 연출}}}''' ||{{{#373a3c 타치바나 마사유키(立花昌之)}}} || || '''{{{#ffffff 총 작화감독}}}''' ||{{{#373a3c 후루타 마코토(古田 誠)}}} || || '''{{{#ffffff 프롭 디자인}}}''' ||{{{#373a3c [[키시다 타카히로]]}}} || || '''{{{#ffffff 메카니컬 디자인 }}}''' ||{{{#373a3c 오쿠보 히로시(大久保宏)}}} || || '''{{{#ffffff 메인 애니메이터}}}''' ||{{{#373a3c 우치다 타카유키(内田孝行)[br]오쿠보 히로시[br]오카다 나오키(岡田直樹)}}} || || '''{{{#ffffff 작화감독}}}''' ||{{{#373a3c 아다치 쇼헤이(安達翔平)[br]우에키 리나(植木理奈)[br]우미노 루리(海野瑠璃)[br]타니 케이지(谷 圭司)[br]마츠모토 타쿠야(松本卓也)}}} || || '''{{{#ffffff 동화 감독}}}''' ||{{{#373a3c 아사오쿠 유스케(麻奥裕介)}}} || || '''{{{#ffffff 촬영 감독}}}''' ||{{{#373a3c 토자와 유이치로(戸澤雄一朗)}}} || || '''{{{#ffffff 미술 감독}}}''' ||{{{#373a3c 나이토 타케시(内藤 健)}}} || || '''{{{#ffffff 색채 설계}}}''' ||{{{#373a3c 아라키 류스케(荒木隆介)}}} || || '''{{{#ffffff 특수 효과}}}''' ||{{{#373a3c 하시즈메 유우(橋爪 優)}}} || || '''{{{#ffffff 편집}}}''' ||{{{#373a3c GoHands Laboratory[br]타도코로 사오리(田所さおり)}}} || || '''{{{#ffffff 음향 감독}}}''' ||{{{#373a3c 타나카 료(田中 亮)}}} || || '''{{{#ffffff 음향 효과}}}''' ||{{{#373a3c 키타카타 마사미(北方将実)}}} || || '''{{{#ffffff 음향 제작}}}''' ||{{{#373a3c 글로비전}}} || || '''{{{#ffffff 음악}}}''' ||{{{#373a3c 엔도 미키오(遠藤幹雄)}}} || || '''{{{#ffffff 음악 제작}}}''' ||{{{#373a3c [[킹 레코드(일본)|킹 레코드]]}}} || || '''{{{#ffffff 애니메이션 제작}}}''' ||{{{#373a3c GoHands}}} || || '''{{{#ffffff 제작}}}''' ||{{{#373a3c k-7project}}} || || '''{{{#ffffff 배급사}}}''' ||{{{#373a3c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무빅]]}}} || || '''{{{#ffffff 개봉일}}}''' ||{{{#373a3c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8년 12월 1일}}} || || '''{{{#ffffff 화면비}}}''' ||{{{#373a3c }}} || || '''{{{#ffffff 상영 시간}}}''' ||{{{#373a3c }}} || || '''{{{#ffffff 월드 박스오피스}}}''' ||{{{#373a3c }}} || || '''{{{#ffffff 상영 등급}}}''' ||{{{#373a3c }}} || || '''{{{#ffffff 공식 홈페이지}}}''' ||{{{#373a3c [[http://k-project.jpn.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 || === 주제가 === * 오프닝 테마 '''Survive!''' [youtube(XutSG1zBHJI)] * 작사·작곡: atsuko * 노래: [[angela]] * 가사(극장판 v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일본어 || K.NET 자막 || ||{{{-1 SURVIVE! 葛藤は抑圧からの症状[br](Hey, Don’t let me down)[br]ALIVE! 生存なら 渇望からの状況[br](Get down) 切り放て This world[br]銃口 This time[br][br]SURVIVE! 殺気立ったちっぽけな[br]We are.. (Hey, Don’t let me down)[br]ALIVE! 劣勢がゆえ あっけなく[br]The end (Get down)[br]切り開け This world 無表情で[br][br]We まだ ALIVE! (もっとFire)[br]堕ちてまだ SURVIVE! (ずっとFire)[br]We まだまだ ALIVE! (もっとFire)[br]Are you ready? BANG! BANG![br][br]圧倒的閃光 打ち抜け今 ギリギリLast game?[br]いったいどんくらい諦め泣いたんだっけ[br]絶対的存在 言葉なんて紡がなくたって[br]目の前に 真実だけSURVIVE!}}} ||{{{-1 SURVIVE! 갈등은 억압으로부터의 증상[br](Hey, Don’t let me down)[br]ALIVE! 생존이라면 갈망으로부터의 상황[br](Get down) 베어 던져 This world[br]총구 This Time[br][br]SURVIVE! 살기를 띤 보잘것없는[br]We are... (Hey, Don’t let me down)[br]ALIVE! 열세 때문에 허무하게[br]The End (Get down)[br]열어라 This world 무표정으로[br][br]We 아직 ALIVE! (더욱 Fire!)[br]추락해도 아직 SURVIVE! (줄곧 Fire!)[br]We 아직 아직 ALIVE! (더욱 Fire!)[br]Are you ready? BANG! BANG![br][br]압도적 섬광을 헤치고 지금 아슬아슬한 Last game?[br]도대체 얼마나 체념하고 울었던가[br]절대적 존재 말로 꾸미지 않아도[br]눈앞의 진실만 SURVIVE!}}} ||}}} == 스토리 == >'적(赤)의 왕' 스오우 미코토가 이끄는 클랜 '호무라'와 '청(靑)의 왕'이라 불리는 무나카타 레이시가 실장인 조직 '셉터 4'는 어떤 사건의 용의자를 둘러싸고 대립해 있다. 그들이 쫓는 것은 남자 고교생인 시로(이사나 야시로). 하지만 시로 본인에게는 양쪽으로부터 쫓겨야 할 기억이 없다. 당혹해 하며 도망치는 그의 앞에 갑자기 나타난 검은 옷으로 몸을 감싼 소년 야토가미 쿠로. 그의 정체는…? 적인가 아군인가? == 관련 용어 == * 왕 (王) 표면적으로는 [[일본 내각총리대신|총리]]가 집권하는 것처럼 보이나, 그 배후에는 세계에 7명만 존재하는 거대한 힘과 카리스마를 가진 이능력자, 왕이 존재한다. 왕들은 각각 초물리적인 이능과 이능을 강화하는 필드인 생텀을 발생시키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일정한 조건을 갖추면 어느 날 갑자기 드레스덴 석판의 부름을 받아서 왕이 된다고 한다. 1945년에 드레스덴 석판을 연구하던 바이스만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클랜즈맨이 많으면 많을수록 왕의 힘이 더 강해진다고 하며, 고도의 두뇌를 가진 동물일수록 보다 높은 효과를 낸다고 한다. * 제1왕권자 백은의 왕[* 불변의 왕, 시작의 왕, 최초의 왕] - [[아돌프 K 바이스만]], 클랜은 백미당 * 제2왕권자 황금의 왕[* 최강의 왕] - [[코쿠죠지 다이카쿠]][* 1기 기준으로 세계관 내 최강자] 클랜은 비시원 * 제3왕권자 적색의 왕[* 파괴의 왕] - 前前 카구츠 겐지 → 前 [[스오우 미코토(K)|스오우 미코토]] → 現 [[쿠시나 안나]], 클랜은 [[호무라(K)|호무라]] * 제4왕권자 청색의 왕[* 질서의 왕] - 前 하바리 진 → 現 [[무나카타 레이시]], 클랜은 [[셉터 4]] * 제5왕권자 녹색의 왕 [* 개변의 왕] - [[히스이 나가레]][* 2기 기준으로 세계관 내 최강자], 클랜은 정글 * 제6왕권자 회색의 왕[* 수호의 왕] - [[오오토리 세이고]], 클랜은 카테드랄[* 시즌 2의 7화에서 드디어 모습을 드러냈다.] * 제7왕권자 무색의 왕[* 절제의 왕.] - 前 [[미와 이치겐]] → 무색의 왕[* 1기 최종보스인 여우 형태의 유령. 본편에 이름이 나오지 않았다.] 제6왕권자는 쿠로가 왕과 클랜에 대한 설명을 할 때 꺼냈던 양념통 뚜껑이 공교롭게도 각 클랜의 색과 같아서 많은 시청자들은 나머지 검정색과 관계가 있을 것이라고 추정했지만 회색의 왕으로 밝혀졌다.[*1기 마지막 화를 자세히 보면 알 수 있는데, 무색의 왕의 검의 색깔이 [[검은색]]이다. 검은색은 이미 나와 있었고, 무색이라고 오해했던 백은의 왕이 회색이었다.] * 생텀 (サンクトゥム) 각 왕들이 형성하는 광역 결계. 이능의 효과 범위. 생텀 내에서는 부하 클랜즈맨의 능력이 강화된다. 12화에서는 바이스만이 자신의 생텀을 이용해 셉터 4의 아와시마 세리를 일시적인 자신의 클랜즈맨으로 만들기도 했다. * 클랜 (クラン) 왕 아래에 모인 사람들의 집단. 클랜에 소속되면 클랜즈맨은 왕권자만이 전개할 수 있는 광역 결계 생텀의 가호를 받아 더욱 강한 힘을 발휘할 수 있다. * 클랜즈맨 (クランズマン) 왕권자에 의해 능력이 각성된 사람들을 클랜즈맨이라고 부른다. 저마다 각 왕에 맞는 이능을 부여받고 신체 능력 또한 많이 강화된다. 또한 왕과 클랜즈맨 사이의 관계는 지배적인 것이 아니라서 클랜즈맨이 반드시 왕에게 복종할 필요는 없다. 속해있던 클랜을 빠져나와 다른 클랜으로 편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 스트레인 (ストレイン) 기본적으로 어떠한 클랜에도 소속되지 않는 자연 발생적인 이능력자. [[히스이 나가레|왕으로서]] [[쿠시나 안나|계약하는]]경우도 있다. 클랜즈맨에 비해 변칙적인 능력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다. 작중 네코와 쿠시나 안나 그리고 히스이 나가레가 스트레인으로 클랜에 소속되지 않은 스트레인은 황금의 클랜 비시원과 청색의 클랜 셉터 4의 관리를 받거나 뒷세계에서 살아가는 듯하다. * 드레스덴 석판 (ドレスデン[[石]][[盤]])[*스포일러 극장판 'K SEVEN STORIES'에 수수께끼의 인간 소년 모습으로 나오며, Episode6 Lost Small World 〜우리 저편에〜' 에서 정확한 정체가 밝혀진다. 성우는 [[무라세 아유무]]. 드레스덴 석판의 조각의 힘으로 이름은 '프레케스'.] 전쟁 중이었던 독일에서 발견, 연구 된 수수께끼의 석판. 왕의 각성과 관련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바이스만 남매가 연구에서 손을 떼고 석판의 위임권을 전(前) 황금의 왕 코쿠조지 다이카쿠에게 넘겨 그가 죽기 전까지 관리하였다. 시즌 2에선 녹색의 왕 히스이 나가레가 석판을 지키려는 적색, 청색, 백은 연합으로부터 탈취를 시도하고 성공하였다. 결국 10~11화 시점에서 완전히 해방되며 전 세계 사람들에게 이능을 부여하게 된다. 하지만 13화에서 시로가 다모클레스의 검을 낙하시켜 석판을 파괴한다. * 바이스만 편차 (ヴァイスマン[[偏]][[差]]) 이능의 [[인과율]] 왜곡 정도를 수치화한 지표. 이 수치가 크면 클수록 강대한 능력이 사용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다모클레스의 검 (ダモクレスの[[剣]]) 왕이 능력을 지휘할 때, 그 머리 위에 나타나는 검의 형태를 한 에너지의 결정체. 왕의 힘이 폭주하면 지상으로 낙하해 대폭발을 일으킬 위험이 있으며, 과거에 이미 큰 피해(카구츠 사건)를 낸 전례도 있다. * 히토후타마루 협정 (一二○[[協]][[定]]) 왕권자들 사이에서 체결된 기본적인 협정. 협정의 이름은 협약 체결일이 1월 20일인데서 유래했다. 무나카타는 이 협정을 근거로 스오우를 구금하였다. * 카구츠 크레이터 ([[迦]][[具]][[都]]クレーター) 선대 적의 왕의 능력이 폭주하여 다모클레스의 검이 낙하한 결과, 일부 지역에 거대한 크레이터가 생길 정도로 큰 폭발을 일으키며 대형 참사가 일어났다. 희생자는 약 70만 명에 육박하며, 카구츠 크레이터는 능력 폭주의 위험성을 무엇보다도 잘 말해주고 있는 사례로 무나카타는 스오우가 같은 참사를 반복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참고로 카구츠(迦具都)는 참사를 일으킨 선대 적색의 왕의 이름이다. 풀 네임은 카구츠 겐지(迦具都玄示). 시즌 2 7화에서 밝혀진 사실로 카구츠 사건때 녹의 왕 히스이 나가레는 심장을 잃으며 왕의 힘을 각성하였고, 회색의 왕 오오토리 세이고는 사망했다고 '''알려져 있었다.'''[* 이때 당시 꽤나 큰 세력이었던 회색의 클랜이 멸망한다.] == [[K(애니메이션)/등장인물|등장인물]] == * [[K(애니메이션)/등장인물|등장인물]] == BD / DVD == * K Image Blu-ray Disc WHITE & BLACK 총 5개의 PV 영상과 캐릭터 소개 선행 영상, 성우 인터뷰와 angela의 이미지 곡 2곡이 수록된 CD와 소책자가 들어있다. 7월 30일부터 8월 5일까지 집계된 판매량은 1115장. * Blu-ray&DVD vol.1 2012년 11월 7일 발매. 애니메이션 1화가 수록된 것 외에 한정판에는 이사나 야시로, 야토가미 쿠로 등 7명의 [[캐릭터 송]] CD vol.1이 특전으로 포함되어 있다. 초동 판매량은 3590장. * Blu-ray&DVD vol.2 2012년 11월 7일 발매. 애니메이션 2화 ~ 3화 및 [[OST|오리지널 사운드 트랙]] vol.1 수록. 초동 판매량은 2632장. * Blu-ray&DVD vol.3 2012년 12월 5일 발매. 애니메이션 4화 ~ 5화 및 [[OST|오리지널 사운드 트랙]] vol.2 수록. 초동 판매량은 2968장. * Blu-ray&DVD vol.4 2013년 1월 9일 발매. 애니메이션 6화 ~ 7화 외에도 한정판 특전으로 총 3편의 이야기가 담긴 [[드라마 CD]] vol.1이 수록되어 있다. 초동 판매량은 3905장. * Blu-ray&DVD vol.5 2013년 2월 6일 발매. 애니메이션 8화 ~ 9화 외에도 한정판 특전으로 [[드라마 CD]] vol.2이 수록되어 있다. 초동 판매량은 3779장. * Blu-ray&DVD vol.6 2013년 3월 13일 발매. 애니메이션 10화 ~ 11화 외에 한정판 특전으로 [[드라마 CD]] vol.3가 수록. 주문 연동 특전으로 GoRA의 신작 소설의 응모권이 동봉된다. * Blu-ray&DVD vol.7 2013년 3월 13일 발매. 애니메이션 12화 ~ 13화 외에도 한정판 특전으로 [[캐릭터 송]] CD vol.2가 들어있다. 6권과 마찬가지로 주문 연동 특전으로 GoRA의 신작 소설의 응모권이 포함된다. BD / DVD 판매량은 권당 평균 7600장 수준. 그리고 박스판이 2500장 판매되어 합계 평균 1만장을 기록했다. 제법 높은 판매량이긴 하나 방영 몇 달 전부터 수많은 PV와 홍보를 거듭한데다가, 높은 퀄리티와 쟁쟁한 성우진을 채용한 것 등으로 인하여 해당 분기 애니메이션 중에서 상당히 높은 기대를 받았던 것을 감안하면 약간 애매하다. 그런데 종종 비교대상이 되던 [[길티 크라운]]이 평균 7700장을 판매하여 제작사의 호조를 견인했다는 정도라 하니, 어찌됐든 수익은 좋았을 듯. 고핸즈와 킹 레코드에서도 손해보는 장사가 아니라고 생각했는지, 이후로도 꾸준히 후속작 전개를 하고 있다. == K of Radio == [[http://www.animate.tv/radio/details.php?id=KR|애니메이트 TV]]에서 2012년 7월부터 매주 금요일 갱신 중. 애니메이션 방송 이후로는 [[츠다 켄지로]], [[코마츠 미카코]]가 진행한다. 애니메이션 방송 전까지는 매주 출연진 중 3명씩 출연했다. 방송 전까지 대부분의 정보가 비공개였기 때문에, 지맘대로 거짓 정보 뿌려도 되고, [[스포일러]]해도 된다는 말에, [[스기타 토모카즈]]의 반응이 볼만했다. 애니메이션에 남성 성우진이 많이 뽑혔기 때문에 첫 화 사연을 읽을 때부터 '야, 이거 첫 환데, 어떻게 메일이 왔냐? 작가 너희가 쓴 거 다 알거등?', '세리의 가슴은 무슨 컵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와우, 월드컵', '[[누드|GoRA는 go 전라, 즉 전라가 되자는 뜻인가]]?'[* 전라는 나체의 일본식 한자이다.] 등 각종 드립이 난무했다. [[사와시로 미유키]]도 [[스기타 토모카즈]]의 [[시모네타]]에 GG쳤다. 그런데 여자들이 "여기 여자 있어요~" "스텝진도 여자 포함~"이라고 했지만 쑥 들어갔다. 그리고 2화에서는 [[사와시로 미유키]], [[미야노 마모루]]와 진행했기 때문에, [[스기타 토모카즈]]는 타 애니메이션인 [[노래의 왕자님]] 라디오라는 드립을 쳤고, 미야노 마모루는 '노래의 왕자님 2기'가 시작했다고 응수하기도 했다. 이후 특히 남성 성우진이 다들 온갖 드립에 능한 사람들이 많다보니 별별 해괴한 상황에서도 드립들이 넘쳐나는 상황에서 코마츠 미카코까지 가세하며 '''하수도 방송'''이란 소리까지 듣게 된다. 특히 한동안 유행한 것이 본인의 이름에 K자가 들어가면 모두 '케'로 바꾸는 놀이(유행시킨 사람은 [[나미카와 다이스케|나미케와 다이스케]])로 최대의 피해자는 '케마츠 미케케'가 된 코마츠 미카코. 반대로 전혀 피해보지 않은 사람은 이름에 K자가 전혀 안 들어가는 호리에 유이.[* 남성 성우진은 대부분 이름에 K자가 들어가고 여성 성우진 중에서는 K자가 전혀 없는 사람도 꽤 된다. 이 놀이가 유행할 때 라디오에 출연한 여성 성우진은 코마츠 미카코, 호리에 유이, 사와시로 미유키 정도였기 때문. 우치다 마아야가 출연하기 얼마 전에 이 놀이가 끝났다.] == 미디어 믹스 == 애니메이션 방영 전후로 각종 미디어 믹스가 전개되고 있으며, 애니메이션에서 밝혀지지 않은 설정이 코믹스나 소설로 밝혀지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7명의 작가들이 각자 작업을 하다보니 그 수가 어마어마하다. === 코믹스 === ||
[[파일:external/www.batoto.net/05d04ff40518443a1c1ace5b2e2ff691.png|width=200]] || [[파일:K -メモリー・オブ・レッド-2.jpg|width=200]] || [[파일:K -メモリー・オブ・レッド-3.jpg|width=200]] || [[파일:K -メモリー・オブ・レッド-3 特装版.jpg|width=200]] || || '''{{{#fff {{{-1 K -メモリー・オブ・レッド- 1}}}}}}''' || '''{{{#fff {{{-1 K -メモリー・オブ・レッド- 2}}}}}}''' || '''{{{#fff {{{-1 K -メモリー・オブ・レッド- 3}}}}}}''' || '''{{{#fff {{{-1 K -メモリー・オブ・レッド- 3}}} ,,(特装版),,}}}''' || ||<-4> || || [[파일:external/i77.servimg.com/k-stra10.jpg|width=200]] || [[파일:external/www.manga-news.com/k-days-blue-1-kodansha.jpg|width=200]] || [[파일:K-デイズ・オブ・ブルー-2.jpg|width=200]] || [[파일:K-デイズ・オブ・ブルー-2 特装版.jpg|width=200]] || || '''{{{#fff {{{-1 K ストレイ・ドッグ・ストーリー}}}}}}''' || '''{{{#fff {{{-1 K-デイズ・オブ・ブルー- 1}}}}}}''' || '''{{{#fff {{{-1 K-デイズ・オブ・ブルー- 2}}}}}}''' || '''{{{#fff {{{-1 K-デイズ・オブ・ブルー- 2}}} ,,(特装版),,}}}''' || ||<-4> || || [[파일:K -THE FIRST- 1.jpg|width=200]] || [[파일:K -THE FIRST- 2.jpg|width=200]] || [[파일:K -THE FIRST- 3.jpg|width=200]] || [[파일:学園K 1.jpg|width=200]] || || '''{{{#fff {{{-1 K -THE FIRST- 1}}}}}}''' || '''{{{#fff {{{-1 K -THE FIRST- 2}}}}}}''' || '''{{{#fff {{{-1 K -THE FIRST- 3}}}}}}''' || '''{{{#fff {{{-1 学園K 1}}}}}}''' || ||<-4> || || [[파일:学園K 2.jpg|width=200]] || [[파일:学園K 3.jpg|width=200]] || [[파일:学園K 4.jpg|width=200]] || [[파일:K-Lost Small World- 1.jpg|width=200]] || || '''{{{#fff {{{-1 学園K 2}}}}}}''' || '''{{{#fff {{{-1 学園K 3}}}}}}''' || '''{{{#fff {{{-1 学園K 4}}}}}}''' || '''{{{#fff {{{-1 K -Lost Small World- 1}}}}}}''' || ||<-4> || || [[파일:K-Lost Small World- 2.jpg|width=200]] || [[파일:K-Lost Small World- 2 特装版.jpg|width=200]] || [[파일:K-Lost Small World- 3.jpg|width=200]] || [[파일:K-Lost Small World- 3 特装版.jpg|width=200]] || || '''{{{#fff {{{-1 K -Lost Small World- 2}}}}}}''' || '''{{{#fff {{{-1 K -Lost Small World- 2}}} ,,(特装版),,}}}''' || '''{{{#fff {{{-1 K -Lost Small World- 3}}}}}}''' || '''{{{#fff {{{-1 K -Lost Small World- 3}}} ,,(特装版),,}}}''' || ||<-4> || || [[파일:K -カウントダウン- 1.jpg|width=200]] || [[파일:K -カウントダウン- 2.jpg|width=200]] || [[파일:K -カウントダウン- 2 特装版.jpg|width=200]] || [[파일:K MISSING KINGS.jpg|width=200]] || || '''{{{#fff {{{-1 K -カウントダウン- 1}}}}}}''' || '''{{{#fff {{{-1 K -カウントダウン- 2}}}}}}''' || '''{{{#fff {{{-1 K -カウントダウン- 2}}} ,,(特装版),,}}}''' || '''{{{#fff {{{-1 K MISSING KINGS}}}}}}''' || ||<-4> || || [[파일:K ドッグ&キャット.jpg|width=200]] || [[파일:K -ドリーム・オブ・グリーン-.jpg|width=200]] || [[파일:K RETURN OF KINGS 1.jpg|width=200]] || [[파일:K RETURN OF KINGS 2.jpg|width=200]] || || '''{{{#fff {{{-1 K ドッグ&キャット}}}}}}''' || '''{{{#fff {{{-1 K -ドリーム・オブ・グリーン-}}}}}}''' || '''{{{#fff {{{-1 K RETURN OF KINGS 1}}}}}}''' || '''{{{#fff {{{-1 K RETURN OF KINGS 2}}}}}}''' || ||<-4> || || [[파일:K 赤の王国 1.jpg|width=200]] || || || || || '''{{{#fff {{{-1 K 赤の王国 1}}}}}}''' || || || || 'K -memory of red-'는 호무라의 주요 멤버들이 아닌 조연 멤버들을 중심으로 하는 스토리로, 애니메이션 방영 전인 2012년 5월 28일부터 [[코단샤]]의 월간 [[소녀만화]] 잡지 [[ARIA(잡지)|ARIA]]에서 연재를 시작했다. 3권 완결. 애니 K가 시작하기 직전까지의 내용을 담고 있다. 'K -days of blue-'는 셉터4에서 일어나는 일상 생활이나 사건 등이 메인 스토리이며[* 스트레인 아기가 셉터4에 맡겨졌을 때, 전투준비([[발도]])로 능력을 사용하여 방어막을 치는 등 개그스러운 장면도 많이 나온다.], 기본적으로 Memory of Red와 스토리가 어느정도 이어지는 내용[* ~~레드와 작가가 같아서 그런지~~ 레드에서 나왔던 흰 팥소 끓인 두부로 인해 또 사건이 일어난다.]도 있다. 스토리 원안과 작화는 memory of red와 같은 라이라쿠 레이와 쿠로에 유이. 'K -stray dog story-'는 애니메이션 시작 전의 쿠로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2012년 11월 7일부터 코단샤의 월간 만화잡지 [[애프터눈|굿! 애프터눈]]에서 연재되었고 현재는 완결 상태. 이 밖에도 시로를 주인공으로 하여 애니메이션 K의 내용을 거의 그대로 따라가는 K -the first-와 K의 캐릭터들을 따와서 만든 개그 학원물 '학원K', 후시미와 야타의 중학 시절의 이야기인 K -lost small world-[* 이쪽은 동명의 소설 원작], K 극장판 이후의 이야기인 K -count down-이 연재 중이다. === 소설 === ||
[[파일:external/images2.wikia.nocookie.net/K_SIDE_BLUE.jpg|width=200]]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K_SIDE_RED.jpg|width=200]] || [[파일:external/25.media.tumblr.com/tumblr_mkykxvD3d31s0n37qo1_400.jpg|width=200]] || [[파일:K -Lost Small World-.jpg|width=200]] || || '''{{{#fff K SIDE: BLUE}}}''' || '''{{{#fff K SIDE: RED}}}''' || '''{{{#fff K SIDE: BLACK&WHITE}}}''' || '''{{{#fff K -Lost Small World-}}}''' || ||<-4> || || [[파일:学園K -Wonderful School Days-.jpg|width=200]] || [[파일:学園K -Wonderful School Days- わたしの大切な赤.jpg|width=200]] || [[파일:K -R:B-.jpg|width=200]] || [[파일:K 青の事件簿 上.jpg|width=200]] || || '''{{{#fff 学園K[br]-Wonderful School Days-}}}''' || '''{{{#fff 学園K[br]-Wonderful School Days- [br]わたしの大切な赤}}}''' || '''{{{#fff K -R:B-}}}''' || '''{{{#fff K 青の事件簿 上}}}''' || ||<-4> || || [[파일:K 青の事件簿 下.jpg|width=200]] || [[파일:ザ・アイドルK.jpg|width=200]] || [[파일:K-ALL CHARACTERS-.jpg|width=200]] || [[파일:K 赤の王国.jpg|width=200]] || || '''{{{#fff K 青の事件簿 下}}}''' || '''{{{#fff ザ・アイドルK}}}''' || '''{{{#fff K-ALL CHARACTERS-}}}''' || '''{{{#fff K 赤の王国}}}''' || ||<-4> || || [[파일:K SIDE:GREEN.jpg|width=200]] || || || || || '''{{{#fff K SIDE: GREEN}}}''' || '''{{{#fff }}}''' || '''{{{#fff }}}''' || '''{{{#fff }}}''' || 각각 코단샤에서 2012년 10월 9일 / 2012년 11월 15일에 발매되었다. 전(前) 적・청의 왕의 이름이 공개되는 등 새로 밝혀지는 설정이 제법 많은 편. 일러스트 담당인 [[스즈키 신고]]가 애니메이션의 감독 / 캐릭터 디자인을 맡았기 때문에 일러스트는 애니판과 거의 흡사하다. 이 밖에도 K -lost small world-, K -R:B-, K 청의 사건부가 발매. === 게임 === 2014년 10월 30일 [[오토메 게임]]으로 제작되어 발매되었다. 제목은 '학원 K -Wonderful School Days-' 이며 제작사는 [[오토메이트]], 기종은 [[PSP]]이다. 메인 공략 캐릭터는 [[야토가미 쿠로]], [[스오우 미코토]], [[야타 미사키]], [[쿠사나기 이즈모]], [[토츠카 타타라]], [[무나카타 레이시]], [[후시미 사루히코]]로 7명. 2015년 12월 [[PS Vita]]로 이식되어 발매되었고 후일담이 추가되었다. 모바일 게임으로도 중국쪽에서 출시 되는 모양. [[https://www.taptap.com/app/79809|링크]] == 외부 링크 == * [[http://k-project.jpn.com/|애니메이션 공식 사이트]] * [[http://k-project-1st.jpn.com/|1기 공식 사이트]] * [[http://k-project-movie.jpn.com/|극장판 공식 사이트]] * [[http://k-project-come-back.jpn.com/|2기 공식 사이트]] [[분류:K(애니메이션)]][[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