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Juke's Towers of Hell)] [[분류:Juke's Towers of Hell]] [목차] [clearfix] == 개요 == [[Roblox]]의 게임 [[Juke's Towers of Hell]]의 이벤트 서브 구역들을 서술하는 곳이다. JToH는 주로 매년 만우절, 할로윈, 크리스마스 때마다 이벤트를 위한 서브 구역을 내놓는다.[* 취소되는 경우도 있다.] 과거에는 부활절, 추수감사절에도 이벤트를 진행한 적이 있으나 현재는 만우절, 할로윈, 크리스마스 때만 이벤트를 진행한다. == 만우절 서브 구역 == === Fool's Ring 9 === ||<-2> {{{#white {{{+1 '''Fool's Ring 9'''}}}[br]The Great Inferno}}} || ||<-2> [[파일:Pogchamp_af2021game.png|width=100%&height=100%]] || || {{{#white 세계}}} || The Great Inferno || || {{{#white 평균 난이도}}} || '''{{{#192832 Intense}}}''' || || {{{#white 보스 타워}}} || Tower of Yo Mama 2 || || {{{#white Steeple 개수}}} || 1 || || {{{#white Tower 개수}}} || 6[* 포탈과 가짜 타워까지 합하면 12개이다.] || || {{{#white Citadel 개수}}} || 0 || || {{{#white 필요 조건}}} || Ring 1에서 엘레베이터를 사용하여 입장 || >계속 지켜봐 주세요! 실제 Ring 9은 2008년 9월 19일에 출시됩니다. >---- >Fool's Ring 9 설명 글 중 Fool's Ring 9은 만우절 이벤트 2021이 진행되었던 구역이다. 이 구역에는 의도적으로 품질이 떨어지는 타워, JToH 직원들의 오래된 타워들과 가짜 타워들이 포함되어 있다. 모든 플레이어는 깬 타워 수에 상관없이 링 선택 창에서 Ring 9에 접속하여 이 구역에 입장할 수 있었다.[* 이벤트에 입장할 때 50% 확률로 윈 룸에서 스폰되었다.] 엘레베이터를 사용하여 다시 접속할 수 있는 최초의 만우절 이벤트이다. 이 이벤트는 이후 Mini Tower라는 개념을 JToH에 심어줬다. 가짜 타워를 제외하면 평균 난이도는 '''{{{#c10000 Challenging}}}'''이다. ==== Towers ==== ===== Tower of Yo Mama ===== ||<-2>
{{{+1 {{{#000000 Tower of Yo Mama }}}}}} || ||<-1> [[파일:No_Image.jpg|width=100%&height=80%]] ||||<-2> [[파일:Pogchamp_toum.png|width=100%&height=80%]] || || {{{#000000 구역}}} || Fool's Ring 9 || || {{{#000000 난이도}}} || '''{{{#fffe02 Medium}}}''' || || {{{#000000 타워 형태}}} || Tower || || {{{#000000 층 수}}} || 10 || || {{{#000000 필요 조건}}} || 없음 || || {{{#000000 제작자}}} || Brody Foxx || AF2021에서 가장 쉬웠던 타워이자 현재 JToH의 모든 타워 중 가장 쉬운 타워이다. '''{{{#fffe02 Medium}}}''' 타워가 가장 쉬운 타워가 된 이유는 이 타워가 거꾸로 된 드롭퍼이기 때문이다.[* 즉 점프키를 누르지 않아도 요리조리 잘 피하기만 한다면 깰 수 있는 타워였다(...).] 출시 당시 윈패드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이 문제는 빠르게 수정되었다. Tower of Yo Mama 2라는 속편이 있다. 하지만 가짜 타워이므로 플레이조차 불가능하다(...). ===== Mini-Steeple of Gamer Moments ===== ||<-2>
{{{+1 {{{#000000 Mini-Steeple of Gamer Moments }}}}}} || ||<-1> [[파일:No_Image.jpg|width=100%&height=80%]] ||||<-2> [[파일:Pogchamp_msogm.png|width=100%&height=80%]] || || {{{#000000 구역}}} || Fool's Ring 9 || || {{{#000000 난이도}}} || '''{{{#fffe02 Medium}}}''' || || {{{#000000 타워 형태}}} || Mini Steeple || || {{{#000000 층 수}}} || 2 || || {{{#000000 필요 조건}}} || 없음 || || {{{#000000 제작자}}} || '''Meowy64''' || 현재 게임 내 유일한 Mini Steeple이다. AF2021 타워 중 유일하게 시간대가 밤으로 설정되는 타워이다. 이 타워의 두 번째 층은 [[슈퍼 마리오 64]]의 피치 성을 참조하여 만들어졌다. Mini Steeple 중에서 가장 쉬운 타워이다. --사실 위에서 말했듯 유일한 Mini Steeple이라 가장 쉬운 게 당연하다.-- 원래는 Tower로 계획되었으나 취소되었다. ===== Tower of Round Platforms ===== ||<-2>
{{{+1 {{{#000000 Tower of Round Platforms }}}}}} || ||<-1> [[파일:No_Image.jpg|width=100%&height=80%]] ||||<-2> [[파일:Pogchamp_torbaf.png|width=100%&height=80%]] || || {{{#ffffff 구역}}} || Fool's Ring 9 || || {{{#ffffff 난이도}}} || '''{{{#c10000 Challenging}}}''' || || {{{#ffffff 타워 형태}}} || Tower || || {{{#ffffff 층 수}}} || 10 || || {{{#ffffff 필요 조건}}} || 없음 || || {{{#ffffff 제작자}}} || '''vendetta06''' || AF2021에서 유일하게 오라를 주는 타워였다. 이 타워가 이런 이름을 가지게 된 이유는 타워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장애물이 실린더와 둥근 개체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현재 [[https://roblox.com/games/3613265198/Tower-of-Round-Platforms|여기]]에서 플레이할 수 있다. ===== Tower of U A ===== ||<-2>
{{{+1 {{{#000000 Tower of U A }}}}}} || ||<-1> [[파일:No_Image.jpg|width=100%&height=80%]] ||||<-2> [[파일:Pogchamp_toua.png|width=100%&height=80%]] || || {{{#ffffff 구역}}} || Fool's Ring 9 || || {{{#ffffff 난이도}}} || '''{{{#192832 Intense}}}''' || || {{{#ffffff 타워 형태}}} || Tower || || {{{#ffffff 층 수}}} || 10 || || {{{#ffffff 필요 조건}}} || 없음 || || {{{#ffffff 제작자}}} || '''Gammattor''' || 2018년 10월에 만들어진 '''Gammattor'''의 첫 번째 타워이기도 한 타워이다. 이 타워의 실제 이름은 Tower of Upcoming Annoyance로 밝혀졌다. 예전에 이 타워를 깨려면 월 홉이 필요했었으나 현재는 월 홉 없이도 깰 수 있다. ===== Tower of Hella Gimmicks ===== ||<-2>
{{{+1 {{{#000000 Tower of Hella Gimmicks }}}}}} || ||<-1> [[파일:No_Image.jpg|width=100%&height=80%]] ||||<-2> [[파일:Pogchamp_tohg.png|width=100%&height=80%]] || || {{{#ffffff 구역}}} || Fool's Ring 9 || || {{{#ffffff 난이도}}} || '''{{{#c901c9 Remorseless}}}''' || || {{{#ffffff 타워 형태}}} || Tower || || {{{#ffffff 층 수}}} || 10 || || {{{#ffffff 필요 조건}}} || 없음 || || {{{#ffffff 제작자}}} || 2147483647, t_r1 || t_r1의 말에 따르면 현재는 큐레이터 자리에서 내려온 2147483647의 첫 번째 타워이기도 하다. 현재 9층의 드롭퍼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서 깨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자체 게임은 [[https://www.roblox.com/games/2950341632/Tower-of-Hella-Gimmicks|이곳]]이다. ===== Baldi Tower ===== ||<-2>
{{{+1 {{{#000000 Baldi Tower}}}}}} || ||<-1> [[파일:No_Image.jpg|width=100%&height=80%]] ||||<-2> [[파일:Pogchamp_bt.png|width=100%&height=80%]] || || {{{#ffffff 구역}}} || Fool's Ring 9 || || {{{#ffffff 난이도}}} || '''{{{#0000ff Insane}}}''' || || {{{#ffffff 타워 형태}}} || Tower || || {{{#ffffff 층 수}}} || 10 || || {{{#ffffff 필요 조건}}} || 없음 || || {{{#ffffff 제작자}}} || aamo_s, '''bLockerman666''' || 우리가 아는 그 [[발디]]를 모티브로 제작한 타워이다. AF2021이 계획되기 1년 전에 농담으로 만들어진 타워이다. ToYM과 ToDB와 같이 마지막 층에 데칼이 있다. 킬 브릭에 스터드와 화강암 질감을 제외한 다른 질감을 사용한 최초의 타워였다. ===== Tower of Da Baby ===== ||<-2>
{{{+1 {{{#000000 Tower of Da Baby}}}}}} || ||<-1> [[파일:No_Image.jpg|width=100%&height=80%]] ||||<-2> [[파일:DaBaby.png|width=100%&height=80%]] || || {{{#000000 구역}}} || Fool's Ring 9 || || {{{#000000 난이도}}} || '''{{{#00ffff Terrifying}}}''' || || {{{#000000 타워 형태}}} || Tower || || {{{#000000 층 수}}} || 10 || || {{{#000000 필요 조건}}} || 없음 || || {{{#000000 제작자}}} || '''DispensableArray''' || '''DispensableArray'''가 DaBaby라는 가명을 가지고 제작한 타워이다. '''{{{#00ffff Terrifying}}}'''이라는 난이도로 가짜 타워를 제외한 역대 이벤트 타워 중 가장 어려운 타워이기도 하다. 깨려면 월 홉이 필요하다. ==== Fake Towers ==== ===== Scarey towre ===== ||<-2>
{{{+1 {{{#000000 Scarey towre}}}}}} || ||<-1> [[파일:No_Image.jpg|width=100%&height=80%]] ||||<-2> [[파일:Ghostt.png|width=100%&height=80%]] || || {{{#000000 구역}}} || Fool's Ring 9 || || {{{#000000 난이도}}} || '''{{{#bdbdbd Catastrophic}}}''' || || {{{#000000 타워 형태}}} || Fake Tower || || {{{#000000 층 수}}} || 0 || || {{{#000000 필요 조건}}} || 없음 || || {{{#000000 제작자}}} || 확인 불가 || AF2021의 가짜 타워 중 하나다. 타워 자체는 존재하지 않으나 포탈에 닿으면 위 사진의 유령이 뜬다. 포털에서 멀어지면 사라진다. 힌트는 3개이지만 1개만 글자가 있고 나머지는 빈칸이다. 많은 사람은 이 타워가 Ring 9에 Tower of Horrifying Experiences가 출시되길 암시하는 타워라고 생각했다. 후에 ToHE는 Zone 5에 출시되었다. ===== Tree tower ===== ||<-2>
{{{+1 {{{#000000 Tree tower}}}}}} || ||<-1> [[파일:No_Image.jpg|width=100%&height=80%]] ||||<-2> [[파일:Ttportaal.png|width=100%&height=80%]] || || {{{#000000 구역}}} || Fool's Ring 9 || || {{{#000000 난이도}}} || '''{{{#bdbdbd Catastrophic}}}''' || || {{{#000000 타워 형태}}} || Fake Tower || || {{{#000000 층 수}}} || 0 || || {{{#000000 필요 조건}}} || 없음 || || {{{#000000 제작자}}} || 확인 불가 || AF2021의 가짜 타워 중 하나다. Thanos Tower와 약어가 똑같다. 유일한 차이점은 TT냐 tt냐의 차이다. 힌트와 제작자 칸이 있으나 모두 비어있다. ===== Tower of Saying Bad Word ===== ||<-2>
{{{+1 {{{#000000 Tower of Saying Bad Word}}}}}} || ||<-1> [[파일:No_Image.jpg|width=100%&height=80%]] ||||<-2> [[파일:Tosbwportaal.png|width=100%&height=80%]] || || {{{#000000 구역}}} || Fool's Ring 9 || || {{{#000000 난이도}}} || '''{{{#bdbdbd Catastrophic}}}''' || || {{{#000000 타워 형태}}} || Fake Tower || || {{{#000000 층 수}}} || 0 || || {{{#000000 필요 조건}}} || 없음 || || {{{#000000 제작자}}} || 확인 불가 || AF2021의 가짜 타워 중 하나다. 포탈이 로비 위에 떠 있다.[* VM을 써도 입장할 수 없었다.] 힌트와 제작자 칸이 있으나 모두 비어있다. ===== Tower of spil crushing ===== ||<-2>
{{{+1 {{{#000000 Tower of spil crushing}}}}}} || ||<-1> [[파일:No_Image.jpg|width=100%&height=80%]] ||||<-2> [[파일:Toscportaal.png|width=100%&height=80%]] || || {{{#ffffff 구역}}} || Fool's Ring 9 || || {{{#ffffff 난이도}}} || '''{{{#9691ff Horrific}}}''' || || {{{#ffffff 타워 형태}}} || Fake Tower || || {{{#ffffff 층 수}}} || 0 || || {{{#ffffff 필요 조건}}} || 없음 || || {{{#ffffff 제작자}}} || 확인 불가 || AF2021의 가짜 타워 중 하나다. 모든 이벤트 타워 중 유일한 '''{{{#9691ff Horrific}}}''' 타워이다. 힌트와 제작자 칸이 있으나 모두 비어있다. ===== Tower of Yo Mama 2 ===== ||<-2>
{{{+1 {{{#000000 Tower of Yo Mama 2 }}}}}} || ||<-1> [[파일:No_Image.jpg|width=100%&height=80%]] ||||<-2> [[파일:Toym2portaal.png|width=100%&height=80%]] || || {{{#ffffff 구역}}} || Fool's Ring 9 || || {{{#ffffff 난이도}}} || {{{#!html OooOOOoOOOOooo above catastrophic difficulty OoOOooOOoo}}} || || {{{#ffffff 타워 형태}}} || Fake Tower || || {{{#ffffff 층 수}}} || 0 || || {{{#ffffff 필요 조건}}} || 없음 || || {{{#ffffff 제작자}}} || '''Jukereise''', '''PsychoticMute''' || AF2021의 가짜 타워 중 하나다. Tower of Yo Mama의 속편이다. 가짜 타워 중 힌트와 제작자가 제대로 존재하는 몇 안 되는 타워 중 하나다. 가짜 타워는 맞지만, Laruam Backrooms를 비롯한 일련의 퀘스트를 완료하면 입장할 수 있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pStAD0rA1Us|#]]] 현재 게임 내 유일한 {{{#!html OooOOOoOOOOooo above catastrophic difficulty OoOOooOOoo}}} 난이도를 가진 타워이다. CE2019의 보스인 Darklaus는 제작자 칸에서 언급된다.[* 그저 단순한 이스터에그로 생각할 수도 있지만 이는 Laruam Backrooms을 깨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현재 게임 내에서 유일하게 TR을 제외한 약어에 숫자를 가진 타워이다. ==== Portal ==== ===== The portel is an april fol ===== ||<-2>
{{{+1 {{{#000000 The portel is an april fol}}}}}} || ||<-1> [[파일:No_Image.jpg|width=100%&height=80%]] ||||<-2> [[파일:SandPaperHouse.PNG.png|width=100%&height=80%]] || || {{{#ffffff 구역}}} || Fool's Ring 9 || || {{{#ffffff 난이도}}} || '''{{{#0389ff Extreme}}}''' || || {{{#ffffff 타워 형태}}} || 확인 불가 || || {{{#ffffff 층 수}}} || 확인 불가 || || {{{#ffffff 필요 조건}}} || 없음 || || {{{#ffffff 제작자}}} || Blockerman56 || AF2021에서 볼 수 있었던 포탈이다. 포탈에 들어가면 타워가 아닌 식당으로 이동되고 텍스처가 [[언더테일]]의 샌즈로 변경된다. 들어가면 스톱워치가 시작되긴 하나 약어가 뜨진 않고 대신 sythdgjfrgbjsudfhgv라는 이상한 텍스트가 뜬다. === Terrain World === ||<-2> {{{#white {{{+1 '''Terrain World'''}}}[br]Spatial System}}} || ||<-2> [[파일:TerrainOVERTURE.png|width=100%&height=100%]] || || {{{#white 세계}}} || Spatial System || || {{{#white 평균 난이도}}} || '''{{{#c10000 Challenging}}}''' || || {{{#white 보스 타워}}} || Tower of Terrain Climbing Adventure || || {{{#white Steeple 개수}}} || 0 || || {{{#white Tower 개수}}} || 6 || || {{{#white Citadel 개수}}} || 0 || || {{{#white 필요 조건}}} || Ring 1에서 엘레베이터를 사용하여 입장 || >이것이 미래의 녀석들... >---- >Terrain World 설명 글 중 Terrain World는 만우절 이벤트 2022가 진행된 구역이다. 만우절 이벤트 2021과 유사한 점이 많다. 전체적으로 타워를 제외하면 파트를 사용하지 않고 지형 도구로 만든 모습을 띠고 있다. 6개의 타워가 있으나 이벤트를 완료하기 위해서는 두 개의 타워만 깨면 된다. 이 구역이 추가된 이후 Juke's Towers of Hell의 이름이 잠시 "[242] Find The Winpads"로 변경되었었다. 그리고 JToH에서 가장 오랫동안 진행되었던 만우절 이벤트이다. 무려 35일간 진행되며 5월을 통과했다. ==== Towers ==== ===== Tower of High Quality Fishing Boat ===== ||<-2>
{{{+1 {{{#000000 Tower of High Quality Fishing Boat }}}}}} || ||<-1> [[파일:No_Image.jpg|width=100%&height=80%]] ||||<-2> [[파일:Pogchamp_tohqfb.png|width=100%&height=80%]] || || {{{#000000 구역}}} || Terrain World || || {{{#000000 난이도}}} || '''{{{#fe7c00 Hard}}}''' || || {{{#000000 타워 형태}}} || Tower || || {{{#000000 층 수}}} || 10 || || {{{#000000 필요 조건}}} || 없음 || || {{{#000000 제작자}}} || '''Temmeh8274''' || ===== Tower of Crazy Rollercoaster Riding ===== ||<-2>
{{{+1 {{{#000000 Tower of Crazy Rollercoaster Riding }}}}}} || ||<-1> [[파일:No_Image.jpg|width=100%&height=80%]] ||||<-2> [[파일:CrazyRollercoasterRiding.png|width=100%&height=80%]] || || {{{#000000 구역}}} || Terrain World || || {{{#000000 난이도}}} || '''{{{#ff0c03 Diffcult}}}''' || || {{{#000000 타워 형태}}} || Tower || || {{{#000000 층 수}}} || 10 || || {{{#000000 필요 조건}}} || 없음 || || {{{#000000 제작자}}} || '''Spryvee''' || ===== ESCAPE FROM FEDDY FAZBEAR ===== ||<-2>
{{{+1 {{{#000000 ESCAPE FROM FEDDY FAZBEAR }}}}}} || ||<-1> [[파일:No_Image.jpg|width=100%&height=80%]] ||||<-2> [[파일:FFFF_up.png|width=100%&height=80%]] || || {{{#000000 구역}}} || Terrain World || || {{{#000000 난이도}}} || '''{{{#ff0c03 Diffcult}}}''' || || {{{#000000 타워 형태}}} || Tower || || {{{#000000 층 수}}} || 10 || || {{{#000000 필요 조건}}} || 없음 || || {{{#000000 제작자}}} || FREDDY, BONNIE, CHICA, FOXY[* 실제 제작자는 알 수 없으나 '''DispensableArray'''가 개입했을 가능성이 크다.] || ===== Goobie's ===== ||<-2>
{{{+1 {{{#000000 Goobie's }}}}}} || ||<-1> [[파일:No_Image.jpg|width=100%&height=80%]] ||||<-2> [[파일:Goobie.png|width=100%&height=80%]] || || {{{#ffffff 구역}}} || Terrain World || || {{{#ffffff 난이도}}} || '''{{{#c10000 Challenging}}}''' || || {{{#ffffff 타워 형태}}} || Tower || || {{{#ffffff 층 수}}} || 10 || || {{{#ffffff 필요 조건}}} || 없음 || || {{{#ffffff 제작자}}} || '''DuskPyramid''', '''t_azk''', '''Temmeh8274''', '''zulpiz''' || ===== Tower of Coca Cola Espuma ===== ||<-2>
{{{+1 {{{#000000 Tower of Coca Cola Espuma }}}}}} || ||<-1> [[파일:No_Image.jpg|width=100%&height=80%]] ||||<-2> [[파일:Coca_Cola_Espuma.png|width=100%&height=80%]] || || {{{#ffffff 구역}}} || Terrain World || || {{{#ffffff 난이도}}} || '''{{{#c901c9 Remorseless}}}''' || || {{{#ffffff 타워 형태}}} || Tower || || {{{#ffffff 층 수}}} || 10 || || {{{#ffffff 필요 조건}}} || 없음 || || {{{#ffffff 제작자}}} || Myth1calCoke, '''Gammattor''' || ===== Tower of Terrain Climbing Adventure ===== ||<-2>
{{{+1 {{{#000000 Tower of Terrain Climbing Adventure}}}}}} || ||<-1> [[파일:No_Image.jpg|width=100%&height=80%]] ||||<-2> [[파일:Pogchamp_ToTCA.png|width=100%&height=80%]] || || {{{#ffffff 구역}}} || Terrain World || || {{{#ffffff 난이도}}} || '''{{{#0000ff Insane}}}''' || || {{{#ffffff 타워 형태}}} || Tower || || {{{#ffffff 층 수}}} || 10 || || {{{#ffffff 필요 조건}}} || 없음 || || {{{#ffffff 제작자}}} || '''Spryvee''' || === Something Otherworldly... === ==== Spring Towers ==== ===== Lemonade Luh Luh Lemonade ===== ===== Tower of Drinking Purist Water ===== ==== Partnership Tower ==== ===== Rainbow Tower ===== ==== Winter Towers ==== ===== Library of Garten of Tower of BanBan of Ruina ===== ===== "Tower of Oblivion" ===== ==== Winter Soul Crushing Steeple ==== ===== Steeple of Gears Locked Up Because It's Cold ===== ==== Spring Citadel ==== ===== Citadel of "A Bug's Life!" ===== == 할로윈 서브 구역 == === Heccfire Depths === ||<-2> {{{#white {{{+1 '''Heccfire Depths'''}}}[br]The Great Inferno}}} || ||<-2> [[파일:Pogchamp_hdgame.png|width=100%&height=100%]] || || {{{#white 세계}}} || The Great Inferno || || {{{#white 평균 난이도}}} || 확인 불가 || || {{{#white 보스 타워}}} || 확인 불가 || || {{{#white Steeple 개수}}} || 3[* 게임 내에는 Tower로 나와 있다. 층수는 Steeple.] || || {{{#white Tower 개수}}} || 0 || || {{{#white Citadel 개수}}} || 0 || || {{{#white 필요 조건}}} || Ring 1에서 엘레베이터를 사용하여 입장 || Heccfire Depths는 [[할로윈]] 이벤트 2018가 진행된 구역이다. 보스가 있다. Ring 6를 통해 입장할 수 있었지만 약간 미완성된 모습을 띄고 있었다. 엘레베이터가 구현된 이래로 폐쇄되었었다. 첫 번째 이벤트 서브 구역이다. 이 이벤트 자체도 과거 KToH 최초의 이벤트였다. 특이하게도 Steeple을 Tower로 명명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왜냐하면 이때는 Steeple이라는 개념이 없었기 때문이다.] C O L A Z O N E라는 구역을 재사용했으며, 오래된 크리스마스 2019 이벤트라고 추측되지만, 이 구역은 워낙 밝혀진 게 많이 없다. 처음 누출되었을 때 사람들은 이것이 Ring 9의 초기 버전이라고 생각했다. ==== Steeples ==== ===== Tower of Button Venturing ===== ||<-2>
{{{+1 {{{#000000 Tower of Button Venturing }}}}}} || ||<-1> [[파일:No_Image.jpg|width=100%&height=80%]] ||||<-2> [[파일:Pogchamp_tobv.png|width=100%&height=80%]] || || {{{#ffffff 구역}}} || Heccfire Depths || || {{{#ffffff 난이도}}} || 확인 불가 || || {{{#ffffff 타워 형태}}} || Steeple[* 게임 내에서는 Tower이지만 나무위키에서는 Steeple로 명명한다.] || || {{{#ffffff 층 수}}} || 5 || || {{{#ffffff 필요 조건}}} || 없음 || || {{{#ffffff 제작자}}} || '''ObrenTune''' || Tower of Button Venturing은 HE2018의 이벤트 타워 중 가장 쉬웠던 타워이다. 포탈의 색상은 '''{{{#76ff47 Easy}}}'''를 나타내지만 이는 맞지 않는다. 그렇게 유저들이 평가한 난이도는 '''{{{#fe7c00 Hard}}}'''이다. HE2018 이벤트 타워들이 다 이름이 이상한데 5층인데도 Steeple을 Tower로 명명하고 있다.[* 이때는 Steeple이라는 개념이 없었기 때문이다.] 버튼 플레이가 주를 이루며 이 당시에는 버튼을 마우스로 클릭할 수 있었다. ===== Tower of Rising Molten Rocks ===== ||<-2>
{{{+1 {{{#000000 Tower of Rising Molten Rocks }}}}}} || ||<-1> [[파일:No_Image.jpg|width=100%&height=80%]] ||||<-2> [[파일:Pogchamp_tormr.png|width=100%&height=80%]] || || {{{#ffffff 구역}}} || Heccfire Depths || || {{{#ffffff 난이도}}} || 확인 불가 || || {{{#ffffff 타워 형태}}} || Steeple || || {{{#ffffff 층 수}}} || 5 || || {{{#ffffff 필요 조건}}} || 없음 || || {{{#ffffff 제작자}}} || '''ObrenTune''' || Tower of Rising Molten Rocks는 HE2018 이벤트의 두 번째로 어려웠던 타워이다. 이름과 같이 CoP와 비슷하게 용암이 상승한다. 즉 이 타워가 용암 메커니즘을 사용한 최초의 타워이다. 포탈의 색상은 '''{{{#192832 Intense}}}'''를 나타내지만 이는 맞지 않는다. 그렇게 유저들이 평가한 난이도는 '''{{{#fe7c00 Hard}}}'''이다. 모든 층이 #111111로 동일한 색상을 사용한다. 마찬가지로 Steeple을 Tower로 명명하고 있다. ===== Tower of Retina Pain ===== ||<-2>
{{{+1 {{{#000000 Tower of Retina Pain }}}}}} || ||<-1> [[파일:No_Image.jpg|width=100%&height=80%]] ||||<-2> [[파일:Pogchamp_torp.png|width=100%&height=80%]] || || {{{#ffffff 구역}}} || Heccfire Depths || || {{{#ffffff 난이도}}} || 확인 불가 || || {{{#ffffff 타워 형태}}} || Steeple || || {{{#ffffff 층 수}}} || 5 || || {{{#ffffff 필요 조건}}} || 없음 || || {{{#ffffff 제작자}}} || '''ObrenTune''' || Tower of Retina Pain는 HE2018 타워들 중 가장 어려웠던 타워이다. 포탈의 색상은 '''{{{#4b00c8 Unreal}}}'''(...)을 나타내지만 이는 맞지 않는다. 그렇게 유저들이 평가한 난이도는 '''{{{#ff0c03 Diffcult}}}'''이다. -- 휴 -- 모든 층이 #7e1e5c로 동일한 색상을 사용한다. 이 타워도 Steeple의 형식이지만 Tower로 명명된다. === Abyssal Badlands === ||<-2> {{{#white {{{+1 '''Abyssal Badlands'''}}}[br]The Great Inferno}}} || ||<-2> [[파일:Pogchamp_abgame.png|width=100%&height=100%]] || || {{{#white 세계}}} || The Great Inferno || || {{{#white 평균 난이도}}} || '''{{{#c10000 Challenging}}}''' || || {{{#white 보스 타워}}} || Steeple of Midnight Terrors || || {{{#white Steeple 개수}}} || 3 || || {{{#white Tower 개수}}} || 0 || || {{{#white Citadel 개수}}} || 0 || || {{{#white 필요 조건}}} || Ring 1에서 엘레베이터를 사용하여 입장 || Abyssal Badlands는 JToH의 두 번째 할로윈 이벤트이다. 이 구역이 출시된 직후에는 이벤트를 진행하는 도중 게임을 나가면 진행도가 초기화되어서 처음부터 다시 진행해야 하는 극악의 난이도였다(...). 후에 JToH에서 이를 알고 수정하였다.[* 이렇기에 데이터 저장이 구현된 첫 번째 이벤트였다.] 보스가 있다. 이름은 Totem from Hell이었으며 이 보스에게 죽으면 진행도를 전부 잃게 된다. 버그가 굉장히 많았던 구역이다. 이 때문에 커뮤니티가 잠시 들썩였던 적이 있다. '''{{{#fe7c00 Hard}}}'''~'''{{{#192832 Intense}}}'''에 이르는 난이도로 게임에서 가장 어려운 이벤트이다. ==== Steeples ==== ===== Steeple of Tricks and Treats ===== ||<-2>
{{{+1 {{{#000000 Steeple of Tricks and Treats }}}}}} || ||<-1> [[파일:No_Image.jpg|width=100%&height=80%]] ||||<-2> [[파일:Pogchamp_sotat.png|width=100%&height=80%]] || || {{{#000000 구역}}} || Abyssal Badlands || || {{{#000000 난이도}}} || '''{{{#ff0c03 Diffcult}}}''' || || {{{#000000 타워 형태}}} || Steeple || || {{{#000000 층 수}}} || 5 || || {{{#000000 필요 조건}}} || 없음 || || {{{#000000 제작자}}} || '''DispensableArray''', '''theultimatedianite''' || HE2019 이벤트에서 가장 쉬웠던 타워이다. Gold Star를 받은 게임 내 최초의 Steeple이지만 전체적으로 볼 때 완전히 최초는 아니다. 모든 경우를 가정해서 로비부터 주택까지 전부 층으로 가정한다면 15층의 Citadel로도 간주될 수 있다. ===== Steeple of Haunted Traversing ===== ||<-2>
{{{+1 {{{#000000 Steeple of Haunted Traversing }}}}}} || ||<-1> [[파일:No_Image.jpg|width=100%&height=80%]] ||||<-2> [[파일:Pogchamp_soht.png|width=100%&height=80%]] || || {{{#ffffff 구역}}} || Abyssal Badlands || || {{{#ffffff 난이도}}} || '''{{{#c10000 Challenging}}}''' || || {{{#ffffff 타워 형태}}} || Steeple || || {{{#ffffff 층 수}}} || 5 || || {{{#ffffff 필요 조건}}} || 없음 || || {{{#ffffff 제작자}}} || '''Feodoric''', '''tintom495''' || '''Feodoric'''과 '''tintom495'''가 제작한 상승 기반 Steeple이다. HE2019 이벤트에서 두 번째로 어려운 타워였다. Abyssal Badlands에 안개가 꼈을 때 이 타워를 보면 신비로운 느낌을 자아낸다. ===== Steeple of Midnight Terrors ===== ||<-2>
{{{+1 {{{#000000 Steeple of Midnight Terrors }}}}}} || ||<-1> [[파일:No_Image.jpg|width=100%&height=80%]] ||||<-2> [[파일:Pogchamp_somt.png|width=100%&height=80%]] || || {{{#ffffff 구역}}} || Abyssal Badlands || || {{{#ffffff 난이도}}} || '''{{{#192832 Intense}}}''' || || {{{#ffffff 타워 형태}}} || Steeple || || {{{#ffffff 층 수}}} || 5 || || {{{#ffffff 필요 조건}}} || 없음 || || {{{#ffffff 제작자}}} || '''Gammattor''' || 이벤트 타워인데도 창의력 별을 받은 타워이다. 이 Steeple의 속편인 타워가 있는데 HE2020의 Citadel of Horrifying Phobias이다. 여담으로 Steeple of Midnight Fortress와 굉장히 유사하게 생겼다. === Forsaken Manor === ||<-2> {{{#white {{{+1 '''Forsaken Manor'''}}}[br]The Great Inferno}}} || ||<-2> [[파일:Fmanorlobby.png|width=100%&height=100%]] || || {{{#white 세계}}} || The Great Inferno || || {{{#white 평균 난이도}}} || '''{{{#c10000 Challenging}}}''' || || {{{#white 보스 타워}}} || Citadel of Horrifying Phobias || || {{{#white Steeple 개수}}} || 4 || || {{{#white Tower 개수}}} || 0 || || {{{#white Citadel 개수}}} || 1 || || {{{#white 필요 조건}}} || Ring 1에서 엘레베이터를 사용하여 입장 || Forsaken Manor는 JToH의 세 번째 할로윈 이벤트가 진행된 구역이다. 이곳에는 4개의 Steeple과 1개의 Citadel이 존재한다. 이 첨탑 4개 중 3개는 보스에 도달하는 데 필요했다. Aradiant Guardian이라는 보스가 존재했다. 보스를 물리치면 SoCT와 CoHP에 대한 접근 권한을 얻을 수 있었다. 두 타워 모두 선택 사항이다.[* 하지만 HE2020 기간 동안 보스를 물리친 플레이어들만 SoCT와 CoHP에 접근할 수 있다. 즉 보스를 안 잡고 이벤트가 끝난 뒤 HE2020에 엘레베이터를 사용하여 들어온 유저들은 SoTC와 CoHP를 플레이할 수 없다.] 2020년 10월 31일 링 선택 창이 업데이트되며 Forsaken Manor가 나타났다. 이로써 링 선택 창에서 볼 수 있는 첫 번째 이벤트 구역이 되었다. 이벤트 첫날 동안 동접자가 최고 2102명으로 정점을 찍었다. CoHP는 원래 이 구역이 추가된 후 동시에 같이 추가될 예정이었지만 지연되고 나중에 혼자 추가되었다. 이때 CoHP가 추가되었을 때 로비 전체가 극단적으로 어두워졌다. 이 구역은 '''{{{#fffe02 Medium}}}'''~'''{{{#c901c9 Remorseless}}}'''로 현재 모든 이벤트 중 가장 넓은 범위의 난이도를 가지고 있다. ==== Steeples ==== ===== Steeple of Realm Crossing ===== ||<-2>
{{{+1 {{{#000000 Steeple of Realm Crossing }}}}}} || ||<-1> [[파일:No_Image.jpg|width=100%&height=80%]] ||||<-2> [[파일:Pogchamp_sorc.webp|width=100%&height=80%]] || || {{{#000000 구역}}} || Forsaken Manor || || {{{#000000 난이도}}} || '''{{{#fffe02 Medium}}}''' || || {{{#000000 타워 형태}}} || Steeple || || {{{#000000 층 수}}} || 5 || || {{{#000000 필요 조건}}} || 없음 || || {{{#000000 제작자}}} || '''vendetta06''', '''Spryvee''' || HE2020 타워들 중 가장 쉬웠던 타워이다. 모든 층이 각각 다른 컨셉과 개성을 가지고 있다. 프레임은 이에 맞춘 색깔에 따른다. 1층이 정말 짧다. 다른 층들과 달리 이곳은 다른 층으로 이동하는 포탈로 사용된다.[* 즉 모든 층은 1층을 통해 이동하게 된다. 이 말은 즉 모든 층에 안전망이 있기 때문에 체감 난이도가 확 줄어든다. -- 사실 Midium이라 체감 난이도가 낮아져도 별 차이가 없다. --] 웃긴게 이 타워가 할로윈 당일인 10월 31일에 완성되었다(...). ===== Steeple of Midnight Fortress ===== ||<-2>
{{{+1 {{{#000000 Steeple of Midnight Fortress }}}}}} || ||<-1> [[파일:No_Image.jpg|width=100%&height=80%]] ||||<-2> [[파일:Pogchamp_somf.png|width=100%&height=80%]] || || {{{#000000 구역}}} || Forsaken Manor || || {{{#000000 난이도}}} || '''{{{#ff0c03 Diffcult}}}''' || || {{{#000000 타워 형태}}} || Steeple || || {{{#000000 층 수}}} || 5 || || {{{#000000 필요 조건}}} || 없음 || || {{{#000000 제작자}}} || '''DuskPyramid''', '''Gammattor''', '''Professor_Skittles''' || 타워 내부가 미친듯이 어둡다. 거기다 렉도 심해서 악명높은 타워이다.[* 렉이 너무 심했어서 현재는 렉을 줄여주는 버튼이 타워 앞에 설치되어 있다.] 외부에서 시작하는 네 번째 타워이다. HE2019의 Steeple of Midnight Terrors의 속편이다. ===== Steeple of Pumpkin Panic ===== ||<-2>
{{{+1 {{{#000000 Steeple of Pumpkin Panic }}}}}} || ||<-1> [[파일:No_Image.jpg|width=100%&height=80%]] ||||<-2> [[파일:Pogchamp_sopp.png|width=100%&height=80%]] || || {{{#ffffff 구역}}} || Forsaken Manor || || {{{#ffffff 난이도}}} || '''{{{#c10000 Challenging}}}''' || || {{{#ffffff 타워 형태}}} || Steeple || || {{{#ffffff 층 수}}} || 5 || || {{{#ffffff 필요 조건}}} || 없음 || || {{{#ffffff 제작자}}} || '''2147483647''' || HE2020 이벤트 중 보스를 물리치지 않고 입장할 수 있는 가장 어려운 타워이다. 킬브릭이 굉장히 많다. 대부분 20데미지를 입힌다. 특이하게도 프레임이 -- 이제는 흔한 -- 반투명이다. 마지막 부분이 Tower of Aquatic Contemplation의 엔딩과 유사하다. ===== Steeple of Cosmic Terror ===== ||<-2>
{{{+1 {{{#000000 Steeple of Cosmic Terror }}}}}} || ||<-1> [[파일:No_Image.jpg|width=100%&height=80%]] ||||<-2> [[파일:Pogchamp_soct.png|width=100%&height=80%]] || || {{{#ffffff 구역}}} || Forsaken Manor || || {{{#ffffff 난이도}}} || '''{{{#192832 Intense}}}''' || || {{{#ffffff 타워 형태}}} || Steeple || || {{{#ffffff 층 수}}} || 6 || || {{{#ffffff 필요 조건}}} || Aradiant Guardian 클리어 || || {{{#ffffff 제작자}}} || '''theultimatedianite''', Reversed_Array || Aradiant Guardian을 이긴 후 입장할 수 있는 첫 번째 타워이다. 테마가 묘지인데 5~6층을 하다보면 공포게임이 따로 없다. 먼저 5층을 시작하면 유령들이 따라오는데 이 유령들한테 잡히면 피해를 입는다. 이게 은근 긴장감 넘치며 타워 내부도 어두워서 하다보면 점프맵을 하는건지 공포게임을 하는건지 구분이 가지 않는다. 특이하게도 윈패드가 다른 타워들과는 다르다. Citadel of Twists and Weirdness에 이 타워의 일부가 있다. ==== Citadel ==== ===== Citadel of Horrifying Phobias ===== ||<-2>
{{{+1 {{{#000000 Citadel of Horrifying Phobias }}}}}} || ||<-1> [[파일:No_Image.jpg|width=100%&height=80%]] ||||<-2> [[파일:Pogchamp_cohp.png|width=100%&height=80%]] || || {{{#ffffff 구역}}} || Forsaken Manor || || {{{#ffffff 난이도}}} || '''{{{#c901c9 Remorseless}}}''' || || {{{#ffffff 타워 형태}}} || Citadel || || {{{#ffffff 층 수}}} || 13 || || {{{#ffffff 필요 조건}}} || Aradiant Guardian 클리어 || || {{{#ffffff 제작자}}} || '''Lightsynth''', '''Spryvee''', '''vendetta06''' || HE2020의 피날레이다. 모든 층이 공포증을 테마로 하며 각기 다른 공포증들이 나온다.[* 대표적으로 1층은 작은 공간에 대한 공포증이다.] 이 타워는 "MAY BE DISTURBING TO PLAYERS WITH CERTAIN FEARS"라는 경고문을 가진 유일한 타워이다. 이 타워는 출시되자마자 악명높은 난이도로 유저들한테 '''{{{#c901c9 Remorseless}}}'''가 아닌 '''{{{#0000ff Insane}}}'''으로 취급 받았다. 11월 11일에 출시될 예정이었으나 어떤 [[로블록스|네모난 머리]]가 컨베이어를 이상하게 만들어놔서 뒤로 밀렸다. 이 버그는 당일 해결되었다. 원래는 Tower가 될 예정이었다. 인스타 킬브릭을 넣은 최초의 Citadel이다. 가장 긴 Citadel 중 하나이다. 평균적으로 1시간이 걸린다. === Eclipsed Headquarters === ||<-2> {{{#white {{{+1 '''Eclipsed Headquarters'''}}}[br]The Great Inferno}}} || ||<-2> [[파일:HE2022.webp|width=100%&height=100%]] || || {{{#white 세계}}} || The Great Inferno || || {{{#white 평균 난이도}}} || '''{{{#fe7c00 Hard}}}''' || || {{{#white 보스 타워}}} || Steeple of Treacherous Toxins || || {{{#white Steeple 개수}}} || 4 || || {{{#white Tower 개수}}} || 0 || || {{{#white Citadel 개수}}} || 0 || || {{{#white 필요 조건}}} || Ring 1에서 엘리베이터를 사용하여 입장 || ==== Steeples ==== ===== Steeple of Headstone Evocation ===== ===== Steeple of Forsaken Anguish ===== ===== Steeple of Blighted Blazonry ===== ===== Steeple of Treacherous Toxins ===== === Harvest Carniva === ==== Steeples ==== ===== Steeple of Ghostly Mischie ===== ===== Steeple of Dungeon Crawling ===== ===== Steeple of Moonlit Heresy ===== == 크리스마스 서브 구역 == === T H I R S T Z O N E === ||<-2> {{{#white {{{+1 '''T H I R S T Z O N E'''}}}[br]The Great Inferno}}} || ||<-2> [[파일:Pogchamp_tzgame.png|width=100%&height=100%]] || || {{{#white 세계}}} || The Great Inferno || || {{{#white 평균 난이도}}} || 확인 불가 || || {{{#white 보스 타워}}} || 확인 불가 || || {{{#white Steeple 개수}}} || 3 || || {{{#white Tower 개수}}} || 0 || || {{{#white Citadel 개수}}} || 0 || || {{{#white 필요 조건}}} || Ring 1에서 엘레베이터를 사용하여 입장 || T H I R S T Z O N E는 [[크리스마스]] 이벤트 2018이 진행된 구역이다. HE2018과 마찬가지로 보스가 있는데 이름은 "SPR1T3CRANB3RRY MECH"이다. 이 보스를 잡으면 100% 확률로 Present of Thirst와 5% 확률로 Present of Winter Ascension을 얻을 수 있었다. 이 구역에는 [[선물]]들이 있는데 이 선물들의 위치는 아직도 제거되지 않았다. 베일에 싸인 구역 중 하나이다 보니 정보가 많이 존재하지 않는다. ==== Steeples ==== ===== Steeple of Amazing Gifts ===== ||<-2>
{{{+1 {{{#000000 Steeple of Amazing Gifts }}}}}} || ||<-1> [[파일:No_Image.jpg|width=100%&height=80%]] ||||<-2> [[파일:Pogchamp_soag.png|width=100%&height=80%]] || || {{{#ffffff 구역}}} || T H I R S T Z O N E || || {{{#ffffff 난이도}}} || 확인 불가 || || {{{#ffffff 타워 형태}}} || Steeple || || {{{#ffffff 층 수}}} || 5 || || {{{#ffffff 필요 조건}}} || 없음 || || {{{#ffffff 제작자}}} || '''ludovinci''', '''Gammattor''' || Steeple of Amazing Gifts는 보스를 만나기 위해 깨야하는 CE2018 3개의 타워 중 하나였다. 포탈의 색상은 단지 1층의 색상을 나타내기 때문에 정확하지 않다. 그렇게 유저들이 평가한 난이도는 '''{{{#fffe02 Medium}}}'''이다. 여담으로 타워의 그라데이션이 Steeple of Pursuit랑 굉장히 유사하다.[* [[파일:Pogchamp_sop.png]]] ===== Steeple of Frantic Terrificness ===== ||<-2>
{{{+1 {{{#000000 Steeple of Frantic Terrificness }}}}}} || ||<-1> [[파일:No_Image.jpg|width=100%&height=80%]] ||||<-2> [[파일:Pogchamp_soft.png|width=100%&height=80%]] || || {{{#ffffff 구역}}} || T H I R S T Z O N E || || {{{#ffffff 난이도}}} || 확인 불가 || || {{{#ffffff 타워 형태}}} || Steeple || || {{{#ffffff 층 수}}} || 6 || || {{{#ffffff 필요 조건}}} || 없음 || || {{{#ffffff 제작자}}} || '''IceNsalt''' || Steeple of Frantic Terrificness는 CE2018의 보스를 만나기 위해 깨야하는 3개의 타워 중 하나이다. 포탈의 색상은 1층의 색상으로, 정확하지 않다. 그렇게 유저들이 평가한 난이도는 '''{{{#ff0c03 Diffcult}}}'''이다. 1층에서 6층까지 전부 같은 음악을 사용한다. 3층 이상 노래가 같으면 안된다는 규칙을 어긴 몇 안되는 타워이다. ===== Steeple of Christmas Chaos ===== ||<-2>
{{{+1 {{{#000000 Steeple of Christmas Chaos }}}}}} || ||<-1> [[파일:No_Image.jpg|width=100%&height=80%]] ||||<-2> [[파일:Pogchamp_socc.png|width=100%&height=80%]] || || {{{#ffffff 구역}}} || T H I R S T Z O N E || || {{{#ffffff 난이도}}} || 확인 불가 || || {{{#ffffff 타워 형태}}} || Steeple || || {{{#ffffff 층 수}}} || 6 || || {{{#ffffff 필요 조건}}} || 없음 || || {{{#ffffff 제작자}}} || '''Jukereise''', thenamesJEFF2, '''ludovinci''', '''Paramockss''' || Steeple of Christmas Chaos는 CE2018의 가장 어려운 타워이다. 포탈의 색상은 '''{{{#0000ff Insane}}}'''을 나타내지만, 당시엔 '''{{{#0000ff Insane}}}'''이 없었기 때문에 말도 안된다. 그렇게 유저들이 평가한 난이도는 '''{{{#c10000 Challenging}}}'''이다. 이 타워에 들어가면 자동으로 시간대가 밤으로 고정된다. 보너스로 용암까지 차오른다. === Snowy Cabin === ||<-2> {{{#white {{{+1 '''Snowy Cabin'''}}}[br]The Great Inferno}}} || ||<-2> [[파일:Pogchamp_scoutside.png|width=100%&height=100%]] || || {{{#white 세계}}} || The Great Inferno || || {{{#white 평균 난이도}}} || '''{{{#ff0c03 Diffcult}}}''' || || {{{#white 보스 타워}}} || Steeple of Nightmare Before Christmas || || {{{#white Steeple 개수}}} || 4 || || {{{#white Tower 개수}}} || 0 || || {{{#white Citadel 개수}}} || 0 || || {{{#white 필요 조건}}} || Ring 1에서 엘레베이터를 사용하여 입장 || Snowy Cabin은 두 번째 크리스마스 구역이자 크리스마스 이벤트 2019가 진행된 구역이다. 4개의 Steeple과 보스가 포함되어 있다. CE2018과 비슷하게 이곳에도 선물이 존재한다. 현재는 엘레베이터를 통해서만 입장할 수 있다. 모든 Steeple을 깨면 보스, Darklaus와 싸울 수 있다. HE2019와 비슷하게 데이터 저장이 구현되어 있다.[* 그래서 나갔다가 들어와도 다시 모든 Steeple을 깰 필요가 없다.] Ring 3의 '''Laruam Backrooms'''라는 숨겨진 퀘스트에서 이곳의 보스를 잡아야한다. ==== Steeples ==== ===== Steeple of Evergreen Ascension ===== ||<-2>
{{{+1 {{{#000000 Steeple of Evergreen Ascension }}}}}} || ||<-1> [[파일:No_Image.jpg|width=100%&height=80%]] ||||<-2> [[파일:Pogchamp_soea.png|width=100%&height=80%]] || || {{{#000000 구역}}} || Snowy Cabin || || {{{#000000 난이도}}} || '''{{{#fffe02 Medium}}}''' || || {{{#000000 타워 형태}}} || Steeple || || {{{#000000 층 수}}} || 5 || || {{{#000000 필요 조건}}} || 없음 || || {{{#000000 제작자}}} || '''Lightsynth''', '''Cll0y''', '''logicchecks''', '''aamo_s''' || 상승 기반의 '''{{{#fffe02 Medium}}}''' Steeple이다. 특이하게도 포탈의 색은 '''{{{#fffe02 Medium}}}'''이 아닌 '''{{{#00ce01 Effortless}}}'''를 가리킨다. 한번 '''{{{#fe7c00 Hard}}}'''로 변경되었다가 다시 '''{{{#fffe02 Medium}}}'''이 되었다. ===== Steeple of Festive Factory Infiltration ===== ||<-2>
{{{+1 {{{#000000 Steeple of Festive Factory Infiltration }}}}}} || ||<-1> [[파일:No_Image.jpg|width=100%&height=80%]] ||||<-2> [[파일:Pogchamp_soffi.webp|width=100%&height=80%]] || || {{{#000000 구역}}} || Snowy Cabin || || {{{#000000 난이도}}} || '''{{{#ff0c03 Diffcult}}}''' || || {{{#000000 타워 형태}}} || Steeple || || {{{#000000 층 수}}} || 5 || || {{{#000000 필요 조건}}} || 없음 || || {{{#000000 제작자}}} || ItsPr3d, '''N4_3''' || 상승 기반의 '''{{{#ff0c03 Diffcult}}}''' Steeple이다. 난이도는 '''{{{#ff0c03 Diffcult}}}'''가 맞지만 포탈은 '''{{{#c10000 Challenging}}}'''을 가리킨다. 바깥 부분에서 시작하는 두 번째 타워이며 첫 번째는 Tower of Inner and Outer Scaling이다. ===== Steeple of Joyous Voyages ===== ||<-2>
{{{+1 {{{#000000 Steeple of Joyous Voyages }}}}}} || ||<-1> [[파일:No_Image.jpg|width=100%&height=80%]] ||||<-2> [[파일:SoJV.png|width=100%&height=80%]] || || {{{#000000 구역}}} || Snowy Cabin || || {{{#000000 난이도}}} || '''{{{#ff0c03 Diffcult}}}''' || || {{{#000000 타워 형태}}} || Steeple || || {{{#000000 층 수}}} || 6 || || {{{#000000 필요 조건}}} || 없음 || || {{{#000000 제작자}}} || '''punkynil''', '''burgchin''' || 상승 기반의 '''{{{#ff0c03 Diffcult}}}''' Steeple이다. 체감 난이도가 심하게 높다. 많은 유저들이 '''{{{#c10000 Challenging}}}'''으로 간주하고 심하면 '''{{{#192832 Intense}}}'''까지 올라간다고 말한다. 포탈의 색상은 '''{{{#65666d nil}}}'''을 가리킨다(...). ===== Steeple of Nightmare Before Christmas ===== ||<-2>
{{{+1 {{{#000000 Steeple of Nightmare Before Christmas }}}}}} || ||<-1> [[파일:No_Image.jpg|width=100%&height=80%]] ||||<-2> [[파일:Pogchamp_sonbc.png|width=100%&height=80%]] || || {{{#ffffff 구역}}} || Snowy Cabin || || {{{#ffffff 난이도}}} || '''{{{#c10000 Challenging}}}''' || || {{{#ffffff 타워 형태}}} || Steeple || || {{{#ffffff 층 수}}} || 5 || || {{{#ffffff 필요 조건}}} || 없음 || || {{{#ffffff 제작자}}} || '''CrayZe50''', Cronku || CE2019 이벤트에서 가장 어려운 타워였다. 재밌게도 거대한 오두막 위에 이 타워가 있다. 3층에서 너무 많이 떨어지거나 오래 머무르면 낮은 확률로 [[폭사]]한다(...). 5층에서 잘못하면 버그로 인해 문이 작동하지 않는다. 이럴 경우 그냥 죽어야 한다. 포탈의 색상은 '''{{{#bdbdbd Catastrophic}}}'''을 가리킨다. -- CE2019 타워들은 다 왜이러는거야? -- === Old Frosted Kingdom === ||<-2> {{{#white {{{+1 '''Old Frosted Kingdom'''}}}[br]The Great Inferno}}} || ||<-2> [[파일:Pogchamp_ofkgame.png|width=100%&height=100%]] || || {{{#white 세계}}} || The Great Inferno || || {{{#white 평균 난이도}}} || '''{{{#ff0c03 Diffcult}}}''' || || {{{#white 보스 타워}}} || Steeple of Wrapped Suffering || || {{{#white Steeple 개수}}} || 3 || || {{{#white Tower 개수}}} || 1 || || {{{#white Citadel 개수}}} || 0 || || {{{#white 필요 조건}}} || Ring 1에서 엘레베이터를 사용하여 입장 || Old Frosted Kingdom은 크리스마스 이벤트 2020이 진행된 구역이다. Steeple 3개와 Tower 1개로 이루어져 있다. Tower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Steeple 3개를 모두 깨면 되는데 이렇게 Tower를 깨면 보스를 만날 수 있다. 선물들은 특정 타워에 숨겨져 있다. 어떤 선물은 Ring 8의 Obby 끝에 있기도 하였다. 서브 구역을 제외한 거의 모든 구역이 겨울 테마에 맞게 장식된 첫 번째 이벤트이기도 하다. JToH에서 엄청나게 긴 기간동안 유지되었던 이벤트 구역이기도 하다. 12월 22일부터 2월 11일까지 거의 2개월을 붙어있었다. ==== Steeples ==== ===== Steeple of Scrumptious Travels ===== ||<-2>
{{{+1 {{{#000000 Steeple of Scrumptious Travels }}}}}} || ||<-1> [[파일:No_Image.jpg|width=100%&height=80%]] ||||<-2> [[파일:Pogchamp_sost-nodecor.png|width=100%&height=80%]] || || {{{#000000 구역}}} || Old Frosted Kingdom || || {{{#000000 난이도}}} || '''{{{#fe7c00 Hard}}}''' || || {{{#000000 타워 형태}}} || Steeple || || {{{#000000 층 수}}} || 6 || || {{{#000000 필요 조건}}} || 없음 || || {{{#000000 제작자}}} || '''Goose4000''' || 진저 브레드 쿠키 모양의 Steeple이다. 마지막 버튼을 누르면 타워의 전체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는 스크린 샷을 찍으라는 제작자의 세심한(?) 배려이다.] 컷 씬을 사용하는 세 번째 타워이다. 평균적으로 25~30분이나 되는 Steeple 치곤 굉장히 긴 길이를 가지고 있다. ===== Steeple of Winter Expeditions ===== ||<-2>
{{{+1 {{{#000000 Steeple of Winter Expeditions }}}}}} || ||<-1> [[파일:No_Image.jpg|width=100%&height=80%]] ||||<-2> [[파일:Pogchamp_sowe.png|width=100%&height=80%]] || || {{{#000000 구역}}} || Old Frosted Kingdom || || {{{#000000 난이도}}} || '''{{{#ff0c03 Diffcult}}}''' || || {{{#000000 타워 형태}}} || Steeple || || {{{#000000 층 수}}} || 6 || || {{{#000000 필요 조건}}} || 없음 || || {{{#000000 제작자}}} || 3_XW || 눈꽃 모양의 타워이다.[* 가운데 네온 눈꽃은 회전한다.] 내부는 불투명해서 밖에서는 볼 수 없다. 2층 굴뚝에 뛰어내리려고 하면 "no"라는 효과음이 재생된다. Tower of Hot Chocolate Furys는 이 타워 바로 뒤에 있다. 이 타워에 들어가면 작은 오두막에서 시작한다. 여담으로 윈패드가 [[산타]]의 썰매 모양이다. ===== Steeple of Wrapped Suffering ===== ||<-2>
{{{+1 {{{#000000 Steeple of Wrapped Suffering }}}}}} || ||<-1> [[파일:No_Image.jpg|width=100%&height=80%]] ||||<-2> [[파일:Pogchamp_sows.png|width=100%&height=80%]] || || {{{#ffffff 구역}}} || Old Frosted Kingdom || || {{{#ffffff 난이도}}} || '''{{{#c10000 Challenging}}}''' || || {{{#ffffff 타워 형태}}} || Steeple || || {{{#ffffff 층 수}}} || 5 || || {{{#ffffff 필요 조건}}} || 없음 || || {{{#ffffff 제작자}}} || '''franchun04''', '''2003fren''' || 선물들이 쌓인 모양의 타워이다. 이 타워의 경고문 중 일부가 약간 투명했었다. 예전에는 모바일과 콘솔에서 이 타워를 플레이할 수 없었다.[* 그 이유는 커서로 버튼을 잡은 동시에 같이 움직여야 하는 구간이 있었기 때문인데 모바일은 이런 플레이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 문제는 빠르게 수정되었다.[* 만약 수정되지 않았다면 모바일과 콘솔에서 플레이할 수 없는 유일한 Steeple이 되었을 것이며 모바일과 콘솔에서 CE2020을 진행할 수 없었을 것이다.] 현재는 4층을 제대로 플레이할 수 없어서 버그를 쓰는게 아니면 사실상 깰 수 없다. 이 타워에는 약 107개나 되는 선물들이 있다. 그리고 마지막 선물의 주인공은 플레이어다. ==== Tower ==== ===== Tower of Hot Chocolate Fury ===== ||<-2>
{{{+1 {{{#000000 Tower of Hot Chocolate Fury }}}}}} || ||<-1> [[파일:No_Image.jpg|width=100%&height=80%]] ||||<-2> [[파일:Pogchamp_tohcf.png|width=100%&height=80%]] || || {{{#000000 구역}}} || Old Frosted Kingdom || || {{{#000000 난이도}}} || '''{{{#ff0c03 Diffcult}}}''' || || {{{#000000 타워 형태}}} || Tower || || {{{#000000 층 수}}} || 10 || || {{{#000000 필요 조건}}} || Old Frosted Kingdom의 모든 Steeple 클리어 || || {{{#000000 제작자}}} || [* '''Jukereise''', noob1928, '''Spryvee''', ItsPr3d, '''Zaikotic''', punkynil, '''zulpiz''', '''Gammattor''', '''Lightsynth'''] || CE2020의 마지막이다. 이벤트를 위해 제작된 다섯 번째 Tower이다.[* 나머지는 Tower of Autumn Harvest, tower pf Fuin jumps, tower pf Orignl Towrs, tower pf Epc Climbingg이다.] 마지막에는 Hot Chocolate Demon라는 보스와 싸워야 한다. 많은 사람들은 이 타워가 처음 나올 때 '''{{{#c10000 Challenging}}}'''이라고 생각했다. 1층 아래로 떨어지면 Hot Chocolate Hell이라는 곳에 떨어진다. 사다리를 통해서 다시 1층으로 돌아갈 수 있다. 출시될 때 버그가 '''매우''' 많았다. 일부 버그는 아직도 고쳐지지 않았다. === Festive Cliffside === ||<-2> {{{#white {{{+1 '''Festive Cliffside'''}}}[br]The Great Inferno}}} || ||<-2> [[파일:Festive_Cliffside.png|width=100%&height=100%]] || || {{{#white 세계}}} || The Great Inferno || || {{{#white 평균 난이도}}} || '''{{{#c10000 Challenging}}}''' || || {{{#white 보스 타워}}} || Citadel of Festive Struggles || || {{{#white Steeple 개수}}} || 0 || || {{{#white Tower 개수}}} || 0 || || {{{#white Citadel 개수}}} || 1 || || {{{#white 필요 조건}}} || Ring 1에서 엘레베이터를 사용하여 입장 || Festive Cliffside는 크리스마스 이벤트 2021이 진행된 구역이다. 12월 12일에 추가되어 2022년 2월 5일에 종료된 가장 긴 기간 동안 머물러 있던 구역이다. 상금이 가장 많았으며 총 9개의 상금이 있었다. 딱 1개의 타워만을 가지고 있는 두 번째 구역이다.[* 첫 번째 구역은 The Eternal Potluck이다.] 크리스마스 이벤트인 만큼 선물이 존재했다. 한 개는 CoFS를 깨면 얻을 수 있었고[* 이 때문에 이벤트를 완료하기 위해 Citadel을 깨야 하는 최초의 이벤트이다.] 나머지 4개는 각 구역에 흩어져 있으며 나머지는 전부 음료 이벤트 관련이었다. 보스는 추가될 예정이었으나 취소된 것으로 보인다. ==== Citadel ==== ===== Citadel of Festive Struggles ===== ||<-2>
{{{+1 {{{#000000 Citadel of Festive Struggles }}}}}} || ||<-1> [[파일:No_Image.jpg|width=100%&height=80%]] ||||<-2> [[파일:Pogchamp_cofs.png|width=100%&height=80%]] || || {{{#ffffff 구역}}} || Festive Cliffside || || {{{#ffffff 난이도}}} || '''{{{#c10000 Challenging}}}''' || || {{{#ffffff 타워 형태}}} || Citadel || || {{{#ffffff 층 수}}} || 16 || || {{{#ffffff 필요 조건}}} || 없음 || || {{{#ffffff 제작자}}} || [* '''Gammattor''', '''bLockerman666''', inferusdehorus, Kelakatona, StormT1989, FreeThePolarBear, gnistonix, staticphd, Minecraftgamedude] || Citadel of Festive Struggles는 CE2021의 Citadel이다. 원래는 CE2018의 이벤트 타워로 나올 예정이었지만, 시간이 부족하여 폐기되고 CE2021에 출시되었다. 이 타워에는 선물이 정말 많은 데 이 선물 모두 JToH 회원들을 위한 선물이다.[* 그래서 이 선물들에는 하나 하나 다 JToH의 회원들의 이름이 적혀있다.] 자체 게임에서는 더 많은 선물들이 있다. 놀랍게도 16일만에 지어진 Citadel이다. 심지어 15층까지는 일주일만에 지어졌다.[* 이유는 간단하다. 제작자가 미친듯이 많기 때문이다(...).] 윈 룸의 길이는 700 스터드이다.[* 대략 일반적인 타워의 7층 길이이다.] 이렇게 거대한 윈 룸을 제작한 장본인은 Kelakotana이다. 모든 아웃 사이드에 안전망이 있는 데 이 덕분에 밖에서 1층으로 갈 일은 없다. 부품을 13000개 넘게 사용했다. --예?-- 그래서 그런지 저사양 기기에서는 렉이 상당하다. 15층의 사진이 CE2021 이벤트의 첫 번째 티저였다. 이 거대한 프로젝트의 작업 인원은 모두 vendetta06에 의해 모집되었으나 막상 vendetta06는 타워를 제작하는 데 아무 기여도 하지 않았다. 16층이 미친듯이 길다. == 기타 이벤트 서브 구역 == === Beggmuda Triangle === ||<-2> {{{#white {{{+1 '''Beggmuda Triangle'''}}}[br]The Great Inferno}}} || ||<-2> [[파일:Pogchamp_btgame.png|width=100%&height=100%]] || || {{{#white 세계}}} || The Great Inferno || || {{{#white 평균 난이도}}} || '''{{{#ff0c03 Diffcult}}}''' || || {{{#white 보스 타워}}} || Steeple of Egg Searches || || {{{#white Steeple 개수}}} || 3 || || {{{#white Tower 개수}}} || 0 || || {{{#white Citadel 개수}}} || 0 || || {{{#white 필요 조건}}} || Ring 1에서 엘레베이터를 사용하여 입장 || Beggmuda Triangle은 봄 이벤트 2019가 진행된 구역이다. 모티브는 [[버뮤다 삼각지대]]를 모티브로 한 것으로 추측된다. 처음 출시된 지 40분 만에 폐쇄되었는데 이는 버그 테스트를 위함이었다. 추후 2019년 5월 15일 오후 4시 37분 다시 출시되었다. HE2018이나 CE2018과 달리 이 구역부턴 정보가 많은 편이다. -- 드디어 이 구역부턴 포탈의 색상이 제대로 나온다. -- 모든 Steeple을 클리어한 뒤 각 타워에서 얻은 열쇠로 비밀 경로를 따라가면 멀리 떨어진 섬으로 이동된다. 이때부터가 피날레인데, 그 섬의 버튼을 누르면 [[쓰나미]]가 오면서 다시 중앙 섬으로 텔레포트 된다. 이후 섬 뒤쪽에서 3개의 아이템을 얻은 뒤 오두막 문을 열고 탈출하면 된다. 이 구역은 어떤 아이템도 허용되지 않았었다. 원래 Ring 2에 있었지만, Ring 2에 입장할 수 없는 유저들을 위해 Ring 1으로 이동되었다. ==== Steeples ==== ===== Steeple of Spring Jubilation ===== ||<-2>
{{{+1 {{{#000000 Steeple of Spring Jubilation }}}}}} || ||<-1> [[파일:No_Image.jpg|width=100%&height=80%]] ||||<-2> [[파일:Pogchamp_sosj.webp|width=100%&height=80%]] || || {{{#000000 구역}}} || Beggmuda Triangle || || {{{#000000 난이도}}} || '''{{{#fffe02 Medium}}}''' || || {{{#000000 타워 형태}}} || Steeple || || {{{#000000 층 수}}} || 5 || || {{{#000000 필요 조건}}} || 없음 || || {{{#000000 제작자}}} || '''CrayZe50''' || Steeple of Spring Jubilation은 SE2019 이벤트에서 가장 쉬웠던 타워이다. 상승 기반이며 외부가 없다. 전체적으로 그라데이션이 아름답다는 평가를 받는다. 또한 {{{#c901c9 '''Tower of True Skill'''}}}의 시크릿 엔딩에서도 나온다. ===== Steeple of Chaotic Hunting ===== ||<-2>
{{{+1 {{{#000000 Steeple of Chaotic Hunting }}}}}} || ||<-1> [[파일:No_Image.jpg|width=100%&height=80%]] ||||<-2> [[파일:Pogchamp_soch.webp|width=100%&height=80%]] || || {{{#000000 구역}}} || Beggmuda Triangle || || {{{#000000 난이도}}} || '''{{{#ff0c03 Diffcult}}}''' || || {{{#000000 타워 형태}}} || Steeple || || {{{#000000 층 수}}} || 5 || || {{{#000000 필요 조건}}} || 없음 || || {{{#000000 제작자}}} || '''It_Near''' || Steeple of Chaotic Hunting은 Steeple of Spring Jubilation을 깬 뒤 깨야할 타워이다. 원래 이 타워의 이름은 Steeple of Easter Sunday였지만 Steeple of Egg Searches와 약자가 겹쳐 변경되었다. 5층이지만 1층은 투명벽이 없어 바깥에서 내부가 보이지 않는다. ===== Steeple of Egg Searches ===== ||<-2>
{{{+1 {{{#000000 Steeple of Egg Searches }}}}}} || ||<-1> [[파일:No_Image.jpg|width=100%&height=80%]] ||||<-2> [[파일:Pogchamp_soes.png|width=100%&height=80%]] || || {{{#000000 구역}}} || Beggmuda Triangle || || {{{#000000 난이도}}} || '''{{{#ff0c03 Diffcult}}}''' || || {{{#000000 타워 형태}}} || Steeple || || {{{#000000 층 수}}} || 6 || || {{{#000000 필요 조건}}} || 없음 || || {{{#000000 제작자}}} || '''Goose4000''', 60mmm || Steeple of Egg Searches는 SE2019 이벤트에서 가장 어려웠던 타워이다. Steeple이지만 특이하게도 Tower Crossing이 있었다. 원래는 Steeple of Easter Sections였다. === The Eternal Potluck === ||<-2> {{{#white {{{+1 '''The Eternal Potluck'''}}}[br]The Great Inferno}}} || ||<-2> [[파일:No_Image.jpg|width=100%&height=100%]] || || {{{#white 세계}}} || The Great Inferno || || {{{#white 평균 난이도}}} || '''{{{#c10000 Challenging}}}''' || || {{{#white 보스 타워}}} || Tower of Autumn Harvest || || {{{#white Steeple 개수}}} || 0 || || {{{#white Tower 개수}}} || 1 || || {{{#white Citadel 개수}}} || 0 || || {{{#white 필요 조건}}} || 입장 불가 || The Eternal Potluck은 추수 감사절 이벤트 2019의 구역이 될 예정이었다는 정보 외에는 많이 알려져있지 않다. 엘레베이터 0층에 포탈이 있지만 입장할 수 없다. ToAH가 이 구역에 있어야 했으나 Ring 2에 임시적으로 추가되었었다. ==== Tower ==== ===== Tower of Autumn Harvest ===== ||<-2>
{{{+1 {{{#000000 Steeple of Hallucinatory Spectacles }}}}}} || ||<-1> [[파일:No_Image.jpg|width=100%&height=80%]] ||||<-2> [[파일:Toah.png|width=100%&height=80%]] || || {{{#ffffff 구역}}} || The Eternal Potluck || || {{{#ffffff 난이도}}} || '''{{{#c10000 Challenging}}}''' || || {{{#ffffff 타워 형태}}} || Tower || || {{{#ffffff 층 수}}} || 10 || || {{{#ffffff 필요 조건}}} || 없음 || || {{{#ffffff 제작자}}} || [* '''Jukereise''', '''Lightsynth''', driekondo, TheBirbsWord, cml64, '''3_XW''', junoong20, DispensableArray, theultimatedianite, vannilayum, Hl_ImVitamin, thatonekid10020] || 원래 The Eternal Potluck에 TE2019 이벤트 타워로 등장했어야 했으나 The Eternal Potluck이 나오지 않으며 Ring 2에 등장하게 된 타워이다. 이 타워는 JToH의 모든 구역의 타워들 중 아이템을 금지하는 두 번째로 쉬운 타워이다.[* 첫 번째는 Citadel of Tricky Situations로 '''{{{#ff0c03 Diffcult}}}''' 난이도이다.] 제작자들이 12명으로 역대급으로 많은 제작자들이 참여했다. 속편이 있을 예정이었다. 2020년으로 계획되었으나 결국 무산됐다. === Legacy Mini-Event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Juke's Towers of Hell/서브 구역, version=14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