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찬송가]][[분류:캐럴]][[분류:미국 노래]][[분류:1857년 노래]][[분류:CHUNITHM의 수록곡]][[분류:maimai 시리즈의 수록곡]][[분류:온게키 시리즈/수록곡]][[분류:저스트 댄스 수록곡]][[분류:Phigros의 수록곡]][[분류:GROOVE COASTER의 수록곡]] [include(틀:한국갤럽 선정 겨울하면 생각나는 노래)] [목차] == 개요 == '''징글벨'''([[영어]]: Jingle Bells)은 [[미국]]의 [[크리스마스 캐럴]]이다. == 상세 == 전 세계적으로 널리 번안되어 불려지는 [[캐럴(음악)|캐럴]] 중 하나로, [[https://en.wikipedia.org/wiki/James_Lord_Pierpont|제임스 로드 피어폰트]](James Lord Pierpont, 1822년 ~ 1893년)가 1857년에 작사 작곡하여 발표하였다. 본래는 "[[The One Horse Open Sleigh]]"라는 이름으로 발표되었고, [[https://www.cambridge.org/core/journals/theatre-survey/article/story-i-must-tell-jingle-bells-in-the-minstrel-repertoire/D42C78950A58BDB88290954F73B195B2|백인이 흑인분장을 하고 희화화하는 민스트럴 쇼에서 상연된 것이 시초]]이다. 이후 징글벨이 크리스마스 시즌 때 자주 불려짐에 따라 유명한 [[크리스마스 캐럴]]로 정착되었다. == 악보 == || [[파일:Jingle_Bells_Score.png|width=100%]] || == 가사 == === The One Horse Open Sleigh === [youtube(YR6YAgVIljg)] >Dashing through the snow >On a one horse open sleigh >O'er the fields we go, >Laughing all the way >Bells on bob tail ring, >making spirits bright >What fun it is to laugh and sing >A sleighing song tonight > >Jingle bells, jingle bells >Jingle all the way >Oh, what fun it is to ride >In a one horse open sleigh >Jingle bells, jingle bells >Jingle all the way >Oh, what fun it is to ride >In a one horse open sleigh > >A day or two ago, >I thought I'd take a ride, >And soon Miss Fanny Bright >Was seated by my side; >The horse was lean and lank >Misfortune seemed his lot >We got into a drifted bank, >And then we got upsot. > >Jingle bells, jingle bells >Jingle all the way >Oh, what fun it is to ride >In a one horse open sleigh >Jingle bells, jingle bells >Jingle all the way >Oh, what fun it is to ride >In a one horse open sleigh > >A day or two ago, >The story I must tell >I went out on the snow, >And on my back I fell >A gent was riding by >In a one-horse open sleigh, >He laughed as there I sprawling lie, >But quickly drove away. > >Jingle Bells, Jingle Bells, >Jingle all the way! >Oh, What fun it is to ride >In a one horse open sleigh. >Jingle Bells, Jingle Bells, >Jingle all the way! >Oh, What fun it is to ride >In a one horse open sleigh. > >Now the ground is white >Go it while you're young >Take the girls tonight >And sing this sleighing song >Just get a bob tailed bay >two-forty as his speed >Hitch him to an open sleigh >And crack! you'll take the lead > >Jingle Bells, Jingle Bells, >Jingle all the way! >Oh, What fun it is to ride >In a one horse open sleigh. >Jingle Bells, Jingle Bells, >Jingle all the way! >Oh, What fun it is to ride >In a one horse open sleigh. 위는 1857년 원작의 가사로 아래의 우리가 일반적으로 아는 버전의 가사와 음이 약간 다르다 === Jingle Bells === || [youtube(49EuVXTxNfQ)] || || '''Dashing through the snow, in a one horse open sleigh.''' '''Over the fields we go, laughing all the way.''' '''Bells on bobtails ring, making spirits bright.''' '''What fun it is to ride and sing a sleighing song tonight. Oh!''' '''Jingle bells, jingle bells, jingle all the way.''' '''Oh what fun it is to ride in a one horse open sleigh. Hey!''' '''Jingle bells, jingle bells, jingle all the way.''' '''Oh what fun it is to ride in a one horse open sleigh.''' || >'''Jingle Bells''' >징글 벨즈 >징글벨즈 >---- >'''Dashing through the snow''' >(대싱 쓰루 더 스노우) >눈 속을 뚫으며 > >'''In a one-horse open sleigh''' >(인 어 원 홀스 오픈 슬래이) >말이 끄는 썰매를 타네 > >'''Over the fields we go''' >(오버 더 필스 위 고) >들판을 넘다보니 > >'''Laughing all the way''' >(래핑 올 더 웨이) >갈 길마다 웃음이 넘치네 > >'''Bells on bob tail ring''' >(벨스 온 밥 테일 링) >종이 울리면 > >'''Making spirits bright''' >(메이킹 스프으리츠 브라이트) >모두 밝게 빛나네 > >'''What fun it is to ride and sing''' >(왓 펀 잇 이스 투 롸이드 앤 씽) >오늘 밤 달리면서 썰매 노래부르며 > >'''A sleighing song tonight! Oh!''' >(어 슬래잉 송 투나잇 오) >즐기는게 얼마나 재밌는가! 오! > >'''Jingle bells, jingle bells,''' >(징글 벨즈 징글 벨즈) >종 소리, 종 소리, > >'''Jingle all the way.''' >(징글 올 더 웨이) >저곳까지 채우네. > >'''Oh! what fun it is to ride''' >(오 왓 펀 잇 이즈 투 롸이드) >말이 끄는 썰매 타는 것이 > >'''In a one-horse open sleigh. Hey!''' >(인 어 원 홀스 오픈 슬레이 헤이) >얼마나 재미 있는가, 헤이! > >'''Jingle bells, jingle bells,''' >(징글 벨즈 징글 벨즈) >종 소리, 종 소리, > >'''Jingle all the way;''' >(징글 올 더 웨이) >저곳까지 채우네. > >'''Oh! what fun it is to ride''' >(오 왓 펀 잇 이즈 투 롸이드) >말이 끄는 썰매 타는 것이 > >'''In a one-horse open sleigh.''' >(인 어 원 홀스 오픈 슬레이) >얼마나 재미있는가. == [[커버(음악)|커버]] == === 한국어판 === || [youtube(ZMALVUT1zgY)] || || [[https://youtu.be/ZMALVUT1zgY]] || 한국어로 번안한 사람은 동요 <우리의 소원>을 작곡한 [[안병원]]이다. >흰 눈 사이로 썰매를 타고 >달리는 기분 상쾌도 하다 >종이 울려서 장단 맞추니 >흥겨워서 소리 높여 노래 부르자 >종소리 울려라 종소리 울려 >우리 썰매 빨리 달려 종소리 울려라 >종소리 울려라 종소리 울려 >기쁜 노래 부르면서 빨리 달리자 ==== 문화어판 ==== || [youtube(3LWKRsXfaWk)] || || [[https://youtu.be/3LWKRsXfaWk|종소리 울려라]] || || 흰눈 사이로 썰매야 가자 저 언덕 넘어 어서야 가자 손에 손 잡고 노래 부르면 흥겨워서 우리 썰매 잘도 달린다 종소리 울려라 종소리 울려 우리 썰매 앞장서서 어서야 가자 종소리 울려라 종소리 울려 기쁜 선물 가득 싣고 썰매야 가자 || === 일본어판 === || [youtube(BCSWsmV9SZ0)] || || [[https://youtu.be/BCSWsmV9SZ0]] || >'''ジングルベルズ''' >---- >'''はしれソリよかぜのように''' >'''ゆきのなかをかるくはやく''' >'''わらいごえをゆきにまけば''' >'''あかるいひかりのはなになるよ''' >'''ジングルベルジングルベル''' >'''すずがなる''' >'''すずのリズムにひかりのわがまう''' >'''ジングルベル ジングルベル''' >'''すずがなる''' >'''もりにはやしにひびきながら''' >'''ジングルベルジングルベル''' >'''すずがなる''' >'''すずのリズムにひかりのわがまう''' >'''ジングルベルジングルベル''' >'''すずがなる''' >'''もりにはやしにひびきながら''' >'''はしれソリよおかのうえは''' >'''ゆきもしろくかぜもしろく''' >'''うたうこえはとんでゆくよ''' >'''かがやきはじめたほしのそらへ''' >'''ジングルベルジングルベル''' >'''すずがなる''' >'''すずのリズムにひかりのわがまう''' >'''ジングルベルジングルベル''' >'''すずがなる''' >'''もりにはやしにひびきながら''' === 독일어판 === || [youtube(gQ2qo_YfQ5I)] || || [[https://youtu.be/gQ2qo_YfQ5I]] || >'''Ein Kleiner Weisser Schneemann''' >Werner Twardy >Roy Black >---- >'''Ein kleiner weißer Schneemann''' >'''der steht vor meiner Tür,''' >'''ein kleiner weißer Schneemann''' >'''der stand gestern noch nicht hier,''' >'''und neben dran der Schlitten,''' >'''der lädt uns beide ein,''' >'''zur aller ersten Schlittenfahrt''' >'''ins Märchenland hinein.''' >'''Jingle Bells, Jingle Bells,''' >'''klingt es weit und breit.''' >'''Schön ist eine Schlittenfahrt''' >'''im Winter wenn es schneit.''' >'''Jingle Bells, Jingle Bells,''' >'''klingt es weit und breit.''' >'''Mach' mit mir 'ne Schneeballschlacht,''' >'''der Winter steht bereit!''' >'''Er kam auf leisen Sohlen''' >'''ganz über Nacht,''' >'''hat heimlich und verstohlen''' >'''den ersten Schnee gebracht.''' >'''Jingle Bells, Jingle Bells,''' >'''klingt es weit und breit.''' >'''Hell erstrahlt die ganze Welt''' >'''im weißen, weißen Kleid.''' >'''Jingle Bells, Jingle Bells,''' >'''klingt es weit und breit.''' >'''Christkind geht durch den Winterwald,''' >'''denn bald ist Weihnachtszeit.''' === 호주판 === [youtube(OnJ8jsw4BSo)] [[호주]]에서 부르는 호주판 징글벨이 따로 있다. 호주판은 곡은 그대로 두되, 크리스마스가 [[여름]]인 호주의 실정을 반영해서 여름 느낌이 나게 개사했다. 일명 'Dashing through the bush'. >Dashing through the bush >In a rusty Holden Ute >Kicking up the dust >Esky[* 한국으로 치면 [[아이스박스]]이다.] in the boot >Kelpie[* 호주의 전통 목양견으로 한국으로 치면 [[진돗개]]나 [[삽살개]]이다][* [[https://m.terms.naver.com/entry.naver?docId=1307452&cid=40942&categoryId=32624]]] by my side >Singing Christmas songs >Its summer time and I am in >My singlet, shorts and thongs >Oh, Jingle Bells, Jingle Bells >Jingle all the way >Christmas in Australia >On a scorching summer's day >Jingle Bells, Jingle Bells >Christmas time is beaut >Oh what fun it is to ride >In a rusty Holden Ute >Engine's getting hot >Dodge the kangaroos >Swaggy climbs aboard >He is welcome too >All the family is there >Sitting by the pool >Christmas day, the Aussie way >By the barbecule! >Come the afternoon >Grandpa has a doze >The kids and Uncle Bruce >Are swimming in their clothes >The time comes round to go >We take a family snap >Then pack the car and all shoot through >Before the washing up === 러시아판 === [youtube(JFIm3pmnwnw)] 이 버전의 경우는 단지 영문판을 [[붉은 군대 합창단]]이 부른 버전이다 --그리고 본격 병맛버전-- [youtube(L3LXlOTtcBY)] == [[리듬 게임]] 수록 == === [[Jinglebell Mega Mix|O2Jam]]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Jinglebell Mega Mix)] === SEGA 리듬게임 === [include(틀:게키츄마이 그랜드슬램)] [youtube(OM9jig8l7Os)] 초대 [[CHUNITHM]]을 시작으로 세가 리듬게임에 실리기 시작했다. H.라는 명의로 세가 리듬게임 스탭이 직접 부른 버전. 락 버전(?)으로 영어판을 불렀다. 수록된 게임마다 하나같이 MASTER[* 온게키는 추가로 LUNATIC도.] 보면이 굉장히 더럽게 수록된 것이 특징이다. 다만, 츄니즘에서 이후 추가된 ULTIMA는 14.9, maimai에서 이후 추가된 디럭스 패턴 MASTER는 14.7이라는 매우 어려운 난이도로 나왔지만 패턴은 오히려 개선되었다는 평가를 듣는다. 게임 내에서는 ジングルベル라고 가타카나로 표기한다. 마이마이에 첫 수록 될때는 [[Thank You Merry Christmas]]같은 기간한정 곡이었지만 현재는 통상 플레이 가능 곡.[* 이 때문에 마이마이 무인 버전 순회 플레이트의 획득 조건에서 제외되어 있다] 특이하게도 마이마이는 오리지널, 츄니즘 온게키는 POPS&ANIME 장르로 되어 있다. 도입부를 [[고요한 밤 거룩한 밤]]의 후렴구로 시작한다. 2019년 12월에 마침내 [[온게키 SUMMER]]에도 수록됨으로서 게키츄마이 [[그랜드슬램]] 곡이 되었다. 온게키에는 일반 버전과 함께 LUNATIC으로도 수록되었다. ==== [[온게키]] ==== ==== [[CHUNITHM]] ==== ==== [[maimai]] ==== [include(틀:maimai 시리즈의 14+레벨 수록곡)] ||<-7> '''{{{#!html ジングルベル}}}''' || ||<-7> [[파일:ジングルベル.png|width=50%]] || ||<-2> 아티스트 ||<-5> H.(SEGA Sound Unit) || ||<-2> 장르 ||<-5> maimai || ||<-2> BPM ||<-5> 100 || ||<-2> 버전 ||<-5> [[maimai]][*ST 스탠다드 채보 추가][br][[maimai DX FESTiVAL|FESTiVAL]][*DX 디럭스 채보 추가] || ||<-2> 최초 수록일 ||<-5> 2015/03/19 || ||<-7><:> '''[[maimai DX|{{{#ffcc21 m}}}{{{#3182ff a}}}{{{#54C320 i}}}{{{#ffcc21 m}}}{{{#fd006b a}}}{{{#d0f i}}} {{{#ffe302 D}}}{{{#a0b036 X}}}]] {{{#373a3c,#ddd 난이도 체계}}}''' || ||<-7> '''STANDARD''' || ||<-2> 난이도 || BASIC || ADVANCED || EXPERT || MASTER || Re:MASTER || ||<-2> 레벨 || 6 || 7 || 10+ || 14{{{-2 {{{#GRAY (14.3)}}}}}} || 14{{{-2 {{{#GRAY (14.2)}}}}}} || ||<|5> 노트 수 || TAP || 139 || 149 || 282 || 564 || 450 || || HOLD || 13 || 26 || 18 || 27 || 63 || || SLIDE || 2 || 5 || 18 || 37 || 124 || || BREAK || 3 || 5 || 14 || 20 || 100 || || 합계 || '''157''' || '''185''' || '''332''' || '''648''' || '''737''' || ||<-2> 보면제작 || - || - || 譜面-100号 || チャン@DP皆伝 || チャン@DP皆伝 || ||<-7> '''{{{#fd006b D}}}{{{#orange E}}}{{{#ffcc21 LU}}}{{{#54C320 X}}}{{{#3182ff E}}}''' || ||<-2> 난이도 || BASIC || ADVANCED || EXPERT || MASTER || Re:MASTER || ||<-2> 레벨 || 5 || 7+ || 10+ || 14+{{{-2 {{{#GRAY (14.7)}}}}}} ||<|8> - || ||<|6> 노트 수 || TAP || 144 || 242 || 266 || 377 || || HOLD || 12 || 9 || 36 || 99 || || SLIDE || 3 || 6 || 21 || 26 || || TOUCH || 6 || 23 || 207 || 302 || || BREAK || 10 || 4 || 77 || 125 || || 합계 || '''175''' || '''284''' || '''427''' || '''929''' || ||<-2> 보면제작 || - || - || 翠楼屋 || 舞舞10年ズ~ファイナル~ || * [[maimai/수록곡|수록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 EXPERT ===== [youtube(ibMW-wkrKRE)] 스탠다드 '''AP''' 스크린 캡쳐 영상.[* 플레이어는 a3*order / たっと.] [youtube(2AKjUabZXww)] DX '''AP''' 플레이 영상.[* 플레이어는 Anthoney.] ===== MASTER ===== ====== STANDARD ====== [youtube(gDBnrVggTbM)] AP 스크린 캡쳐 영상.[* 플레이어는 えひか.] [youtube(KS9GrTF1vf0)] AP 영상.[* 플레이어는 Amakage!.] 정말 악명높은 스탠다드 마스터의 경우 간접나기 매우 쉬운 슬라이드와 도대체 무슨 패턴인지 눈에 잘 들어오지도 않는 어지러운 배치가 압권인 후반 탭 폭타부분이 악명높다. [* 오죽하면 14.5 14.6의 고난도 14레벨들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14레벨 폴더작 졸업을 이놈으로 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정말 초대작 감성을 잘 보여주는 패턴으로 전체적으로 암기하지 않으면 칠 수가 없을정도로 배치가 난잡하고 외우더라도 마냥 쉽지 않다. 사람에 따라 상하반전이나 전반전을 걸면 체감 난이도가 낮아지기도 하니 한번씩 걸어보는것도 나쁘지 않다. ====== DX ====== [youtube(BaGWUC1u8PM)] AP 스크린 캡쳐 영상.[* 플레이어는 あいす.] [youtube(0Wf20nli9UI)] AP 영상.[* 플레이어는 Amakage!.] 내수판은 FESTiVAL이 가동 중이었던 22년 크리스마스에 등장했으나, 국제판은 FESTiVAL 기간 동안 업데이트되지 않았다. 내수판처럼 크리스마스에 내려는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있다. 스탠다드가 워낙 악명이 높기도 하고 패턴이 초견 배려가 전혀 되어있지 않아 첫 등장시 임팩트는 14.9급이었으나, 익숙해질 경우 난이도는 14.7에서 중간 정도. 다만 워낙 패턴이 이질적인데다가 암기 비중도 상당히 높아 개인차 폭이 매우 넓다. ===== Re:MASTER ===== [youtube(cqEsQc0Lc5k)] AP 스크린 캡쳐 영상.[* 플레이어는 takerun3367.] [youtube(12XcVjGZDVA)] '''{{{#red AP+}}}''' 영상. [* 플레이어는 Amakage!.] Re:MASTER 보면의 경우 슬라이드 BPM을 두배로 해놓고[* 본 곡의 BPM이 100이라 여기서 두배를 더해 200에 맞춰 설정되어 있으므로 BPM에 따라 슬라이드 속도를 다르게 하는 유저의 경우 리마스터만큼은 BPM 200에 맞춰 세팅하는걸 권장한다.] 스탠다드 마스터 특유의 초대작 감성을 덜어낸 패턴. 브레이크도 워낙 많고 초견살이 14레벨중에서도 굉장히 심한 편이나 하면서 암기하다보면 체감 난이도가 꽤 떨어지는 채보이다. 다만 마지막의 슬라이드 난사와 양손 회전에서 대량 실점이 날 수 있으니 요주의. 마스터와 달리 익숙해진다는 가정 하에선 나름 재밌다는 평가이다. === [[저스트 댄스 시리즈]] === ||<-4> {{{#white '''프리뷰 영상'''}}} || ||<-4> [youtube(jBsBgkyYB68)] || ||<-4> {{{#white '''Santa Clones - Jingle Bells'''}}} || || {{{#white '''난이도'''}}} || {{{#black 쉬움}}} || {{{#white '''모드'''}}} || {{{#black 듀엣}}} || || {{{#white '''픽토그램 수'''}}} || {{{#black 60}}} || {{{#white '''골드 무브'''}}} || {{{#black 2}}} || 저스트 댄스 2019부터 커버 버전으로 키즈 모드를 통하여 플레이 가능하다. 키즈 모드인 만큼 난이도는 쉬운 편. === [[더플레이어 : 연주로 즐기는 음악]]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더플레이어 : 연주로 즐기는 음악/뮤지션즈 수록곡/Happy, 앵커=징글벨 (Orch Ver.))] === [[Phigros]] === ==== ジングルベン(Jingle Bell) ==== [youtube(yT4gsGqDwRo)] [include(틀:Phigros/Single)] ||<-4> {{{#!wiki style="margin: 2px 4px" {{{#fff {{{+1 '''ジングルベン(Jingle Bell)'''}}} }}}}}} || ||<-4> [[파일:Phigros/ジングルベン(Jingle Bell).png|width=320]] || || 작곡가 ||<-3> A-39/沙包P || || BPM ||<-3> 175 || || 채보 제작 ||<-3> {{{#11B230 '''[EZ]'''}}} merry CNrisTimas {{{#0075B8 '''[HD]'''}}} meery XM AS {{{#CE1415 '''[IN]'''}}} NerSANTA vs. BarbarianerSLEDGE || || 일러스트 ||<-3> 爱39的Konya || || 난이도 || EZ || HD || IN || || 레벨 || 4 || 7 || 14 || || 세부난이도 || 4.3 || 7.2 || 14.5 || || 노트 수 || 639 || 492 || 1239 || || 특이사항 ||<-3> - || [youtube(ZUjgBz9QUWc)] IN 난이도 Phi 영상. 플레이어는 エナメル巻きで食べるサラダ. 리듬 게임 [[Phigros]]의 2021년 크리스마스 기념곡으로 A-39의 보컬로이드 어레인지 버전이 수록되었다. 일러스트 속 [[하츠네 미쿠]]가 매고 있는 총은 [[Saiga-12]]. 이동폭이 큰 고밀도 드래그 노트가 주요 구성인 채보이다. 전체적으로 채보가 같은 작곡가의 이전 크리스마스 기념곡 [[雪降り、メリクリ]]와 비슷하다. ===== 가사 ===== >駅前の待ち合わせ >震える君の手を取り >そんな冬のストーリー >ジングルベル ジングルベル >鈴がなる >ヘッドライトの光が ホームを染める >ジングルベル ジングルベル >君が笑う >終電の中で手を振って >降り積もる思いのカケラ >重ねた日々に積み固め >未知なる未来のしるべから >目を背け「今」立ち留まった >むせび泣いてる君 空っぽになった僕 >クリスマスの夜に包まれ そして散る >空回る言葉 繰り返してでも >前に進まずに 泣き叫んで >「会いたいよ」 >「会いたいよ」 ==== Christmas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Burn(BMS), 문단=4.4.1)] [youtube(8wxNfhb-Tf0)] === [[GROOVE COASTER]] === ==== [[GROOVE COASTER 4MAX DIAMOND GALAXY|4MAX DIAMOND GALAXY]] ==== [include(틀:GROOVE COASTER AC/채보 ,엑스트라X= ,곡명=Jingle Bells -Trance Mix- ,작곡=Remix by ,작곡표기= ,작곡링크= ,문단명= ,작곡틈= ,작곡2= ,작곡표기2=COSIO(ZUNTATA) ,작곡링크2=COSIO ,문단명2= ,버전AC= ,폴더명=버라이어티 ,BPM=146 ,SIMPLE레벨=2 ,NORMAL레벨=4 ,HARD레벨=6 ,EXTRA레벨= ,SIMPLE노트수=200 ,NORMAL노트수=243 ,HARD노트수=307 ,EXTRA노트수= ,SIMPLE애드립=35 ,NORMAL애드립=18 ,HARD애드립=18 ,EXTRA애드립= ,SIMPLE체인=734 ,NORMAL체인=1\,015 ,HARD체인=1\,389 ,EXTRA체인= ,주소=cIYBAkHwzns ,퍼펙트or풀체인= ,타난이도영상or채보공략영상or리뉴얼전영상= ,보충주소X= ,OO영상or공략= ,보충퍼펙트or보충풀체인= )] * [[GROOVE COASTER AC/수록곡#버라이어티|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 여담 == * 이후에 나온 크리스마스 노래 [[Jingle Bell Rock]]의 도입부에서 이 곡의 후렴구를 사용했다. * [[크리스마스]]를 혼자 보내는 것을 이 노래의 제목을 비틀어서 '''[[싱글]]벨'''이라고도 하는데, [[골방환상곡]]에서 이 드립을 써먹기도 했다.([[https://comic.naver.com/webtoon/detail?titleId=15441&no=28&weekday=sun|#]]) [[햐다인]]의 노래 [[크리스마스? 뭐야 그게? 맛있는 거?]]에서는 더 심하게 '''싱글[[지옥|헬]]'''이라고 한다. 크리스마스가 매해 올 때마다 이 노래가 울려퍼지는 것이 --그리고 그때마다 혼자인 것이-- 징그럽다, 징하다, 징글징글하다고 하여 징글벨이라고 하기도 한다. * 미국에서 유명한 [[몬더그린]], 그것도 [[DC 코믹스]] 버전이 [[https://www.famlii.com/jingle-bells-batman-smells-lyrics-printable/|있다]]. 최초로 인쇄된 판본은 '''1957년'''부터라니 꽤나 유명한 말장난인 모양이다. * 온라인 게임 [[메이플스토리]]의 [[메이플스토리/해외 서비스|MSEA]] 버전에서 이벤트 지역인 [[행복한 마을]]의 [[메이플스토리/BGM|BGM]]이 [[커버(음악)|이 곡]]을 [[https://www.youtube.com/watch?v=zAqyNzqqgT0|변형]]했다.[* 한국 원판은 다른 [[캐럴(음악)|캐럴]]인 [[https://www.youtube.com/watch?v=IzzDrEuFpnE|화이트 크리스마스]]를 썼다.] * 이 곡의 후렴구를 [[역재생]]하면 비밀이 있을 것처럼 속이고 [[점프 스케어]]를 보여주는 사이트가 존재했다.[[https://youtu.be/8UsgH0UnuxQ|유튜브 영상]] * [[네로 클라우디우스(Fate 시리즈)]]가 부른 일본어 번안곡이 [[밈]]으로 쓰인다([[파도루 파도루]]) * ActionAid라는 전 세계의 빈곤과 불의에 맞서 일하는 것이 주요 목표인 국제적인 비정부기구에서 염소 울음소리들로 [[https://www.youtube.com/watch?v=-M7sMIJRQgg|징글벨]]을 만들었다. 이외 'we wish a merry christmas'나 'silent night'등 많은걸 만들었다. * Elmo's World에서 엔딩송으로 나온다. * [[슈퍼맨이 돌아왔다|슈돌]]의 [[벤틀리 해밍턴|벤틀리]]가 좋아하여, "Jingle bells, jingle bells, Jingle all the way" 부분을 "하버지, 하버지, 하버 하버지"라 바꿔 부르고는 한다. * 크리스마스 캐롤이자 동요지만, 공산권 국가인 '''소련 [[붉은 군대 합창단]]도''' 이 노래를 불렀다.[[https://youtu.be/PD9lmZv2Syo|영상]][[https://youtu.be/i6IUDUVh608|캐나다 공연 영상]] * [[개그콘서트]] 크리스마스 회차가 올 때 마다 '''종철이 울려라 종철이 울려'''가 [[정종철|울려퍼졌다]]. * 한국의 구전 동요중 '[[꼬마 신랑]]' 이라는 곡이 있는데, 1970년대~1980년대에 불렸으며 징글벨의 멜로디에 다음 가사가 붙었다. '옛날 옛적에 꼬마신랑이 장가가던 [[첫날밤]]에 [[오줌]]을 쌌네. 난몰라 난몰라 집에 갈꺼야 [[엄마]] [[모유|쭈쭈]] 먹으러 집에 갈거야 서방님 서방님 가지마세요 내일 아침 [[누룽지]] 긁어드릴게' * 22년 11월 13일 [[게임즈 워크숍]]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옼스]]버전 징글벨 영상을 공개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8TiqiOexD-8|#]] == 관련 문서 == * [[캐럴(음악)]] * [[크리스마스]] * [[찬송가]]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캐럴(음악), version=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