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JR 서일본/쾌속)] * [[철도 관련 정보|철도 관련 정보/]][[일본 철도 정보|일본 철도 정보/]][[일본 철도 정보/열차 등급 관련 정보|열차 등급 관련 정보]] [목차] == 개요 == [[JR 서일본/쾌속|JR 서일본의 쾌속열차]]중 [[어반 네트워크|케이한신 지구]]에서 운행하는 쾌속 열차 모음. [[JR 서일본]] [[어반 네트워크]]의 경우, 수도권처럼 열차가 정해진 노선으로만 다니는 것이 아니라, 온갖 노선과 직결운행을 하는 경우가 많다. [[오사카역]]을 예로 들면, [[도카이도 본선]], [[오사카 순환선]], [[한와선]], [[후쿠치야마선]], [[칸사이 본선]] 등등의 노선으로 직결되는 열차가 한꺼번에 다 들어오는데, 그냥 모두 쾌속이라고만 이름을 붙이면, 이용객의 입장에서는 헷갈릴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쾌속마다 이름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JR 동일본]]의 [[도호쿠 신칸센]] 계열의 열차에도, 애칭이 목적지별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유사한 사례라고 볼 수 있다. == 정규 운행중인 쾌속 == * 쾌속(快速) : [[도카이도 본선]], [[산요 본선]]계열의 노선인 [[JR 교토선]], [[JR 고베선]], [[비와코선]] 및 직결하는 [[코세이선]]과 [[후쿠치야마선]], 또다른 노선인 [[한와선]], [[나라선]], [[사가노선]], [[산인 본선]], [[카타마치선]], [[반탄선]], [[마이즈루선]], [[오사카 순환선]], [[야마토지선]], [[와카야마선]], [[키세이 본선]]에 설정되어 있는 쾌속. * [[신쾌속(JR 서일본)|신쾌속]](新快速) : 위의 쾌속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JR 교토선]], [[JR 고베선]], [[비와코선]], [[코세이선]]에 설정되어 있다. 설정되어있는 전구간인 [[츠루가역]]에서부터 시작하여 [[반슈아코역]]까지 직결운행하는 열차도 가끔씩 존재한다.[* 평일 1회, 주말 2회 운행하며 전 구간을 완주하는데 '''4시간 6분~4시간 10분'''이 소요된다.] * 칸쿠쾌속(関空快速) : 텐노지로부터 [[오사카 순환선]]을 한바퀴 돌고, [[한와선]]을 거쳐 [[간사이 공항선]]으로 직결되는 열차. 이름 그대로[* 関空, '''関'''西'''空'''港] [[간사이 국제공항]]으로 가는 쾌속 열차이다. 아래의 키슈지 쾌속과 항시 병결하여 운행한다. * 키슈지쾌속(紀州路快速) : 텐노지로부터 [[오사카 순환선]] 한바퀴를 돌아 [[한와선]]과 직결운행하여 와카야마- [[키세이 본선]](일부)에 직결하는 열차. [[와카야마현]] 방면으로 가는 열차이며 위의 칸쿠쾌속과는 항시 [[히네노역]]에서 병결하여 운행한다. * 야마토지쾌속(大和路快速) : 텐노지로부터 [[오사카 순환선]] 한바퀴를 돌아 [[야마토지선]]과 직결운행하여 나라-카모까지 가는 열차. 카모행인 경우 [[나라역]] 방면 카모행 야마토지쾌속으로 안내된다. * 미야코지쾌속(みやこ路快速) : [[나라선]]을 운행하는 열차로, [[교토]]와 [[나라현]]를 잇는 열차이다. * 탄바지쾌속(丹波路快速) : [[후쿠치야마선]] 직결 운행 열차로, [[오사카역]]부터 [[사사야마구치역]] 혹은 [[후쿠치야마역]]까지의 구간을 운행한다. * 직통쾌속(直通快速) : [[오사카히가시선]], [[한와선]], [[간사이 공항선]]에 설정되어있는 열차로 한와선 및 간사이 공항선은 칸쿠, 키슈지쾌속의 출퇴근 버전(출퇴근 러쉬시간대 칸쿠-키슈지쾌속 미운행)이며 [[오사카히가시선]]은 지하 오사카역을 출발하여 [[오사카히가시선]] 전구간 완주후 [[야마토지선]]에 직결해 나라까지 가는 열차이다. * 구간쾌속(区間快速) : 말그대로 중간에 있는 정해진 특정 정차역까지만 쾌속운전하다가 그 이후로부터 각역정차로 운행한다. [[나라선]], [[후쿠치야마선]], [[카타마치선]], [[오사카 순환선]], [[야마토지선]], [[한와선]]에 설정되어있다. 사철의 준급과 같은 역할이다. == 폐지된 쾌속/임시 쾌속 == * 칸쿠특쾌 윙 : 1995년에 신설되어 1999년에 폐지된 특별쾌속열차. [[쿄바시역]]을 출발하여 [[오사카역]]에만 정차하고, 이후 [[텐노지역]], [[사카이시역]], [[오토리역]], [[히네노역]]에만 정차하였다. 관공쾌속과 다른 점은 최후미차가 지정석으로 운행되었고(2021년 현재 신쾌속에 운행중인 [[A-SEAT]]와 유사), 짐을 실을수 있는 공간이 별도로 설정하였다는 것이다.[* 짐실 활용은 JR난바역 출발 열차 한정으로 OCAT에서의 위탁수하물을 처리하는데에도 사용하였다.] 그러나 유료 지정석의 서비스나 좌석이 무료 좌석과 차이가 없던 점, [[오사카 순환선]] 내에서의 오승으로 인한 민원, 그리고 부족한 선로용량 안에서 억지로 끼워넣은 열차 다이아의 비합리성으로 인해 폐지되었다. * 임시쾌속 웨스트칸쿠 : [[히메지역]]을 출발해서 [[카코가와역]], [[니시아카시역]], [[고베역]], [[산노미야역]], [[오사카역]], [[신오사카역]], [[텐노지역]]을 경유하여 [[간사이 공항역]]까지 가던 임시 쾌속열차. 1995년에 신설되어 행락철에만 다니다가 1999년 폐지되었다. 특이하게 운행 중 방향전환이 이루어졌는데, 공항행은 신오사카역 현 11번 승강장 정차 후 방향전환 후 [[우메다 화물선]]으로, 히메지행은 신오사카역 정차 후 [[스이타 화물터미널역]]까지 올라가서 방향을 전환하여 [[도카이도 화물선|홋포 화물선]]을 내달려 [[아마가사키역]] 근방에서 합류하여 히메지로 향했다. * 신쾌속(한와선) : 1972년에 신설되어 1978년에 폐지된 운행계통. [[텐노지역]]과 [[와카야마역]]을 최속달로 연결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당시 구형차량만 존재하던 한와선에 [[도카이도 본선]]에서 신쾌속으로 운행하던 [[113계 전동차]]를 가져와 운행하였다.[* 이 때 113계에 적용한 도색이 현재의 한와선하면 떠오르는 파란색 이미지컬러를 만들었다.] 중간 정차역은 [[오토리역]] 하나뿐으로,[* 폐지 직전에는 [[쿠마토리역]], [[이즈미스나가와역]]이 추가되었다.] 40분대에 두 역을 연결하였다. 이후 쾌속에 통합되는 형태로 폐지되었다. * B쾌속 - [[신오사카역]]에서 출발해서 [[우메다 화물선]] - [[오사카 순환선]]을 경유하여(소위 '하루카 루트') [[한와선]] 와카야마 방면으로 운행했다. 2018년 3월 시각표 개정으로 폐지되었다. == 관련 문서 == * [[JR 서일본/쾌속]] * [[어반 네트워크]] [[분류:일본의 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