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youtube(YEpmU1uv_cg)] [[Doin]]의 곡으로, 같은 앨범의 곡인 [[Flew Far Faster]], [[The Quick Brown Fox Jumps Over The Lazy Dog(펌프 잇 업)|The Quick Brown Fox Jumps Over The Lazy Dog]], [[Leakage Voltage]], [[Further]] 등에 이어 XX 버전으로 넘어오면서 펌프 잇 업에 수록되었다. 같은 앨범의 펌프 잇 업 수록곡들과 가장 눈에 띄는 차이점은 BPM이 '''90'''으로 매우 낮다는 점. 작곡가인 [[https://twitter.com/d01n/status/1275998528758677504|Doin의 트윗]]에 의하면 하늘이 군청색이었던 것이 곡 이름의 유래가 되었다고 한다. 여담으로 작곡가 Doin은 해당곡의 BPM을 2배로 올린 180BPM짜리 [[드럼 앤 베이스]]의 드럼 루프 샘플로 바꿔봤더니 [[https://youtu.be/YtuQYc2Ifxc|생각보다 어울려서 당황했다고 한다.]][* 참고로 해당 영상 댓글에서 [[Cashew]]는 느낌과 채보가 180이라며 디스하고 있고 거기에 [[도인|작곡가]]는 [[WINDFORCE|채보 제작자]] 때문이라고 하고 거기에 채보 제작자가 "?" 를 달아 놓았다....] 때문에 [[ERRORCODE: 0]]와 [[Brown Sky]]에서 리믹스 될 때 순전히 BPM만 놓고 따지면 2.2배 이상 빨라졌으나 실제 곡의 속도는 크게 다르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 [[펌프 잇 업]]에서 == '''아이올라이트 스카이''' ## 곡 정보 ||<:> 최초 수록 버전 ||||<:> [[펌프 잇 업 XX]] || ||<:> 아티스트 ||||<:> [[Doin]] || ||<:> BPM ||||<:> 90 || ||<:> 비주얼 ||||<:>일러스트: RK[br]그래픽: [[Lyrebird Ferdinant|Lyrebird]] || ||<:> 채널 ||||<:> Original / XX || ||||||<#DDD,#383b40> 레벨 데이터 ※[[펌프 잇 업 2023 PHOENIX|PHOENIX]] 기준[* 볼드체는 해금 필요.] || || 타입 |||| 레벨 || ||<|2> Normal ||<#ff5400> Single || 7 / 10 / 16 / '''20''' / '''22''' || ||<#00881a> Double || 11 / 18 / 21 / '''24''' || ||||||<#DDD,#383b40> 해금채보 데이터 ※[[펌프 잇 업 XX|XX]] 기준 || || 타입 |||| 레벨 및 조건 || ||<|3> Normal ||<#ff5400> S20 || S16 S랭크 이상 브렉온 || ||<#ff5400> S22 || S20 A랭크 이상 브렉온 || ||<#00881a> D24 || D17 SS랭크 이상 브렉온 || ||||||||||<#DDD> 채보 제작자 || || 타입 |||| 레벨 및 제작자 || ||<|2> Normal ||<#ff5400> {{{#white S7 / S10 / S16 / S20 / S22}}} ||<|2> [[WINDFORCE]] || ||<#00881a> {{{#white D11 / D18 / D21 / D24}}} || ## 개요에 넣지않은 인게임 관련 이것저것을 적습니다. XX 2.03.0 업데이트로 수록되었다. ## 영상도 가급적 이쪽에 ## 채보 없는 문단은 삭제 === BGA === [youtube(obvjRy8HPUs)] 2차 공모전에서 캐릭터 부문 3위를 차지한 RK의 [[https://www.facebook.com/piucontest/posts/256804808276553|데니스]]가 사용되었다. 곡의 유래를 생각하면 전세계의 낮과 밤하늘을 날아다니는 비행사 컨셉과 장면이 넘어가는 컷씬을 무지갯빛으로 표현하고, 중간중간 'Travel Slot'이 돌아가는등 아기자기하게 꾸며내어 시각적으로 눈을 즐겁게하여 유저들은 호평일색이다. [* 도인곡의 아이덴티티인 [[Further|당근과 퍼더]], 그리고 [[펌프 잇 업 2015 PRIME|PRIME]]시절 마스코트가 출연한다] 여담으로 1분 38초부터 나오는 초고속 비트구간을 유저들은 '공습경보, 공습구간' 이라고 부른다. 여기에 힘입어 "데니스" 를 공습녀(...)로 칭하기도 한다. === 채보 구성 === ==== 싱글 ==== * S7 / S10 [youtube(AjJVc4ghH2M)] * S16 / S20 [youtube(5sWZ8jXxvno)] S16은 후렴구에 나오는 떨기가 주를 이룬다. 후반의 135 3롱노트는 S20와 같은 속도로 내려오기 때문에 미리 3개를 다 눌러두는 것이 처리하기에 더 편리할 수도 있다.[*주의 미리 누르면 편하다고는 서술되었지만 3롱노트가 끝나면 바로 5번 노트가 나온다. 이 부분의 경우 무조건 앞발로 처리할 수 밖에 없고, 끝나자 마자 바로 단노트가 시작되기에 이 부분에서 배드나 미스를 유발한다. 결국 올콤보나 S작을 위해서는 직접적으로 전부 정타를 쳐서 넘길 수 밖에는 없다.] S20은 S16에 살을 더 붙이고 틀기 등을 넣어 강화된 떨기가 나온다. 후살에서는 틀기가 많이 가미된 폭타처럼 내려오기 때문에 게이지 관리를 잘 하는 것이 중요하다. * S22 [youtube(Agl86T_CNpU)] 3놋 즈레 패턴이 후렴에 자주 나온다. 후반으로 갈수록 즈레 패턴이 틀기와 같이 나타나 다소 난해하게 보일 수 있으며, 프리징 패턴과 더불어 잘 밟아내야 하는게 관건인 패턴. 싱글 22 내에선 상급~23급으로 취급받는다. ==== 더블 ==== * D11 [youtube(oapsmiWDqr0)] * D18 [youtube(rmcKHC0VkjY)] * D21 [youtube(L0Gdq6Vp6ww)] * D24 [youtube(ITeSpkTXBi4)] S22를 펼친 채보. D24에서 유일하게 BPM이 90인 채보이지만, 거의 대부분의 패턴이 높은 비트로 나오는지라 사실상 BPM 180이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Doin]] 왈 [[WINDFORCE]] 책임이라고(...)[[https://www.youtube.com/watch?v=YtuQYc2Ifxc|Cashew 댓글 참조]]~~] 가장 주된 패턴은 4놋 즈레[* 180 BPM의 32비트 즈레. 이를 90 BPM으로 환산하면 '''64비트'''가 된다.]인데, 진행될수록 어렵고 헷갈릴 수 있는 형태의 겹발이 나온다.[* 실수하는 순간 배드가 쏟아지는 즈레 패턴의 특성상 게이지를 온전한 상태로 관리하기 어려우며, 즈레 구간 중간에 나오는 롱노트 역시 틱이 별로 높지않아 게이지 회복도 쉽지 않다.] 가장 난해한 구간이자 브렉온 포인트는 후살에 나오는 하프에서 나오는 2놋 겹발 구간인데, 프리징까지 걸려있어 가독성이 매우 떨어진다. 특히 이 구간의 순간적인 난이도가 25~26 수준으로 평가될 정도라서, D24 채보 중에서도 독보적으로 어려운 채보로 여겨지는 편이다. 심지어 피닉스에서 이 곡보다는 쉽지만 같은 불렙라인인 GLORIA가 25로 올라가는 와중 이 채보는 24에 남아있다. 결국 2.03.1 핫픽스 업데이트를 통해 채보가 수정되었다. 가장 큰 변경점은 하프 겹발 폭탄 구간. 이전 구간은 겹발 구간을 준비할 수 있도록 패턴이 변경되었고, 겹발 구간 자체는 완전 초기 버전과 핫픽스 이전 버전의 중간 정도의 수준으로 변경되었다. 이어서 나오는 일부 즈레의 배치가 전보다 쉬워졌다. 다만 여전히 D24치고는 어려운 편이란 평가가 많은 편. 체감 난이도가 25 중하급~중급에 필적한다. == [[크로노 서클]]에서 == [youtube(HxIZZhA6Pjc)] MASTER 패턴 2022년 6월 30일 업데이트로 이식되었다. [[분류:펌프 잇 업 수록곡]][[분류:크로노 서클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