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Incredible Miracle/리그 오브 레전드)] [include(틀:DRX/리그 오브 레전드/역대 시즌)] ||<-5> '''{{{#d6d6d6 Incredible Miracle #1 역대 시즌}}}''' || || [[Incredible Miracle/2012 시즌|2012 시즌]] || → || {{{#6e8ded '''2013 시즌'''}}} || → || [[Incredible Miracle 1/2014 시즌|2014 시즌]] || [목차] == [[OLYMPUS Champions Winter 2012-2013]] == ||<-2> '''{{{#d6d6d6 Incredible Miracle #1}}}''' || || '''{{{#d6d6d6 감독}}}''' ||[[강동훈|강동훈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1px 2px;border-radius:3px;background:#6e8ded;font-size:.9em" {{{#d6d6d6 Hirai}}}}}}]]|| || '''{{{#d6d6d6 코치}}}''' ||강병률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1px 2px;border-radius:3px;background:#6e8ded;font-size:.9em" {{{#d6d6d6 Spark}}}}}} || ||<-2> '''{{{#6e8ded 로스터}}}''' || || [[파일:TOP_icon_EDG.png|width=25]][br]'''{{{#d6d6d6 TOP}}}''' || [[파일:crwn.png|width=15]]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전호진|전호진[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e8ded; font-size: 1.0em" {{{#d6d6d6 Lilac}}}}}}]] || || [[파일: JGL_icon_EDG.png|width=25]][br]'''{{{#d6d6d6 JGL}}}'''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정윤성(프로게이머)|정윤성[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e8ded; font-size: 1.0em" {{{#d6d6d6 Ring Troll}}}}}}]] || || [[파일:MID_icon_EDG.png|width=25]][br]'''{{{#d6d6d6 MID}}}'''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박용우(프로게이머)|박용우[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e8ded; font-size: 1.0em" {{{#d6d6d6 MidKing}}}}}}]] || || [[파일:BOT_icon_EDG.png|width=25]][br]'''{{{#d6d6d6 BOT}}}'''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최현일(프로게이머)|최현일[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e8ded; font-size: 1.0em" {{{#d6d6d6 Paragon}}}}}}]] || || [[파일:SPT_icon_EDG.png|width=25]][br]'''{{{#d6d6d6 SPT}}}''' ||<-3>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권민우|권민우[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e8ded; font-size: 1.0em" {{{#d6d6d6 Lasha}}}}}}]] || 12강 조별리그에서 조 3위를 기록해 8강에 진출했다. 허나 8강전 [[CJ 엔투스 블레이즈|Azubu Blaze]]와의 경기에서 승승패패패 역스윕을 당하며 탈락했다. == [[컨디션 헛개수 NLB Winter 2012-2013]] == 다이아리그 8강에서 준프로팀 [[RoMg|GSG]]와 대결했지만, 1차전 0:2, 2차전 1:2로 패배하며 탈락했다. GSG가 아마추어지만 사실상 웬만한 프로팀을 상회하는 기량을 가진 팀이였고, 최종 우승까지 이뤄낸걸 보면 대진의 아쉬움을 느낄 수도 있다. == [[OLYMPUS Champions Spring 2013]] == ||<-2> '''{{{#d6d6d6 Incredible Miracle #1}}}''' || || '''{{{#d6d6d6 감독}}}''' ||[[강동훈|강동훈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1px 2px;border-radius:3px;background:#6e8ded;font-size:.9em" {{{#d6d6d6 Hirai}}}}}}]]|| || '''{{{#d6d6d6 코치}}}''' ||강병률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1px 2px;border-radius:3px;background:#6e8ded;font-size:.9em" {{{#d6d6d6 Spark}}}}}} || ||<-2> '''{{{#6e8ded 로스터}}}''' || || [[파일:TOP_icon_EDG.png|width=25]][br]'''{{{#d6d6d6 TOP}}}'''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송경호(프로게이머)|송경호[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e8ded; font-size: 1.0em" {{{#d6d6d6 Smeb}}}}}}]] || || [[파일: JGL_icon_EDG.png|width=25]][br]'''{{{#d6d6d6 JGL}}}''' || [[파일:crwn.png|width=15]]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전호진|전호진[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e8ded; font-size: 1.0em" {{{#d6d6d6 Lilac}}}}}}]] || || [[파일:MID_icon_EDG.png|width=25]][br]'''{{{#d6d6d6 MID}}}'''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박용우(프로게이머)|박용우[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e8ded; font-size: 1.0em" {{{#d6d6d6 MidKing}}}}}}]] || || [[파일:BOT_icon_EDG.png|width=25]][br]'''{{{#d6d6d6 BOT}}}'''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최현일(프로게이머)|최현일[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e8ded; font-size: 1.0em" {{{#d6d6d6 Paragon}}}}}}]] || || [[파일:SPT_icon_EDG.png|width=25]][br]'''{{{#d6d6d6 SPT}}}''' ||<-3>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권민우|권민우[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e8ded; font-size: 1.0em" {{{#d6d6d6 Lasha}}}}}}]] || 창단 당시 소문난 재야고수만이 모인 드림팀이라는 평가에 무색하게 뚜껑을 열어보니 점점 기대 이하의 성적을 보이며 하위권에서 영 벗어나지 못하는 대한민국 대표 약체팀이 되어버렸다. 비슷한 취급을 당하는 [[LG 트윈스|동일 스폰서의 야구팀]]는 하위권이여도 일단은 올라가기는 하는데, 이쪽은 그런 것조차도 없이 만년 하위권에서 머무르고 있다. 스프링에는 그룹 광탈. 부진의 원인으로는 선수들 개개인의 기량보다는 감독과 코치진이 지적받는 편이다. LoL 전담 감독이 없는 팀 상황이 선수들에게 안좋은 영향을 끼쳤고, 2팀의 창단이 늦어지면서 자체적으로 스크림을 하는 다른 팀들에 비해 연습량이 딸릴 수 밖에 없었다는 것. == [[이엠텍 NLB Spring 2013]] == 플래티넘 리그 8강에서 n.Die.Guts을 상대로 승리했다. 다이아 리그 8강에서 [[나진 블랙 소드]]에서 0:3 스윕을 당하며 탈락했다. == [[HOT6 Champions Summer 2013]] == ||<-2> '''{{{#d6d6d6 Incredible Miracle #1}}}'''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13 IM 1 Summer.png|width=100%]]}}} || || '''{{{#d6d6d6 감독}}}''' ||[[강동훈|강동훈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1px 2px;border-radius:3px;background:#6e8ded;font-size:.9em" {{{#d6d6d6 Hirai}}}}}}]]|| || '''{{{#d6d6d6 코치}}}''' ||강병률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1px 2px;border-radius:3px;background:#6e8ded;font-size:.9em" {{{#d6d6d6 Spark}}}}}} || ||<-2> '''{{{#6e8ded 로스터}}}''' || || [[파일:TOP_icon_EDG.png|width=25]][br]'''{{{#d6d6d6 TOP}}}'''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송경호(프로게이머)|송경호[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e8ded; font-size: 1.0em" {{{#d6d6d6 Smeb}}}}}}]] || || [[파일: JGL_icon_EDG.png|width=25]][br]'''{{{#d6d6d6 JGL}}}'''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김의진(프로게이머)|김의진[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e8ded; font-size: 1.0em" {{{#d6d6d6 Reign Over}}}}}}]] || || [[파일:MID_icon_EDG.png|width=25]][br]'''{{{#d6d6d6 MID}}}'''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박용우(프로게이머)|박용우[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e8ded; font-size: 1.0em" {{{#d6d6d6 MidKing}}}}}}]] || || [[파일:BOT_icon_EDG.png|width=25]][br]'''{{{#d6d6d6 BOT}}}'''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최현일(프로게이머)|최현일[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e8ded; font-size: 1.0em" {{{#d6d6d6 Paragon}}}}}}]] || || [[파일:SPT_icon_EDG.png|width=25]][br]'''{{{#d6d6d6 SPT}}}''' ||<-3>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김준환[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e8ded; font-size: 1.0em" {{{#d6d6d6 GGyuAng}}}}}} || 결국 2013년 6월 17일 2013 서머를 앞두고 1팀과 2팀의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2744&query=view&p=1&category=&sort=PID&orderby=&where=&name=&subject=&content=&keyword=&sterm=&iskin=&mskin=&l=1850|리빌딩]]을 시행했다. 일단 1팀과 2팀의 정글러를 서로 맞바꾸고 1팀의 서포터였던 [[권민우|라샤]]는 건강상의 문제로 1팀의 예비 선수로 남게되었고 김준환을 영입했다.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2744&l=1886|리빌딩 후 인터뷰]] 리빌딩을 거치고 기세 좋게 서머를 시작했으나 결과만 보자면 '''"노답 팀이랑 덜 노답 팀을 합쳤다가 다시 둘로 나눴더니 노답 팀이 2개 나오는 마법"'''을 보여주고 있다. 분명히 예전 팀은 성적 자체는 좋지 않았지만 1팀의 경우는 상위권에 진입할만한 저력은 있는 팀이라는 평가를 꾸준히 받았지만 2013 서머에서는 두 개의 팀이 모두 절망적인 상태. 특히 1팀의 경우 16강에서 장건웅 감독의 팀인 MiG Blitz를 상대로 완벽하게 0:2 셧아웃 당하며 팀 창단 초창기부터 내려온 고정 팬덤까지도 위태로운 상태다. 특히 팀이 망하는 가운데도 1팀에 있던 파라곤과 라일락은 어떻게든 자기 몫을 하고 있는게 더 안타까운 상황. 밸런스를 위해 했다는 리빌딩이 팀을 완전 나락으로 떨어뜨리고 있다. == [[GIGABYTE NLB Summer 2013]] == 결국 NLB 12강을 앞두고 변경된 엔트리가 공개되었다. 일단 파라곤의 탑 전향을 시작으로 미드킹, 스멥 등 기존 멤버들이 예비 멤버로 자리를 옮겼다는 점 등이 눈길을 끌고 있다. 다만 확정 엔트리가 아니라 차후 시즌을 대비하기 위한 테스트용이라는 모양. 신멤버들도 아직 합격이 확정된 것은 아니라고 한다. [[LG전자]]로부터의 후원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저조한 성적이 어쩔 수 없었던 것이라는 동정론도 나오고 있다. [[http://osen.mt.co.kr/article/G1109710970|#]] 강동훈 감독이 개인적인 사비로 팀을 운영해 왔다고 하는데 뭐 [[강동훈]] 감독은 자업자득이란 평도 있지만. 결국 LG전자로부터의 후원은 완전히 끊기고, 팀명에도 [[LG]]가 빠진 IM팀으로 바뀌고 말았다. 2013 - 2014 윈터 본선부터는 유니폼도 바꾸고 LG 스폰서 마크도 사라졌다. 한 시즌 끝나고 리빌딩, 또 그 멤버들이 성적이 안좋으면 또 리빌딩, 또 리빌딩, 이게 3번째다. IM 팬들이 입모아 지적하는 문제가 바로 이것이다. 강동훈 감독이 스타 2 팀과 LoL 팀 둘다 신경써야 해서 바쁘다고 하면, 전담 코치를 영입하는 것이라도 해야 하는데 그런 것도 없이 계속 멤버 교체만 이루어지고 있어 그게 가장 큰 성적 부진의 이유라고 지적받고 있다. == 팀별 둘러보기 == [include(틀:LCK 2013 시즌/팀별)]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Incredible Miracle/리그 오브 레전드/2015 시즌 이전, version=9)] [[분류:DRX/리그 오브 레전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