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나스 디스코그래피)] ||<-5>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7px 10px; 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right,#fff,#b4b2b3,#834b3c)"{{{#!wiki style="margin:-6px -10px" [[Nas|[[파일:NAS LOGO.png|width=10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transparent 35%, #996633 45%, #996633 55%, transparent 55%); width: 90%" }}}'''[br][[틀:나스 디스코그래피|'''{{{#000 Nas의 역대 정규 음반}}}''']]}}} || ||<#fff> {{{#191919,#000 ''데뷔''}}} || → ||<#868373> '''[[Illmatic|{{{#000 {{{-2 1994년 4월 19일}}}[br]{{{#000 1집 ''{{{#d3dbde Ill}}}matic''}}}}}}]]''' || → ||<#f4edd7> '''[[It Was Written|{{{#c2a875 {{{-2 1996년 7월 2일}}}}}}[br]{{{#c2a875 2집 ''It Was Written''}}}]]''' || ||<-5><#868373> '''{{{#000 수상 내역}}}''' || ||<-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GQ 선정 28대 힙합 명반)] ---- [include(틀:컨시퀀스 선정 50대 힙합 명반(1위~15위))] ---- [include(틀:The Oracle 선정 10대 힙합 명반)] ---- [include(틀:유로뉴스 선정 25대 힙합 명반)] ---- [include(틀:BET 선정 1990년대 10대 힙합 명반)]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90년대의 100대 명반)]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항목=200대 힙합 명반, 순위=24)] ---- [include(틀:미국 의회도서관 영구 등재 앨범)]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항목=올타임 명반, 순위=169)]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연도=2003,순위=400,연도2=2012,순위2=402,연도3=2020,순위3=44)] ---- [include(틀:NME 선정 500대 명반,순위=74)]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항목=1990년대 최고의 앨범,순위=33)] ---- [include(틀:빌보드 선정 위대한 앨범 커버들, 순위=12)] ---- [include(틀:인디펜던트 선정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40장)]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장)]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레코딩 1000)] ---- [include(틀:FNAC 선정 1000대 명반,순위=444)] ---- [include(틀:MUZIQ 선정 200대 명반)] ---- [include(틀:VPRO 선정 299대 명반)] ---- [Include(틀:Rate Your Music,항목=전체 앨범차트,순위=15,년=2024,월=3,일=12)] ---- [Include(틀:Rate Your Music,항목=1994 앨범차트,순위=1,년=2024,월=3,일=12)] ---- [include(틀:로큰롤 명예의 전당 선정 200대 앨범, 순위=185)] ---- [include(틀:100BEAT 선정 90년대 베스트 앨범, 순위=26)] ---- [include(틀:Popkultur 선정 1990년대 100대 명반, 순위=55)] ---- [include(틀:Mast Media 선정 1990년대 50대 명반, 순위=5)] ---- [include(틀:Q 매거진 선정 음악사를 바꾼 데뷔 명반, 선정자=Rebecca & Rupert & Dorian & Matt)] ---- [include(틀:Apple Music 베스트 앨범 100선, 순위=39)] ---- [include(틀:Paste 선정 300대 명반, 순위=69)] ---- [include(틀:지니뮤직 선정 오늘의 명반, 순서=175, 음반명=Illmatic, 아티스트=나스, 코드=11163)] ---- ||<-2> [[빌보드 200|[[파일:빌보드 200 로고 흰색.svg|width=100]]]] [[https://www.billboard.com/charts/billboard-200/1994-05-07| {{{#4878ff '''1994년 5월 첫째 주'''}}}]] || |||| • • • || || '''{{{+1 11}}}[br]{{{-2 {{{#fe3682 -2}}}}}}''' || {{{+1 [[Music Box|{{{#344072 Music Box}}}]]}}}[br][[머라이어 캐리|{{{#8086a0 Mariah Carey}}}]] || || '''{{{+1 12}}}[br]{{{-2 {{{#f7ac75 New}}}}}}''' || '''{{{+1 {{{#414b7f Illmatic}}}}}}[br]{{{#8086a0,#344072 Nas}}}''' || || '''{{{+1 13}}}[br]{{{-2 {{{#000,#fff -}}}}}}''' || [[토니 브랙스턴|{{{+1 {{{#414b7f Toni Braxton}}}}}}[br]{{{#8086a0 Toni Braxton}}}]] || |||| • • • || ---- [include(틀:RIAA 플래티넘, pt=2)] }}} || ||<-2>
'''{{{+1 {{{#d3dbde Ill}}}matic}}}[br]{{{#d3dbde 일}}}매틱'''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NasI.jpg|width=100%]]}}} || || '''아티스트''' || [[Nas]] || || '''발매''' || [[1994년]] [[4월 19일]] || || '''녹음''' || [[1992년]] ~ [[1993년]] || || '''장르''' || [[힙합 음악|힙합]], [[붐뱁]], 하드코어 힙합 || || '''재생 시간''' || 39분 51초 || || '''트랙''' || 10개 || || '''프로듀서''' || [[DJ Premier]][* 메인 프로듀서. 이후에도 나스와 많은 음악 작업을 하였다. 대표적인 곡이 [[Nas Is Like]].], Large Professor[* [[뉴욕]] 퀸스빌리지 태생의 프로듀서이자 DJ 및 MC, Nasty Nas를 데뷔시켜준 장본인이다. 2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함께 작업을 하는 등, 교류를 지속하고 있다.], L.E.S.[* 풀네임은 Psyco Les, Nas와 Hip Hop Is Dead 앨범 때까지 계속 작업해왔던 프로듀서, 현재 Nas의 Mass Appeal Records 전의 레이블이였던 Ill Will Records 전속 프로듀서이기도 했다. Juju와 함께 프로듀서 및 힙합 그룹 The Beatnuts를 결성하기도 하였다.], MC Serch[* 실제로 프로듀서는 아니고, 이 앨범의 발매에 도움을 준 인물이다. 전설적인 힙합 그룹 3rd Bass의 멤버이자, 최초로 인기를 끈 백인 래퍼들 중 하나이기도 하다.], [[Pete Rock]][* DJ Premier와 함께 이스트 코스트 힙합을 대표하는 DJ이자 프로듀서 및 MC, 래퍼 C.L. Smooth와 함께 힙합 역사상 최고의 1MC 1DJ 듀오로 종종 거론되는 [[Pete Rock]] & C.L. Smooth를 결성한 경력도 있다.], [[Q-Tip]][* [[A Tribe Called Quest]]의 리더. 그룹에서 프로듀싱과 MC 및 디제잉을 담당한다. 프로듀서가 프로듀서라 그런지 One Love는 다른 트랙보다 잔잔하고 [[재즈 힙합]]의 느낌이 물씬 풍긴다.] || || '''레이블''' || [[컬럼비아 레코드]] || [목차] [clearfix] == 개요 == > I'm saying man, ya know what I'm saying? ...Niggas don't listen man. representing, It's Illmatic. > 말 좀 할게, 내가 뭔 말하려는지는 잘 알지? ...새끼들이 말을 안 듣네. 시작할게, 이건 illmatic이야. > ---- > 《The Genesis》 > Time is illmatic, keep static like wool fabric > 시간은 illmatic이야, 울 재질처럼 정전기라는 갈등을 일으키지. > ---- > 《[[Life's A Bitch]]》 [[1994년]] [[4월 19일]]에 발매된 [[Nas]]의 데뷔 정규 1집. [[나스(래퍼)|나스]]가 음반사와 Faith Newman[* 일매틱의 탄생에 지대한 영향을 준 사람. 이 사람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는 기타 문단 참고.]이라는 전담 매니저를 통해 발매한 솔로 데뷔 앨범이다. == 위상 == '''[[동부 힙합]], 뉴욕의 힙합을 상징하는 앨범'''으로 손꼽히는 동시에 힙합 역사상 최고의 앨범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80년대 중반부터 [[투팍 샤커]]와 [[노토리어스 B.I.G.]]가 세상을 떠난 90년대 중반까지를 칭하는 '골든 에라'에 발매된 수많은 명반들 중에서도 현재까지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앨범이다. 시니컬하고 삭막한 [[노토리어스 B.I.G.]]의 ''[[Ready to Die]]''와 [[우탱클랜]]의 ''[[Enter the Wu-Tang (36 Chambers)]]''과 다르게, [[G-funk]] 아티스트들이 그려오던 섹스, 술, 마약 등의 쾌락에 쩔어있고 로우라이더를 모는 갱스터의 모습과도 다르게, 나스가 자라온 퀸스 브릿지 프로젝트를 포함한 뉴욕의 거리와 마약, 총이 얽혀있는 흑인 게토의 삶이라는 주제를 거물 프로듀서들인 [[DJ 프리미어]], Large Professor, L.E.S., MC Serch, [[Pete Rock]], [[큐팁]]의 묵직한 비트[* 하지만 묵직함이 상대적으로 덜한 트랙도 많다. One Love, Halftime 등. 그런 트랙들간의 완급조절도 뛰어났던 점이 이 앨범이 극찬을 받는 이유 중 하나가 되었다.] 위에 자신만의 화려하지만 군더더기 없는 라임과 플로우로 능수능란하게 풀어낸 앨범이다. 당시에 흔히 볼 수 있던 누군가를 조롱하고 풍자하며 사회를 비판하기보다는 나스 자신이 살아온 흑인 게토 거리의 삶을 그저 담담하게 써 내려간 랩이라는 것도 힙합 업계에 큰 화제를 불러 일으켰다. 가사와 랩, 비트, 이후 끼친 영향력 등 뭐 하나 빠지는 게 없어 단점을 찾기가 힘든 힙합 음악 그 자체인 앨범이라는 평까지 들으며 발매 당시부터 지금까지 수많은 뮤지션들과 평론가, 대중들의 극찬을 받았다. 이 극찬을 바탕으로 나스는 순식간에 힙합의 역사에 빼놓을 수 없는 거물급 래퍼가 되었으며, 현재도 나스 최고의 커리어로서 나스를 지탱해주고 있는 앨범이 바로 illmatic이다 당대의 래퍼들도 극찬했지만, 한참 뒤에 데뷔한 수많은 래퍼들이, 그 중에서도 올드스쿨과 컨셔스 힙합을 선호하는 래퍼들이 특히나 극찬하는 앨범이다. 래퍼로서도 대단하지만 작사능력을 특히 고평가받는 [[켄드릭 라마]]는 '아예 다른 차원에 있지 않았으면 가사로 사람을 그렇게 고양시킬 수는 없었을 것이다. 일매틱은 내 음악과 나의 스토리텔링에 엄청난 영향력을 선사했다'고 수차례 리스펙을 했다. 다만 [[소포모어 징크스]]의 대명사이기도 한데, 나스가 어떤 앨범을 내더라도 ''Illmatic''이 워낙 명반이라 비교당하기 때문이다. 미국 리스너들이 나스가 ''Illmatic'' 레벨이거나, 뛰어넘는 앨범을 낼 수 있다면, 그 날로 나스는 그 누구도 범접할 수 없을 힙합계의 GOAT가 될 것이라는 반쯤 진담섞인 우스갯소리를 할 정도. 이 앨범을 낸 뒤의 나스가 앨범을 낼 때마다 듣곤했던 '나스는 랩은 이렇게 잘하는데 왜 앨범의 이 비트랑은 좀 따로 노냐? or 비트의 퀄이 왜 이러냐?'라는 비판에 가장 반대되는 완벽한 예시가 1집에 나왔다는 점이 참 아이러니하다. ''Illmatic''이 힙합 사상 가장 위대한 앨범이라는 의견을 내면 힙합 커뮤니티에서도 반대하는 사람들조차 '동의하지는 않지만 그런 의견이 나와도 이상하지 않다'라고 이해할만큼 최고의 평가를 아직도 유지하고 있다. 이는 ''Illmatic''이 단순히 가장 뛰어난 앨범이라는 게 아니라, 힙합 문화에 끼친 영향력 면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하기에 그런 의견이 나올만하다는 인식이 많다는 것이다. 이렇듯 ''Illmatic''은 이미 나스나 90년대 골든 에라를 넘어, 힙합 그 자체를 상징하는 앨범이 되었으며, 괜히 나스가 "name a rapper that I ain't influenced(나한테 영향 안 받은 래퍼 있으면 이름을 대봐)"라고 뱉을 수 있는 게 아니다. 나중에는 일매틱은 하나의 앨범의 이름이면서도 일종의 대명사가 되어버렸다. 화려하기보다는 진중한 구석이 있으면서도, 컨셔스 힙합의 요소를 가지고 있고, 아티스트가 살아온 환경이 거칠거나 불우했고 이를 가사에 녹여내었으며, 상대적으로 간결한 비트, 뛰어난 가사와 대단한 랩이 잘 융화된 아주 뛰어난 앨범이 나오면 으레 이 앨범은 '제2의 일매틱이다.' 미국이 아닌 다른 나라에서 나온 앨범이면 '이 앨범은 그 나라의 일매틱'이다. 라는 식으로 극찬을 할 때에도 사용되는 말이 되어버렸다. [* 예시로 [[켄드릭 라마]]의 [[GKMC]]이 발매되었을 때에 일부 평론가와 리스너들이 진정으로 제2의 일매틱이 나왔다고 극찬을 했고, [[이센스]]의 [[에넥도트]]가 나왔을 때에 딥플로우가 한 극찬때문에 에넥도트도 한국의 일매틱이라는 평가를 잠깐 받기도 했다. 정작 켄드릭은 비슷한 이야기를 들었을 때 말도 안되는 소리라며 굉장히 부담스러워했고, 이센스도 '일매틱이 굉장히 언더그라운드의 사운드를 가지고 있지만 실제로는 당대의 거물 프로듀서들이 집결해서 만들어진 초호화 앨범이고, 에넥도트는 오비 한명이 프로듀싱을 담당한 1DJ 1MC의 앨범이며 굉장히 다운될 수 있는 개인의 감정이 녹아든 앨범이라 전혀 다른 앨범이라 생각한다. 나오게 된 경위도, 안에 담긴 내용도 아예 달라서 일매틱은 일매틱대로, 에넥도트는 에넥도트 자체로 봐줬으면 좋겠다.'고 이야기하며 굉장히 부담스러워했다. 나스는 이 이후 비트 고르는 센스가 영 꽝이라는 평가를 받는지라 이 앨범의 수록곡들은 아직까지도 나스 공연의 주요 래퍼토리로 애용되고 있다. 실제로 나스 공연이 끝나고 인터넷에 올라오는 나스의 셋리스트를 보면 일매틱의 수록곡이 차지하는 부분은 엄청나게 크다. 특히 N.Y State Of Mind, Represent, The World Is Yours[* [[아마드 자말]]의 “I Love Music” 샘플링.], It Ain't Hard To Tell은 현재까지 와서도 나스의 대표곡으로 꼽힌다. 이후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에서 2003년에는 400위, 2012년에는 402위에 랭크되었고, 2020년 순위 개정을 통해 44위까지 상승했다. 그리고 리드머에서 [[http://board.rhythmer.net/src/go.php?n=14625&m=view&c=18&s=review|별 다섯 개]]의 점수를 받았다. 2004년에 10주년 기념으로 앨범 리마스터링과 리믹스 4곡, 미수록곡 2곡이 포함된 ''Illmatic Platinum Edition'' 이 발매되었다. 2014년에는 20주년 앨범으로 ''Illmatic XX''가 발매되었다. 그리고 4년 후 2018년, 미국 케네디 센터에서 오케스트라와 협연한 일매틱 라이브 실황을 담은 ''Illmatic: live from the kennedy center''가 발매됐다. == 일매틱에 대한 뮤지션들의 언사 == >4 albums in 10 years, nigga? I could divide >임마, 10년 동안 앨범 4장? 내가 한번 나눠보지 >That's one every... let's say 2, 2 of them shits was due >그러면... 2년에 1 장인데, 그 중 2장이 쓰레기에[* [[I Am...|3집]]의 경우는 대표곡인 [[Nas Is Like]]가 수록된 앨범으로 준수한 평가를 받으며, [[Nastradamus]]는 부정적인 평가가 지배적이다.] >1 was "nah", '''the other was Illmatic''' >하나는 뭐 그럭저럭[* [[It Was Written]], 현재는 이 앨범도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다른 하나가 Illmatic이군.''' >That's a one hot album every ten year average >그러면 좋은 앨범 하나 내는 데 평균 10년이 걸리네 >---- >[[JAY-Z]], ''[[Takeover]]'' 中[* 나스와 [[Ether(노래)|디스를]] 주고 받던 JAY-Z가 나머지 앨범은 다 구리다고 까지만 Illmatic은 차마까지 못하고 명반임을 짚고 넘어가는 구절이다. ] >'''이 사람은 일매틱을 만든 사람이잖아. 이 사람은 내 영웅이야...''' >---- >[[칸예 웨스트]] >'''일매틱은... 다들 알잖아? 그건 힙합을 대표하는 클래식이지. 어떤 힙합의 리스트라도 그건 최정상을 차지할거야''' >---- >[[에미넴]] >'''Illmatic은 언제나 나의 넘버원이야.''' >---- >[[켄드릭 라마]][* Time is Illmatic에서 한 발언.] >'''Pac was like Jesus, Nas wrote the bible.''' >'''[[투팍|팍]]은 [[예수]]와 같았고, 나스는 성경을 써냈지.''' >---- >[[J. Cole]], ''Let Nas Down'' 中[* 자신의 우상인 나스를 실망시켜서 낙담했다는 내용의 노래. 이는 나스가 콜의 정규 1집 Cole World의 리드 싱글 Work Out이 대놓고 상업적인 곡이라고 비판했기 때문인데, 후에 나스가 답가 Made Nas Proud를 작업한다.] >'''일매틱을 처음 들었을 때에 나는 애였는데, 앨범을 듣는 순간 나는 퀸스브릿지 프로젝트의 한복판에 있었어. 그건 처음 음악으로 경험하는 시각적인 것이었지. 그 모든 것이 생생하게 보였어.''' >---- >[[대니 브라운]] == 트랙리스트 == ||<-5><#868373> '''{{{#1d0d0d {{{+3 ''{{{#d3dbde Ill}}}matic''}}}[br]{{{#d3dbde 트랙}}}리스트}}}''' || || '''#''' || '''곡명''' || '''프로듀서''' || '''길이''' || '''비고''' || || 1 || The Genesis || [[Nas]] Faith N || 1:45 || [* 시작하고 처음에 나오는 벌스는 나스가 일매틱을 내기 전 Main Source의 ''Live At The Barbeque''에 피처링했던 벌스이며 '''"12살 때 예수를 죽이려고 지옥에 갔지"'''라는 가사로 유명하다. 나스, 나스의 친동생인 Jungle, 앨범의 유일하게 피처링으로 참여한 [[AZ(래퍼)|AZ]] 셋이서 대화를 이어나가는 형식인 스킷이다.] || || 2 || [[N.Y. State Of Mind]] || [[DJ Premier]] || 4:53 || [* 인트로에 나스가 "I don't know how to start this shit"(이걸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모르겠어.)라고 중얼거리는데 이건 실제로 나스가 이 곡을 어떻게 시작할지 몰라서 한 말이라고 한다. 그날 쓴 오리지널 벌스가 60마디 정도라고. 그런데도 나스는 이 곡을 '''한 테이크만에 녹음했다고 한다.''' 또 나스는 '''이 곡의 가사를 17살 때 썼다고 한다.''' 우리나라로 치면 약 19살인 고3이 자신이 살던 도시에 대한 범죄를 바탕으로 가사를 쓴 것과 같은 셈. 싱글 발매는 되지 않았지만 이 앨범에서 가장 유명한 곡 중 하나이며, 특히나 '잠은 죽음의 사촌'이라는 브릿지의 문구가 유명하여 나스의 시그니처로 평가받는다.] || || 3 || [[Life's A Bitch]] {{{-2 (Feat.[[AZ(래퍼)|AZ]])}}} || L.E.S. || 3:30 || [* 3번째 싱글. [[AZ(래퍼)|AZ]]는 이 앨범에서 유일하게 래퍼로 참여한 인물이며 곡 마지막 부분의 트럼펫 소리는 Nas의 아버지인 Olu Dara가 담당하였다.] || || 4 || The World Is Yours || [[Pete Rock]] || 4:50 || [* 4번째 싱글. 스카페이스의 모토인 'The World Is Yours'를 차용하여 뉴욕시의 범죄를 다루는 노래인데, 스카페이스는 2번 트랙인 N.Y. State Of Mind에서도 언급되었다.(Of pain, I'm like '''Scarface sniffin cocaine''') 앨범에는 표기되지 않았지만 피쳐링이 존재한다. 이 곡의 프로듀서인 Pete Rock이 그 주인공. It Ain't Hard To Tell, N.Y State of Mind와 함께 이 앨범에서 가장 유명한 곡이다. 참고로 비트는 유명 재즈 뮤지션 아마드 자말 의 'I Love Music'을 샘플링했다.] || || 5 || [[Halftime]] || Large Professor || 4:20 || [* 1번째 싱글이자 Nasty Nas의 데뷔곡, 영화 Zebrahead의 OST에 먼저 수록되어 공개되었다. 예명도 당시 Nasty Nas를 사용. [[버스타 라임즈]]가 이 비트에 라이밍을 도전했는데 실패했다고 한다.] || || 6 || Memory Lane {{{-2 (Sittin' In Da Park)}}} || [[DJ Premier]] || 4:08 || || || 7 || [[One Love (Illmatic)|One Love]] || [[Q-Tip]] || 5:25 || [* 앨범의 5번째 싱글. 앨범에는 표기되지 않았지만 피쳐링이 존재한다. 이 곡의 프로듀서 [[Q-Tip]]이다.] || || 8 || One Time 4 Your Mind || Large Professor || 3:18 || [* 마지막 두 곡을 위해 잠깐 쉬어가는 트랙. 쉬어가는 트랙인 만큼 Illmatic에서 가장 존재감이 없는 트랙이지만 20년 뒤에 나온 오케스트라 버전에서는 존재감을 뽐내는 트랙이다.] || || 9 || Represent || [[DJ Premier]] || 4:12 || || || 10 || It Ain’t Hard To Tell || Large Professor || 3:22 || [* 2번째 싱글. 마이클 잭슨의 Human Nature를 샘플링하였으며 역시나 이 앨범에서 가장 유명한 곡 중 하나로 꼽힌다.] || == 뮤직비디오 == === The World Is Yours === [include(틀:영상 정렬,url=e5PnuIRnJW8)] === [[Halftime]] === [include(틀:영상 정렬,url=dogqDbcbVo0)] === [[One Love (Illmatic)|One Love]] === [include(틀:영상 정렬,url=hxce_qvhi5I)] === Represent === [include(틀:영상 정렬,url=7qOvGyyAmpA)] === It Ain’t Hard To Tell === [include(틀:영상 정렬,url=3hOZaTGnHU4)] == 다른 버전 == 발매된지 오래된 만큼 여러 버전의 앨범이 있다. === ''10 Year Anniversary Illmatic Platinum Series'' === {{{#!wiki style="text-align:center" [[파일:일메틱십주년.png|align=center&width=400]] 2004년, 10주년 기념으로 리마스터되어 발매된 음반. 리믹스와 추가 트랙이 같이 수록되어 있다. }}} ==== 추가된 트랙 리스트 ==== ||||<-3><#222> '''{{{#C4C4C4 트랙리스트}}}''' || || '''#''' || '''제목''' || '''길이''' || || 1 || Life's a Bitch (Remix)[br]{{{-2 (feat. [[AZ(래퍼)|AZ]])}}} || 3:00 || || 2 || This World Is Yours (Remix) || 3:56 || || 3 || One Love (Remix) || 5:09 || || 4 || It Ain't Hard to Tell (Remix) || 3:26 || || 5 || On The Real || 3:26 || || 6 || Star Wars || 4:08 || === Illmatic XX[* [[로마 숫자]]로 XX는 [[20]]을 뜻한다.] === [[파일:일메틱이십주년.png|align=center&width=400]] {{{#!wiki style="text-align:center" 2014년, 20주년 기념으로 발매된 음반. 04년 버전처럼 리믹스와 추가 트랙이 같이 수록되어 있다. 물론 추가된 곡들과 리믹스들은 다르다. }}}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음악),album=illmatic-xx-20th-anniversary-edition,artist=nas,critic=89,user=8.8)] ==== 추가된 트랙 리스트 ==== ||||<-3><#F55200> '''{{{#2A6CB8 트랙리스트}}}''' || || '''#''' || '''제목''' || '''길이''' || || 1 || I'm a Villain || 4:30 || || 2 || The Stretch Armstrong And Bobbito Show On Wkcr October 28, 1993"[br]{{{-2 (feat. 6'9", Jungle & Grand Wizard)}}} || 7:46 || || 3 || Halftime (Butcher Remix) || 4:36 || || 4 || It Ain't Hard to Tell (Remix) || 2:49 || || 5 || One Love (LG Main Mix) || 5:32 || || 6 || Life's a Bitch (Arsenal Mix)[br]{{{-2 (feat. AZ)}}} || 3:30 || || 7 || One Love (One L Main Mix)[br]{{{-2 (feat. Sadat X)}}} || 5:43 || || 8 || This World Is Yours (Tip Mix) || 4:28 || || 9 || It Ain't Hard to Tell (The Stink Mix) || 3:20 || || 10 || It Ain't Hard to Tell (The Laidback Remix) || 3:36 || === Illmatic 오케스트라 === [[파일:일메틱오케스트라.png|align=center&width=400]] {{{#!wiki style="text-align:center" 원 제목은 ''Illmatic: Live from the Kennedy Center with the National Symphony Orchestra''이다. 내셔널 심포니 오케스트라가 피쳐링으로 비트를 연주한 앨범. 곡들의 길이가 원본보다 좀 더 길다. }}} == 여담 == * [[앨범 아트]]는 유사한 형식의 디자인만 달리 한 버전으로 이후에도 많이 사용되었다. * 전담 매니저 Faith Newman이 없었다면 지금의 나스와 일매틱은 아마 없었거나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을 것이다. 이 매니저는 나스를 포함한 주변 사람들에게서 굉장히 여유 있고 어떤 일이 일어나도 최선의 결과로 이끌어나갈 수 있는 [[멘탈갑|침착한 멘탈]]이 대단했다고 평가되는데, 당시 아직 어렸던 나스의 크고 작은 문제들을 해결하여 음악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왔으며, 거물급 프로듀서들을 섭외하고 나스와 프로듀서들의 관계를 이상적으로 이어가고자 동분서주했다. 뿐만 아니라 이런 규모의 작업을 하다보면 생기는 여러가지 문제[* 당시에는 너무나도 흔했던 [[부틀렉]], 속칭 [[해적판]]이라고 불리는 불법 앨범과 유출 문제로 정신적으로 크게 흔들린 나스는 다 때려치고 싶어졌었다고 한다.]를 처음 맞닥뜨려서 슬럼프에 빠진 나스의 멘탈을 붙잡고, 끊임없이 자신감을 준 사람이다. 오랜 시간이 흘러 페이스 뉴먼 본인이 인터뷰에서 밝히길 '다른 사람도 그렇지만, 나도 illmatic의 제작과정을 보면서 이 앨범은 '''시간의 시험을 견딜 수 있는 고전'''이라고 느껴져서 앨범 제작에 그렇게 열심히 서포트할 수 있었다'고 한다. 나스의 별명 중 하나가 뉴욕의 왕인데, 이를 빗대서 이야기하면 말 그대로 킹메이커라고 할 수 있는 사람인 셈. 이 앨범의 시작을 알리는 첫 번째 트랙인 The Genesis의 크레딧에도 프로듀서진에 Faith N이라는 이름을 찾아볼 수 있다. 뉴먼 본인은 프로듀서가 아니었지만, 크레딧에 이름을 올리는 것에 아무도 불만을 가지지 않았다는 것은 이 앨범의 제작에 관여한 이들이 그녀를 얼마나 리스펙하는지 알 수 있는 부분이다. 현재도 인터넷에 일매틱에 관한 [[인터뷰]]가 올라오면 당신의 능력과 노력으로 힙합 역사에 남을 앨범이 올바른 모습으로 나올 수 있었다는 찬사를 보내는 힙합 팬들의 댓글이 달리곤 한다. * 1995년 영화 12몽키즈에 일매틱의 포스터가 잠깐 나온다. * 나스 정규 앨범 중 가장 늦게 골드 앨범[* 총 판매량 50만장 이상]을 달성한 앨범이다.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현재까지 판매량은 160만장, 미국 음반협회[* RIAA]에서는 200만장이 판매되었다고 한다. * 솔로 데뷔 전부터 이미 각종 피처링으로 참여해 유명했던 나스가 첫 앨범을 낸다는 소식에 당시 리스너들의 관심은 그야말로 하늘을 찔렀는데 이때 해적판 테이프만 수만 개가 돌아다녔다고 한다. * 앨범 커버는 나스의 어릴 적 사진이다. 그가 하고 있는 아프로 머리는 [[마이클 잭슨]]을 좋아해서 따라한 머리라고 나스가 직접 밝혔다. 또한 마지막 트랙 It Ain't Hard To Tell도 마이클 잭슨의 Human Nature를 샘플링했다.[* illmatic:Live from the Kennedy Center with the National Symphony Orchestra 앨범의 마지막 곡인 It Ain't Hard to Tell의 앞부분 스킷에서 들을 수 있다 [[https://youtu.be/fm-TWitKzBg|오케스트라 버전 It Aint't Hard to Tell]]] * 한국 힙합 1, 2세대는 90년대 미국 힙합에 강력한 영향을 받았기에 당연히 Illmatic의 영향도 엄청났다. Illmatic을 주구장창 샘플링하는 것은 물론이고, Nas와 Illmatic에 대한 리스펙을 드러내는 래퍼들도 많다. 대표적인 게 90년대의 팬인 [[라임어택]]과 Illmatic을 안 들어본 래퍼를 존중하지 않는다고까지 말한 [[딥플로우]]. 이 둘은 랩 스타일마저 90년대 붐뱁 스타일에 뿌리를 두고 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Nas, version=72)] [[분류:Nas/음반]][[분류:1994년 데뷔 음반]][[분류:미국 의회도서관 영구 등재 앨범]][[분류:미국 힙합 음반]][[분류:동부 힙합]][[분류:하드코어 힙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