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2020-04-07 10_43_47-Greenshot.png|width=640,height=480]] || || [[브레이브 브라우저|Brave]]를 사용해 [[유튜브]]를 접속한 화면.[* 유튜브에서는 [[Internet Explorer|IE]]의 지원을 종료하였기 때문에 브라우저를 업데이트하라고 나온다.][* [[Dark Reader]] 등 Chrome 확장 프로그램이 작동하지 않는다.] || [목차] == 개요 == [[Internet Explorer|IE]]가 아닌 어떤 브라우저의 특정 탭에 IE의 엔진을 이용하여 로딩하는 부가기능/플러그인. IE가 존재하는 [[윈도우]]에서만 동작한다. 그런데 다른 웹 브라우저에 없고 IE에서만 지원하는 특수기능은 [[ActiveX]] 이거 하나뿐이다. 즉 IE Tab의 존재 이유는 '''타 웹브라우저에서 ActiveX를 사용하는 것이다.''' 물론 초창기에는 IE만 지원해서 타 브라우저에서는 왕창 깨져 나오는 홈페이지를 정상적으로 로딩해서 보기 위해 만들어진 부가기능인데, 시간이 지나면서 여러 웹 브라우저를 지원하는 것이 당연시된 지금은 이유가 거의 저것밖에 남지 않은 상황이 되어버린 것이다. SharePoint와 [[Microsoft Silverlight]] 같은 [[마이크로소프트|MS]]사의 레거시 제품이나 [[자바 애플릿|JAVA 애플릿]], [[QuickTime]], [[어도비 플래시|플래시]]와 레거시 에어, 아크로뱃 같은 [[어도비]]사의 제품들처럼 레거시 환경을 --굳이-- 써야한다면 유용하다. 특히 [[대한민국]]에선 [[Internet Explorer]] 이외의 다른 웹브라우저 사용시 '필수불가결의 존재'라고 볼 수 있는데, 한국계 사이트 대부분은 [[ActiveX]]가 없으면 돌아가지 않을 정도로 ActiveX 의존도가 심각한 수준이다. 당장 [[SSL]]이란 웹표준 보안규격을 전부 씹어먹고, 모든 보안프로그램을 ActiveX로 돌리는 대한민국 인터넷 환경에서 IE를 쓰기 싫다면, 타 웹브라우저에 IE Tab를 설치하는 것 외에는 별다른 방법이 없다. == 사용 == * 부가기능으로 IETab을 사용할 수 있는 브라우저 (부가기능은 개인이 만들기 때문에 IETab v2, IETab+, Fire IE 등 여러가지 변종들이 있다.) * [[모질라 파이어폭스]] 및 이에 기반한 브라우저[* '''파이어폭스 퀀텀(버전 57 이상)과는 호환되지 않는다!''' 누군가가 파폭 퀀텀과 호환되는 IETab을 빨리 만들기를 바라자(...) 최근에 [[https://addons.mozilla.org/ko/firefox/addon/ie-view-we/?src=search|IE View WE]]라는 대체재가 나왔으니 그걸 사용해보는 것이 현재로서는 가장 좋은 방법. 다른 방법으로는 크롬 버전에 트윅을 먹여주면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 * [[시몽키]] * [[Chrome]] 및 크로뮴에 기반한 브라우저 * 해당 기능이 브라우저의 기본 기능으로 제공되는 경우 * [[Microsoft Edge]]: '''IE 모드'''라는 이름으로 지원한다. * [[루나스케이프]] * [[Maxthon|맥스톤]] (버전 3.x 이상) * [[쿨노보]](크롬 플러스), 더월드 크롬, 360크롬, 선크롬 * [[K-Meleon|K-멜레온]] CCFME * [[네이버 웨일]]: '''플러그인 호환 모드'''라는 이름으로 지원한다.[* 웨일 설치 경로에 가면 IETab이란 폴더와 IETabHelper dll파일이 있어 실제 IETab 확장프로그램을 기본으로 박았다는 것을 볼 수 있다.] * --[[스윙 브라우저]]--[* 다만 스윙 브라우저의 경우 수동 전환이 안 되고 미리 입력된 DB와 자체 기준으로만 전환되는 문제가 있다.] 이 목록에 없는 브라우저라도, [[http://www.meadco.com/Neptune/About|Meadco Neptune]]을 이용하면 IETab에 준하는 기능들을 쓸 수 있다. 하지만 IETab은 상기하였듯 근본적으로는 컴퓨터에 설치된 IE를 불러다 쓰는 것이기 때문에, 애초에 컴퓨터에 IE가 안 깔린 경우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물론 [[윈도우]]는 IE가 기본으로 깔려 있으니 당연히 이것을 못 쓸 일이 없으나, IE가 존재하지 않는 [[크롬 OS]], [[macOS]], [[Linux|리눅스]] 등은 당연히 이 기능을 못 쓴다. ~~그래서 튀어나온게 [[베라인]]... 으아니~~ 사실 이는 근본적으로 개발자인 MS조차 [[Microsoft Edge|제발 버려달라고 외치는]] ActiveX를 꿋꿋히 고집하여 소비자의 선택의 권리를 침해하는 제공업자의 잘못이나, 그 상황을 어떻게 개선도 하지 않고 그저 잘못의 대가를 소비자에게 뒤집어 씌우는 책임전가에 지나지 않는다. 해외 사이트들은 IETab이 없이도 대부분 잘만 돌아간다. 말인즉슨 현재 ActiveX를 쓰는 사이트들도 얼마든지 ActiveX를 쓰지 않고 돌아가도록 만들 수 있다는 뜻이다. 여하튼 ActiveX가 사라지는 그날까지 계속해서 존속하고 있을 확장 프로그램. 반대로 IE에 크롬을 씌우는 '구글 크롬 프레임'이 있다. 이쪽은 2014년 2월 25일에 지원 종료. IETab은 DB에 IETab으로 전환할 웹 페이지를 등록할 수 있다. IETab을 이용하면 IE버전을 속이는 것도 가능해 다운그레이드가 불가능한 컴퓨터에선 구세주다. == 관련 문서 == * [[Internet Explorer]] * [[Chrome#s-3.1|Chrome 확장 프로그램]] * [[Microsoft Edge]] * [[ActiveX]] [[분류:웹 브라우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