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인터시티익스프레스)] [clearfix] [목차] == 개요 == [[독일]]의 세 번째 [[고속철도]] 차량. 설계상 최고속도는 330km/h이며, 독일 내 고속선에서의 영업최고속도는 300km/h이다. [[1997년]]에 처음으로 시제차량이 나왔으며, [[2002년]] [[쾰른-프랑크푸르트 고속선]] 개통과 함께 본격적으로 현업에 투입되기 시작했다. 전반적인 컨셉은 한 발 먼저 취역한 [[ICE T]]를 통해 정립된 컨셉을 바탕으로 하였다. 403형과 그 개량형인 406형의 경우 전체적으로 [[KTX-산천]]과 닮은 디자인이 많다.[* 공교롭게도 후속 차량인 412형 [[ICE 4]]는 산천의 후속 차량인 [[KTX-이음]] 중 준고속용 150000호대 전동차와 닮은 점이 많다. 별도 동력차 없이 각 객차마다 동력장치가 분산된 동력분산식, 고속노선에서의 초고속 주행보다 고속화된 기존선 혹은 준고속 노선에서의 준고속 주행에 더 집중된 설계 컨셉에 이음 150000호대 260km/h, ICE 4 250-265km/h 같이 엇비슷한 영업최고속도 등이 유사점. 한 가지 차이점은 이음 150000호대가 6량 1편성인데 반해 ICE 4는 이음의 2배인 12량 1편성인 장대열차라는 점.] 둥글둥글한 차체나 헤드램프, 출입문[* 작동 방식도 비슷하다.], 통유리처럼 보이게 만든 측창 등 많은 부분이 비슷하게 생겼다.[* 디자인만 비슷한 게 아니라 출입문 도어엔진, 비상열림스위치 내장형 문 작동 버튼과 개폐 시 울리는 비프음도 비슷하다. KTX-산천이 처음 등장했을 때 해외 철덕들 반응이 "이놈들 무슨 TGV랑 ICE 3의 혼종을 만들어놨어?" 였다고 한다. 실제로 한국철도를 설명하는 한 유튜브 영상의 댓글 왈: "흥미로운 디자인이네, 독일 ICE 3의 얼굴을 단 프랑스 TGV잖아."] 하지만 407형의 경우 ICE 3 계열로 분류는 되지만 앞의 두 모델과는 디자인이 완전히 바뀌어서 같은 ICE 3계열이 맞나 싶을 정도로 모습이 다른데다 기술적으로도 완전히 다른 차량이다. 407형의 경우 현재 [[지멘스]]의 독일 내수용 [[플래그십]] [[철도차량]]이기도 하다. == 차량 == === [[독일철도]] 403형 === ||<-3> [[파일:도이치반 로고.svg|width=30]][br]{{{#DD0000 {{{+1 '''독일철도 403형 전동차''' }}}}}}[br]{{{#DD0000 DBAG Baureihe 403 EMU}}} || ||<-3>{{{#!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ICE_3_Oberhaider-Wald-Tunnel.jpg|width=100%]]}}} || ||<-3> DB Class 403 EMU || ||<-3> {{{#fff '''차량정보''' }}} || || '''열차 형식''' ||<-2> [[고속열차]] || || '''구동 방식''' ||<-2> 전기 [[동력분산식]] || || '''제작 회사''' ||<-2> [[지멘스|[[파일:Siemens_AG_logo.svg|width=120]]]] || || '''디자인''' ||<-2> [[파일:N+PIDesign.jpg|width=100&theme=light]][[파일:N+P ID 로고 다크모드.jpg|width=100&theme=dark]] || || '''도입 연도''' ||<-2> 2000년 ~ 2007년 || || '''소유 기관''' ||<-2><|2> [[독일철도|[[파일:도이치반 로고.svg|width=80]]]] || || '''운영 기관''' || ||<-3> {{{#fff '''운행 노선'''}}} || ||<-3>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3>{{{#!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margin-right: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1em; word-break: keep-all;" {{{#fff '''ICE-15'''}}}}}}}}} 베를린-슈투트가르트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margin-right: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1em; word-break: keep-all;" {{{#fff '''ICE-18'''}}}}}}}}} 함부르크-뮌헨(할레 경유)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margin-right: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1em; word-break: keep-all;" {{{#fff '''ICE-28'''}}}}}}}}} 함부르크-뮌헨(라이프치히 경유)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margin-right: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1em; word-break: keep-all;" {{{#fff '''ICE-29'''}}}}}}}}} 함부르크-뮌헨(할레 경유)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margin-right: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1em; word-break: keep-all;" {{{#fff '''ICE-41'''}}}}}}}}} 도르트문트-뮌헨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margin-right: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1em; word-break: keep-all;" {{{#fff '''ICE-42'''}}}}}}}}} 함부르크-뮌헨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margin-right: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1em; word-break: keep-all;" {{{#fff '''ICE-43'''}}}}}}}}} 함부르크-바젤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margin-right: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1em; word-break: keep-all;" {{{#fff '''ICE-45'''}}}}}}}}} 쾰른-슈투트가르트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margin-right: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1em; word-break: keep-all;" {{{#fff '''ICE-47'''}}}}}}}}} 도르트문트-뮌헨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margin-right: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1em; word-break: keep-all;" {{{#fff '''ICE-49'''}}}}}}}}} 쾰른-프랑크푸르트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margin-right: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1em; word-break: keep-all;" {{{#fff '''ICE-60'''}}}}}}}}} 카를스루에-뮌헨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margin-right: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1em; word-break: keep-all;" {{{#fff '''ICE-62'''}}}}}}}}} 프랑크푸르트-클라겐푸르트 ||}}}}}}}}} || ||<-3> {{{#fff '''차량 제원'''}}} || ||<-3>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전장''' || 25.835m(운전차)[br]24.775m || || '''전폭''' || 2.95m || || '''전고''' || 3.89m || || '''궤간''' || 1,435 mm [[표준궤]] || || '''차륜 배치''' || Bo′Bo′+2′2′ ~ 2'2'+Bo′Bo′ || || '''영업최고속도''' || 320 km/h || || '''설계최고속도''' || 330 km/h || || '''최대 출력 ''' || 8000 kW (11000마력) || || '''신호 방식 ''' || PZB90, Sifa, [[LZB]] || || '''급전 방식 ''' || 15 kV {{{-1 16.7 Hz AC}}}[br]1.5 kV DC[br]3 kV DC || || '''제어 방식 ''' || [[VVVF]]-[[GTO(반도체)|GTO]] || || '''동력 장치 ''' || 교류 유도전동기 || || '''편성 대수 ''' || 8량 ||}}}}}}}}} || [clearfix] [[ICE 1]]과 [[ICE 2]]와는 달리 [[신칸센]]과 같은 [[동력분산식]]으로 개발된 차량이며, [[그거 먹는 건가요|유체역학이라는 개념따윈 우걱우걱 씹어먹게 생긴]] 전작들과는 달리 [[뱀장어]]처럼 늘씬하게 설계된 디자인이 특징. 비유하자면, [[신칸센 500계 전동차]]를 좀 짜리몽땅하게 만들면 이렇게 된다고 할 수 있을 듯? 실제로도 앞서 언급한 신칸센 500계를 디자인한 [[N+P Innovation Design]]의 [[알렉산더 노이마이스터]][* N+P Innovation Design의 창업주이다. 그러나 2012년 중순에 퇴사했다.]가 열차 디자인을 맡았기에 여러모로 서로 비슷한 모양새가 되었는데, 이는 [[ICE T]] 및 [[ICE TD]]도 공통되는 부분이다. 총 50편성이 재적되어있다. [clearfix] === [[지멘스 벨라로]] === 수출용 모델인 [[지멘스 벨라로]]가 존재한다. 이 모델 덕에 독일이 드디어 해외로의 고속철 수출의 스타트를 끊을 수 있었다. 일단 [[러시아 철도|러시아]]가 [[삽산]] 운행을 위해 벨라로를 도입한 바 있으며 스페인도 도입했다.[* 앞의 두 모델은 406형 기반의 벨라로 E 모델이다.] [[유로스타]]의 차기 신형 차량으로 선정되기도 했으며 [[튀르키예]] 고속철도 [[YHT]]에도 도입이 결정되었다.[* [[튀르키예]] 고속철은 이미 스페인 [[CAF]]가 제작한 차량이 운행되고 있지만 벨라로도 추가로 도입된다. 신형 유로스타와 YHT는 407형 기반의 벨라로 D 모델이다.] [[중국]]의 [[CRH]] 사업에도 진출했으나, 이쪽은 [[봄바르디어]] [[봉바르디에 레지나|레지나]]도 [[JR그룹]]의 [[신칸센]]도 모두 진출에 성공한 기술 빼먹기용 사업이기 때문에... 다만 [[아셀라 익스프레스]]로의 진출엔 [[알스톰]]의 [[TGV]]에 밀려 실패했다. 당시 미국의 까다로운 안전기준을 충족시킨 것은 [[지멘스 벨라로]] 뿐이었다. TGV의 경우, 안전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했지만 차후에 만족시킨다는 조건으로 낙찰되었다. ==== [[독일철도]] 및 [[NS]] 406형 ==== ||<-3> [[파일:도이치반 로고.svg|width=30]][br]{{{#DD0000 {{{+1 '''독일철도 406형 전동차''' }}}}}}[br]{{{#DD0000 DBAG Baureihe 406 EMU}}}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ICE_3M_KRM.jpg|width=100%]]}}} || ||<-3> DB Class 406 EMU || ||<-3> {{{#fff '''차량정보''' }}} || || '''열차 형식''' ||<-2> [[고속열차]] || || '''구동 방식''' ||<-2> 전기 [[동력분산식]] || || '''제작 회사''' ||<-2> [[지멘스|[[파일:Siemens_AG_logo.svg|width=120]]]] || || '''디자인''' ||<-2> [[파일:N+PIDesign.jpg|width=100&theme=light]][[파일:N+P ID 로고 다크모드.jpg|width=100&theme=dark]] || || '''도입 연도''' ||<-2> 2000년 ~ 2007년 || || '''운행 노선''' ||<-2>{{{#!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margin-right: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1em; word-break: keep-all;" {{{#fff '''ICE-78'''}}}}}}}}} 암스테르담-프랑크푸르트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margin-right: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1em; word-break: keep-all;" {{{#fff '''ICE-79'''}}}}}}}}} 브뤼셀-프랑크푸르트 || || '''소유 기관''' ||<-2><|2> [[독일철도|[[파일:도이치반 로고.svg|width=80]]]] || || '''운영 기관''' || ||<-3> {{{#fff '''차량 제원'''}}} || ||<-3>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전장''' || 25.835m(운전차)[br]24.775m || || '''전폭''' || 2.95m || || '''전고''' || 3.89m || || '''궤간''' || 1,435 mm [[표준궤]] || || '''차륜 배치''' || Bo′Bo′+2′2′ ~ 2'2'+Bo′Bo′ || || '''영업최고속도''' || 320 km/h || || '''설계최고속도''' || 330 km/h || || '''최대 출력 ''' || 8000 kW (11000마력) || || '''신호 방식 ''' || PZB90, Sifa, [[LZB]], [[TVM]] || || '''급전 방식 ''' || 25kV AC[br]15 kV {{{-1 16.7 Hz AC}}}[br]1.5 kV DC[br]3 kV DC || || '''제어 방식 ''' || [[VVVF]]-[[GTO(반도체)|GTO]] || || '''동력 장치 ''' || 교류 유도전동기 || || '''편성 대수 ''' || 8량 ||}}}}}}}}} || [clearfix] 국제열차로 투입하기 위해 제작된 파생형으로 ICE 3M이라고도 한다. 4가지의 전력 시스템을 지원한다(교류 25kV, 교류 15kV, 직류 3kV, 직류 1.5kV.) 그러나 직류 노선에서의 운행 시에는 최고속도가 220km/h로 제한된다. 총 17편성이 재적되어있다. ==== [[독일철도]] 407형 ==== ||<-3> [[파일:도이치반 로고.svg|width=30]][br]{{{#DD0000 {{{+1 '''독일철도 407형 전동차''' }}}}}}[br]{{{#DD0000 DBAG Baureihe 407 EMU}}}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BR407.jpg|width=100%]]}}} || ||<-3> DB Class 407 EMU || ||<-3> {{{#fff '''차량정보''' }}} || || '''열차 형식''' ||<-2> [[고속열차]] || || '''구동 방식''' ||<-2> 전기 [[동력분산식]] || || '''제작 회사''' ||<-2> [[지멘스|[[파일:Siemens_AG_logo.svg|width=120]]]] || || '''도입 연도''' ||<-2> 2010년 ~ 현재 || || '''운행 노선''' ||<-2>{{{#!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margin-right: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1em; word-break: keep-all;" {{{#fff '''ICE-47'''}}}}}}}}} 도르트문트/뮌스터-슈투트가르트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margin-right: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1em; word-break: keep-all;" {{{#fff '''ICE-82'''}}}}}}}}} 파리-프랑크푸르트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margin-right: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1em; word-break: keep-all;" {{{#fff '''ICE-83'''}}}}}}}}} 파리-슈투트가르트 || || '''소유 기관''' ||<-2><|2> [[독일철도|[[파일:도이치반 로고.svg|width=80]]]] || || '''운영 기관''' || ||<-3> {{{#fff '''차량 제원'''}}} || ||<-3>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전장''' || 25.835m(운전차)[br]24.775m || || '''전폭''' || 2.92m || || '''전고''' || 4.34m || || '''궤간''' || 1,435 mm [[표준궤]] || || '''차륜 배치''' || Bo’Bo’+2’2’+Bo’Bo’+2’2’[br]+2’2’+Bo’Bo’+2’2’+Bo’Bo’ || || '''영업최고속도''' || 320 km/h || || '''설계최고속도''' || 330 km/h || || '''최대 출력 ''' || 8000 kW (11000마력) || || '''신호 방식 ''' || ETCS, [[LZB]], PZB, TBL, [[TVM]], ATB, KVB, RSO || || '''급전 방식 ''' || 25kV AC[br]15 kV[br]16.7 Hz AC[br]1.5 kV DC[br]3 kV DC || || '''제어 방식 ''' || [[VVVF]]-[[IGBT]] || || '''동력 장치 ''' || 교류 유도전동기 || || '''편성 대수 ''' || 8량 ||}}}}}}}}} || [clearfix] [[도이치반|독일철도]]가 주문을 넣어 한창 만든 기종으로 [[지멘스 벨라로#s-2.2|벨라로 D 시리즈]]의 일원이다. [[프랑스]]의 [[TGV|LGV]] 노선, [[벨기에]], [[스위스]] 등의 주변국 국제 노선 연장용으로 도입했다. 특징이라면 앞에 연결기 수납부가 열릴 때 벨라로 E처럼 좌우로 열리는게 아닌 상하로 열린다는 것이다.[* 이는 차세대 [[인터시티익스프레스|ICE]]인 [[ICE 4]]와 본 차량의 파생형인 [[영국철도 374형]]의 연결기에도 계승되었다.] 또한 [[구동음]]이 [[https://youtu.be/aKzMFBLAi-M|IGBT 인버터를 쓴 차량임에도 GTO 소자를 쓴 차량처럼 낮은 톤에서 시작한다.]] 시작 톤만 놓고보면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전동차|서울지하철 4호선 전동차]]보다도 낮다. 이놈도 ICE 3로 분류되기는 하지만 실제로는 완전히 다른 차량이다. 총 17편성이 재적되어있다. ==== [[독일철도]] 408형 ==== ||<-3> [[파일:도이치반 로고.svg|width=30]][br]{{{#DD0000 {{{+1 '''독일철도 408형 전동차''' }}}}}}[br]{{{#DD0000 DBAG Baureihe 408}}}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408_007(Tz_8007)_Koeln-Deutz.jpg|width=100%]]}}} || ||<-3> DB Class 408 (Velaro MS) || ||<-3> {{{#fff '''차량정보''' }}} || || '''열차 형식''' ||<-2> [[고속열차]] || || '''구동 방식''' ||<-2> 전기 [[동력분산식]] || || '''제작 회사''' ||<-2> [[지멘스|[[파일:Siemens_AG_logo.svg|width=120]]]] || || '''도입 연도''' ||<-2> 2020년 ~ 현재 || || '''운행 노선''' ||<-2>{{{#!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margin-right: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1em; word-break: keep-all;" {{{#fff '''ICE-47'''}}}}}}}}} 도르트문트-뮌헨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margin-right: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1em; word-break: keep-all;" {{{#fff '''ICE-49'''}}}}}}}}} 쾰른-프랑크푸르트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margin-right: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1em; word-break: keep-all;" {{{#fff '''ICE-62'''}}}}}}}}} 프랑크푸르트-뮌헨 || || '''소유 기관''' ||<-2><|2> [[독일철도|[[파일:도이치반 로고.svg|width=80]]]] || || '''운영 기관''' || ||<-3> {{{#fff '''차량 제원'''}}} || ||<-3>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전장''' || 25.835m(운전차)[br]24.775m || || '''전폭''' || 2.92m || || '''전고''' || 4.34m || || '''궤간''' || 1,435 mm [[표준궤]] || || '''차륜 배치''' || Bo’Bo’+2’2’+Bo’Bo’+2’2’[br]+2’2’+Bo’Bo’+2’2’+Bo’Bo’ || || '''영업최고속도''' || 320 km/h || || '''설계최고속도''' || 330 km/h || || '''최대 출력 ''' || 8000 kW (11000마력) || || '''신호 방식 ''' || ETCS, [[LZB]], PZB, TBL, [[TVM]], ATB, KVB, RSO || || '''급전 방식 ''' || 25kV AC[br]15 kV[br]16.7 Hz AC[br]1.5 kV DC[br]3 kV DC || || '''제어 방식 ''' || [[VVVF]]-[[IGBT]] || || '''동력 장치 ''' || 교류 유도전동기 || || '''편성 대수 ''' || 8량 ||}}}}}}}}} || [clearfix] [[도이치반|독일철도]]의 최신 기종으로 [[지멘스 벨라로#s-2.3|벨라로 Neo 시리즈]]의 일원이다. 2022년 12월부터 운행 시작했다. 일반석 칸의 경우 출입문이 2개로 늘어났다. == 매체에서 == [[스파이더맨: 파 프롬 홈]] 에서 잠깐 등장한다.[*스포일러 미스테리오의 환상 마지막에 스파이더맨을 치고 스파이더맨이 안에 탑승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독일철도의 전동차)] [include(틀:지멘스 벨라로)] [include(틀:N+P Innovation Design의 철도 차량)] [각주] [[분류:독일의 고속철도 차량]][[분류:2000년 출시]][[분류:인터시티익스프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