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000000> '''{{{#FFFFFF [[The Temptations]]의 싱글}}}''' || || "Don't Let the Joneses Get You Down"[br](1969) ||<|2> → || '''I Can't Get Next to You'''[br](1969) ||<|2> → || "[[The Weight]]"[br](1969) || ||
<:><-2> '''{{{+1 {{{#ffffff I Can't Get Next to You}}}}}}''' || ||<-5><:> [[파일:I_Can't_Get_Next_to_You.jpg|width=340]] || ||<:><#7d7d7c> {{{#ffffff '''수록 음반'''}}} ||<(> [[Puzzle People]] || ||<:><#7d7d7c> {{{#ffffff '''아티스트'''}}} ||<(> [[The Temptations]] || ||<:><#7d7d7c> {{{#ffffff '''B-Side'''}}} ||<(> "Running Away (Ain't Gonna Help You)" || ||<:><#7d7d7c> {{{#ffffff '''발매일'''}}} ||<(> 1969년 7월 30일 || ||<:><#7d7d7c> {{{#ffffff '''녹음 기간'''}}} ||<(> 1969년 6월 23일 ~ 24일, 27일, 30일, 7월 2일 ~ 3일|| ||<:><#7d7d7c> {{{#ffffff '''스튜디오'''}}} ||<(> [[모타운|히츠빌 U.S.A. 스튜디오 A]] ([[미시간 주]] [[디트로이트]]) || ||<:><#808080> {{{#ffffff '''장르'''}}} ||<(> [[펑크(음악)|펑크(Funk)]], [[:분류:사이키델릭 소울|사이키델릭 소울]] || ||<:><#808080> {{{#ffffff '''재생 시간'''}}} ||<(> 2:51 || ||<:><#808080> {{{#ffffff '''레이블'''}}} ||<(> [[Motown|Gordy]] || ||<:><#808080> {{{#ffffff '''송라이터'''}}} ||<(> Norman Whitfield, [[Barrett Strong]] || ||<:><#808080> {{{#ffffff '''프로듀서'''}}} ||<(> Norman Whitfield || [목차] [clearfix] == 개요 == [[템테이션스]]의 싱글이며 이들의 11집 앨범 [[Puzzle People]]의 두번째 싱글로 1969년 7월 30일에 발매되었다. == 상세 == 파워풀한 느낌의 사랑 노래이며 1969년 미국에서 공전의 히트를 거두었다. 재지한 피아노 연주로 곡이 시작되고 얼마 뒤 [[혼 섹션]]이 들어오며 곡의 분위기가 반전된다. 강력한 펑키(Funky) 리듬 위로 그룹 멤버들의 소울풀한 보컬이 올라오고, 에디 켄드릭스의 [[팔세토]] 창법이 특히 돋보인다. == 오디오/비디오 == || 오디오 || ||[youtube(7RfGe6MvY84)]|| || 비디오 || ||[youtube(YDasi1jiqRs)]|| == 가사 == ||[Intro] Hold it, everybody Hold it, hold it Listen... [Verse 1] I can turn the greyest sky blue I can make it rain whenever I want it to Oh, I can build a castle from a single grain of sand I can make a ship sail high on dry land [Chorus] But my life is incomplete, and I'm so blue 'Cause I can't get next to you (I can't get next to you, babe) Next to you (I can't get next to you) I just can't get next you (I can't get next to you, babe) (I can't get next to you) [Verse 2] I can fly like a bird in the sky Hey, and I can buy anything that money can buy Oh, I can turn a river into a raging fire I can live forever if I so desire [Chorus] Unimportant are all the things I can do 'Cause I can't get next to you (I can't get next to you, babe) No matter what I do (I can't get next to you) Uh-yah! [Bridge 1] Ooh Ooh Chicka boom, chicka boom Chicka boom, boom, boom [Verse 3] I can turn back the hands of time, you better believe I can I can make the seasons change just by waving my hand Oh, I can change anything from old to new The things I want to do the most, I'm unable to do [Bridge 2] Unhappy am I with all the powers I possess 'Cause, girl, you're the key to my happiness And I, oh I can't get next to you [Chorus] Girl, you're blowing my mind 'Cause I can't get (next to you) Can't you see these tears I'm crying? I can't get (next to you) Girl, it's you that I need I gotta get (next to you) Can't you see these tears I'm crying? I can't get (next to you) I, I, I, I, I can't get (next to you) I, I, I, I, I can't get, now (next to you) Girl, you're blowing my mind 'Cause I can't get...|| == 차트 성적 == [[빌보드 R&B 차트]]에서 1969년 10월 첫째 주부터 11월 첫째 주까지 5주 연속 1위, [[빌보드 핫 100]]에서 1969년 10월 셋째 주부터 넷째 주까지 2주 연속 1위를 기록했다. [[1969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에서 3위, [[빌보드 핫 100 올타임 차트/1958년-2018년|1958년~2018년 빌보드 핫 100 올타임 차트]]에선 409위에 올랐다. [[분류:템테이션스]][[분류:모타운 음반]][[분류:빌보드 연말 차트 3위 노래]][[분류:빌보드 핫 100 1위 노래]][[분류:빌보드 R&B 차트 1위 노래]][[분류:1969년 노래]][[분류:1969년 싱글]][[분류:Funk]][[분류:사이키델릭 소울]][[분류:노먼 휘트필드]][[분류:바렛 스트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