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하현우의 음악, rd1=하현우/디스코그래피, paragraph1=2.1.6)] [include(틀:다른 뜻1, other1=EZ2ON의 음악, rd1=Higher(EZ2ON))] [include(틀:다른 뜻1, other1=FIFTY FIFTY의 타이틀곡, rd1=THE FIFTY, paragraph1=4.3)] [목차] ||<-2>
[[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97R9nmTXAM)]}}} || || {{{-1 '''수록 정보'''}}} ||{{{-1 [[DJMAX Portable 2]]}}} {{{-3 (2007)}}} || || {{{-1 '''장르'''}}} ||{{{-1 Epic House}}} || || {{{-1 '''BPM'''}}} ||{{{-1 137}}} || || {{{-1 '''작곡'''}}} ||{{{-1 [[Supbaby]]}}} || || {{{-1 '''BGA'''}}} ||{{{-1 Panax}}} || == 개요 == [[FTR]]을 제공한 슈퍼꼬마(Supbaby)의 [[DJMAX Portable 2]] 신곡으로, 몽환적인 분위기의 하우스 곡. 곡의 평가가 좋아 [[DJMAX TECHNIKA 시리즈]]에도 수록되길 바라는 유저들이 적지 않은 편이다. DJMAX Portable 2 출시 전 [[Ladymade Star]], [[DIVINE SERVICE]]와 함께 사전 플레이 영상이 공개되었던 적이 있다. == [[DJMAX Portable 2]] == |||||||| [[DJMAX Portable 2]] || || Tunes || NM || HD || MX || || 4B Tunes || 6 || || || || 5B Tunes || 5 || || || || 6B Tunes || 6 || 12 || || || 8B Tunes || 7 || 11 || || [youtube(waPW34cREnM)] 포터블 2에서 눈여겨볼만한 패턴으로는 6B HD 패턴이 있는데, 난이도는 12로 처리하기 난감한 ◁, ▷ 트릴이나 □, ○ 트릴이 섞여나와 좋은 정확도를 뽑아내기 힘든 패턴이다. == [[DJMAX BS|DJMAX Black Square]] == |||||||||| [[DJMAX Portable Black Square]] || || || NM || HD || MX || RD || || 4B || 5 || 10 || || || || 5B || 6 || || || || || 6B || 6 || || || || || 4BFX || 6 || || || || || 6BFX || 7 || 11 || || || [youtube(aw8520kipk0)] 블랙 스퀘어에서는 클래식 모드의 패턴들은 전부 무난하지만, FX모드에서는 후살성이 짙은 곡이 되었다. 후반부 도입까지는 그럭저럭 레벨에 상응하는 듯하다가, 후반부에서 L, R키와 함께 떨어지는 폭타는 해당 레벨 입문 유저에게는 버거운 패턴이다. == [[DJMAX Trilogy]] == |||||||||||| [[DJMAX Trilogy]] || || 난이도 || 4K || 5K || 6K || 7K || 8K || || NM || 4 || 6 || 6 || 8 || 6 || || HD || 7 || || 10 || 11 || || || MX || || || || || || || SC || || || || || || [youtube(tiQ4_NQbdGc)] 트릴로지에서는 7K HD 패턴이 난이도가 가장 높은데, 난이도는 11이다. 보다시피 1분 40초부터 나오는 '''32비트 연타'''가 심하게 괴랄해서 풀피버 난이도가 11이라는 레벨 치고는 굉장히 어렵다. 절대로 랜덤을 걸어선 안 되는 곡들 중 하나이며 풀피버 난이도만큼은 7키 최고난이도 곡 중 하나인 [[Ray of Illuminati]]를 웃돈다고 평가받기도 한다. ~~물론 [[Nightmare]] 앞에선 [[데꿀멍]]~~ == [[TAP SONIC]] == [youtube(VxTfZChNGXU)] 이랬던 곡이 [[TAP SONIC]]에서는 어째서인지 8레벨 최약체다! 8레벨 중 S랭크 따기 가장 쉬운 곡. == [[DJMAX RAY]] == |||||||||| [[DJMAX RAY]]의 SledgeHammer 팩 수록곡 || || [[Nightmare]] || [[Syriana]] || '''Higher''' || [[On Da Floor]] || [[SINister Evolution]] || |||||||||||| [[DJMAX RAY]] 난이도 체계 || || 패턴 || 난이도 || 비고 || ||<#FFFF00> NM || 2 || || ||<#0000FF> {{{#white HD}}} || 5 || || ||<#FF0000> MX || 8 || || [youtube(cEIiS_YgBpk)] TAP SONIC에서도 모자라 [[DJMAX RAY]]에서까지 8레벨 물렙 신세가 되고 말았다! 더군다나 레이 패턴이 탭소닉 패턴보다 더 쉬운 편이다.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PORTABLE 2)]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igher_1.png|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3366 25%, #ff3333 75%)" '''{{{#730731 PORTABLE 2}}}'''}}} || ||<-4>'''{{{+5 Higher}}}''' || || 모드 || NM || HD || MX || '''SC''' || ||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4 [br] {{{-5 248}}}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511}}} || - || [[파일:djmaxsc10.png|width=16]] {{{#purple,#f21cc7 '''10'''}}} [br] {{{-5 846}}}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433}}}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1.22 패치에서 11 → 12로 상향.] [br] {{{-5 663}}} || - || -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477}}}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625}}} || - || [[파일:djmaxsc10.png|width=16]] {{{#purple,#f21cc7 '''9'''}}} [br] {{{-5 865}}}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4 [br] {{{-5 304}}}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539}}}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1.22 패치에서 12 → 13으로 상향.] [br] {{{-5 726}}} ||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9eb6, #ff9c9c)"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기존 BGA를 리마스터했는데, 화면이 커지면서 중후반부 번쩍거리는 연출로 인한 눈의 피로가 훨씬 심해졌다. 번쩍거리는 효과가 특히 심한 부분에서 전 패턴 공통으로 32비트 기타속주 패턴이 나오기 때문에 이에 민감한 플레이어라면 BGA의 밝기를 낮추거나 아예 끄는 걸 추천. 리스펙트에서도 후반 32비트 기타속주 패턴은 건재해서, 5버튼과 8버튼에서 3개씩 끊기는 계단패턴으로 구현되었다. 덕분에 풀콤보, 스코어링 난이도가 동레벨대는 물론이고 전체적으로 봐도 굉장히 높은 수준이다. 2021년 1월 28일 [[DJMAX RESPECT V]] 메이저 업데이트에 4B, 6B SC 패턴들이 추가되었다. 두 SC 패턴에 등장하는 기타 속주 패턴은 그대로 [[Gone Astray]]의 4B/6B 15레벨 SC 패턴에 더욱 강화된 채로 등장하게 된다. 두 패턴 모두 랜덤 이펙터를 활용하여 계단 배치를 풀 수 있다. 4버튼의 경우는 사이드 트랙이 아예 등장하지 않아 훨씬 수월하다. === 4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aB66rTUCSU)]}}}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GKcFCJt8eA)]}}} || || {{{#white '''S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j73lRwxEgD4)]}}} || || 4B SC의 경우 32비트 기타 속주 패턴이 빠른 일직선 계단으로 등장한다. 이 구간을 제외하면 매우 허전하나 이 구간 하나 때문에 퍼펙트 난이도가 SC 10렙 곡 중에서도 높은 편이다. [[Angelic Sphere]]와 비슷한 구성. === 5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9enpejfjnoc)]}}}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wMUhNG14-E)]}}} || === 6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u22ofS4ax0)]}}}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QbiBnGUISM)]}}} || || {{{#white '''S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LIv5vWQP5k)]}}} || || 6B SC의 경우 32비트 기타 속주 패턴이 642 531 계단인 데님 배치 계단으로 등장하는데, 이러한 패턴 때문에 SC 9레벨 곡 중에서도 퍼펙트 난이도가 높은 편이다. 만약 이 구간을 넘기는 게 힘들다면, 상술했던 대로 랜덤을 활용하여 편한 배치로 연주하는 것도 방법이다. === 8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DsM1rzr2g)]}}}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ICAXL1_P-8)]}}} || || {{{#white MX}}}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AebmPlVs18)]}}} || || 8B NM은 4레벨로 표기되어있지만 거의 6 ~ 7 레벨급 난이도를 보이는 불렙으로, 8버튼 초심자라면 주의할 필요가 있다. == [[TAPSONIC WORLD CHAMPION]] == || 패턴 || 난이도 || || BASIC || 4 || || PRO || 6 || || LEGEND || 8 || [youtube(NGM_DhxsPfc)] LEGEND 패턴 플레이 영상 [[탭소닉 월드 챔피언]]에서 역시 4/6/8의 무난한 난이도로 출현하였으며, 동 레벨대 곡 중에서는 하위권의 난이도를 보인다. 후반부 24비트 기타리프 속주는 미니 노트로 치환되었기에 처리 난이도는 쉽지만, 월챔 특유의 터치 인식 범위 탓에 풀 콤보 난이도는 8레벨 중상급에 속한다. [[분류:DJMAX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