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Hachi Hachi)] [include(틀:관련 문서, top1=Hachi Hachi/수록곡)] [include(틀:난이도 표기 문제)] [목차] == 설명 == [[Hachi Hachi]] 안에서 난이도 표기에 문제가 있는 곡들의 패턴들을 정리한 문서다. 이 문서는 최신 버전을 기준으로 작성한다. == 작성 기준 == * 개인적인 감상이 아닌 '''여러 유저들도 공감할 수 있는 수준'''의 경우만 표기하도록 한다. * '''같은 레벨대에서 어렵거나 쉽다고 무조건 불렙/물렙으로 적지 않는다.''' 예를 들어 레벨 7 중에서는 하위권이나, 일반적인 레벨 6 곡들보다는 강하거나 레벨 6 지뢰곡들과 비슷할 경우에는 물렙곡에 속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최소한 해당 레벨의 평균대보다 1 이상 격차가 있는, 그러니까 레벨이 한 단계 이상 상승/하락해도 위화감이 없는 패턴들을 작성할 것. == 불렙/물렙/개인차/특정 패턴 주의 구분 == * [[불렙곡|{{{#red '''불렙 패턴'''(불렙)}}}]]은 아래와 같은 기준을 만족하며, {{{#red 붉은색}}}으로 작성한다. * 해당 곡이 표기 레벨에 해당하는 평균적인 레벨의 곡보다 난이도가 높은 경우. * 해당 곡의 난이도가, 해당 곡보다 레벨이 1 높은 곡들 중 최소한 하나 이상과 비슷할 경우. * [[물렙곡|{{{#blue '''물렙 패턴'''(물렙)}}}]]은 아래와 같은 기준을 만족하며, {{{#blue 푸른색}}}으로 작성한다. * 해당 곡이 표기 레벨에 해당하는 평균적인 레벨의 곡보다 난이도가 낮을 경우. * 해당 곡의 난이도가, 해당 곡보다 레벨이 1 낮은 곡들 중 최소한 하나 이상과 비슷할 경우. * {{{#purple '''개인차 패턴'''}}}은 아래와 같은 기준을 만족하며, {{{#purple 보라색}}}으로 작성한다. * 해당 곡의 난이도가 플레이어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고 인정되는 경우. * 해당 곡의 채보에 특정 패턴이 집중되어 있는 경우. * 예외적으로 판정선이 변화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개인차는 하단의 초록색 글자를 적용. * {{{#green '''판정선 변화 패턴'''}}}은 아래와 같은 기준을 만족하며, {{{#green 초록색}}}으로 작성한다. * 판정선이 움직이거나 회전하는 패턴들 중 플레이 난이도 면에서 꽤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경우. * 그로 인해 플레이어마다 개인차가 갈린다고 인정되는 경우. * {{{#red '''복'''}}}{{{#blue '''합'''}}}{{{#purple '''채'''}}}{{{#green '''보'''}}}는 위의 4조건중 2가지 이상을 만족할 경우일때 곡 제목을 두가지 이상의 색으로 표현하도록 한다. * 속성간의 우선순위는 {{{#red '''불렙'''}}} > {{{#blue '''물렙'''}}} > {{{#purple '''개인차'''}}} > {{{#green '''판정선 변화'''}}} > {{{#purple '''개인차'''}}}'''+'''{{{#green '''판정선'''}}} 이며,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속성'''이 붙은 채보부터 기재한다. *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속성이 같다면 '''속성의 개수'''가 적은 것부터 기재한다. * 이것마저도 일치한다면 곡 번호 순으로 적도록 한다. 곡 번호는 난이도 선택 화면 상단에 "No. XX" 형태로 작게 기재되어 있다. * 설명이 이해가 가지 않는다면 각주를 참고. [*기재순서 {{{#red '''불'''}}} → {{{#red '''불'''}}}{{{#purple '''개'''}}} → {{{#red '''불'''}}}{{{#green '''판'''}}} → {{{#red '''불'''}}}{{{#purple '''개'''}}}{{{#green '''판'''}}} → {{{#blue '''물'''}}} → {{{#blue '''물'''}}}{{{#purple '''개'''}}} → {{{#blue '''물'''}}}{{{#green '''판'''}}} → {{{#blue '''물'''}}}{{{#purple '''개'''}}}{{{#green '''판'''}}} → {{{#purple '''개'''}}} → {{{#green '''판'''}}} → {{{#purple '''개'''}}}{{{#green '''판'''}}}] 곡명 뒤에 곡에 해당하는 난이도 (EASY, NORMAL, HARD, EXTREME) 를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각 레벨별 난이도 표기 문제 == === LV.1 === [[さよならの代わり-Last-good-bye-|{{{#red さよならの代わり-Last-good-bye-(EASY)}}}]] : 후반부의 글자 모양의 슬라이드가 나오는데 글자 세개가 슬라이드 여러개로 이루어져 있는 등 저레벨 수준이라 보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패턴에 들어가 있다. === LV.2 === === LV.3 === === LV.4 === === LV.5 === === LV.6 === [[Moonlight of Sand Castle|{{{#blue Moonlight of Sand Castle (HARD)}}}]] : 초반부 사각형 슬라이드 8개를 제외하면 '''NORMAL과 구성이 같다.''' 슬라이드 노트를 능숙하게 처리할 수 있는 고수들의 입장에서는 NORMAL과 동급으로 취급된다. === LV.7 === === LV.8 === [[KUNOICHI RUMBLE W|{{{#red KUNOICHI RUMBLE W}}} {{{#green (HARD)}}}]] : 초반부터 채보장난을 하더니 중후반부부터는 상당히 꼬인 폭타가 시작된다. 체감 난이도는 9레벨. [[電脳▽Competition|{{{#green 電脳▽Competition (HARD)}}}]] : 맨 처음과 맨 마지막의 판정선이 움직이는데 도중에 노트가 나와서 초견 플레이 시 십중팔구 노트를 놓치기 쉽다. 위치 파악을 한 뒤 처리해야 하는 부분이기에 주의가 필요하다. === LV.9 === [[Just In My Heart|{{{#blue Just In My Heart (HARD)}}}]] : 롱잡 위주의 곡이지만 배치가 매우 단순하고 롱잡 이외의 배치도 한산한 편이다. 체감 난이도는 레벨 8. [[世界が終わるその前に|{{{#green 世界が終わるその前に (EXTREME)}}}]] : 중후반부터 판정선이 회전하는 동안 동시노트가 많이 나온다. 이를 완벽하게 치기 위해서는 연습이 많이 필요하다. === LV.10 === [[no more words|{{{#red no more words}}} {{{#green (EXTREME)}}}]] : 판정선이 회전하여 정확하게 치기 어려운 부분이 초반과 후반부에 두번 존재하는데 그 중 '''후반부 회전 구간에 3~4동시노트 난타가 등장한다.''' 심지어 배치도 제각각. 이 한 부분 때문에 체감 난이도가 매우 높아져 사기 패턴으로 등극하였으며, 이 패턴에 매우 약한 유저들은 웬만한 11레벨들이 더 쉬워보일 정도로 느낀다고 한다. [[Shimmer|{{{#purple Shimmer (EXTREME)}}}]] : 초반부의 총공깽급 겹트릴이 사람마다 개인차가 크게 갈린다. === LV.11 === === LV.12 === === LV.13 === [[분류:Hachi Hach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