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HGC 2016 Summer)] ||<-5>
'''{{{#ffffff 역대 대회 일람 }}}''' || ||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슈퍼리그 2016 시즌 1]] || {{{+1 ←}}} || '''HOT6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슈퍼리그 2016 시즌 2''' || {{{+1 →}}} || [[HOT6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슈퍼리그 2016 시즌 3]] || [목차] == 개요 == * 우승: [[Tempest(프로게임단)|Tempest]] * 준우승: [[MVP Black]] * 주관 방송사 : [[OGN]] * 후원사: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핫식스]] * 접수 기간: [[2016년|2016.]] [[3월 29일|3. 29.]] [[화요일|(화)]] ~ [[2016년|2016.]] [[4월 10일|4. 10.]] [[일요일|(일)]][* [[http://www.playxp.com/heroes/ogn/superleague/|PlayXP 홈페이지]]에서 참가 접수를 받는다.] * 예선 기간: [[2016년|2016.]] [[4월 13일|4. 13.]] [[수요일|(수)]] ~ [[2016년|2016.]] [[4월 16일|4. 16.]] [[토요일|(토)]] * 온라인 예선: 2016. 4. 13. (수) * 오프라인 예선: 2016. 4. 16. (토) * 본선 기간: [[2016년|2016.]] [[4월 25일|4. 25.]] [[월요일|(월)]] ~ [[2016년|2016.]] [[6월 5일|6. 5.]] [[일요일|(일)]] * 8강: 2016. 4. 25. (월) ~ 2016. 5. 19. (목) * 4강: 2016. 5. 21. (토) ~ 2016. 5. 30. (월) * 결승: 2016. 6. 5. (일) * 장소: [[대한민국]] [[서울]] * 주 경기장: [[서울 OGN e스타디움]] * 사용 전장: [[거미 여왕의 무덤]], [[공포의 정원]], [[불지옥 신단]], [[블랙하트 항만]], [[영원의 전쟁터]], [[용의 둥지]], [[저주받은 골짜기]], [[파멸의 탑]], [[하늘 사원]] * 대회 방식 * 예선: [[토너먼트(스포츠)|싱글 엘리미네이션]] 3전 2선승 * 8강: 조별 [[더블 엘리미네이션|듀얼 토너먼트]] 5전 3선승 * 4강: [[더블 엘리미네이션|듀얼 토너먼트]] 5전 3선승 * 결승: 7전 4선승 * 총 상금: 2억 원 * 우승: 7,000만 원 * 준우승: 4,000만 원 * 3위: 3,000만 원 * 4위: 2,000만 원 * 5~8위: 1,000만 원 * 인터넷 중계: * 국내: [[http://tvpot.daum.net/mypot/Top.do?ownerid=2hFaWnC_o1I0|다음팟]], [[http://sports.news.naver.com/tv/index.nhn?uCategory=others&category=etc&gameId=20160126GAMEHOS|네이버 스포츠]], [[http://www.twitch.tv/ogn|트위치TV]], [[http://www.azubu.tv/ogn|아주부]], [[http://afreecatv.com/afblizzard|아프리카TV]] * 해외: [[http://www.twitch.tv/ognglobal|트위치TV]], [[http://www.azubu.tv/ognglobal|아주부]] * 중계진: * 국내: [[박상현(캐스터)|박상현]], [[김정민(게임 해설가)|김정민]], [[신정민]] * 해외: Daniel Stemkoski, Wolf Schröder * VOD: [[http://www.youtube.com/playlist?list=PLWQeRMoEALvr08HzUTn9lV8-6AgBoJLP4|OGN 유튜브]] == 여담 == * 우승 팀과 준우승 팀은 '''[[Heroes of the Storm 2016 Summer Global Championship]]'''에 대한민국 지역 대표로 출전할 수 있는 시드를 획득한다. * 온라인 예선을 통해 24개 팀을 선발한다. 이후 오프라인 예선을 치러 이 중 6개 팀만이 본선에 진출한다. * 이전 대회 우승 팀과 준우승 팀에게는 본선 시드가 주어진다. 이에 따라 이전 대회의 우승 팀인 [[MVP(프로게임단)/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MVP Black]]과 준우승 팀인 [[TNL]]이 예선 없이 본선에 진출한다.[* 원래 슈퍼리그 2016 시즌 1 우승 팀과 파워리그 2016 시즌 1 우승 팀에게 본선 시드권이 주어졌으나, MVP Black이 슈퍼리그와 파워리그 두 리그에서 전부 우승하면서 파워리그 시즌 1 우승 시드가 슈퍼리그 시즌 1 준우승 팀에게로 넘어갔다.] * [[Heroes of the Storm Global Championship|글로벌 챔피언십 서킷]]을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슈퍼리그 2016 시즌 1|이전 대회]]와 마찬가지로 본 대회는 영어 중계를 통해 해외 송출된다. 이에 이번 시즌부터는 해외 시청자들도 알아듣기 쉽게 하기 위해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슈퍼리그|본 대회]]에 참가하는 모든 팀은 반드시 영어로 된 팀명을 사용해야 한다. 이는 [[:분류:글로벌 챔피언십 서킷|글로벌 챔피언십 서킷에 해당하는 모든 대회]] 공통 사항이다. * [[서울 OGN e스타디움]]에서 펼쳐지는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슈퍼리그]] 첫 시즌으로, 앞으로의 시즌 역시 [[서울 OGN e스타디움|이곳]]에서 진행된다. * [[롯데칠성음료]]의 [[핫식스]]가 이번 대회]]와 [[HOT6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슈퍼리그 2016 시즌 3|다음 대회]] 메인 스폰서로 발표됐다. 이것으로 2년 연속 핫식스가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슈퍼리그|슈퍼리그]] 메인 스폰을 맡게 됐다. * 2016 섬머 지역 대회 경기들이 마무리되기 전까지 Twitch.tv와 Battle.net 계정을 연동하면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에서 사용할 수 있는 [[https://bnetcmsus-a.akamaihd.net/cms/content_folder_media/u4/U4B0H6EDPKA21461171690332.png|새로운 “2016 여름 지역 챔피언십 초상화”]]를 무료로 받을 수 있다. Twitch 계정과 Battle.net 계정 연동 방법은 다음과 같다. * Twitch에 로그인 한다.[* 당연하지만 만약 Twitch 계정이 없다면 회원 가입이 필요하다.] * 홈 화면 우측 상단에 있는 당신의 계정 이름을 클릭한 뒤 설정 메뉴로 이동하여 설정 메뉴에서 연결 탭을 클릭한다. * Blizzard Battle.net 항목에서 지역을 선택한 뒤 오른쪽의 연결 버튼을 클릭한 후 나타나는 팝업창에서 Battle.net 계정으로 로그인한다.[* 이미 Battle.net에 로그인한 상태에서 연결 버튼을 클릭했을 경우 팝업창이 나타나지 않고 즉시 연동된다.] * [[https://secure.twitch.tv/settings/connectionsTwitch.tv|설정 메뉴 바로 가기]] * [[http://kr.battle.net/heroes/ko/blog/20097940/|자세한 내용은 해당 페이지 참조]] * 슈퍼리그 진행에 現 [[GSL]] 아나운서로 활동 중인 [[문규리]] 아나운서가 새로 투입된다. [[https://www.youtube.com/watch?v=bQVQwnzyvt8|유튜브 영상]] [[송주아]] 대신 인터뷰어를 맡는다. == 참가 팀 == ||<-4>
{{{#white '''HOT6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슈퍼리그 2016 시즌 2 참가 팀''' }}} || ||<-4> '''슈퍼리그 2016 시즌 1 우승/준우승''' || ||<-2> [[MVP(프로게임단)/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MVP Black]] ||<-2> [[TNL]] || ||<-4> '''예선 참가 팀''' || || RoMg || DsA || [[Mighty/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Mighty]] || Physical || || ATHENA || TeamLGD || FORyeondyugongdyu || Bounty hunter || || HQR || Go Straight || sasacrabHo9Less || FourSeason Villain || || 52so102 || ohyeaho || Frost Starry Sky || SnooPy || || YangBan || FreeWiz || [[RAVE HOTS]] || I LOVE RONALDO || || Prime's Servant || NKND[br](No Kill No Death) || Entity || Tempest || || [[Team Hero|FourSeason Hero]] || A.JE.DA || Team Gnomes || Thalamus || || WHAFF || KOF || Flash || POW[br](Power OverWhelming) || || The military || TAS[br](Team Abyss Star) || Big Game Hunters || Team Sunbi || ||<-4> '''총 38개 팀'''[* [[http://www.playxp.com/heroes/ohl/view.php?article_id=5439851|참가팀 선수 명단]]] || == 예선 == === 온라인 예선 === * 일정: 2016. 4. 13. (수) * 온라인 예선 규정: [[http://www.playxp.com/heroes/ogn/superleague/rule_online.php|해당 페이지 참조]] * 3전 2선승제 * 사용 전장 * 1 세트: [[거미 여왕의 무덤]] * 2 세트: [[하늘 사원]] * 3 세트: [[불지옥 신단]] * 온라인 예선의 경기는 사용자 지정 게임 방식으로 진행되며. 경기의 세팅은 아래의 사항을 지켜야 한다. * 대기실 방식: 선발전 * 선발전 첫 번째 팀: 동전 던지기 * 준비 방식: 선착순 * 금지 모드 : 중간 금지 * 진영: 대진표상 왼쪽 1팀 / 오른쪽 2팀 * 글로벌 밴: 캘타스 * 게임 사생활 보호: [보통 / 대전기록 비공개] 둘 중 어떤 것을 하더라도 무방. ==== 대진표 ==== * 일시: 2016. 4. 13. (수) PM 7:00 ||<-5>
{{{#white '''1 그룹'''}}} || || '''팀 이름''' ||<-3> '''결과''' || '''팀 이름''' || || DsA || [* 불참으로 인한 부전승] || '''vs.''' || || sasacrabHo9Less || || TAS || {{{#ff0000 '''2'''}}} || '''vs.''' || 0 || I LOVE RONALDO || || Team Gnomes || [* 불참으로 인한 부전승] || '''vs.''' || || Prime's Servant || || Go Straight || {{{#ff0000 '''2'''}}} || '''vs.''' || 0 || NKND || ||<-5> || ||<-5> {{{#white '''2 그룹'''}}} || || '''팀 이름''' ||<-3> '''결과''' || '''팀 이름''' || || Entity || 1 || '''vs.''' || {{{#ff0000 '''2'''}}} || Sunbi || || FORyeondyugongdyu || || '''vs.''' || [* 불참으로 인한 부전승] || FourSeason Villain || || Bounty hunter || {{{#ff0000 '''2'''}}} || '''vs.''' || 0 || Thalamus || || A.JE.DA || || '''vs.''' || [* 불참으로 인한 부전승] || KOF || ||<-5> || ||<-5> {{{#white '''3 그룹'''}}} || || '''팀 이름''' ||<-3> '''결과''' || '''팀 이름''' || || TeamLGD || {{{#ff0000 '''2'''}}} || '''vs.''' || 0 || Flash || || FreeWiz || 0 || '''vs.''' || {{{#ff0000 '''2'''}}} || POW || || SnooPy || 0 || '''vs.''' || {{{#ff0000 '''2'''}}} || Tempest || || Big Game Hunters || 0 || '''vs.''' || {{{#ff0000 '''2'''}}} || ohyeaho || ==== 결과 ==== ||<-4>
{{{#white '''오프라인 예선 진출 팀'''}}} || ||<-4> '''토너먼트 승자 12개 팀''' || || DsA || TAS || Team Gnomes || Go Straight || || Sunbi || FourSeason Villain || Bounty hunter || KOF || || TeamLGD || POW || Tempest || ohyeaho || ||<-4> '''오프라인 자동 진출 12개 팀''' || || RoMg || RAVE HOTS || Mighty || Physical || || ATHENA || FourSeason Hero || HQR || WHAFF || || The military || 52so102 || Frost Starry Sky || YangBan || ||<-4> '''총 24개 팀''' || === 오프라인 예선 === * 일정: 2016. 4. 16. (토) * 장소: 사당 e-스타디움[* 서울시 관악구 과천대로 939 르메이에르강남타운 2차 지하 2층에 위치한다.] * 오프라인 예선 규정: [[http://www.playxp.com/heroes/ogn/superleague/rule_offline.php|해당 페이지 참조]] * 글로벌 밴 없음 * [[죽음의 광산]] 맵 제외 ==== 조 편성 ==== ||
{{{#ccffff '''Group A'''}}} || {{{#ccffff '''Group B'''}}} || {{{#ccffff '''Group C'''}}} || || Mighty || TAS || DsA || || YangBan || Frost Starry Sky || FourSeason Hero || || - || - || ATHENA || || - || - || - || || {{{#ccffff '''Group D'''}}} || {{{#ccffff '''Group E'''}}} || {{{#ccffff '''Group F'''}}} || || RoMg || RAVE HOTS || Tempest || || Bounty hunter || POW || Sunbi || || HQR || FourSeason Villain || Go Straight || || - || - || - || 대진조는 오전조와 오후조로 나뉘어 현장에서 추첨을 통한 조 지명 방식으로 구성된다. 지난 시즌 무작위 방식에 대한 문제점을 인식했는지 이번 시즌은 조 지명 방식으로 조 추첨이 진행된다. 따라서 [[수어사이드 스쿼드|너 죽고 나 죽자]]가 아니라면 무난히 올라올 팀이 올라올 것으로 예상'''됐'''다. 다만 8강 진출 3팀을 뽑는 오후조엔 FourSeason Villain, Tempest, RoMg, [[RAVE HOTS]] 등 네임드 선수들이 속한 팀이 4팀이나 있기에 부득이하게 한 팀의 탈락의 고배를 마실 수밖에 없어 팬들의 집중은 오후조에서 어느 팀이 떨어지냐에 쏠려 있었다. '''그런데...''' ==== 결과 및 총평 ==== ||
'''{{{#ccffff 조}}}''' || '''{{{#ffd700 1위 (본선 진출)}}}''' || '''{{{#c0c0c0 2위}}}''' || || A조 || '''Mighty''' || YangBan || || B조 || '''TAS''' || Frost Starry Sky || || C조 || '''DsA''' || FourSeason Hero || || D조 || '''RoMg''' || Bounty hunter || || E조 || '''RAVE HOTS''' || POW || || F조 || '''Tempest''' || Sunbi || 오전조에서 충격적인 소식이 들려왔다.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슈퍼리그 2016 시즌 1|지난 시즌]] 3위를 기록한 [[FourSeason Hero]][* 前 Team Hero]가 예선에서 DsA를 만나, 탈락하여 본선 무대를 못 밟게 됐다는 것. 그냥 팀도 아니고 지난 시즌 3위를 기록했던 팀의 예선 탈락 소식은 팬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 소식이 전해지자 커뮤니티에서는 [[OGN]]을 향한 분노의 목소리가 빗발쳤다. 하지만 지난 시즌과 다르게 이번 오프라인 예선은 '''무작위 방식이 아닌 조 지명 방식'''으로 진행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대진이 예선에서 만들어진 이유는 '''오전조에 기권하며 참가하지 않은 팀이 무려 5팀이나 됐기 때문이다!''' 당시 커뮤니티에선 지난 시즌과 마찬가지로 무작위 추첨 방식으로 알고 있던 사람이 대부분이었고, 이에 화실이 OGN으로 쏠렸던 것이다. 그래도 다행히 오후조에서는 시즌 1처럼 한 조에 세 팀의 프로 및 준프로가 배정되는 참사가 일어나진 않았다. --하지만 Hero에 이어 Villain 마저...-- 하지만 오후조에서 하필이면 Villian이 탈락하며 이번 시즌은 FourSeason 두 팀 다 볼 수 없게 됐다. --지영훈 감독 지못미-- Villian은 신생 팀이기에 그럴 수도 있다 생각되지만 여러모로 지난 시즌 3위였던 Hero의 탈락은 큰 충격일 수밖에 없다. 더욱이 FourSeason 두 팀 전부 탈락하면서 Hero 탈락의 아쉬움은 배가 됐다. 그래도 대부분 한동안 게임을 쉬었던 선수들로 구성된 DsA가 Hero를 꺾었단 사실에 이 팀에 대한 기대가 주목된다. 이러나저러나 지난 시즌에 이어 이번 시즌도 오프라인 예선에서 문제가 발생하고 말았다. 1천만 원이 걸린 예선 치고는 너무 부실하다. 아닌 게 아니라 대진 운에 따라 한 경기만 이겨도 1천만 원을 꽁으로 얻을 수 있다. 결국 문제의 원인은 기권 팀에게 있다고 해도, 부실하게 예선을 계획하고 진행한 OGN도 비난을 피할 순 없다. 굳이 [[토너먼트(스포츠)|싱글 엘리미네이션]]을 고집할 필요가 있었냐는 것이다. 가뜩이나 참가 팀 수도 적어 애초 계획된 일정을 축소해가며 말이다. 예선은 본선 무대를 가기 위한 최고의 여덟 팀을 뽑는 자리가 돼야 하는데 현행 방식은 그러기 위한 변별력이 너무 떨어진다. 지난 시즌, [[1.4|특정 팀]]이 과도하게 욕을 먹었던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더욱이 어떤 [[Heroes of the Storm Global Championship|글로벌 챔피언십]] 지역 예선보다도 큰 상금을 놓고 벌이는 세계 최고 규모의 히어로즈 대회임에도 불구하고 예선 진행은 가장 허접하다 못해 허무할 지경이다. 변별력을 높이고 이러한 문제를 막기 위해선 [[북미]]나 [[유럽]]처럼 여러 차례 예선을 치러 본선 진출 팀을 가려내거나, 이는 아니어도 [[더블 엘리미네이션]]으로 예선 방식으로 바꿨어야 했다는 목소리가 많다. 또한 아마추어 팀들에게도 기회를 열어주는 것은 좋지만 아마추어 팀들의 무책임한 행동 때문에 대회의 질이 떨어지는 것도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아마추어 팀들의 무책임한 행동에 대한 책임을 묻는 것도 필요하단 목소리가 많다. 재미 삼아 참가했다 배알에 안 맞아 쉽게 기권해버리는 것이 계속 반복되는 것은 대회 흥행에 크나큰 방해요소가 될 수밖에 없다. 물론 대회 중간 룰을 바꾸는 것도 바람직한 일은 아이다. 하지만 OGN은 수많은 [[e스포츠]] 대회를 주관해봤던 경험이 있는 게임 전문 방송국이고, 슈퍼리그도 이미 두 번의 시즌을 진행해봤던 만큼 이러한 문제는 사전에 예상하여 진행할 수 있었지 않냐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OGN 정도의 경험이면 충분히 예상 범위 안의 일들이고, 충분히 대비하여 좀 더 전문적이고 매끄럽게 진행할 수 있었음에도 그러지 못했다는 것에 진한 아쉬움이 남는 것이다. 그래도 좋게 생각하자면 조금씩이나마 지난 시즌보다 나아지고 있다는 점이 고무적이랄까... 일각에선 이에 상금 규모를 축소하잔 목소리도 심심찮게 나오고 있다. 하지만 이는 결코 장기적으로 좋은 대안이 아니다. 예선이 부실하게 치러지는 데에는 [[히오스]] 판이 점점 열약해지면서 참가 팀 자체가 주는 것도 한몫하는데 이 대안은 아싸리 히오스 프로 판의 성장 동력을 줄여 그 문제를 고착화 시키잔 얘기밖에 안된다. 당장은 대회 규모에 맞는 수준이 아닐지라도 규모에 맞는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노력을 해야지, 수준에 맞게 규모를 줄이는 것은 정말로 근시안적인 해결 방안이 아닐 수 없다. == 본선 == === 본선 진출 팀 및 소속 선수 === ||
{{{#ccffff '''시드''' }}} ||<-2> {{{#ccffff '''프로게임단''' }}} || {{{#ccffff '''선수''' }}} || {{{#ccffff '''역할''' }}} || ||<|5>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슈퍼리그 2016 시즌 1|슈퍼리그[br]시즌 1[br]우승]] ||<|5> [[파일:MVP_logo.png|width=80px]] ||<|5> [[MVP(프로게임단)/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MVP Black]] ||'''이중혁 (Sake)'''||암살자|| ||정원호 (KyoCha)||올라운더|| ||이태준 (merryday)||지원가|| ||이재원 (Rich)||전사/암살자|| ||윤지훈 (Sign)||전사|| ||<|5>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슈퍼리그 2016 시즌 1|슈퍼리그[br]시즌 1[br]준우승]] ||<|5> [[파일:TNL_logo.png|width=80px]] ||<|5> [[TNL]] ||'''한기수 (Cmoving)'''||암살자|| ||[[김승철]] (sCsC)||전사/암살자|| ||[[채도준]] (Noblesse)||전사|| ||[[권태훈]] (Sniper)||올라운더|| ||박재현 (Jaehyun)||지원가|| ||<|35> 예선[br]통과 ||<|5> [[파일:Mighty_logo.png|width=80px]] ||<|5> [[Mighty/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Mighty]] ||백찬형 (Pang)||올라운더|| ||고두현 (DDuDDu)||암살자|| ||손준영 (Kong)||올라운더|| ||이현우 (ZZANG)||지원가|| ||김주형 (JOKER)||전사|| ||<|5> ||<|5> TAS ||허현진 (GGaMang)||올라운더|| ||정해빈 (HaeBiN)||전사|| ||전원 (L1on)||전사|| ||이준희 (OnyXian)||지원가|| ||이성우 (Sungwoo)||암살자|| ||<|5> [[파일:Team_DsA_logo.png|width=80px]] ||<|5> DsA ||강운성 (ttsst)||전사|| ||임진우 (reset)||올라운더|| ||김병관 (kinnu)||지원가|| ||김동영 (bdg)||올라운더|| ||박진수 (nachojin)||올라운더|| ||<|5> [[파일:ROMG_logo.png|width=80px]] ||<|5> RoMg ||윤상원 (SWoN)||전사/암살자|| ||문성현 (Good)||전사|| ||'''김지문 (Mdk)'''||지원가|| ||김준형 (ePrime)||올라운더|| ||정재엽 (Frankle)||암살자|| ||<|5> [[파일:RAVE_HOTS_logo.png|width=80px]] ||<|5> [[RAVE HOTS]] ||김윤후 (Hidden)||전사|| ||'''서상훈 (Hamelin)'''||올라운더|| ||김정민 (Jfeel)||지원가|| ||노정래 (Nmx31)||암살자|| ||길덕형 (Gilduck)||올라운더|| ||<|5> [[파일:Tempest_logo.png|width=80px]] ||<|5> [[Tempest(프로게임단)|Tempest]] ||진경환 (Hide)||지원가|| ||이대형 (Hongcono)||전사|| ||박주닮 (dami)||전사/암살자|| ||진재훈 (Lockdown)||전사/암살자|| ||김경덕 (duckdeok)||올라운더|| === 경기 일정 === [[파일:external/img.lifestyler.co.kr/Y5S3HZIPBBY7NC1URXAF.jpg|width=100%]] === 경기 일람 === ||<-3>
{{{#ccffff '''HOT6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슈퍼리그 2016 시즌 2 경기 일람'''}}} || || [[HOT6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슈퍼리그 2016 시즌 2/8강 A조|'''8강 A조''']] || [[HOT6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슈퍼리그 2016 시즌 2/8강 B조|'''8강 B조''']] || || [[HOT6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슈퍼리그 2016 시즌 2/4강|'''4강''']][* 각 조 승자전 진출자와 최종전 진출자의 대진으로 시작하는 듀얼 토너먼트] || [[HOT6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슈퍼리그 2016 시즌 2/결승|'''결승''']][* 4강 승자전 진출자와 최종전 진출자의 대전] || ==== 그룹 스테이지 조 편성 ==== ||<-4> {{{#white '''Quarter Finals'''}}} || ||<-2> '''Group A''' ||<-2> '''Group B''' || || [[파일:MVP_std.png]] || [[MVP Black]] || [[파일:TNL_std.png]] || [[TNL]] || || [[파일:Mighty_std.png]] || [[Mighty/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Mighty]] || [[파일:Tempest_std.png]] || Tempest || || [[파일:ROMG_std.png]] || RoMg || [[파일:Team_DsA_std.png]] || DsA || || [[파일:RAVE_HOTS_std.png]] || [[RAVE HOTS]] || || TAS || ||<-4> {{{#ffd700 ■}}} 4강 진출 팀 || == 결과 == ||<-6> {{{#ccffff '''HOT6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슈퍼리그 2016 시즌 2 최종 순위'''}}} || || {{{#ffffff '''순위''' }}} || {{{#ffffff '''프로게임단''' }}} || {{{#ffffff '''경기 전적''' }}} || {{{#ffffff '''세트 전적''' }}} || {{{#ffffff '''비고''' }}} || || '''우승''' || Tempest || 5승 2패 || 15승 8패 || [[Heroes of the Storm 2016 Summer Global Championship|[[파일:Battlenet_logo_small.png]]]] || || 준우승 || [[MVP Black]] || 4승 1패 || 12승 5패 || [[Heroes of the Storm 2016 Summer Global Championship|[[파일:Battlenet_logo_small.png]]]] || || 3위 || [[TNL]] || 3승 2패 || 10승 7패 || || || 4위 || [[Mighty/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Mighty]] || 2승 3패 || 9승 11패 || || ||<|2> 5~6위 || DsA || 1승 2패 || 4승 6패 || || || RoMg || 1승 2패 || 3승 7패 || || ||<|2> 7~8위 || [[RAVE HOTS]] || 0승 2패 || 1승 6패 || || || TAS || 0승 2패 || 0승 6패 || || == 총평 == '''폭풍우, [[MVP Black|암흑의 시대]]를 종결시키다''' 예상을 뒤엎고 Tempest가 그야말로 소년만화같은 스토리로 우승을 차지했다. Tempest의 우승으로 소년만화같은 스토리같은 대회지만 강팀과 약팀의 실력차는 너무 심하게 났던게 문제 우선 단 한번도 풀세트가 나온적이 없었다 대부분 3대0 스왑이 대부분이고 잘해봐야 3대1 그 3대1도 이긴팀이 2대0으로 이기다가 방심해서 한세트 내주거나 1경기에서 손이 덜풀려서 패배하고 나머지 세트를 내리가져가는 전개가 대부분이 었다 그리고 영웅 밴픽도 저번 시즌보다 다양하지 못하다는 평도 많은편 물론 저번시즌에는 거의 나오지못했던 [[아서스(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아서스]], [[타이커스(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타이커스]], [[렉사르(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렉사르]]등의 등장은 환영할만하나 신규캐릭터들인 [[데하카(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데하카]]는 단 한번 나왔고 대회도중 추가된 [[트레이서(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트레이서]]와 [[크로미(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크로미]]는 한번도 나오지 못했다 저번시즌에 추가되자마자 대회에 바로 등장했던 [[리밍(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리밍]]이나 [[줄]]이랑은 대조적 == 사건사고 == == 인포그래픽 == [[파일:external/lh3.googleusercontent.com/ts_info-hots-ognsuperleaguev3.png|width=100%]] ~~굴림체의 압박~~ [[분류: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대회]][[분류:글로벌 챔피언십 서킷]][[분류:O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