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항공기]][[분류:대한항공]][[분류: 에어버스]] [목차] [[파일:HL7611.jpg|width=100%]] == 개요 == [[파일:FIRST380.jpg]] [* 옆에 있는 항공기는 [[아시아나항공]]의 첫번째 A380, HL7625이다.] HL7611은 [[대한항공]]이, 더 나아가 [[대한민국]] 국적 항공사가 처음으로 도입한 [[A380]]이다. 생산번호는 035이며 기종은 A380-861이다. 좌석수는 407석이다. == 제작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OhCWblKT6Ac)]}}} || || {{{#ffffff '''조립 과정'''}}}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J3lv4xTuRwQ)]}}} || || {{{#ffffff '''도색 과정'''}}}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gFYLkgSIJvI)]}}} || || {{{#ffffff '''좌석 배치 과정'''}}}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zUB_49gnrFA)]}}} || || {{{#ffffff '''비행 영상'''}}} || [* 제작 영상들은 공식 에어버스 영상에 없다. 이 영상들은 항공정비사 워너B의 영상들이다. 참고로 한 외국인도 제작과정을 이 영상들이 올려진 후 제각과정을 올렸는데, 말에 따르면 제작과정 영상들이 없어졌다가 어디서 겨우 찾았다고 한다. 참고로 두 사람이 낸 제작과정이 영상과 음악이 완전히 일치하는 걸 봐서는 에어버스가 업로드 한 것을 쓴것 같다.] 원래 대한항공은 A380 5대를 주문했지만, 2003년, 총 10대로 주문했다. 2010년 HL7611의 제작이 시작되었다. HL7611은 MSN 035를 받고 2011년 제작 완료 되었고 임시 번호로 F-WWAT를 받았다. [[5월 24일]], 프랑스에서 인수식이 거행되었으며 6월 17일 첫 상업 비행을 마쳤다.[* 비행노선은 [[나리타]] 노선이였다.] == 현황 == 2020년 3월 [[샤를 드골 국제공항]]에서 [[인천 국제공항]]으로 마지막 비행을[* 아직 완전 마지막이 비행이라기에는 애매하다.] 마친 후 [[코로나 19]]로 인해 [[2023년]] 현재까지도 주기중이다. 일부 대한항공 A380들은 운항에 복귀했지만[* 심지어 [[땅콩회항]] 기체인 HL7627도 현재 운행중이다.] HL7611을 비롯한 몇몇 A380들[* HL7612, HL7613, HL7615.]은 여전히 인천공항에 주기중이다. 언제 다시 운항을 재개할지는 불명이나 대한항공이 2026년까지 모든 A380을 퇴역시킨다고 공언했으므로 이대로 퇴역시킬 가능성도 있다. 다만 대한항공이 A380들을 서서히 복귀시키고 있으므로 언젠가 다시 운항할 가능성도 아예 없진 않다. == 기타 == * 도입 당시 마케팅의 일환으로 [[독도]] 상공에서 시험비행을 진행하기도 했다. 자세한 것은 [[대한항공 A380 독도 시범비행]] 문서 참고. * 2011년 7월 22일, [[나리타 국제공항]]에 착륙 도중 측풍으로 인해서 4번 엔진이 조금 긁히게 되었다. 큰 사고는 아니어서 다행이나 자칫하면 [[페덱스 익스프레스 80편 착륙 사고]] 처럼 동체가 뒤집힐수도 있었다. [[대한항공]]의 문제는 아니고 [[나리타 국제공항]]의 문제다. 거기에 활주로까지 페덱스의 그 활주로랑 동일하다. == 모형화 == [[파일:이거 모형히다 라고 그러더라구~.png]] 대한항공 공식 웹사이트에서 1:100, 1:200, 1:1000 비율의 ABS 모형으로 모형화되어 판매하고 있다.[* 이외에도 미니 A380 자석도 같이 있었다.] 그외에도 JC 윙스와 피닉스에서 1:200, 1:400 스케일의 [[다이캐스트 모형]]으로 판매하였으나 현재 단종되어 시세가 크게 오른 상태이다. == 관련 문서 == * [[대한항공]] * [[A380]] * [[융비호]] - 이쪽은 대한항공이 첫 번째로 주문한 [[보잉 747|747]]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