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www.cobra.fr/HD_Ready.jpg|width=480]] [목차] == 개요 == DTV 초창기 디지털 방송 수신은 안 되는데 16:9 1280x720p, 4:3 1440x1080i 해상도의 HD급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TV]]의 규격명칭(?) 이다. 그래서 HD 방송이 본격적으로 시행될 때 전환을 준비하라고 Ready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과거의 와이드 TV랑 다르게 아날로그 영상 업스케일링 기능이 있다. 480p/i(NTSC), 576p/i(PAL) 해상도의 SD급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TV의 명칭은 SDTV이고, 그보다 낮은 해상도의 영상만 출력할 수 있는 TV는 EDTV라고 따로 있으니 주의. 구분 방법은 삼성 제품 기준 TV 프레임에 Digital이라고 적혀 있을 경우 SDTV다. == 기술 상세 == === 출력 해상도(컴포넌트, DVI, RGB) === * 320×240 4:3 * 640×480 4:3 * 720×480i/p * 800×600 4:3 * 854×480 16:9 [*HDMI 출력 가능] * 1024×768 4:3 * 1152×864 4:3 * 1280×1024 5:3 * 1280×720p[*HDMI ] 16:9 * 1366(1360)×768 16:9 * ★1440×1080i/[*HDMI ] 4:3 ★는 일부 제품에서 출력할 수 있는 해상도 === 입력 단자 === * 컴포지트 * 컴포넌트(DTV/DVD전용)/D단자(일본 내수용) * AV マルチ(일본 내수용 SONY) * HDMI: 없는 경우도 있다. * DVI: 이쪽도 없는 경우가 있다. * RGB(D-SUB) * S-VIDEO(S-영상, S-단자): 없는 모델도 있지만 대부분 달려있다. == 문제점 == 기존의 HDTV와는 다르게 아날로그 방송만 지원하면 초창기엔 문제가 없겠지만 본격적으로 시행될 쯤에 문제가 생겨 버렸다. 셋톱박스 설치 기사들이 은근히 고생하는 부분인데, 특히 브라운관 모델은 화면비가 4:3에 HD Ready라는 걸 알리는 로고를 깨알같이 작게 표시해놓은 경우가 많아 잘못하면 일반 TV로 착각하는 경우가 잦아서 [[컴포넌트|컴포'''넌트''']]로 연결해야 할 것을 [[컴포지트|컴포'''지트''']]로 연결하는 경우가 부지기수. 컴포넌트는 휘도 신호와 두 색차 신호를 세 케이블로 나눠서 보내기에 HD급 화질을 전송할 수 있으나, 컴포지트는 휘도 신호와 색차 신호를 한 케이블로 전송하기에 화질도 안 좋으며, 열화도 심하다. 16:9 모델은 웬만하면 착각하는 경우가 없다. 반대로 90년대 854x480 해상도 와이드 TV를 HD급으로 착각하는 경우는 많다. 결국 설치 기사에게 미리 말하거나 아예 자기가 직접 설치해야 한다. 특히 [[스카이라이프]]쪽은 안테나도 설치해야 해서 더 번거롭다. --물론 DCS가 나와서 전보다 편하지만...-- 물론 HD ready는 1366x768 or 1440x1080i가 최대 해상도라서 일부러 저렇게 연결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런 경우가 잘 없다. 중고나라 등을 검색해서 나오는 대부분 HD급 브라운관 TV가 1440x1080i를 지원한다. 그리고 화면비가 4:3과 16:9로 나뉘어져 있어서 혼동을 배로 증가 시킨다. 특히 프로젝션 브라운관 모델은 HD, 그러니까 1080i급 영상 출력을 미지원하는 모델들 때문에 설명서를 보지 않는이상 제대로 알기가 힘들다.--물론 설명서는 오래전에 버렸을 테지만-- 거기다가 16:9 모델이라면? 셋톱박스를 설치하지 않는 이상 좌우로 늘어난 화면을 2013년 1월 1일 오전 3시 59분 59초까지 봐야 했다! 브라운관 기준 더 무거워서 셋톱박스를 설치하기가 더 힘들다. 게다가 디지털 콤필터로 HD급 색상을 재현한다는 것도 단순히 색조정으로 보정시킨 것일 뿐이다. 쉽게 말하면 색감 리터칭으로 업스케일링 한 거라서 아날로그 특유의 흐리멍텅한 화질은 없어지진 않는다. HDMI가 '''없는''' HD Ready TV로는 [[UHD]]방송을 시청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런 TV들은 2027년 이후엔 (별도의 컨버터를 쓰지 않는다면) 무용지물이 될 확률이 높다. 거기다가 셋톱박스 업체들은 너무 경량화에만 치중되어있어 HD Ready TV 보유자에게 리스크를 안겨줄 수도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은 [[2017년]]부터 벌써 UHD 방송을 개시하였으며 그나마도 2017년 국내출시 모델만이 별도의 셋탑박스 없이 [[ATSC]] 3.0 기반의 UHD 방송을 시청 가능하다.[* 물론 테라베이의 HDMI 분배기를 쓰면 타사 수상기도 시청할 수 있지만 오디오는 광 입력 스피커를 따로 사야한다(...)] [[분류:화상 규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