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JR 홋카이도|[[파일:JR 홋카이도 로고.svg|height=15]]]] {{{#!wiki style="margin: -10px -10px" || {{{#2CB431 '''JR 홋카이도 {{{+1 H100형 동차}}}'''[br]{{{-1 JR北海道}}} H100 気動車[br]{{{-1 JR Hokkaido}}} H100形 Series}}} ||}}} || ||<-3> [[파일:H100.jpg|width=100%]] || ||<-3> {{{#2CB431 외형}}} || ||<-3> '''차량 정보''' || || '''열차 형식''' ||<-2> 간선철도 입선용 일반형 [[디젤동차]] || || '''구동방식''' ||<-2> 디젤 [[동력분산식]] 열차 || || '''편성대수''' ||<-2> 1량 1편성 || || '''도입년도''' ||<-2> [[2018년]] ~ || || '''제작회사''' ||<-2> [[가와사키 차량|[[파일:가와사키 중공업 로고.svg|width=130]]]] || || '''소유기관''' ||<-2><|2> [[JR 홋카이도|[[파일:JR 홋카이도 로고.svg|width=220]]]] || || '''운영기관''' || || '''차량기지''' ||<-2> [[나에보 운전소]][br][[아사히카와 운전소]][br][[토마코마이 운전소]][br][[쿠시로 운수차량소]] || ||<-3> '''차량 제원''' || || '''전장''' ||<-2> 20,000㎜ || || '''전폭''' ||<-2> 2,800㎜ || || '''전고''' ||<-2> 3,635㎜ || || '''궤간''' ||<-2> 1,067㎜ || || '''신호장비''' ||<-2> ATS-Dn || || '''차체''' ||<-2> 경량 스테인리스 || || '''동력전달방식''' ||<-2> 전기식 || || '''대차''' ||<-2> N-DT100[br]N-TR100 || || '''최고속도''' ||<-2> 100km/h || || '''기동 가속도''' ||<-2> 1.1㎞/h/s (0→60㎞/h) || [목차] [clearfix] == 개요 == [[JR 홋카이도]]에서 노후된 [[키하 40계 동차]]의 대체를 목적으로 도입한 일반형 디젤동차로, [[JR 동일본]]의 [[GV-E400계 동차]]와 기본 설계는 동일하되 혹한 지역 대책 등의 사양 변경이 이루어지고 있다. GV-E400계와 마찬가지로 2018년부터 [[가와사키 중공업]]에서 제조하였으며, GV-E400계와 달리 H100형은 단량 편성만 존재한다. 2020년 3월 14일 시각표 개정과 함께 영업운전을 개시하였다. DECMO라는 공식 애칭이 존재하긴 하나, 이 열차의 출입문과 객실 사이에 문이 없어 혹한기에는 칼바람이 그대로 객실로 들어온다는 문제점 때문에 동호인들은 공식 애칭보다는 [[카무이(열차)|슈퍼 카무이]]에서 유래한 매우 춥다는 뜻의 '''슈퍼 사무이'''(スーパーサムイ)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구형 동차가 연두색 + 연보라색으로 도색된 데 비해 이 동차는 연두색 + 노란색으로 도색되었는데, 눈에 잘 보이기 위한 경계색이라 한다. 홋카이도는 야생동물이 많기에 야생동물 충돌 방지를 위해서인 것으로 추정된다. == 도입 선구 == [[2020년]] [[3월 14일]] 다이어 개정으로 [[하코다테 본선]] [[오타루역|오타루]] - [[오샤만베역|오샤만베]] 구간에 처음 투입이 시작되었으며, [[2021년]]에는 [[소야 본선]]의 [[아사히카와역|아사히카와]] - [[나요로역|나요로]], [[무로란 본선]] 전 구간에 투입되었다. [[2022년]]에는 [[네무로 본선]] [[신토쿠역|신토쿠]] - [[쿠시로역|쿠시로]] 구간, [[세키호쿠 본선]]의 [[아사히카와역|아사히카와]] - [[카미카와역|카미카와]] 구간의 투입이 시작되었고, 그 다음 해에는 [[네무로 본선]]의 [[쿠시로역|쿠시로]] - [[네무로역|네무로]] 구간과 [[후라노선]]에 투입되며 점점 국철 시대의 차량들을 대체해가는 중이다. 그 외에도 [[2022년]]부터 홋카이도의 로컬선을 테마로 한 특별차량 역시 도입하고 있다. 2022년에는 [[센모 본선]], [[하나사키선]], [[세키호쿠 본선]], [[후라노선]] 컨셉 편성이 도입되었고, 이후 [[무로란 본선]], [[히다카 본선]], [[네무로 본선]], [[소야 본선]] 편성이 추가로 도입될 예정이다. 이 차량들은 관광열차 겸용으로 투입되는 열차이기 때문에, 추후 [[유빙이야기호]] 같은 열차에 투입될 가능성 역시 존재한다. 현재 투입되는 선구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하코다테 본선]] [[오샤만베역]]~[[오타루역]] * [[소야 본선]] [[아사히카와역]]~[[나요로역]] * [[세키호쿠 본선]] [[아사히카와역]]~[[카미카와역]] * [[무로란 본선]] [[오샤만베역]]~[[토마코마이역]], [[히가시무로란역]]~[[무로란역]] * [[네무로 본선]] [[신토쿠역]]~[[네무로역]] == 관련 문서 == * [[일본 철도 정보]] * [[일본의 철도 차량 목록]] * [[JR 홋카이도]] * [[디젤동차]] [[분류:일본의 철도차량]][[분류:JR 홋카이도]][[분류:2018년 출시]][[분류:나무위키 일본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