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파일:5ARYZvK4L2afx8AcWcf6kF-1.jpg|width=60]] {{{+1 '''[[로큰롤 명예의 전당|{{{#DAA520 로큰롤 명예의 전당}}}]] {{{#DAA520 헌액자}}} ''' }}} || ||<-2><^|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ffd700 이름}}}''' || '''{{{#ffd700 그랜드마스터 플래시 앤 퓨리어스 파이브[br]Grandmaster Flash and the Furious Five}}}''' || || '''{{{#ffd700 헌액 부문}}}''' || '''{{{#ffd700 공연자 (Performers)}}}''' || || '''{{{#ffd700 멤버}}}''' || '''{{{#ffd700 Melvin “Mele Mel” Glover[br] Nathaniel “The Kidd Creole” Glover Jr.[br]Eddie “Scorpio aka Mr. Ness” Morris[br]Joseph “Grandmaster Flash” Saddler[br]Keith “Keef Cowboy” Wiggins[br]Guy “Rahiem” Williams}}}''' || || '''{{{#ffd700 입성 연도}}}''' || '''{{{#ffd700 2007년}}}''' || || '''{{{#ffd700 후보자격 연도}}}''' || '''{{{#ffd700 2005년}}}''' || || '''{{{#ffd700 후보선정 연도}}}''' || '''{{{#ffd700 2005년, 2006년, 2007년}}}''' ||}}}}}}}}} || ---- [include(틀:역대 그래미 평생 공로상 수상자)]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항목=1980년대 아티스트,순위=54)] ---- '''Grandmaster Flash and the Furious Five''' [목차] == 개요 == 그랜드마스터 플래시 앤 더 퓨리어스 파이브(Grandmaster Flash and the Furious Five)는 미국의 힙합 그룹이다. == 상세 == 1980년대 초 난잡하게 있었던 힙합 그룹들 중 하나로 치부할 수도 있지만, [[The Message]]라는 역사상 최초의 컨셔스 랩을 했다는 점에서 다른 그룹들과는 차원이 다른 공로를 인정받고 있다.[* 다만 이 노래는 그랜드마스터 플래시가 아닌, 멤버 멜리 멜이 작사, 작곡 혼자서 거의 다 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단 우울했던 멜리 멜의 데모를 듣기 좋게 믹싱한건 그랜드마스터 플래쉬다.] 또한 멤버인 멜리 멜과 그랜마스터 플래쉬는 이후 힙합 아티스트들에게 큰 영향을 미친 선구자들로 평가받기도 한다. 이러한 점을 인정받아서 힙합 장르 아티스트들 중 최초로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입회했고 그래미 어워드 평생 공로상 수상자에 선정되었다. === 멤버 === * [[Melle Mel]]- 본명 멜빈 글로버(Melvin Glover) The Message를 혼자서 만든 사람. 해당 곡 말고도 초기 랩에 많은 영향을 미친 힙합의 선구자들 중 하나로 평가받기도 한다. 1980년대 중반 [[Run-D.M.C.]], [[LL Cool J]]와 함께 [[힙합 음악]]의 대중화에도 크게 기여했는데 1984년에 피처링으로 참여한 [[샤카 칸]]의 노래 [[I Feel for You]]가 [[빌보드 핫 100]]에서 3위, [[1985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에서 5위를 기록하는 공전의 히트를 거두었다. * The Grandmaster Flash - 본명 조제프 새들러(Joseph Saddler) '퀵 믹스 이론'이란 테크닉을 개발했다[* 똑같은 레코드를 두 개의 턴테이블에 각각 놓고 레코드의 절정 부분을 반복해서 재생하는 기법이다.]. 디제잉계의 선구자로 불리기도 하나, Scorpio에 따르면 그룹에 대한 기여는 거의 없었다고 한다. 실제로 그룹의 대표곡 The Message에도 그의 참여는 사실상 없는 수준이다. * Keef Cowboy - 본명 로버트 키스 위긴스(Robert Keith Wiggins) 래퍼로써 눈에 띄는 활동은 없었으나 무려 [[힙합]][* 입대하는 친구에게 이제 힙합힙합하고 걷겠네라는 드립을 쳤는데 그 드립이 흥하면서 믹스소스로 쓴 것이 유래라고 한다.]이라는 용어를 창시한 인물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1989년에 마약 중독으로 사망했다. * The Kidd Creole- 본명 나다니엘 글로버(Nathaniel Glover) Melle Mel 의 형제이지만 [[1988년]] 이후 가수로 활동한 기록이 없다 [[2017년]] 에 [[뉴욕시]] 에서 노숙자 존 졸리(John Jolly)를 살해한 혐의로 기소되어 유죄 판결을 받았다. 그의 유죄 판결에 대해 Melle Mel 이 그는 자신을 괴롭히는 미친(Deranged) 부랑자를 상대하다 죽였을 뿐인데 나쁜 목적의 살인자처럼 대하는 미국의 사법 제도에 강한 불만을 나타냈다. 그러나 조사 결과 그가 살해한 노숙자는 비무장 상태였기에 그에게 큰 위협을 끼칠 수 없었을 것이라고 한다. * Scorpio - 정보는 별로 없으나 [[XXL]]과 한 여러 인터뷰가 존재하긴 하다. * Rahiem - Funky 4 MCs라는 그룹의 전 멤버였다는 것을 제외하면 정보가 별로 없다. [[분류:동부 힙합 그룹]][[분류:1978년 결성된 음악 그룹]][[분류:6인조 음악 그룹]][[분류:아프리카계 미국인]][[분류:로큰롤 명예의 전당 헌액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