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오아시스(밴드))] ||<-5> {{{#fff '''오아시스의 싱글'''}}} || || [[Don't Go Away|{{{#000,#fff Don't Go Away}}}]][br]{{{-2 1998}}} || → || [[Go Let It Out|{{{#000,#fff Go Let It Out}}}]][br]{{{-2 2000}}} || → || [[Who Feels Love?|{{{#000,#fff Who Feels Love?}}}]][br]{{{-2 2000}}} || ||<-2><#527068> '''{{{#ffffff {{{+1 Go Let It Out}}}}}}'''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ab67616d0000b273b879a9eebf6ed2bb2ccabdd3.jpg|width=100%]]}}} || || '''발매일''' ||[[2000년]] [[2월 7일]] || || '''녹음''' ||[[1999년]]|| || '''B-Side''' ||"Let's All Make Believe"[br]"(As Long as They've Got) Cigarettes in Hell" ||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7518C; font-size: .9em" [[Standing on the Shoulder of Giants|{{{#fff '''Standing on the Shoulder of Giants'''}}}]]}}} || || '''장르''' ||[[사이키델릭 록]] || || '''재생 시간''' ||4:38 || || '''프로듀서''' ||[[노엘 갤러거]], 마크 스텐트 || || '''레이블''' ||[[에픽 레코드]], 빅 브라더 레코딩, 헬터 스켈터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f_v_5yjme3Y,height=2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6X0rOC32AA,height=200)]}}} || || '''4집 앨범 버전''' || '''공식 HD 리마스터 비디오''' || ||<#fff>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t6q2kPCBBwU, height=200)]}}} ||<#fff>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7m9fHIK2rTI, height=200)]}}} || || '''2000년 웸블리 라이브''' || '''2002년 베를린 라이브''' || ||<#000>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Gj5cgp6qdLE, height=200)]}}} ||<#000>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JO0y-RDsRJU, height=200)]}}} || || '''2002년 도쿄 MTV''' || '''2018년 하플버 한국 내한''' || == 상세 == 4집 곡 중 처음으로 발매된 싱글곡으로 UK 싱글 차트 1위를 기록했다. 전형적인 오아시스 트랙이지만 어쿠스틱 기타와 [[멜로트론]], '[[폴 매카트니]] 풍' 베이스 라인이 두드러지는 등 변화가 드러난다. 뮤직 비디오에서는 [[앤디 벨]] 대신 [[노엘 갤러거]]가 베이스를 치는데 이 비디오를 찍을 당시 앤디가 아직 가입하지 않은 상태였기 때문. 또한 Songbird와 더불어 유이하게 [[리암 갤러거]]가 어쿠스틱 기타를 치면서 노래를 부르는 모습이 나오는 영상이기도 하다. --그렇지만 초지일관 가장 치기 쉬운 A코드만 갈겨댄다--. 가사는 대놓고 다른 곡 여기 저기에서 베끼고 갖다붙여다 만들어서 앞뒤가 맞지 않는다. 곡의 내용 자체는 당시 영국에서 이슈였던 왕족들 문제로 왕족들의 위선을 까는 내용이다. 싱글에는 B사이드 트랙으로 '잃어버린 명곡'인 Let's All Make Believe와 [[http://youtu.be/pv1ohi3AhWc|(As Long as They've Got) Cigarettes in Hell]]이 실려있다. 또한 이 싱글은 빅브라더 레코딩스의 이름으로 발매된 첫번째 앨범이기도 하다. 코드 네임은 RKID 001. == 가사 == ||<:> '''{{{+4 Go Let It Out}}}''' Paint no illusion, try to click with what you got 상상하지만 말고, 그 상상을 파악하려 해봐 Taste every potion cause if you like yourself a lot 자기자신을 너무 사랑한다면 모든 약을 맛볼 수밖에 없어 Go let it out, go let it in, go let it out 내보내고, 받아들여, 그리곤 내보내 Life is precocious in the most peculiar way 인생은 가장 기이한 방법으로 성장해 Sister psychosis don't got a lot to say 자매의 정신병은 더욱 말할 나위 없지 She go let it out, she go let it in, she go let it out 그녀는 내보내고, 받아들이지, 그리곤 내보내지 She go let it out, she go let it in, she go let it out 그녀는 내보내고, 받아들이지, 그리곤 내보내지 Is it any wonder why princes & kings 왕자와 왕들이 왜 톱밥으로 만든 반지를 끼고 Are clowns that caper in their sawdust rings 광대 역할을 하며 뛰어다니는지 아니? Ordinary people that are like you and me 왜냐면 너와 나 같은 평범한 사람들은 We're the keepers of their destiny 그들의 운명을 지켜주기 때문이야 I'm going leaving this city, 나는 이 도시를 떠날 거야 I'm going drivin' out a town 차 타고 이 마을에서 벗어나는 거지 Your coming with me 너는 나와 같이 가는거야 the right time is always now 옳은 시간은 언제나 지금이니까 To go let it out, go let it in, go let it out 내보내고, 받아들여, 그리곤 내보내 To go let it out, go let it in, go let it out 내보내고, 받아들여, 그리곤 내보내 Is it any wonder why princes & kings 왕자와 왕들이 왜 톱밥으로 만든 반지를 끼고 Are clowns that caper in their sawdust rings 광대역할을 하며 뛰어다니는지 아니? Ordinary people that are like you and me 너와 나 같은 평범한 사람들은 We're the builders of their destiny 그들의 운명을 만들어주기 때문이야 So go let it out - go let it in 그러니 내보내고 - 받아들여 Go let it out 내보내 don't let it in 받아들이지 마 Go let it out 내보내 go let it in 받아들여 Go let it out 내보내 don't let it 받아들이지마 don't let it in 받아들이지마 [[파일:Oasis_logo.jpg|width=100]]|| == 여담 == [[파일:attachment/Go_let_it_out.jpg|width=230]] [[파일:attachment/116256.jpg|width=230]] 이 곡의 싱글 커버는 사실 정규앨범 커버 아트의 일부분이다. 위의 앨범커버 이미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지만, SOTSOG 커버에는 Go Let It Out 커버아트 속에서 축구를 하고 있는 아이들의 모습이 마치 숨은그림찾기처럼 숨겨져 있다. 실제로 뉴욕의 그 동네에서 사는 아이들을 섭외해 촬영한 것이라고. 어쩐지 요즘 노엘 갤러거즈 하이플라잉 버즈의 셋리스트에 포함되곤 한다. [[분류:오아시스(밴드) 노래]][[분류:2000년 싱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