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일본의 e스포츠]][[분류:리듬게임/e스포츠 팀]] [include(틀:BPL SEASON 3 참가팀)] ||<-2> '''{{{+1 기고}}}''' || ||<-2> '''{{{+1 {{{#006CDC '''GiGO'''}}}}}}''' || ||<-2> [[파일:gigo_cut.png|width=100%]] || || '''창단일''' || [[2022년]] [[4월]][* BPL 시작 월 기준] || || '''소재 지역'''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일본]] || || '''모기업''' || [[GiGO|주식회사 젠다 기고 엔터테인먼트]] || ||<|3> '''종목''' || [[GiGO/e스포츠/beatmania IIDX|beatmania IIDX]] || || [[GiGO/e스포츠/사운드 볼텍스|사운드 볼텍스]] || || [[GiGO/e스포츠/DanceDanceRevolution|DanceDanceRevolution]] || || '''웹사이트''' || [[https://twitter.com/GiGO_BPL|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height=20&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height=20&theme=dark]]]] [[https://www.youtube.com/channel/UCGWNhdp23Cvo07KFglBj3KQ|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tempo.gendagigo.jp/bpl-gigo|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18]]]] || || '''팀 컬러''' || {{{+5 {{{#fff ■}}} {{{#006CDC ■}}}}}} || [목차] [clearfix] == 개요 == > '''Get into the Gaming Oasis''' > - 팀 소개 문구[* 소개 문구를 번역하면 "'''게임의 오아시스에 뛰어들어라'''"가 되고, the 를 제외한 각 단어의 첫 자만 따오면 팀명인 '''GiGO'''가 된다.] 일본의 오락실 체인점 [[GiGO]]의 e스포츠 팀으로, BEMANI PRO LEAGUE에 출전하고 있다. == 운영 중인 프로게임단 == ||<-4>
[[GiGO/e스포츠|[[파일:gigo_cut.png|width=250]]]] || ||<-4> '''{{{#fff 운영 중인 프로게임단}}}''' || || [[beatmania IIDX|[[파일:logo_iidx_all_white.png|height=50]]]] || [[사운드 볼텍스|[[파일:SDVXLogo.png|height=50]]]] || [[DanceDanceRevolution|[[파일:ddr_logo.png|height=50]]]] || || [[GiGO/e스포츠/beatmania IIDX|'''{{{#006CDC GiGO}}}''']] || [[GiGO/e스포츠/사운드 볼텍스|'''{{{#006CDC GiGO}}}''']] || [[GiGO/e스포츠/DanceDanceRevolution|'''{{{#006CDC GiGO}}}''']] || == 여담 == * 모회사 GiGO는 과거 사명에도 나와있듯, 과거에는 [[세가]]의 자회사로 시작된 회사인데, [[세가]]는 maimai, 츄니즘, 온게키 등 코나미와 마찬가지로 아케이드 리듬게임을 제작하고 있는 회사라 참여 발표 당시 이것이 화제가 되기도 했다. * [[BEMANI PRO LEAGUE SEASON 2]] 참가팀들 중 e스포츠 팀 문서 개설과 소속 선수 개별 문서의 첫 개설이 제일 마지막으로 이루어졌다.[* BPL S2 기준으로는 소속 선수 개별 문서의 첫 개설에 한해 GiGO/e스포츠보다 빨랐다.] * 팀 컬러는 파란색과 흰색인데, 하필이면 두 색 모두 각각 [[APINA VRAMeS]]와 [[SILK HAT/e스포츠|SILK HAT]]의 팀 컬러와 겹치는지라[* 정확히는 아피나보다 밝은 파란색을 쓰며, 드래프트 회의 당시에는 흰색이 좀 더 사용되었다. 선수 명단 화면 등에서 나오는 기고 팀의 칸은 흰색으로 나와 아피나 팀과 구분되고, 실크 햇 팀은 보조 컬러 격인 옅은 회색으로 칠하여 기고 팀과 구분지었다.] 팀 유니폼에는 파란색과 흰색이 모두 사용되며, 경기 중 플레이 영상의 점수차 그래프를 비롯하여 나머지 팀들과 구분되는 색깔 하나만 써야 하는 경우에는 옅은 파란색을 사용한다. 시즌 2 DDR 종목에서는 청록색도 사용한다. 기고 팀과 같은 시즌에서 첫 출전한 [[TAITO STATION Tradz]]와는 정반대의 팀 컬러라는 것도 특징. * 출전 BPL 공식 트위터에서는 팀의 상징 이모지로 💠를 사용하고 있는데, 해당 이모지의 뜻은 "점이 찍힌 다이아몬드"로, 이미지 컬러가 비슷하다는 점을 빼면 특별한 연관성이 없다. BPL 방송 채팅에서도 팀의 맨앞글자인 "G"를 쓰는 시청자들이 조금 있을 뿐 특별히 쓰이는 이모지가 정해지지 않은 상태이나[* 이를 의식했는지, 소속 선수인 CORIVE가 [[https://twitter.com/CORICORICORIVER/status/1547119105568022528|팀 상징 이모지에 대한 트윗]]을 올리기도 했다.] 공식 트위터에서는 트윗을 올릴 때 팀 소개문구에 나온 "오아시스"에서 따온 🏝️ 이모지를 종종 쓰고 있다. * 마스코트 캐릭터로 "기고릴라"가 있는데, 기고 소속의 IIDX 선수 [[CORIVE]]가 처음 이름을 구상하고, 이후 팬들 사이에서 비공식 마스코트로 다뤄지다가 BPL S3에서 공식화되었다는 독특한 과정이 있었다. * 팀 상징 제스쳐는 왼손과 오른손을 적당히 벌린 뒤 맞대서 손으로 G(기고의 앞글자)를 만드는 것이다. 다만 이 동작이 BPL S2 사볼 종목에 와서야 자주 쓰이기 시작했고, 그 전에 진행된 IIDX 종목 동안에는 에이스 CORIVE를 빼면 자주 쓰지 않았다보니 BPL S2 IIDX 선수 이어뮤 카드에 나온 트란의 동작은 팀 상징 제스쳐가 아닌 단순히 오른팔을 앞으로 내미는 동작을 하고 있다. * 경기 복기 방송을 스튜디오에서 멤버들이 직접 출연하고 편집까지 공들여 하고 있어 영상 채팅 + 유튜브 영상 위주로 진행하는 다른 팀들에 비해 퀄리티가 높다. 하지만 이 특성상 여러 경기의 복기를 몰아서 진행하거나 뒷풀이를 꽤 늦게 진행하는 팀이기도 하다. * 시즌 2의 모든 종목에서 세미파이널을 놓친 적이 없는 유일한 팀이다. 하지만 시즌 3 IIDX 종목에서 레귤러 스테이지 탈락을 당하며 세미파이널 개근은 깨지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