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OST]] [목차] == 개요 == 게임은 자체적인 평은 엇갈리나 [[OST는 좋았다|OST는 훌륭하다]]는 호평이 많다. === 챕터 1 메인 테마 === [youtube(Pij8-ijV3HU)] 챕터 1의 타이틀과 엔딩에 쓰인 OST. 음산하고 기괴한 음악이 특징이다. 반반의 유치원 OST 중 유일하게 OST 이름이 공개되지 않았다. === Banban's Music Box(반반의 오르골) === [youtube(Qoly4JlXXzs)] 반반의 OST. 기괴하면서 슬픈 느낌의 오르골 소리가 들리는 것이 특징이다. 인게임에서는 챕터 2 타이틀 음악으로 대체해서 쓰이지 않은 음악. 대신 챕터 4 트레일러까지는 꽤 쓰였다. 제작진이 최초로 정식 공개한 OST. ==== Banban's Music Box(Slowed)(반반의 오르골(느린 버전)) ==== [youtube(ICoCinSTyR4)] 챕터 2 타이틀과 최종 추격전 전 오르골 케이크와 엔딩에 쓰인 OST. 챕터 1과 달리 어딘가 슬픈 느낌의 오르골 소리가 특징이다. 게임의 무대인 유치원의 어두운 면을 보여준다는 느낌이 크다. 위의 반반의 오르골을 느리게 편곡했다. === A Mother's Wrath(어머니의 분노) === [youtube(iBIseRtPdLQ)] 오필라 버드의 OST. 기괴하며 긴박한 음악이 특징. 챕터 1에서 오필라 버드의 추격전에 쓰였고, 챕터 2에서는 오필라 버드와 반발리나의 추격전에 쓰인 OST. 챕터 3에서는 타르타 버드 추격전에 쓰였으며, 오필라 버드 및 타르타 버드의 추격전이 없는 관계로 챕터 4부턴 사용되지 않는다. === The Twisted One(일그러진 자) === [youtube(2jCjcYxlkCw)] 납납의 추격전 OST. 제목대로 일그러지면서 긴박한 음악이 특징이다. 챕터 2에서 납납의 추격전, 챕터 3에 납날리나 시술에 쓰인 OST. === Pancreas(췌장) === [youtube(qYmhghG7ew0)] 챕터 3의 타이틀과 엔딩에 쓰인 OST. 잔잔하게 가다 멜로디가 진중해진다. [[유튜브 뮤직]]에서 해당 음악이 올라온 영상의 설명창에 숨겨진 스크립트가 적혀있다. >I'm walking through these Hallways so bored >Not knowing what to do about my life >I'm paralyzed in my head so bad >Spinning circles around my head is annoying >Gotta run so fast just to waste my time >Losing energy so harsh >Losing energy so harsh >I need to find my children so scared >I'm depressed and I'm scared to death >'''WALKING THROUGH THESE HALLWAYS''' >'''NOT KNOWING WHAT TO DO IM PARALYZED IN MY HEAD''' >'''SPINNING CIRCLES IN MY HEAD''' >'''GOTTA RUN SO FAST''' >'''LOSING ENERGY''' >'''LOSING ENERGY''' >'''I NEED TO FIND MY CHILDREN by aVi''' >---- > >난 이 복도를 너무 지루하게 걷고 있어 >내 인생에 대해 무엇을 해야할지 모르겠어서 >머리가 너무 마비됐어 >내 머리에 원이 돌아가는 게 짜증나 >시간을 낭비하려면 빨리 달려야 해 >너무 가혹하게 에너지를 잃어 >너무 가혹하게 에너지를 잃어 >내 아이들이 너무 무서워하는 걸 찾아야 해 >우울하고 무서워서 죽을 것 같아 >'''이 복도를 따라 걷고 있어''' >'''머리가 마비되어서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어''' >'''내 머리 속에서 회전하는 원''' >'''빨리 달려야 해''' >'''에너지를 잃고 있어''' >'''에너지를 잃고 있어''' >'''[[AVI|aVi]]로 내 아이들을 찾아야 해''' === Jelly Melody(해파리의 노래) === [youtube(g4dQvZ62DtE)] 스팅어 플린의 OST. 고요한 느낌이 들다가 진중하게 상황이 심각해지는 멜로디가 특징이다. === Two-Headed Battle(쌍두전) === [youtube(8gHECUa8tYw)] 타마타키 & 차마타키의 OST. 주인공이 이 둘을 쓰러뜨리기 위해 긴장감 높이는 멜로디가 특징이다. 챕터 3에서 타마타키 & 차마타키의 대결에서 쓰인 OST. === Family Feud(가족 불화) === [youtube(1SLIBdPnhK4)] 폭주한 반반의 OST. 폭주한 반반에게 도망칠 때의 긴장감과 제목대로 마스코트들의 불화를 표현한다. 챕터 3 최종 추격전인 폭주한 반반의 추격전에 쓰인 OST. === Rivals(라이벌) === [youtube(KtzyZPQ_3SI)] [[https://youtube.com/@RockitMusicYT|Rockit Music]]과 협력해서 만든 OST. 작중에는 주인공의 환영 중 자동차를 타고 있는 상태에 스팅어 플린이 음악을 틀 때 나온 음악. 스팅어 플린과 반반이 서로 티격태격하는 관계를 표현한 음악이도 하다. === Little Beak and Toadstars(리틀 빅과 토드스터) === [youtube(1Mzh9e8XiyQ)] 챕터 4 최후반부 및 최후의 비터기글의 추격전에서 쓰인 OST. 긴박한 상황을 표현했다. === Nothing is Funny Enough(웃기는 일은 없어) === [youtube(OPwRcmVj0_0)] 챕터 4의 타이틀과 엔딩에 쓰인 OST. 진중한 현악기 소리가 특징. === Fire in The Woods(숲 속의 불꽃) === [youtube(g-3fMVmjRl4)] 스팅어 플린의 캠프 환영에서 쓰인 OST. 슬픈 멜로디가 특징이다. === Toadster Croak(토드스터의 울음소리) === [youtube(xXvxFydb7o0)] 챕터 4 메인 트레일러와 납납을 추격할 때 쓰인 OST. 상당히 긴박한 음악이 특징. === Friends and Imposters(친구들과 사기꾼들) === [youtube(b8mytG2Dolw)] 챕터 4 환풍구에서 쓰인 OST. 고요하면서 잔잔하지만 한편으로는 위험한 상황을 알리는 듯한 OST가 특징. === Jurassic Meow(쥐라기의 야옹) === [youtube(2RqYrFJ2bpI)] 챕터 4의 타마타키&차마타키의 추격전, 비터기글의 첫 추격전, 키티사우루스와의 보스전에서 쓰인 OST. 새 마스코트인 키티사우루스의 OST이기도 하며 상당히 긴박하고 도망쳐야하는 상황을 잘 표현한 OST. === Kingdom Doomed(왕국의 멸망) === [youtube(9Y9ce-M3Mh0)] 챕터 4 본편에는 사용하지 않고 [[https://music.youtube.com/watch?v=7utbW8GVNOY&feature=shared&feature=xapp_share|Kingdom Doomed (Slowed)]]로 대체 되었으며 원곡으로서는 바운실리아 왕국의 멸망을 들려주는 OST. 느린 버전의 경우는 잔잔함이 묻어나는게 특징. === Try Not To Laugh(웃지 마) === [youtube(brWY9MVqfyw)] [[https://youtube.com/@RockitMusicYT|Rockit Music]]이 만든 팬 OST. 2차 창작 OST이기 때문에 인게임에선 쓰이지 않았지만 공식 채널에 업로드되었다. === Naughtified(버릇없는) === [youtube(p6D6tHPSlh0)] 챕터 6 타이틀과 엔딩에 쓰인 OST. 고요하면서 잔잔한 음악이 특징. === Fancy Leech(멋진 거머리) === [youtube(tE-5xFWYfNA)] 다다두 경의 OST. 챕터 6에선 장난꾸러기가 [[반발리나]]를 데려가는 컷신과 장난꾸러기 디펜스전에서 쓰였다. 진중하고 웅장한 음색이 특징. === Royal Humor(왕의 유머) === [youtube(MOfzSvdMxk4)] 챕터 6의 점프 맵에서 쓰인 OST. 고요하면서도 신비로운 음악이 특징. === Safehouse(은신처) === [youtube(83jgiOgGc7M)] 챕터 6에 등장하는 시작하고 은신처로 가기 전에 등장하는 통로의 OST. 전통적이고 동양적인 멜로디가 특징이다. === Apex Clouds(꼭대기가 어두워지다) === [youtube(uSVpIDc5Y7o)] 기괴해진 리틀 빅 보스전에서 쓰인 OST. 상당히 웅장하고 긴장감을 주는 음악이 특징. === Price for Audience(관람료) === [youtube(Zum56wRRUeo)] 챕터 6에 등장하는 은신처의 OST. 매우 슬픈 멜로디가 특징이다. 작중에는 편곡 버전으로 나온다. === Not Black and White(흑백이 아니다) === [youtube(gFFmerSMLRs)] 챕터 6의 대부분의 추격전 OST이자 공식 트레일러 테마곡. 상당히 긴장감을 주는 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