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가장 최근에 진행된 대회, rd1=제28기 GS칼텍스배 프로기전)] [include(틀:한국의 바둑 기전)] [[파일:041213-leech04.jpg]] [[2004년]] LG정유배 당시 [[파일:[520402]150508-gs-03.jpg]] [[2015년]] GS칼텍스배 ||<:><-2>{{{#fff '''{{{+2 GS칼텍스배 프로기전}}}'''[br]GS Caltex Cup Pro Baduk Tournament }}}|| || {{{#059aa8 주관}}} ||[[한국기원]] || || {{{#059aa8 주최}}} ||[[매일경제신문]] , [[MBN]] || || {{{#059aa8 후원}}} ||[[GS칼텍스]] (구 LG정유) || || {{{#059aa8 상금}}} ||총상금 3억 9,500만원[br](우승상금 7,000만원[* 우승상금은 1기는 3천만원으로 시작하여 2~3기 4천만원, 4~6기 3천5백만원, 7기 4천5백만원, 8~15기 5천만원이 주어졌으며, 16기부터 현재의 우승상금이 됐다.], 준우승상금 3,000만원) || || {{{#059aa8 대국 규정}}} ||제한시간 각자 1시간, 1분 초읽기 1회[* 16기까지는 장고로 진행했는데 14기까지는 각자 3시간(1분 초읽기 5회), 15~16기는 각자 2시간(40초 초읽기 3회)였다. 17기부터 각자 10분, 40초 [[초읽기]] 3회의 속기 대국으로 진행했었다.] || || {{{#059aa8 계가}}} ||한국룰 [[덤(바둑)|덤]] 6집반 || || {{{#059aa8 참가 인원}}} ||24명(전기 시드 4인 + 예선 통과자 19인 + 후원사 시드 1인) || || {{{#059aa8 진행 방식}}} ||24강 토너먼트(4강까지는 단판), 결승 5번기 || || {{{#059aa8 최근 우승자}}} ||[[변상일]] 九단 ([[제28기 GS칼텍스배 프로기전]]) || || {{{#059aa8 최다 우승자}}} ||[[이창호]] 九단[* 2기, 3기, 6기, 8기, 9기 우승], [[신진서]] 九단[* [[제23기 GS칼텍스배 프로기전|23기]], [[제24기 GS칼텍스배 프로기전|24기]], [[제25기 GS칼텍스배 프로기전|25기]], [[제26기 GS칼텍스배 프로기전|26기]], [[제27기 GS칼텍스배 프로기전|27기]] 우승(대회 5연패)] (5회)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 [[한국기원]] 주관 [[바둑]] 프로기전. [[매일경제신문]]이 주최하고 [[GS칼텍스]]가 후원한다. [[매일경제신문]]이 [[MBN]]을 소유하고 있음에도 GS칼텍스배를 MBN을 통해 중계한 적이 단 한번도 없다. GS칼텍스배는 [[바둑TV]]에서만 중계된다. --일해라 매경 MBN에서도 틀어달라-- [[매일경제신문]] [[광고]]나 [[MBN]] 광고를 [[바둑TV]]에서 하는데, 정작 MBN에서는 바둑 방송을 틀어주지 않기 때문에, 매경에서는 사실상 내버린 자식 취급이다. [[TV조선]]과 [[JTBC]]에서 방송하지 않는 바람에 [[바둑TV]]에서는 현장 [[생방송]]도 못하는 [[LG배]]나 [[삼성화재배]]보다는 낫지만. == 상세 == [[1996년]] [[GS칼텍스]]의 전신인 LG정유가 후원해 창설되었다.[* 당시에는 [[GS칼텍스]]가 [[LG그룹]] 시절이라 LG정유였다.] 1기~4기까지는 '테크론배 프로기전'이라는 이름으로 진행됐고, 2000년 5기 대회부터 LG정유배로 진행하다가 [[2005년]] [[GS|GS그룹]] 분사 이후 GS칼텍스배로 변경됐다. 1996년부터 [[2005년]]까지는 16강 [[토너먼트(스포츠)|토너먼트]], 결승 5번기로 진행되고, [[2006년]]부터 [[2009년]]까지는 8강 풀리그를 거쳐서 타이틀 홀더와 타이틀전을 치르는 도전기로 운영되었다. [[2010년]] 대회부터 현재의 24강 본선 토너먼트[* 전기 시드 4인과 예선통과자 19인과 와일드카드 선수 1인 총 20인 가운데 상위 랭커 4인이 16강부터 시작한다.] 로 변경. 본선 4강은 다음 해 대회에 시드로 출전한다. 참고로 24강 토너먼트로 바뀐 첫 해였던 2010년에는 도전기로 결승이 진행됐고 2011년 부터 도전기를 폐지했다. [[조훈현]] 九단이 한번도 우승하지 못한 대회로 유명하고, 여자 기사인 [[루이나이웨이]] 九단과 [[최정(바둑기사)|최정]] 九단도 결승전까지 올라온 적이 있다. [[최명훈]] 九단은 [[준우승]]만 4번 하면서 [[콩라인]]이 될 뻔 했지만, [[루이나이웨이]] 九단을 한번 꺾고 [[우승]]한 적이 있다. [[이세돌]] 九단은 두 번 우승. [[이창호]] 九단과 [[신진서]] 九단이 5번 우승해 최다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다. 특히 [[신진서]] 九단은 23~27기 우승으로 대회 사상 첫 5연패를 달성한 것은 물론 국내 선수권전 방식 단일 기전 역대 최다 연속 우승 기록을 세웠다. 제한시간은 1기부터 14기까지는 각자 3시간(1분 초읽기 5회), 15~16기는 각자 2시간(40초 초읽기 3회)의 장고대국으로 진행하다가, 17기부터 각자 10분(40초 초읽기 3회)의 속기 대국으로 진행했었다. 25기부터는 각자 1시간(1분 초읽기 1회)의 장고대국으로 바꿔서 진행한다. == 대회 진행 == * [[2018년]] : [[제23기 GS칼텍스배 프로기전]] * [[2019년]][* 예선이 2018. 12. 10~13에 진행된다. 13일부터는 연구생, 여자입단대회가 21일까지 진행되었다.] : [[제24기 GS칼텍스배 프로기전]] * 1회전에서만 전반조(1~10조)는 오전10시 대국, 후반조(11~19조)는 오후2시 대국이다. 문서 만들어질 때의 예선문단 참고. * [[2020년]] : [[제25기 GS칼텍스배 프로기전]] * [[2021년]] : [[제26기 GS칼텍스배 프로기전]] * [[2022년]] : [[제27기 GS칼텍스배 프로기전]] * [[2023년]] : [[제28기 GS칼텍스배 프로기전]][* 이 대회에서 대회 사상 최초의 '''5패빅 무승부'''가 발생했다.(16강 2국 박상진-박진솔)] == 역대 우승자 == ||||||||||||<:> 역대 결승 기록 || ||<:> '''{{{#fff 회차}}}''' ||<:> '''{{{#fff 연도}}}''' ||<:> '''{{{#fff 우승}}}''' ||<:> {{{#fff 전적}}} ||<:> '''{{{#fff 준우승}}}''' ||<:> '''{{{#fff 비고}}}''' || ||<:> 1회 ||<:> [[1996년]] ||<:> [[유창혁]] ||<:> 3:2 ||<:> [[조훈현]] || || ||<:> 2회 ||<:> [[1997년]] ||<:> [[이창호]] ||<:> 3:0 ||<:> [[최명훈]] || || ||<:> 3회 ||<:> [[1998년]] ||<:> [[이창호]] ||<:> 3:0 ||<:> [[최명훈]] || 이창호, 대회 2연패 || ||<:> 4회 ||<:> [[1999년]] ||<:> [[서봉수]] ||<:> 3:2 ||<:> [[유창혁]] || || ||<:> 5회 ||<:> [[2000년]] ||<:> [[최명훈]] ||<:> 3:1 ||<:> [[루이나이웨이]] || 대회 첫 남녀 성대결 결승 || ||<:> 6회 ||<:> [[2001년]] ||<:> [[이창호]] ||<:> 3:0 ||<:> [[최명훈]] || 이창호 세 번째 우승 || ||<:> 7회 ||<:> [[2002년]] ||<:> [[이세돌]] ||<:> 3:1 ||<:> [[최명훈]] || || ||<:> 8회 ||<:> [[2003년]] ||<:> [[이창호]] ||<:> 3:0 ||<:> [[조한승]] || 이창호 네 번째 우승 || ||<:> 9회 ||<:> [[2004년]] ||<:> [[이창호]] ||<:> 3:0 ||<:> [[박영훈(바둑)|박영훈]] || 이창호 두 번째 2연패(5회 우승) || ||<:> 10회 ||<:> [[2005년]] ||<:> [[최철한]] ||<:> 3:2 ||<:> [[이창호]] || || ||<:> 11회 ||<:> [[2006년]] ||<:> [[이세돌]] ||<:> 3:0 ||<:> [[최철한]] || 이세돌 두 번째 우승 || ||<:> 12회 ||<:> [[2007년]] ||<:> [[박영훈(바둑)|박영훈]] ||<:> 3:2 ||<:> [[이세돌]] || || ||<:> 13회 ||<:> [[2008년]] ||<:> [[박영훈(바둑)|박영훈]] ||<:> 3:0 ||<:> [[원성진]] || 박영훈, 대회 2연패 || ||<:> 14회 ||<:> [[2009년]] ||<:> [[조한승]] ||<:> 3:1 ||<:> [[박영훈(바둑)|박영훈]] || || ||<:> 15회 ||<:> [[2010년]] ||<:> [[원성진]] ||<:> 3:1 ||<:> [[조한승]] || || ||<:> 16회 ||<:> [[2011년]] ||<:> [[박정환(바둑기사)|박정환]] ||<:> 3:0 ||<:> [[박영훈(바둑)|박영훈]] || || ||<:> 17회 ||<:> [[2012년]] ||<:> [[이세돌]] ||<:> 3:2 ||<:> [[박영훈(바둑)|박영훈]] || 이세돌 세 번째 우승 || ||<:> 18회 ||<:> [[2013년]] ||<:> [[김지석(바둑)|김지석]] ||<:> 3:0 ||<:> [[이세돌]] || 이세돌 첫 결승 5번기 스윕패 || ||<:> 19회 ||<:> [[2014년]] ||<:> [[김지석(바둑)|김지석]] ||<:> 3:0 ||<:> [[최철한]] || 김지석, 대회 2연패 || ||<:> 20회 ||<:> [[2015년]] ||<:> [[목진석]] ||<:> 3:1 ||<:> [[최철한]] || 목진석, 15년만에 국내기전 우승 || ||<:> 21회 ||<:> [[2016년]] ||<:> [[이동훈(1998)|이동훈]] ||<:> 3:0 ||<:> [[윤찬희(1990)|윤찬희]] || 이동훈, 대회 최연소 우승(18세 3개월) || ||<:> 22회 ||<:> [[2017년]] ||<:> [[안국현]] ||<:> 3:2 ||<:> [[김지석(바둑)|김지석]] || || ||<:> 23회 ||<:> [[2018년]] ||<:> [[신진서]] ||<:> 3:2 ||<:> [[이세돌]] || || ||<:> 24회 ||<:> [[2019년]] ||<:> [[신진서]] ||<:> 3:0 ||<:> [[김지석(바둑)|김지석]] || 신진서, 대회 2연패 || ||<:> 25회 ||<:> [[2020년]] ||<:> [[신진서]] ||<:> 3:0 ||<:> [[김지석(바둑)|김지석]] || 신진서, GS배 최초 3연패 || ||<:> 26회 ||<:> [[2021년]] ||<:> [[신진서]] ||<:> 3:2 ||<:> [[변상일]] || 신진서, 치열한 접전 끝에 GS배 최초 4연패 || ||<:> 27회 ||<:> [[2022년]] ||<:> [[신진서]] ||<:> 3:0 ||<:> [[변상일]] || '''신진서, 선수권전 방식 최초 단일 기전 5연패''' || ||<:> 28회 ||<:> [[2023년]] ||<:> [[변상일]] ||<:> 3:0 ||<:> [[최정(바둑기사)|최 정]] || 대회 역대 두 번째 남녀 성대결 결승 || [[분류:GS칼텍스배 프로기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