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미국]]과 [[중국]]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G2(외교))] == [[유럽]]의 프로게임단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G2 Esports)] == [[대한민국]]의 [[지투(래퍼)|래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지투(래퍼))] == [[BEMANI|BEMANI 시리즈]]의 수록곡 == [[비트매니아 IIDX]] 5th Style부터 참여한 작곡가 Aya의 드럼 앤 베이스 장르의 악곡. 전작인 [[Real(BEMANI 시리즈)|Real]]보다 더욱 어둡고 공격적인 분위기의 악곡이다. 작곡가 자신은 [[G]]라는 글자에 대해 어두운 이미지를 갖고 있다고 하며, 그를 이미지 한 곡이 바로 이 곡. 처음부터 낮게 깔리는 무거운 음색과 그에 맞춰 암흑 속을 걸어가는 분위기의 드럼비트가 주축으로, 중반에 분위기가 반전되고 나서는 공격적인 신디사이저 음색이 주 패턴으로 자리잡는다. 몇 번에 걸쳐 나오는 명확하게 들리지 않는 보이스 샘플링도 인상적이다. === [[beatmania IIDX]] === || 장르명 ||<-5> DRUM'N'BASS[br]드럼 앤 베이스 || [[BPM]] ||<-2> 170 || || 전광판 표기 ||<-8> '''{{{#FF5A00 G2}}}''' || ||<-9> [[beatmania IIDX]] [[beatmania IIDX/난이도 체계|난이도 체계]] || || ||<-2> {{{#blue 노멀}}} ||<-2> {{{#orange 하이퍼}}} ||<-2> {{{#red 어나더}}} ||<-2> {{{#800000 흑 어나더}}} || || 싱글 플레이 || {{{#blue 8}}} || {{{#blue 752}}} || {{{#orange 9}}} || {{{#orange 942}}} || {{{#red 11}}} || {{{#red 1188}}} || {{{#800000 12}}} || {{{#800000 1291}}} || || [[더블 플레이]] || {{{#blue 6}}} || {{{#blue 665}}} || {{{#orange 7}}} || {{{#orange 830}}} || {{{#red 12}}} || {{{#red 1377}}} || {{{#800000 -}}} || {{{#800000 -}}} || * [[beatmania IIDX/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 [[아케이드]] 수록: 6th ~ * 가정용판 수록: 6th, 8th, 15 DJ TROOPERS, 16 EMPRESS (PREMIUM BEST SIDE), INFINITAS * [[단위인정]] 수록 * SPA : 9단 (15 DJ TROOPERS) 채보는 그리 이해하기 어려운 구조는 아니지만, 베이스 처리가 많고 연타와 [[트릴]] 등이 많아서 플레이하고 나면 손이, 특히 왼손이 힘들어 일본에서는 '왼손 사망'이라고 일컫기도 한다. 이 곡의 노멀 채보는 연타와 트릴의 뼈대가 살아있어 노멀 채보 치고는 꽤 어려운 편이다. ==== 싱글 플레이 ==== [youtube(HMoOa2qd8qE)] SPA 영상 [youtube(IPfogxeDS94)] SPB 영상 싱글 어나더는 [[단위인정]] 싱글 9단에 채용되기도 했다. beatmania IIDX 16 EMPRESS (PREMIUM BEST SIDE)에 수록되었을 때 흑 어나더가 추가되었는데, 원 어나더의 후반에 살이 더 덧댄 형태를 취하고 있다. 주목할 만한 점이라면 시작부터 끝까지 1번키에 드럼음이 할당되어 있어 왼손체력이 많이 필요하다는 것. 그외에는 딱히 특별한 점이 없어서 12치고는 많이 쉽다는 평. ==== 더블 플레이 ==== [youtube(XIvlDctJQ68)] DPA 영상 더블 어나더는 싱글 흑 어나더와 비슷한 양상이지만 더블 특성상 더 어렵게 다가온다. === [[댄스 댄스 레볼루션]] === [youtube(qZyVV_-ASB0)] ||<-7> [[댄스 댄스 레볼루션]] 난이도 체계 || ||<|3><:> [[BPM]] ||<-8> 싱글 플레이 || || {{{#blue BEGINNER}}} || {{{#orange BASIC}}} || {{{#red DIFFICULT}}} || {{{#green EXPERT}}} || {{{#purple CHALLENGE}}} || || {{{#blue 1}}} || {{{#orange 6}}} || {{{#red 8}}} || {{{#green 10}}} || {{{#purple -}}} || ||<|3><:> 170||<-7> [[더블 플레이]] || || || {{{#orange BASIC}}} || {{{#red DIFFICULT}}} || {{{#green EXPERT}}} || {{{#purple CHALLENGE}}} || || || {{{#orange 6}}} || {{{#red 8}}} || {{{#green 10}}} || {{{#purple -}}} || 위 난이도 표는 STRIKE 당시 10레벨 표기 기준. 가정용 STRIKE에 이식되었다. 헤비(익스퍼트) 난이도는 싱글, 더블 모두 10으로 고난이도이지만 아케이드에는 [[DDR A20 PLUS]] 기준으로 아직 이식되지 않았다. == 골드윙의 후속작으로 낸 [[온라인 게임]] == [[파일:external/file.gamedonga.co.kr/G2100310.jpg|align=right&width=350]] [[http://coingame.tistory.com/entry/200801-201008-G2-%EC%98%A8%EB%9D%BC%EC%9D%B8|출처]]영상의 소리가 크니 재생 전 주의. [kakaotv(57795649, width=450, height=350)] ||[youtube(ILujgEL-xQ0)]|| ||<:> G2 Guns Gunner(일본서버) 스토리 모드 플레이 영상(보스:기간툴라)|| ||[youtube(C6MgkfLGHtk?list=PL0CB327D3F0B73BA2)]|| ||<:>BGM 작곡가는 [[ESTi]]|| [[엔플루토]]에서 개발, [[한게임]]에서 서비스를 하였던 온라인 게임.[[http://www.npluto.com/kr/news/list.html?division=NEWS&pn=5&no=12|#]] 전작과는 차별화를 두기위해 스토리와 미려한 캐릭터 등을 추가해 전작과는 다른 노선을 보여주려했다. 게임 원화가는 [[https://jinandnak.tistory.com/108|진낙]][* [[픽시브]]: [[https://www.pixiv.net/member.php?id=10646841|#]],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80k80k|#1]], [[https://blog.naver.com/80k80k|#2]], [[아트스테이션]]: [[https://www.artstation.com/jinnak|#]]] '''그러나 정식 오픈(2010년 4월) 후 1년도 못 넘기고 망했다.''' 미려한 캐릭터와 [[http://www.thisisgame.com/webzine/news/nboard/16/?n=7782|스토리]]와는 어울리지 않는 짜리몽땅한 비행기. 퀘스트 아이템은 얻기도 힘든데 그걸 반복하라고하는 퀘스트. 일러스트나 광고에선 영화 [[인디펜던스 데이]]를 연상케 하는 거대 외계인의 병기와 현대식 전투기들의 전투를 그린 일러들이 많이 보였지만[[http://ftp05.gameshot.net/article/2008_01/gsGA479e93f560be1p1n4.jpg|#]][[http://www.4gamer.net/games/046/G004662/20090626075/SS/004.jpg|#]] 정작 게임을 시작하면 현대식 전투기들은 가격이 너무 높아서[* 거기다 플레이로 버는 재화는 적고 기체에 장비하는 무기들은 성능이 낮은 기체 자체의 기본 무기을 제외하면 상점에서 재화로 구입하는 무기들은 다 기간제였다. 접속을 안 해도 무기의 이용기간은 줄어 특히 라이트 유저들은 재화를 모으긴 커녕 기간 다 되어가는 무기를 다시 구입하는 등으로 기껏 모은 재화를 소모해야 하는 구조로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를 하거나 울며 겨자먹기로 떨어지는 성능의 자체 무기를 장비하고 몰아야 했다.] [[제1차 세계 대전|1]], [[제2차 세계 대전|2차 대전]] [[프롭기]]만 주구장창 몰게 된다.[* 그나마 가능성이 있는 F-15도 조합 퀘스트의 아이템을 모아서 만드는 것이나 앞서 언급되다 싶이 [[물욕센서|아이템이 잘 나와야…]]][* 적들은 지구를 침공한 외계인들이야 그렇다 쳐도 똑같은 인간인 게릴라 반군들 조차 현대식 [[전투기]]와 [[무장헬기|무장]]&[[공격헬기]] 때거리로 몰고와 연합군을 습격하는 것을 플레이어는 프롭기를 몰아 막야야하는 걸 보면... 심지어 미션 중 플레이어를 지원한다며 오는 연합군 전투기들은 [[F-14]]나 [[F-22]]다.] 지지부진한 업데이트에 그 외 악재[* 특히 골드윙1의 후속작이라는 편견이 치명적인 요인 중 하나였다. 이 바닥에서 한번 온라인 게임이 망하면 재기가 엄청나게 힘들다.] 그리고 실력이 아닌 [[템빨]]의 PVP 등으로 기존의 골드윙1 유저들에게도 평이 안 좋았다. 국내 서버 종료 후 일부 한국 유저들은 그나마 남아있던 한게임 재팬의 일본 서버로 건너가 [[일본]] 서버에서 플레이하였으나, 일본 서버마저도 2010년 10월 27일 서비스를 종료하면서 [[흑역사]] 저편으로 사라졌다. 사실 서비스 종료 1달전에 [[한게임]]에서 '''퇴출'''당할 정도만 봐도 G2의 미래는 이미 정해졌을지도 모른다. 2011년엔 골드윙1이 일본 한게임에서 [[http://casual.hangame.co.jp/goldwing/|재오픈하고 5년 가까이 서비스 했었던]][* 2016년 2월 17일자로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걸 보면 더욱 슬프다. [[온게임넷]] 게임플러스 2017년 1월 3째주 방송에서 서비스 최단기간 국내 온라인 게임 순위에 43일, 2위로 선정되었다.[* 나머지 순위는 1위: 라카산(42일), 3위: 위자드 킹(44일)이 차지하였다.] 같은 작곡가가 참여해서 그런지 [[데스티니 차일드]]에서 해당 게임에 사용된 [[https://www.youtube.com/watch?v=RRM4mtJmPGw&list=PL0CB327D3F0B73BA2&index=4|Velocity of Light]]와 [[https://www.youtube.com/watch?v=37QyJq-Xkj8&list=PL0CB327D3F0B73BA2&index=8|Grievous Judgement]], [[https://www.youtube.com/watch?v=sooYlW5PJ8I&list=PL0CB327D3F0B73BA2&index=13|Arena Mode]] 등을 들을 수 있다.[[https://youtu.be/sZWNo-h60uo|#1]], [[https://youtu.be/-fNg46dy4iU|#2]], [[https://youtu.be/4X1XD3seE04|Arena Mode(G2)→Nightflow(DC)]] 그 외 같은 작곡가 참여작인 [[스키드러쉬]]에 이용된 음악이[[https://youtu.be/La7mY4HfAKA|#1]], [[https://youtu.be/vmTeFWRV2zQ|#2]] G2에도 사용되었다.[[https://www.youtube.com/watch?v=wmYpR6jZFtM&list=PL0CB327D3F0B73BA2&index=7|#1]], [[https://www.youtube.com/watch?v=ZwMqftmxOfU&list=PL0CB327D3F0B73BA2&index=12|#2]] == [[폰티악]]의 경차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폰티악 G2)] == [[게토레이]] 브랜드의 이온음료 == [[포카리스웨트]]와 색은 비슷하지만 맛에 대한 평가는 어느정도 개인차가 있다. 칼로리는 기존 게토레이의 절반. 당 대신에 [[에리트리톨|에리스리톨]]이 들어갔다. 맛이 조금 심심하고, 포카리스웨트에 비해 입안에서 덜 머무는 느낌이다. 그 이유는 [[MSG]]의 차이이다. ~~포카리스웨트 맛의 비결~~ 한국에선 롯데칠성음료를 통해 2013년까지 보였지만 현재는 단종된 것으로 보인다. 미국에서는 여러 가지 맛의 다양한 G2가 나왔으나 한국은.. --스프 없는 라면 먹고 싶겠는가?-- == 휴대전화 == === 한화 정보통신부문의 PCS 단말기 === 1998년 [[한화/정보통신]]이 시티폰 '톡톡' 후속으로 출시한 휴대전화로, 당시 생산라인은 서울 구로공장[*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동 235-2에 소재함. 구 [[오트론]] 공장이었으며 현재는 에이스 하이-엔드 타워가 자리잡고 있다.]에 있었으며 주로 016과 018에 많이 투입되었다. 단말기 시장에 후발주자로 뛰어든 한화였기에 [[유동근]], [[선동혁]], [[류시원]], [[한고은]]을 모델로 기용하는 공격적 마케팅을 펼쳤다. 당시로서는 획기적이었던 한글 4줄 32자 디스플레이, 원터치 매너모드 기능 등을 탑재했다. 휴대전화 보급 붐을 타고 당시 백가쟁명이었던 단말기 시장에서 5%대까지 점유율을 끌어올리는 나름의 성과를 거둠으로써 한화정보통신의 첫 히트작으로 남게 되었지만 끝내 애니콜(삼성), 싸이언(LG), 걸리버(현대), 모토로라 4대장의 아성을 넘지는 못했다. 2000년에 G2 대신 '마이크로아이'[* 세상에서 가장 작은 아이라는 타이틀로 홍보했으나 [[https://youtu.be/76I9CxERv8c|광고]]가 모델의 [[불쾌한 골짜기]] 때문에 굉장히 괴랄하다. 실제로 당시 광고를 본 시청자들의 항의가 빗발쳤다고 한다. 당시 이 광고는 박명천 감독이 연출했으며, 모델은 이주리다.([[http://legacy.h21.hani.co.kr/h21/data/L000313/1pbc3d03.html|문화평론가 마정미의 광고 비평(한겨레21)]])]로 브랜드명을 변경한 뒤 이듬해 '이동통신부문'으로 분할됐으나, 2003년 사업부문을 세진전자에 매각해 시장에서 철수했다. === [[HTC]]의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 [[HTC 디자이어]]의 디자이어Z 항목으로. 해당 모델의 미국 발매명인 동시에 세계최초의 안드로이드폰인 [[HTC G1]]의 후속작 위치를 갖고 있다. === [[LG전자]]의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LG G2)] [[분류:동음이의어]][[분류:beatmania IIDX 6th style의 수록곡]][[분류:온라인 게임]][[분류:비행 슈팅 게임]][[분류:2010년 게임]][[분류:2010년 서비스 종료]][[분류:이온음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