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유희왕/OCG/테마)] [Include(틀:유희왕 VRAINS 이그니스의 덱)] ||<:><-6> '''{{{#!htmlG골렘}}}''' || ||<-6><#ffffff><:>{{{#!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 Golem.png|width=100%]][br],,[[G골렘#G골렘 스터번 멘히르|{{{#d35a23 스터번 멘히르}}}]]와 [[어스(유희왕)|{{{#d35a23 어스}}}]],,}}}|| || '''{{{#!html 한국어판 명칭}}}''' ||<-5><#fff> '''G골렘''' || || '''{{{#!html 일어판 명칭}}}''' ||<-5><#fff> '''[ruby(G, ruby=ジ―)]ゴーレム''' || || '''{{{#!html 영어판 명칭}}}''' ||<-5><#fff> '''G Golem''' || ||<-2> '''{{{#!html 속성}}}''' ||<-2> '''{{{#!html 종족}}}''' ||<-2> '''{{{#!html 관련 카테고리}}}''' || ||<-2><^|1><#fff>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땅|땅]][* [[G골렘 크리스탈하트]]는 물 속성이다.] ||<-2><^|1><#fff> [[사이버스족]] ||<-2><^|1><#fff> 효과[br]'''[[링크 소환|링크]]''' ||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카드군. == 설명 == === 원작 === [[유희왕 VRAINS]]에서 [[어스(유희왕)|어스]]가 사용한 테마로 등장. 작중에선 카드명만 공유할 뿐 별도로 이 범위를 서포트하는 카드는 없었으나, OCG화 되면서 카드군으로 격상되었다. 모티브는 [[골렘]]. [[암석족]]에 어울리는 디자인을 하고 있지만, 사용 카드군이 전부 [[사이버스족]]으로 구성된 이그니스들의 특성상 모든 몬스터가 사이버스족이다. [[호무라 타케루]]와 [[플레임(유희왕 VRAINS)|플레임]]처럼 [[스펙터(유희왕)|스펙터]]가 [[하노이의 기사]]가 되지 않고 어스와 유사한 만남을 가졌다면 본래는 [[생아발론]]이 아니라 이 카드군이 스펙터가 사용하는 덱이었을지도 모른다. 카드명의 "G"는 따로 루비가 달려 있지 않아 "지 골렘"으로 읽는다. G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따로 설명되지는 않았으나, 어스가 사용하는 마법 / 함정 카드의 이름엔 전부 "그래비티"가 포함된 점, 중력을 연상케 하는 상대의 공격을 끌어당기는 효과를 보면 Gravity(중력)를 의미하는 것이 아닐까 유추할 수는 있다. 다른 이그니스의 사용 테마와는 달리 필드 마법 카드가 존재하지 않는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2022년에 [[컬렉터즈 팩|애니메이션 크로니클 2022]]를 통해 OCG화 되었다. 이그니스의 카드군들 중에서는 4번째. [[파워 오브 디 엘리멘츠]]의 땅 속성 범용 서포트인 [[봄화정]]에서 땅 속성을 테마로 한 [[듀얼리스트 팩#휘석의 듀얼리스트 편|듀얼리스트 팩 휘석의 듀얼리스트 편]]까지, 2022년 중반기의 땅 속성 전면 지원 분위기에 맞추어 OCG화된 것으로 보인다. 메인 덱 카드의 수가 너무 적어 G골렘 단일 덱을 만들기는 어렵다는 점을 감안하였는지 대부분의 효과는 사이버스족 범용 서포트에 가깝게 디자인되어 있다. 사이버스족 위주 전개 덱에서는 용병으로 채용을 고려할 만하다. G골렘 위주의 덱을 만들 경우, 링크 몬스터의 소재는 땅 속성을 요구하지만 각각의 효과 대상이나 효과로 걸리는 제약은 사이버스족이 많다는 점을 감안해서 덱 구성에 고심이 필요하다. 발매 이후에는 [[참기토커]] 덱에 섞어서 전개의 비중을 늘리는 식으로 이용되는 방식이 연구되었으나 패말림 때문에 사장되었고, 스터본 멘히르와 크리스탈하트가 오라이온이나 링크 디사이플+링크 디보티 조합을 이용해 물량 전개를 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이와는 별도로 크리스탈하트는 트랜스코드 토커와의 궁합이 좋아 사이버스의 엑스트라 덱에 1장 고정 투입되고 있다. === [[유희왕 마스터 듀얼]] === 3월 9일 셀렉션 팩 '스트롱 윌'을 통해 실장되었다. 인밸리드 돌멘에 Live2D가 적용되었다. 테마 UR이 인밸리드 돌멘 / 페불도그 / 그레비티 밸런스 3장에게 적용되어 가격 부담이 크다. 대신 사이버스 범용 카드로 1장 투입되는 크리스탈하트는 SR. == 효과 몬스터 == === 레벨 2 === ==== G골렘 페불도그 ==== [[파일:Gゴーレム・ペブルドッグ.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G골렘 페불도그, 일어판명칭=G(ジ―)ゴーレム・ぺブルドッグ, 영어판명칭=G Golem Pebble Dog, 속성=땅, 레벨=2, 공격력=300, 수비력=1000, 종족=사이버스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G골렘 페불도그" 1장을 고르고\, 패에 넣거나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자신은 사이버스족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2=②: 이 카드가 패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G골렘"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①의 효과는 일반 소환 / 특수 소환 성공 시에 덱에서 동명 몬스터 1장을 패에 넣거나 특수 소환하는 것. 덱에서만 선택 가능한 특성상 한 번 사용하면 다시 덱으로 되돌리지 않는 한 다시 사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은 있으나, 효과 자체는 우수하다. 비슷한 계열의 몬스터들과는 달리 [[번개왕]] 같은 서치 봉인 효과나 [[배너티 스페이스]] 같은 특수 소환 봉인 효과가 적용되는 상황에서 반대쪽 효과를 선택하여 방해를 회피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 ②의 효과는 패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G골렘 카드를 패에 넣는 효과. 같은 카드군의 록해머와의 연계가 가능하며, [[사이바넷 마이닝]]의 코스트로 버렸을 때에도 효과 적용이 가능하다. 이름의 유래는 조약돌(pebble)과 [[불도그]]를 합친 것이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컬렉터즈 팩|ANIMATION CHRONICLE 2022]] || AC02-JP041 ||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레벨 6 === ==== G골렘 록해머 ==== [[파일:Gゴーレム・ロックハンマ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G골렘 록해머, 일어판명칭=G(ジ―)ゴーレム・ロックハンマー, 영어판명칭=G Golem Rock Hammer, 속성=땅, 레벨=6, 공격력=1800, 수비력=2400, 종족=사이버스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패에 존재할 경우\, 패에서 다른 사이버스족 몬스터 1장을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이 턴에\, 이 카드의 레벨은 2개 내려간다., 효과2=②: 이 카드를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 필드에 "G골렘 토큰"(사이버스족 / 땅 / 레벨 1 / 공 0 / 수 0) 3장을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자신은 사이버스족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①의 효과는 패의 다른 사이버스족 몬스터 1장을 버리고 패의 이 카드의 레벨을 2 내리는 효과. 적은 코스트로 릴리스 경감이 가능하며, 페불도그나 [[도트스케이퍼]](같은 땅 속성이기도 하다)를 버리고 발동한다면 패 손해를 줄일 수 있다. ②의 효과의 발동에 성공하면 몬스터를 3장이나 늘어놓을 수 있으므로 패 1장 코스트가 큰 부담은 아니다. ②의 효과는 자신을 릴리스하고 자신 필드에 G골렘 토큰 3장을 특수 소환하는 효과. 이 효과를 발동한 턴에는 사이버스족 몬스터만을 특수 소환할 수 있으나, 그 외 제약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융합 / 싱크로 / 링크 소재로 사용하는데 제약이 없음은 물론, 땅 속성이 아닌 다른 사이버스족 덱에서 채용할 여지도 있다. G골렘 링크 몬스터의 전개에 사용할 경우, 이 카드를 필드에 내기만 해도 크리스탈하트 및 인밸리드 돌멘을 상호 링크 상태로 소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 1.G골렘 록해머의 효과로 자신을 릴리스하고 G골렘 토큰 3장을 특수 소환. 2.G골렘 토큰 중 두 장으로 G골렘 스터번 멘히르를 링크 소환, 스터번 멘히르와 남은 G골렘 토큰으로 [[G골렘 크리스탈하트]]를 링크 소환. 3.크리스탈하트의 효과로 묘지의 스터번 멘히르를 특수 소환, 스터번 멘히르의 효과로 묘지의 록해머를 특수 소환. 4.스터번 멘히르와 록해머로 G골렘 인밸리드 돌멘을 링크 소환. || 또한, 이 카드와 [[도트스케이퍼]]가 패에 잡혔다면 패 2장만으로 크리스탈하트, 인밸리드 돌멘, [[트랜스코드 토커]] 3장을 상호 링크 상태로 소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는 트랜스코드 토커가 크리스탈하트(상하), 인밸리드 돌멘(좌우)과 각각 상호 링크 상태가 되며 크리스탈하트의 효과도 트랜스코드 토커만 받을 수 있다. 인밸리드 돌멘의 효과는 자신 필드의 링크 몬스터끼리 상호 링크만 되어있으면 되기에 인밸리드 돌멘과 상호 링크가 안된 크리스탈하트한테도 적용되며, 트랜스코드 토커는 양쪽 모두와 상호 링크 상태이기에 세 장 모두 트랜스코드 토커의 효과를 받을 수 있다.] || 1.도트스케이퍼를 버리고 G골렘 록해머를 레벨 4로 만든 뒤 일반 소환. 2.록해머의 효과로 자신을 릴리스하고 G골렘 토큰 3장을 특수 소환. 3.G골렘 토큰 중 두 장으로 G골렘 스터번 멘히르를 링크 소환, 스터번 멘히르와 남은 G골렘 토큰으로 G골렘 크리스탈하트를 링크 소환. 4.크리스탈하트의 효과로 묘지의 스터번 멘히르를 특수 소환, 스터번 멘히르의 효과로 묘지의 도트스케이퍼를 특수 소환. 5.스터번 멘히르와 도트스케이퍼로 트랜스코드 토커를 링크 소환, 도트스케이퍼는 스터번 멘히르의 디메리트로 인해 제외. 6.트랜스코드 토커의 효과로 묘지의 스터번 멘히르를 특수 소환, 제외됬던 도트스케이퍼를 자신의 효과로 특수 소환. 7.스터번 멘히르와 도트스케이퍼로 G골렘 인밸리드 돌멘을 링크 소환. || 원작에서는 ②의 효과만 가지고 있었다. 작중에서는 [[코스트 다운(유희왕)|코스트 다운]]으로 레벨을 내려 일반 소환한 후 효과를 사용했는데, 자체 릴리스 경감 수단이 없으면 너무 무거운 몬스터임을 감안했는지 이때 사용한 코스트 다운의 효과를 ①의 효과에 내장하는 방식으로 OCG화되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컬렉터즈 팩|ANIMATION CHRONICLE 2022]] || AC02-JP040 ||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링크 몬스터 == === 링크 2 === ==== [[G골렘 크리스탈하트]] ==== ==== G골렘 스터번 멘히르 ==== [[파일:Gゴーレム・スタバン・メンヒル.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링크=, 한글판명칭=G골렘 스터번 멘히르, 일어판명칭=G(ジ―)ゴーレム・スタバン・メンヒル, 영어판명칭=G Golem Stubborn Menhir, 속성=땅, 레벨=2, link2=, link8=, 공격력=1500, 종족=사이버스족, 소재=땅 속성 몬스터 2장, 효과외1=이 카드명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묘지에서의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자신 묘지의 통상 소환 가능한 땅 속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패에 넣거나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의 효과는 무효화되고\,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에 제외된다.)] 링크 소재로는 땅 속성 몬스터 2장을 요구한다. 사이버스족 위주의 덱일 경우, G골렘 외에도 [[도트스케이퍼]]나 [[@이그니스터|갓치리@이그니스터]], [[링크 스파이더]] 등을 소재로 삼아 소환할 수 있을 것이다. 묘지에서의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묘지의 통상 소환 가능한 땅 속성 몬스터를 패에 넣거나 특수 소환하는 효과를 지녔다. 땅 속성이며 사이버스족인 [[G골렘 크리스탈하트]]나 [[트랜스코드 토커]]로 어렵지 않게 소생할 수 있으므로 조건 충족은 쉬운 편. 전개 과정에서 링크 소재로 거쳐가는 것으로 자연스럽게 묘지에 준비할 수 있고, 소생한 후 효과를 발동하여 더 높은 링크 수의 몬스터를 링크 소환할 수 있다. 이 카드 자체에 링크 소환하자마자 발동할 수 있는 효과가 없다는 점은 아쉽다. 원작에서는 효과 발동 조건으로 소생을 요구하지 않는 단순한 기동 효과였다. OCG에서는 발동 조건이 붙은 대신 대상 카드를 패에도 넣을 수 있도록 변경되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컬렉터즈 팩|ANIMATION CHRONICLE 2022]] || AC02-JP043 ||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링크 3 === ==== G골렘 인밸리드 돌멘 ==== [[파일:Gゴーレム・インヴァリッド・ドルメ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링크=, 한글판명칭=G골렘 인밸리드 돌멘, 일어판명칭=G(ジ―)ゴーレム・インヴァリッド・ドルメン, 영어판명칭=G Golem Invalid Dolmen, 속성=땅, 레벨=3, link4=, link6=, link8=, 공격력=2800, 종족=사이버스족, 소재=땅 속성 몬스터 2장 이상, 효과1=①: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 필드의 상호 링크 상태의 몬스터는 상대 필드에서 발동한 몬스터의 효과를 받지 않는다., 효과2=②: 공격 가능한 상대 몬스터는 이 카드를 공격해야 한다., 효과3=③: 1턴에 1번\, 패에서 사이버스족 몬스터 1장을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은 덱에서 1장 드로우한다., 효과4=④: 상호 링크 상태의 이 카드가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 필드의 모든 앞면 표시 카드 효과는 무효화된다.)] 링크 소재는 땅 속성 몬스터 2장 이상으로 널널한 편인데, 타점은 링크 3 상위권 수준으로 높다. 땅 속성 범용 링크 몬스터로도 사용은 가능하겠으나, ③의 효과를 사용할 수 없으며 연계성이 높은 [[G골렘 크리스탈하트]]가 사이버스족 몬스터만 소재로 요구하기에 온전한 성능은 내기 어렵다. ①의 효과는 상호 링크 상태인 몬스터가 상대 필드에서 발동한 몬스터 효과를 받지 않게 하는 효과. ②의 효과인 공격 대상을 이 카드로 고정하는 효과까지 더하여 다른 몬스터를 효과적으로 지킬 수 있다. 이 카드 자신에게도 내성 효과가 적용된다. ③의 효과는 사이버스족 몬스터를 패에서 버리고 1장 드로우하는 효과. 카드명 1턴에 1번 제약이 없어, 적당한 수단으로 묘지로 보낸 후 크리스탈하트로 소생하여 추가 패 교환을 노리는 것도 가능하다. 패에서 묘지로 보내지면 효과를 발동할 수 있는 페불도그와의 궁합이 좋다. ④의 효과는 상호 링크 상태에서 파괴되었을 경우 상대 필드의 모든 앞면 표시 카드의 효과를 무효로 하는 효과. 무효 효과는 턴 종료 이후에도 지속되므로 상대의 강력한 지속물을 무효로 하면 이득이 크다. 효과 특성상 단독으로는 사용하기 어렵고, [[G골렘 크리스탈하트]]나 [[트랜스코드 토커]]와의 연계가 거의 필수적이다. 매 턴 소생되면서 상대의 견제를 방해할 수 있다는 점은 우수하나, 각각의 방해 효과가 대단한 수준은 아니므로 다른 카드에 의한 보조가 중요하다. || 원작 효과 || ||땅 속성 몬스터 2장 이상 ①: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 필드의 상호 링크 상태인 몬스터는 상대 필드의 몬스터의 효과를 받지 않는다. ②: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공격 가능한 상대 몬스터는 이 카드를 공격해야만 한다. ③: 이 카드가 수비 표시 몬스터를 공격했을 경우, 그 수비력을 공격력이 넘은 만큼 전투 데미지를 준다. ④: 필드의 이 카드가 파괴되었을 경우 발동할 수 있다. 상대 필드의 모든 앞면 표시 카드의 효과는 무효화된다. || 원작에서는 ①의 효과의 내성이 더욱 강력했다. ③의 효과는 크리스탈하트 쪽에 옮겨졌으며, ④의 효과는 상호 링크 상태에서 파괴되어야만 발동 가능하도록 조정되어 전반적으로 약체화되었다. 대신 ③의 패 교환 효과가 새로 추가되었다. [[어스(유희왕)|어스]]의 상징이나 다름없는 몬스터로, 계속해서 소생하며 아쿠아를 상징하는 [[G골렘 크리스탈하트]]를 지키는 역할을 맡았다. 실제로 가운데 구멍에 크리스탈하트가 들어간다. 작중의 상징성으로나 활약상으로나 어스의 에이스 몬스터임이 확실해서인지 링크 4인 디그니파이드 트릴리톤을 제치고 울트라 레어 카드로 발매되었다. 인밸리드(Invalid)는 "무효로 하는"을, 돌멘(Dolmen)은 [[고인돌]]을 의미한다. 몬스터 효과에 대한 내성을 부여하거나 ④의 효과로 광역 무효 효과를 걸 수 있는 등, 상대 행동을 무효로 하는 데에 특화된 점에서 따온 카드명으로 보인다. [[파일:유희왕 마스터 듀얼 G골렘 고인돌 소환 연출.gif|width=700]]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는 G골렘 카드군들 중에서는 유일하게 소환 연출이 적용되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컬렉터즈 팩|ANIMATION CHRONICLE 2022]] || AC02-JP044 || [[울트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링크 4 === ==== G골렘 디그니파이드 트릴리톤 ==== [[파일:Gゴーレム・ディグニファイド・トリリト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링크=, 한글판명칭=G골렘 디그니파이드 트릴리톤, 일어판명칭=G(ジ―)ゴーレム・ディグニファイド・トリリトン, 영어판명칭=G Golem Dignified Trilithon, 속성=땅, 레벨=4, link2=, link4=, link6=, link8=, 공격력=3200, 종족=사이버스족, 소재=땅 속성 몬스터 2장 이상,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③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공격 가능한 상대 몬스터는 이 카드를 공격해야 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상대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하는 데미지 계산 전에 1번\, 패에서 땅 속성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상대 몬스터는 턴 종료시까지\, 공격력을 200 내리고\, 효과는 무효화된다., 효과3=③: 자신 필드의 링크 몬스터를 대상으로 하는 효과를 상대가 발동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그 효과를 무효로 하고 파괴한다.)] 링크 소재로는 땅 속성 몬스터 2장 이상을 요구한다. 널널한 조건이라 크게 어렵지는 않지만, [[G골렘 크리스탈하트]]를 소재로 소환하기는 어렵다는 점은 아쉬운 부분. ①의 효과는 인밸리드 돌멘도 가지고 있던 상대의 공격을 강제하는 효과. 이 카드의 공격력이 제법 높은 편이라 방해 효과로서의 질은 더욱 높다. [[배틀매니아(유희왕)|배틀매니아]]와 같은 효과라 강제로 이 카드를 공격해야하니 상대 배틀 페이즈를 쉽게 먹통으로 만들 수 있다. ②의 효과로 상대 몬스터를 무효로하면 전투 내성까지 먹통으로 만들어 버리기 때문에 이 카드가 서있는 것만으로도 아제우스의 등장을 차단해버릴 수 있다. ②의 효과는 상대 몬스터와 전투할 경우 패에서 땅 속성 몬스터 1장을 버리고, 그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을 내리고 효과를 무효로 하는 효과. 전투의 안정성을 크게 높여주는 효과인데, 패 코스트까지 필요한 것치고는 공격력 하락치가 너무 낮아 실질적으로는 상대의 전투 내성이나 공격력 증가 등의 효과를 먹통으로 만드는 역할이다. 데미지 스탭에 발동하는 효과라 저지하기도 어렵다. ③의 효과는 링크 몬스터를 대상으로 하는 효과를 무효로 하고 파괴하는 것. 코스트 없이 대상 지정 효과를 막을 수 있어 우수한 효과지만 발동하는 효과이므로 카운터당할 수 있다는 점은 유의할 것. 원작에서는 최초로 공격력 3000을 초과한 링크 몬스터였다.[* OCG화된 카드 중에서 최초로 공격력 3000을 초과한 링크 몬스터는 공격력 3500의 [[성신기 데미우르기어]]로, 공개 시기 자체는 애니메이션의 디그니파이드 트릴리톤이 더 빠르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컬렉터즈 팩|ANIMATION CHRONICLE 2022]] || AC02-JP045 ||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마법 카드 == === [[그레비티 밸런스]] === OCG화되면서 G골렘 카드로 취급하는 효과 외 텍스트가 붙음으로써 G골렘 카드군에 속하게 되었다. == 기타 == === G골렘 토큰 === [[파일:Gゴーレムトーク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토큰=, 일반=, 한글판 명칭=G골렘 토큰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G(ジー)ゴーレムトークン, 영어판 명칭=G Golem Token, 레벨=1, 속성=땅, 종족=사이버스족, 공격력=0, 수비력=0, 효과외1=이 카드는 "G골렘" 토큰으로 사용할 수 있다., 최하단1=※"G골렘 토큰" 이외의 토큰으로 사용할 경우\, 그 토큰의 종족 / 속성 / 레벨 / 공격력 / 수비력을 적용한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토너먼트 팩|トーナメントパック 2022 Vol.3]] || 22TP-JP316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OCG화되지 않은 카드 == === 그래비티 비전 === [[https://vignette.wikia.nocookie.net/yugioh/images/6/66/GravityVision-JP-Anime-VR.png]] || 한글판 명칭 ||'''그래비티 비전'''|| || 일어판 명칭 ||'''[ruby(重力幻影, ruby=グラヴィティ・ヴィジョン)]'''|| || 영어판 명칭 ||'''Gravity Vision'''|| ||<-2> 일반 함정 || ||<-2>이 카드는 배틀 페이즈에만 발동할 수 있다.[br]①: 이 턴에 전투로 파괴되어 자신 묘지로 보내진 땅 속성 링크 몬스터 1장과,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 필드에 "G골렘 토큰"(사이버스족 / 땅 / 레벨 1 / 공 0 / 수 0)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G골렘 토큰"의 수비력은, 대상의 묘지의 몬스터의 링크 마커의 수 × 800 올린다. 또한,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G골렘 토큰"이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대상 상대 몬스터는, 공격력이 "G골렘 토큰"의 수비력만큼 내리고, "G골렘 토큰"밖에 공격할 수 없다.|| [[분류:유희왕/OCG/카드군]][[분류:유희왕/OCG/사이버스족]][[분류:유희왕/OCG/링크 소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