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000000> '''{{{#FFFFFF [[Ohio Players]]의 싱글}}}''' || || "Varee Is Love"[br](1972) ||<|2> → || '''Funky Worm'''[br](1973) ||<|2> → || "Ecstasy"[br](1973) || |||||||| '''{{{+1 ''Funky Worm''}}}'''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Funky_Worm.jpg|width=100%]]}}} || || '''아티스트''' || [[Ohio Players|오하이오 플레이어스]] || || '''수록 음반''' || [[Pleasure]] || || '''B-Side''' || "Paint Me" || || '''발매일''' || [[1973년]] [[1월 16일]] || || '''녹음 기간''' || [[1972년]] || || '''스튜디오''' || 아티 필즈 스튜디오 ([[미시간 주]] [[디트로이트]]) || || '''장르''' || [[펑크(음악)|펑크(Funk)]] || || '''길이''' || 2:41 (앨범 버전) || || '''송라이터''' || [[Ohio Players|오하이오 플레이어스]] || || '''프로듀서''' || [[Ohio Players|오하이오 플레이어스]] || || '''레이블''' || 웨스트바운드 레코드 || [목차] [clearfix] == 개요 == [[오하이오 플레이어스]]의 싱글이며 이들의 3집 앨범 [[Pleasure]]의 첫 싱글로 1973년 1월 16일에 발매되었다. == 상세 == 키보디스트 월터 "주니" 모리슨(Walter "Junie" Morrison)의 키보드 솔로가 매우 유명한 곡으로, 90년대 미국 음악계를 휘어잡은 [[G-funk]]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곡이다. G-funk를 상징하는 고음의 신디사이저가 바로 이 곡에 모티브를 따와 만들어졌기 때문. [[N.W.A]]의 "Dopeman", MC Breed의 "Ain't No Future in Yo' Frontin'", [[Kris Kross |크리스 크로스]]의 "[[Jump(크리스 크로스)|Jump]]", [[스눕 독]]의 "Serial Killa", DJ 재지 제프 & [[윌 스미스|더 프레쉬 프린스]]의 "[[Boom! Shake the Room]]", [[아이스 큐브]]의 "Wicked"와 "Getto Bird" 등 셀 수 없이 많은 [[힙합 음악|힙합]] 트랙에 샘플링되었다. == 오디오 == [youtube(bSIb4T5vu9E)] == 가사 == |||| ---- '''{{{+4 Funky Worm}}}''' ---- She's here, Mr. Johnson Okay, thank you very much Granny, they're expecting you You're a little late So come here this way Right here What? Say it now Oh, say it now, say it now, ahem Me and the Ohio Players Are gonna tell you about a worm He's the funkiest worm in the world Okay, sing it, Clarence There's a worm in the ground, yes there is (That's right, that's right) He's six feet down (Six feet down) He only comes around When he wants to get down But when he comes out of his hole He sounds something like this Oh, that's funky, that's funky Like nine cans of shaving powder, that's funky Come on wit' it again, fellas Come on wit' it All through all the land, yeah yeah Sing it He plays in a band Plays in a band Plays guitar without any hands Pretty good, I might add Yeah When he grabs his guitar and starts to pluck Everybody wants to get up and dance Ah, get it baby I'm his manager, heh, yeah Gonna make a million dollars I get it all too, he can't spend it Don't stop now honey, get down That's it, that's it Don't, don't, Don't fight the feeling Don't fight it OK, that's enough, get out of here Here we go People listen to this Gettin' really funky Get out of here Goin' back in his hole Just the same way he came out Do we get paid for this? Yes, of course I just wanted to make sure, we do, okay OK, you're welcome ---- || == 차트 성적 == [[빌보드 R&B 차트]]에서 1973년 5월 둘째 주에 1주 1위, [[빌보드 핫 100]]에서 15위를 기록했다. [[1973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에선 84위에 올랐다. [[분류:Ohio Players]][[분류:빌보드 핫 100 15위 노래]][[분류:빌보드 R&B 차트 1위 노래]][[분류:1973년 노래]][[분류:1973년 싱글]][[분류:Fu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