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View on top, Control on the bottom when the device is partially folded >접혀있을 때는 위에서 보고, 아래에서 조작하세요 >---- >[[Samsung Developers]] == 개요 == [br]{{{#!wiki style="max-width: 700px; border: 1px solid #f2f2f2; background-color: #ffffff; border-radius: 24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top: 24px; padding-bottom: 24px; margin: 0 auto;"\ [[파일:Flex Mode Picture.png|align=center&width=100%]] }}}[clearfix][br] Flex Mode(플렉스 모드)는 [[One UI]]의 폴더블 반응형 UI 요소이다. == 상세 == Flex Mode는 폴더블 반응형 UI의 표준이다. [[갤럭시 Z 시리즈]]의 ''''[[프리스탑 힌지]]''''가 접힌 상태를 '''유지할 때''', 프리스탑 힌지에 있는 센서에 의해 접혀진 화면에 반응하여, 적절한 위치로 애플리케이션 레이아웃을 변형하여 제공한다. 이는 [[One UI]]의 [[One UI#보는 영역과 인터랙션 영역|보는 영역과 인터랙션 영역]]의 디자인 철학을 응용한 것이다. Flex Mode는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UI이기도 하지만, 폴더블 디스플레이 뿐만 아니라, 대형 디스플레이와 해상도에도 반응하는 UI이기도 하다. Flex Mode에서도 폴더블 화면이 변형되는 방향에 따라 Fold Type과 Flip Type으로 나누어진다. Fold Type 은 [[갤럭시 Z 시리즈]]의 폴드에 해당하는 가로 쪽 Flex Mode, Flip Type은 [[갤럭시 Z 시리즈]]의 플립에 해당하는 세로 쪽 Flex Mode이다. 삼성은 Flex Mode가 웹페이지에서도 적용될 수 있게끔, W3C와 인텔과 협력하여 웹에서 돌아가는 Flex Mode 표준을 개발하였다. 또한, HTML로 만들어진 웹페이지에서 Flex Mode 표준을 쓸 수 있는 [[One UI#s-6.2|One UI 웹]]을 개발 및 오픈소스로 지원 하고 있다. [br] === 종류 === Flex Mode의 종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종류에 따라서 Fold Type과 Flip Type으로 각각 나누어진다. Fold Type과 Flip Type은 프로그램 상 뿐만아니라, 실제 출력되는 레이아웃의 모습도 다르게 반응해서 보여준다. [br] ==== Fold Type ==== {{{#!wiki style="max-width: 700px; border: 1px solid #ffffff; background-color: #ffffff; border-radius: 24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top: 24px; padding-bottom: 24px; margin: 0 auto;"\ [[파일:Flex Mode Fold type.png|align=center&width=100%]] }}}[clearfix][br] ==== Flip Type ==== [[파일:Flex Mode Flip type.png|align=center&width=700px]] [br] ==== Flex Mode 패널 ==== {{{#!wiki style="max-width: 700px; border: 1px solid #ffffff; background-color: #ffffff; border-radius: 24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top: 24px; padding-bottom: 24px; margin: 0 auto;"\ [[파일:Flex-mode-panel.gif|align=center&width=100%]] }}}[clearfix][br] Flex Mode 패널은 Flex Mode를 지원하지 않는 앱에서 Flex Mode를 실행하는 기능으로, Flex Mode의 일종이다. [설정] > [실험실] > [플렉스 모드 패널] 에서 Flex Mode 패널을 켜면 Flex Mode 패널을 쓸 수 있다. Flex Mode 패널에서 지원하는 추가 기능은 다음과 같다. [[파일:Flex Mode Pannel_Galaxy Z Flip4.png|align=center&width=350]] {{{#!wiki style="max-width: 700px; border: 1px solid #0381fe; border-radius: 24px; padding-left: 24px; padding-right: 24px; padding-top: 24px; padding-bottom: 24px; margin: 0 auto;"\ * [[SmartThings#미디어 출력|미디어 출력]] ([[SmartThings]] 미디어 출력을 지원하는 앱의 경우) }}} {{{#!wiki style="max-width: 700px; border: 1px solid #0381fe; border-radius: 24px; padding-left: 24px; padding-right: 24px; padding-top: 24px; padding-bottom: 24px; margin: 0 auto;"\ * 퀵 패널 * 스크린샷 * 밝기 * 볼륨 * 터치 패드 }}}[clearfix][br] === 역사 === {{{#!wiki style="max-width: 700px; border: 1px solid #1C2295; background-color: #1A2393; border-radius: 24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top: 24px; padding-bottom: 24px; margin: 0 auto;"\ [[파일:Flex Mode Animation.gif|align=center&width=100%]] }}}[clearfix][br] 2019년 10월, 삼성 개발자 컨퍼런스 2019에서 처음 Flex Mode의 콘셉트가 공개되었다. 이후 [[갤럭시 Z Flip]]가 공개 된 [[삼성 갤럭시 언팩/2020년 이후|삼성 갤럭시 언팩 2020]]에서 실제로 구현되는 Flex Mode가 [[갤럭시 Z Flip]]에서 시연되었다. [[Good Lock]]의 [[Good Lock#MultiStar|MultiStar]]의 v3.4.28 업데이트에 '웬만하면 Flex' 옵션이 I ♡ Galaxy Foldable 메뉴에 추가되었다. 웬만하면 Flex는 Flex Mode 패널은 Flex Mode를 지원하지 않는 앱에서도, 화면을 분할할 수 있다. 2020년 8월, [[삼성 갤럭시 언팩/2020년 이후|삼성 갤럭시 언팩 2020]]에서 [[갤럭시 Z Fold2]]를 공개하면서, Flex Mode가 폴드 타입의 디스플레이에서 처음 적용되었다. 이 때, Flex Mode 패널도 처음 공개되었다. Flex Mode 패널은 웬만하면 Flex와 유사하게, Flex Mode를 지원하지 않는 앱에서도, 화면을 분할할 수 있어서 기능적으로 같지만, 디자인이 크게 개선되었다. 동시에,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는 웬만하면 Flex는 지원을 종료하였다. [br] === 플랫폼 === * 안드로이드 10 이상 [br] == 실행 방법 == {{{#!wiki style="max-width: 700px; border: 1px solid #ffffff; background-color: #ffffff; border-radius: 24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top: 24px; padding-bottom: 24px; margin: 0 auto;"\ [[파일:Flex Mode Postures.png|align=center&width=100%]] }}}[clearfix][br] 폴더블 디스플레이에서 Flex Mode가 실행되는 방법은 [[프리스탑 힌지]]의 각도에 따라 크게 2단계로 나누어진다. * 화면이 열린 상태부터 80°까지는 뒤집힘(POSTURE_FLIPPED) 상태가 되어 커버 화면을 쓸 수 있다. 이 것을 커버 화면에서 일종의 Flex Mode를 쓰고 있는 것으로 인식한다. * 80°에서 110°부터는 반 열림(POSTURE_HALF_OPENED) 상태가 되어 폴더블 디스플레이인 메인 화면에서의 Flex Mode가 실행된다. 폴더블 디스플레이인 메인 화면이 다 닫힌 0° 에서는 닫힘(POSTURE_Closed) 상태가 되어 Flex Mode가 실행되지 않는다. 메인 화면이 다 펼쳐진 180°에서는 다 열림(POSTURE_OPENED) 상태가 되어 Flex Mode가 종료되고, 메인화면을 쓸 수 있다. [br] === 반 열림(POSTURE_HALF_OPENED)의 유효한 값 === {{{#!wiki style="max-width: 700px; border: 1px solid #FFFFFF; background-color: #FFFFFF; border-radius: 24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top: 24px; padding-bottom: 24px; margin: 0 auto;"\ [[파일:POSTURE_HALF_OPENED.gif|align=center&width=100%]] }}}[clearfix][br]  Flex Mode의 반 열림(POSTURE_HALF_OPENED)이 켜지는 각도는 75~115도와 75~115도보다 살짝 더 넓거나 좁은 각도 안에서도 켜질 수도 있다. {{{#!wiki style="max-width: 700px; border: 1px solid #FFFFFF; background-color: #FFFFFF; border-radius: 24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top: 24px; padding-bottom: 24px; margin: 0 auto;"\ [[파일:Flex Mode-Validation_POSTURE_OPENED.png|align=center&width=100%]] }}}[clearfix][br] Flex Mode의 레퍼런스 디바이스인 [[갤럭시 Z 플립5]] | [[갤럭시 Z 폴드|Z 폴드5]]를 살펴보면, 프리스탑 힌지를 다 펼쳐서 Flex Mode의 다 열림(POSTURE_OPENED) 상태가 켜지는 각도 가운데에서 가장 큰 표준 각도는 약 178.5도에서 181.5도 사이일 수도 있다. 삼성전자는 고객 편의와 사용성을 위해 유효한 값을 넓게 따지도록 세팅했다고 안내하고 있다. [[https://r1.community.samsung.com/t5/%EC%86%90%EC%89%AC%EC%9A%B4-%ED%95%B4%EA%B2%B0-%EB%B0%A9%EB%B2%95/%EA%B0%A4%EB%9F%AD%EC%8B%9C-z-%ED%8F%B4%EB%93%9C5-%ED%94%8C%EB%A6%BD5%EC%9D%98-%EC%83%88%EB%A1%9C%EC%9A%B4-%ED%94%8C%EB%A0%89%EC%8A%A4-%ED%9E%8C%EC%A7%80-%EA%B8%B0%EC%88%A0-%EC%86%8C%EA%B0%9C/ba-p/22828861|삼성 멤버스]] == 지원 == === 지원 범위 === * [[One UI]] 2 이상 [br] === 지원 기기 === * [[삼성 갤럭시]] * [[갤럭시 Z 시리즈]] * [[갤럭시 Z 플립]] * [[갤럭시 Z 플립 5G]] * [[갤럭시 Z 폴드2]] * [[갤럭시 Z 플립3]] * [[갤럭시 Z 폴드3]] * [[갤럭시 Z 플립4]] * [[갤럭시 Z 폴드4]] * [[갤럭시 Z 플립5]] * [[갤럭시 Z 폴드5]] * [[삼성 심계천하]] * [[삼성 심계천하 시리즈#삼성 W21 5G|삼성 W21 5G]] * [[삼성 심계천하 시리즈#삼성 W22 5G|삼성 W22 5G]] * [[삼성 심계천하 시리즈#삼성 W23|삼성 W23]] | [[삼성 심계천하 시리즈#삼성 W23 Flip|W23 Flip]] [br] === 지원 애플리케이션 === * [[삼성 TV 플러스]] * [[삼성 갤러리]] * 삼성 계산기 * 삼성 메시지 * [[삼성 뮤직]] * 삼성 비디오 * 삼성 시계 * 삼성 전화 * 비디오 콜 * [[삼성 프리]] * 삼성 카메라 * [[삼성 캘린더]] * [[Always On Display]] * [[넷플릭스]] * [[디즈니+]] * [[벅스(음원 서비스)|벅스]] * [[사운드클라우드]] * [[스포티파이]] * [[인스타그램]] * [[지니뮤직]] * [[페이스북]] * [[Messenger|페이스북 메신저]] * 미츠 * 멜론 * FLO * [[캔디카메라]] * [[Chrome|크롬]] * B612 * CoverScreen OS * Duo * Soda * SNOW * seezn * [[WhatsApp]] * [[YouTube]] [br] == 개발 == * [[Samsung Developers]] * [[https://developer.samsung.com/one-ui/foldable-and-largescreen/foldable-excl-flex.html]] * [[https://developer.samsung.com/galaxy-z/flex-mode.html]] * [[삼성 인터넷#One UI 웹|One UI Web]] * [[https://oneuiweb.dev/#/]] * [[https://github.com/SamsungInternet/OneUI-Web]] * W3C * [[https://github.com/w3c/device-posture]] Flex Mode는 웹, 프로그래시브 웹앱, 안드로이드 앱, 유니티 등 여러 매체에서 쓸 수 있다. 개발 도큐멘트는 [[Samsung Developers]]에서 볼 수 있다. 개발에 있어야 하는 리소스는 [[삼성 인터넷]], W3C, 인텔에서 만드는 웹의 Flex Mode의 경우 깃허브의 CSS, 삼성전자와 구글이 개발하는 안드로이드 앱의 경우 구글 킷의 제트팩 윈도우 매니저 API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br] == 기타 == [[프리스탑 힌지]]의 정교한 제조 기술이 없으면, 정상적으로 Flex Mode를 쓸 수 없다. Flex Mode는 어디까지나 디스플레이의 변형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전제 한 반응형 UI 요소이기 때문. 이렇다보니 다른 [[폴더블 스마트폰]] 제조사들의 경우 비슷한 소프트웨어를 넣었음에도 [[경첩]]이 [[화웨이 P 시리즈#s-2.11.1|받쳐주지 못해서 기능을 못 쓰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프리스탑 힌지]]의 정교한 하드웨어가 준비되었다고 해도, 소프트웨어가 준비되지 않으면, Flex Mode를 쓸 수 없다. [[삼성전자]]는 각 분야의 표준을 제정하는 다양한 기업과의 소통 및 협업을 통해 웹, 앱 폴더블 반응형 UI의 표준으로 Flex Mode의 라이브러리를 개발하고 있으며, 이를 오픈소스 프로젝트로 공개하여 일반 개발자도 참여하고 있으므로 거의 대다수의 폴더블 반응형 앱, 웹이 Flex Mode와 호환된다. [[갤럭시 Z 시리즈]]가 [[삼성 갤럭시]]의 초고가 라인업이고, Flex가 [[FLEX#s-1.1|부를 과시한다는 뜻]]도 있다 보니 '자랑 모드'라는 드립이 있다. [[분류:삼성전자의 소프트웨어]][[분류:UI 요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