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000000> '''{{{#FFFFFF [[Ohio Players]]의 싱글}}}''' || ||<#7d7d7c> "[[Skin Tight]]"[br](1974) ||<|2><#7d7d7c> → ||<#7d7d7c> '''Fire'''[br](1974) ||<|2><#7d7d7c> → ||<#7d7d7c> "[[I Want to Be Free]]"[br](1975) || ||<:><-2> '''{{{+1 {{{#ffffff Fire}}}}}}''' || ||<-5><:> [[파일:Fire_Ohio_Players.jpg|width=100%]] || ||<:><#7d7d7c> {{{#ffffff '''수록 음반'''}}} ||<(> [[Fire(오하이오 플레이어스의 음반)|Fire]] || ||<:><#7d7d7c> {{{#ffffff '''아티스트'''}}} ||<(> [[Ohio Players]] || ||<:><#7d7d7c> {{{#ffffff '''B-Side'''}}} ||<(> "Together" || ||<:><#7d7d7c> {{{#ffffff '''발매일'''}}} ||<(> 1974년 11월 || ||<:><#7d7d7c> {{{#ffffff '''녹음 기간'''}}} ||<(> 1974년 || ||<:><#7d7d7c> {{{#ffffff '''스튜디오'''}}} ||<(> 파라곤 스튜디오 ([[일리노이 주]] [[시카고]]) || ||<:><#7d7d7c> {{{#ffffff '''장르'''}}} ||<(>[[펑크(음악)|펑크(Funk)]], [[소울 음악|소울]] || ||<:><#7d7d7c> {{{#ffffff '''재생 시간'''}}} ||<(> 4:36 (앨범 버전)[br]3:12 (싱글 버전) || ||<:><#7d7d7c> {{{#ffffff '''레이블'''}}} ||<(> Mercury || ||<:><#7d7d7c> {{{#ffffff '''송라이터'''}}} ||<(> [[Ohio Players|Billy Beck, Leroy "Sugarfoot" Bonner, Marshall "Rock" Jones, Ralph "Pee Wee" Middlebrooks, Marvin "Merv" Pierce, Clarence "Satch" Satchell, James "Diamond" Williams]] || ||<:><#7d7d7c> {{{#ffffff '''프로듀서'''}}} ||<(> [[Ohio Players]] || [목차][clearfix] == 개요 == [[오하이오 플레이어스]]의 싱글이며 이들의 6집 앨범 [[Fire(오하이오 플레이어스의 음반)|Fire]]의 첫 싱글로 1974년 11월에 발매되었다. == 상세 == 오하이오 플레이어스의 음악 스타일이 잘 드러나 있는 곡이다. 70년대식 정통 펑크(Funk) 사운드라고 할 수 있다. == 오디오/비디오 == || 오디오 (앨범 버전) || ||[youtube(jMjBo3edd1g)]|| || 비디오 (더 미드나잇 스페셜) || ||[youtube(Y47G-Wa4qfs)]|| || [[탑 오브 더 팝스]] 비디오 || ||[youtube(zqsYNc_M988)]|| == 가사 == ||Hey, ha, uh-huh Hey, hey, hey, Lord (ow, gow) Hey, ha, uh-huh Hey, hey, hey, Lord (Fire) Fire (Uh, uh) Fire (Sing us home) (Oh Lord) Fire (woo, woo, woo, woo) Fire The way you walk and talk really sets me off To a four-alarm, child, yes it does, uh, uh The way you squeeze and tease knocks to me my knees 'Cause you're smokin', baby, baby The way you swerve and curve really wracks my nerves And I'm so excited, child (yeah) woo, woo The way you push, push lets me know that you're Ha ha ha ha ha ha ha, good (You're gonna get your wish) Oh, Lord, oh Fire (what I say, child, ow) Fire (uh-huh) Got me burnin', got me burnin' (woo) Got me burnin', got me burnin' (no no) Got me burnin', got me burnin' (whoa) Woo hoo hoo hoo, baby Says burnin, burnin' baby Hoo, hoo, hoo, hoo, hoo Burnin, burnin' baby Oh, baby 'Cause someone on me When you shake what you got, and girl, you've got a lot You really somethin', child, yes, you are 'Cause when you're hot, you're hot, you really shoot your shot You're dyn-o-mite child, yeah Well, I can tell by your game, you're gonna start a flame In my heart, baby, baby I'm 'bout to choke from the smoke, got to tighten up my stroke Can you feel it, girl? Yeah Got me burnin', got me burnin' Got me burnin', got me burnin' Got me burnin', got me burnin' (fire) Got me burnin', got me burnin' (fire) Got me burnin', got me burnin' (fire) Got me burnin', got me burnin' (fire) Got me burnin', got me burnin' (fire)|| == 차트 성적 == [[빌보드 R&B 차트]]에서 1975년 1월 넷째 주부터 2월 첫째 주까지 2주 연속 1위, [[빌보드 핫 100]]에서 1975년 2월 둘째 주에 1주 1위를 기록했다. [[1975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에선 31위에 올랐다. [[분류:Ohio Players]][[분류:빌보드 핫 100 1위 노래]][[분류:빌보드 R&B 차트 1위 노래]][[분류:1974년 노래]][[분류:1974년 싱글]][[분류:Funk]][[분류:소울 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