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카일리 미노그/음반 목록)] ---- ||<-5> [[카일리 미노그#s-4.1|{{{#000000 '''카일리 미노그의 정규 앨범 (발매일순)'''}}}]] || || {{{#ffffff '''정규 7집'''}}}[br][[Light Years|{{{#!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B0C4DE; font-size: 0.865em; color: white; letter-spacing: -0.2px" '''Light Years'''}}}]][br]{{{-2 {{{#ffffff (2000)}}}}}} || {{{+1 →}}} || {{{#FFFFFF '''정규 8집'''}}}[br][[Fever (카일리 미노그)|{{{#!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708090; font-size: 0.865em; color: #FFFFFF; letter-spacing: -0.2px" '''Fever'''}}}]][br]{{{-2 {{{#FFFFFF (2001)}}}}}} || {{{+1 →}}} || {{{#FFFFFF '''정규 9집'''}}}[br][[Body Language (카일리 미노그)|{{{#!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FFFFFF; font-size: 0.865em; color: #000000; letter-spacing: -0.2px" '''Body Language'''}}}]][br]{{{-2 {{{#FFFFFF (2003)}}}}}} || ||||
[[카일리 미노그|[[파일:689d7a7ec6794b58ea938cbfc03e5fdd.png|width=100]]]] || |||| [[Fever (카일리 미노그)|[[파일:Fever - Official 591x162.png|width=100]]]] || ||||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61d-oKisxVL._SL1461_.jpg|width=100%]]}}} || ||<:><#fff>'''{{{#000000 발매일}}}'''||<#ffffff>'''2001년 10월 1일'''|| ||<:><#fff>'''{{{#000000 장르}}}'''||<#ffffff>[[댄스 팝]], [[디스코]], [[누 디스코]], 유로 팝|| ||<:><#fff>'''{{{#000000 레이블}}}'''||<#ffffff>Parlophone|| ||<:><#fff>'''{{{#000000 프로듀서}}}'''||<#ffffff>Steve Anderson, Rob Davis, Cathy Dennis, Greg Fitzgerald, Pascal Gabriel, Julian Gallagher, Tom Nichols, Mark Picchiotti, Richard Stannard, Paul Statham, TommyD|| [목차] == 개요 == [include(틀:멜론 선정 명반,음반명=Fever)] [include(틀:100BEAT 선정 2000년대 베스트 앨범, 순위=80)] [include(틀:슬랜트 선정 2000년대 100대 명반, 순위=133)] [include(틀:BuzzFeed 선정 147대 명반)] [include(틀:Nostalgie 선정 500대 명반, 순위=414)] [[카일리 미노그]]의 8번째 정규 앨범. 그 유명한 <[[Can't Get You Out of My Head]]>가 수록된 [[카일리 미노그]]의 커리어 하이 앨범이자 카일리에게 영국 및 유럽에서의 성공 뿐 아니라 [[미국]] [[빌보드 200]] 상위권 진입과 첫 [[그래미]] 수상까지 안겨준 작품. 이 앨범이 없었다면 지금의 카일리의 위상은 없었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그녀의 커리어의 정점을 찍은 앨범이다. 영원히 넘어설 수 없을 것만 같아 보였던 1집 <[[Kylie]]>의 성적을 뛰어넘었으며[* 물론 월드 기준. 영국 기준으로는 <[[Kylie]]>보다 살짝 아래이다.] 카일리 본인 스스로도 이 시기를 '아이코닉했다' 고 표현할 만큼 화려했던 전성기. 이 앨범은 2002년 [[브릿 어워드]]에서 [[다프트 펑크]]를 꺾고 최고 국제 앨범상[* 영국인을 제외한 외국인들에게 주어지는 부문.] 부문을 수상했다. == 제작 및 발매 과정 == 앨범의 리드 싱글인 '[[Can't Get You Out of My Head]]' 는 2001년 9월 17일 발매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Can't Get You Out of My Head|설명 참조]] 카일리는 2000년 자신을 훌륭하게 재기시켜 준 전작 [[Light Years]]의 활동이 끝나가던 2001년 1월에 후속작을 녹음하기 시작하였다. [[Light Years]]의 경우 사람들에게 자신이 계속 음악을 할 수 있음을 증명하고 연예계에 자리를 잡기 위한 목표 의식이 뚜렷했기에 제작 과정이 꽤나 험난하고 고된 기간이였다. 그러나 다행히 Light Years가 아주 잘 되면서 본 작은 상대적으로 여유를 갖고 작업 할 수 있었다고 한다. 마찬가지로 팔로폰에서 제작한 이 앨범은 [[디스코]]와 유로 팝의 영향을 받은 댄스 트랙들로 구성되었으며 [[테크노]]와 [[신스팝]]의 다양한 요소들을 결합하여 비평가들로 부터 호평을 받았다. [[일렉트로니카]]를 본격적으로 도입하기 시작한 것도 이 앨범으로, 이후 [[X (카일리 미노그)|X]] 앨범으로 대표되는 카일리의 일렉트로니카 컨셉의 시초가 된 앨범이다. 트랙들은 사랑과 댄스라는 단순한 테마로 만들어졌으며 댄스 팝 본연에 충실하기 위해 [[발라드]] 곡을 수록하지 않았다. 1989년 2집 [[Enjoy Yourself]] 이후 13년만에 미국에 정식 발매된 카일리의 앨범이며 [[캐피톨 레코드]]의 지원 하에 활발한 미국 프로모션을 진행하였다. == 트랙리스트 == ||||||<:>
{{{#696969 '''Fever'''}}}|| ||<:>{{{#696969 트랙}}}[* [[미국]], [[호주]], [[일본]] 등 에서 워낙 다양한 버전의 스페셜 에디션이 나왔기 때문에 이 항목에서는 디럭스 버전의 보너스 트랙을 작성하지 않고 기본 트랙만 작성한다.]||<:>{{{#696969 제목}}}[* 굵은 글씨는 정식 싱글 컷 한 곡.]||<:>{{{#696969 길이}}}|| ||<:>1||<#fff>More More More||<:>4:40|| ||<:>2||<#fff>'''Love at First Sight'''||<:>3:57|| ||<:>3||<#fff>'''[[Can't Get You Out of My Head]]'''||<:>3:49|| ||<:>4||<#fff>Fever||<:>3:30|| ||<:>5||<#fff>Give It To Me||<:>2:48|| ||<:>6||<#fff>Fragile||<:>3:44|| ||<:>7||<#fff>'''Come into My World'''||<:>4:30|| ||<:>8||<#fff>'''In Your Eyes'''||<:>3:18|| ||<:>9||<#fff>Dancefloor||<:>3:23|| ||<:>10||<#fff>Love Affair||<:>3:47|| ||<:>11||<#fff>Your Love||<:>3:47|| ||<:>12||<#fff>Burning Up||<:>3:59|| ||<:>총길이||<#fff>'''12곡''' ||<:>'''45:27'''|| == 성적 == ||
<:>{{{#696969 차트명}}}||{{{#696969 피크 순위 (피크 유지 기간/차트 인 기간) }}}|| ||<:><#fff> [[Official Charts|UK Albums]] || '''1위(2주 / 84주 차트 인)''' || ||<:><#fff> [[빌보드 200]] || '''3위(1주 / 44주 차트 인)''' || ||<:><#fff> [[Australia]] AR1A Albums || '''1위(5주 / )''' || * 영국에서는 2주 연속 1위를 차지하였고 총 20주 간 10위권을 유지했다. 총 172만장이 팔려 퀸터플 (5X)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으며 2000년대 영국 연대 차트에서 43위를 기록했다. * 미국에서는 첫 주 [[빌보드 200]] 3위를 기록하여 현재까지도 카일리의 유일한 미국 탑10 앨범이다. 총 44주간 차트인 하였고 총 115만장을 판매해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 * 호주에서는 무려 5주 간 1위를 차지하였다. 총 49만장을 판매해 셉튜플 (7X)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 호주에서 2년 연속 연간 차트 탑5 안에 들었다. * 그 외에도 [[독일]]에서 2주 연속 1위를 차지하였고 [[오스트리아]]에서도 1위를 기록했다. 총 14개국에서 플래티넘 이상의 인증을 받았으며 전 세계적으로 총 600만장 이상이 판매되었다. == 싱글 == === [3] [[Can't Get You Out of My Head]] === === [8] In Your Eyes [[https://youtu.be/OjETibEMbJY|#]] === 'In Your Eyes' 는 2002년 2월 18일 두번째 싱글로 발매되었다.[* 미국에서는 발매되지 않았다.] 카일리가 공동 작곡한 곡이며 본래 1월에 발매될 예정이였다가 [[Can't Get You Out of My Head|전 작]]의 신드롬급 광풍에 발매가 연기되었다. 곡 자체의 반응은 매우 좋았으나 전작의 임팩트에 밀려 괄목할 만한 성적은 내지 못한 여러모로 비운의 작품. 뮤직비디오는 Dawn Shadforth가 감독을 맡았으며 형형색색의 조명을 활용한 화려한 영상미로 호평받았다. 영국 3위, 호주 1위. === [2] Love at First Sight [[https://youtu.be/wf421JsG004|#]] === 'Love at First Sight'은 2002년 6월 10일 세번째 싱글로 발매되었다. [[틴 팝]] 요소가 짙게 깔려있어 앨범의 다른 트랙들에 비해 개성적인 편이며 청량한 느낌이 많이 나는 신나는 곡이다. 'In Your Eyes' 에 비해서 성공적으로 차트 상위권에 안착하여 지금까지도 카일리의 전성기를 대표하는 곡 중 하나로 꼽힌다. 2003년 [[그래미 어워드]] '베스트 댄스 레코딩' 부문에 노미네이트 되어 카일리의 첫 그래미 노미네이트 작이 되기도 하였다. 영국 2위, [[빌보드 핫 100]] 23위. === [3] Come into My World [[https://youtu.be/63vqob-MljQ|#]] === 2002년 11월 11일 앨범의 마지막 싱글로 발매되었다. [[Can't Get You Out of My Head]]와 같은 프로듀서진이 만들었으며 그 때문에 곡의 느낌이 비슷하다는 반응이 많았다.[* 작곡진이 의도하고 자매곡으로 만든 것이니 정확한 감상인 셈.] 본래 앨범에 수록될 계획은 없었으나 레코딩 마감 이틀 전 데모를 듣게 된 카일리와 레이블이 곡을 마음에 들어해 하루만에 녹음을 완료하고 급하게 수록한 트랙.[* 그 때문에 앨범에 들어간 버전과 이후 싱글로 나온 버전의 믹싱이 다르다.] [[미셀 공드리]]가 감독한 뮤직비디오는 참신한 연출로 지금까지도 카일리의 최고의 뮤직비디오 중 하나로 꼽힌다.[* 편집에만 꼬박 15일이 소요되었다고.] 2004년 [[그래미 어워드]] '베스트 댄스 레코딩' 부문을 수상하여 카일리의 처음이자 마지막 그래미 수상작이 되었다. 영국 8위, [[빌보드 핫 100]] 91위. [[분류:카일리 미노그]][[분류:카일리 미노그/음반]][[분류:2001년 음반]][[분류:오스트레일리아의 팝 음반]][[분류:댄스 팝]][[분류:누 디스코]][[분류:빌보드 3위 앨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