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면역계]][[분류:수용체]][[분류:항체]] [목차] == 개요 == Fc 수용체(Fc receptor, FcR)는 [[항체]]의 Fc 부분[* Fragment crystalizable, 결정화절편. [[항체#구조]] 참고. 항체의 중쇄 불변 영역으로 이루어진, 항체를 Y자로 보았을 때 밑 부분.]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면역계/세포|면역계 세포들]]의 [[수용체]]들이다. 이들은 항체와 결합하여 항체의 다양한 기능을 세포들이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 기능 == [[선천면역]]을 담당하는 세포들은 일반적으로 제한된 다양성을 가지기 때문에, 다양한 [[항원]]에 맞춰서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Fc 수용체를 통해 무수히 많은 가짓수의 특이적인 항체와 결합한다면 첫째로, 선천면역 세포 자체에 특이성이 없더라도 다양하고 특이적인 항원과 결합할 수 있고, 둘째로는, 체액성 면역의 산물인 항체가 세포매개 면역으로 연결될 수 있다. == 반응 방식 == FcR과 항체 한 분자가 결합하는 것으로는 보통 아무 반응도 일어나지 않는다. 만약 항체 하나만 가지고 반응이 일어난다면 [[면역계]]가 항시 과도하게 활성화될 것이다. 따라서, 다수의 [[면역복합체]]와 Fc 수용체가 교차결합(cross-link)해야만 반응이 일어나는 것이 일반적이다. == 종류 == 결합하는 항체의 동형(isotype)에 따라서 일차적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각각의 [[면역글로불린]] 중쇄 구성 5가지 중 [[면역글로불린 D]]의 δ 중쇄를 제외한 α γ ε μ로 구분한다. === FcγR === [[면역글로불린 G]](IgG)와 결합하는 FcR들의 목록이다. * [[FcγRI]] ([[CD64]]) * [[FcγRII]] ([[CD32]]) * [[FcγRIIA]] ([[CD32a]]) * [[FcγRIIB1]] ([[CD32b]]) * [[FcγRIIB2]] ([[CD32c]]) * [[FcγRIII]] ([[CD16]]) * [[FcγRIIIA]] ([[CD16a]]) * [[FcγRIIIB]] ([[CD16b]]) * [[FcγRIV]] * [[FcRn]] === FcεR === [[면역글로불린 E]](IgE)와 결합하는 FcR들의 목록이다. * [[FcεRI]] * [[FcεRII]] ([[CD23]]) === FcαR === [[면역글로불린 A]](IgA)와 결합하는 FcR이다. * [[FcαR]] ([[CD89]]) === FcμR === [[면역글로불린 M]](IgM)과 결합하는 FcR이다. * [[FcμR]] === 복잡한 경우 === 둘 이상의 항체 동형과 결합하는 FcR들이다. * [[Fcα/μR]] ([[CD351]]) * [[PolyIgR]] - IgA, IgM과 결합하여 [[세포통과]](transcytosis)시키는 [[상피세포]]의 Fc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