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Fate/Grand Order/서번트/캐스터)] [include(틀:Fate/Grand Order/관련 정보)] ||<-5> '''[[Fate/Grand Order|{{{#ffffff Fate/Grand Order}}}]]{{{#ffffff 의 196~200 번째 서번트}}}''' || || 2018/2/16[br][[Fate/Grand Order/이벤트/「공의 경계/the Garden of Order」#s-9|복각 공의경계 콜라보]] ||<|2> → || 2018/4/4[br][[영구동토제국 아나스타샤]] ||<|2> → || 2018/4/29[br][[Fate/Grand Order/이벤트/Fate/Apocrypha/Inheritance of Glory|Fate/Apocrypha 콜라보]] || || ★4 [[Fate/Grand Order/서번트/아처/아사가미 후지노|아사가미 후지노]]^^⏰^^ || ★5 '''아나스타샤'''[br]★4 [[Fate/Grand Order/서번트/버서커/아탈란테 [얼터]|아탈란테 [얼터\]]][br]★3 [[Fate/Grand Order/서번트/캐스터/아비케브론|아비케브론]] ---- ★5 [[Fate/Grand Order/서번트/라이더/이반 뇌제|이반 뇌제]]^^⏰^^[br]★3 [[Fate/Grand Order/서번트/엑스트라 클래스/어벤저/안토니오 살리에리|안토니오 살리에리]]^^🔒^^ || ★5 [[Fate/Grand Order/서번트/라이더/아킬레우스|아킬레우스]][br]★4 [[Fate/Grand Order/서번트/아처/케이론|케이론]] ---- ★4 [[Fate/Grand Order/서번트/캐스터/지크|지크]]^^🎁^^ || ## 문서 최상단 둘러보기 틀 2개 제한 때문에 틀이 2개만 있습니다. ## [목차] == 개요 == 이 문서는 [[Fate/Grand Order]]의 등장 서번트, 아나스타샤의 인게임 성능에 대해서 다루고 있습니다. 캐릭터성과 성격 및 작중 행적 등은 [[아나스타샤(Fate 시리즈)]] 문서를 참조해 주십시오. == 인게임 정보 == === 아트워크 === ||<-4>
'''영기재림별 적용 그림''' || || '''1차''' || '''2차''' || '''3차''' || '''최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황녀쟝_재림1.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황녀쟝_재림2.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황녀쟝_재림3.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아나스타샤_최종.png|width=100%]]}}} || || [[파일:황녀쟝최고1.png|width=100%]] || [[파일:황녀쟝최고2.png|width=100%]] || [[파일:황녀쟝최고3.png|width=100%]] || ||<-3><#ddd,#383b40> 인게임 스프라이트 || === 스테이터스 === ||<-9> '''영기재림 구간별 스테이터스''' || || || '''기존 스탯[br]Lv. 1''' || 기존 최대[br]Lv. 40 || 1차 최대[br]Lv. 50 || 2차 최대[br]Lv. 60 || 3차 최대[br]Lv. 70 || '''최종 수치[br]Lv. 80''' || '''성배전림[br]Lv. 100''' || '''성배전림[br]Lv. 120''' || || Atk || 1,629 || 6,943 || 8,405 || 9,574 || 10,314 || '''10,546''' || 11,544 || 13,551 || || Hp || 2,091 || 9,343 || 11,338 || 12,932 || 13,942 || '''14,259''' || 15,621 || 18,359 || ||<-11> '''보유 스킬''' || || '''이미지''' ||<-2> '''이름''' ||<-8> '''효과''' || ||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Shieldbreak.png|width=40]] ||<-2> 투시의 마안 D ||<-8> 자신에게 무적 관통 상태 부여 (1턴)[br]& 아츠 카드 성능 UP [Lv.n] (1턴)[br]+ 적 하나의 약화 내성 DOWN [Lv.n] (1턴) || || '''레벨''' || Lv. 1 || Lv. 2 || Lv. 3 || Lv. 4 || Lv. 5 || Lv. 6 || Lv. 7 || Lv. 8 || Lv. 9 || Lv. 10 || || 아츠 + || 30% || 32% || 34% || 36% || 38% || 40% || 42% || 44% || 46% || 50% || || 약화 내성 - || 50% || 55% || 60% || 65% || 70% || 75% || 80% || 85% || 90% || 100% || || 쿨타임 ||<-5> 7 ||<-4> 6 || 5 || ||<-11> '''{{{#yellow 1차 영기재림}}}으로 획득''' || || '''이미지''' ||<-2> '''이름''' ||<-8> '''효과''' ||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Dmg_up.png|width=40]] ||<-2> 절동의[br]카리스마 B ||<-8> 아군 전체의 공격력 UP [Lv.n] (3턴)[br]+ 적 전체의 공격력 DOWN [Lv.n] (3턴) || || '''레벨''' || Lv. 1 || Lv. 2 || Lv. 3 || Lv. 4 || Lv. 5 || Lv. 6 || Lv. 7 || Lv. 8 || Lv. 9 || Lv. 10 || || (자신)[br]공격력 +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20% || || (적 전체)[br]공격력 -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20% || || 쿨타임 ||<-5> 7 ||<-4> 6 || 5 || ||<-11> '''{{{#yellow 3차 영기재림}}}으로 획득''' || || '''이미지''' ||<-2> '''이름''' ||<-8> '''효과''' ||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Startnp.png|width=40]] ||<-2> 슈비브지크[* Shvibzik. 뜻은 프로필에 나오는 것처럼 '작은 악마'이라는 뜻으로 아나스타샤의 어렸을 적 별명이다.] B ||<-8> 자신의 NP 증가 [Lv.n][br]+ 적 하나에게 낮은 확률로 스턴 상태 부여 [Lv.n] (1턴) || || '''레벨''' || Lv. 1 || Lv. 2 || Lv. 3 || Lv. 4 || Lv. 5 || Lv. 6 || Lv. 7 || Lv. 8 || Lv. 9 || Lv. 10 || || NP || 30% || 32% || 34% || 36% || 38% || 40% || 42% || 44% || 46% || 50% || || 스턴 확률 || 40% || 42% || 44% || 46% || 48% || 50% || 52% || 54% || 56% || 60% || || 쿨타임 ||<-5> 9 ||<-4> 8 || 7 || ||<-11> '''▼ {{{#yellow 강화 퀘스트 아나스타샤[* [[페그오 강화 퀘스트 16탄]]] 클리어}}}로 제3스킬 강화''' || || '''이미지''' ||<-2> '''이름''' ||<-8> '''효과''' ||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Startnp.png|width=40]] ||<-2> 슈비브지크 B+ ||<-8> 자신의 NP 증가 [Lv.n][br]+ 적 '''전체'''에게 낮은 확률로 스턴 상태 부여 [Lv.n] (1턴)[br]'''& 아츠 공격 내성 DOWN [Lv.n] (3턴)''' || || '''레벨''' || Lv. 1 || Lv. 2 || Lv. 3 || Lv. 4 || Lv. 5 || Lv. 6 || Lv. 7 || Lv. 8 || Lv. 9 || Lv. 10 || || NP || 30% || 32% || 34% || 36% || 38% || 40% || 42% || 44% || 46% || 50% || || 스턴 확률 || 40% || 42% || 44% || 46% || 48% || 50% || 52% || 54% || 56% || 60% || || 아츠[br]내성 +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30% || || 쿨타임 ||<-5> 8 ||<-4> 7 || 6 || ||<-11> '''어펜드 스킬''' || ||<-11> '''{{{#yellow 서번트 코인 120개}}}로 획득''' || || '''이미지''' ||<-2> '''이름''' ||<-8> '''효과''' ||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Divinity.png|width=40]] ||<-2> 추격 기교 향상 ||<-8> 자신의 Extra Attack 카드 성능 UP || || '''레벨''' || Lv.1 || Lv.2 || Lv.3 || Lv.4 || Lv.5 || Lv. 6 || Lv. 7 || Lv. 8 || Lv. 9 || Lv. 10 || || 엑스트라 + || 30% || 32% || 34% || 36% || 38% || 40% || 42% || 44% || 46% || 50% || ||<-11> '''{{{#yellow 서번트 코인 120개}}}로 획득''' || || '''이미지''' ||<-2> '''이름''' ||<-8> '''효과''' || || [[파일:external/fate-go.cirnopedia.info/skill_037.png|width=40]] ||<-2> 마력장전 ||<-8> 자신의 NP를 차지한 상태에서 배틀을 개시 || || '''레벨''' || Lv.1 || Lv.2 || Lv.3 || Lv.4 || Lv.5 || Lv. 6 || Lv. 7 || Lv. 8 || Lv. 9 || Lv. 10 || || NP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20% || ||<-11> '''{{{#yellow 서번트 코인 120개}}}로 획득''' || || '''이미지''' ||<-2> '''이름''' ||<-8> '''효과''' ||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Dmg_up.png|width=40]] ||<-2> 대 캐스터 공격 적성 ||<-8> 자신의 [캐스터] 클래스에 대한 공격력을 UP || || '''레벨''' || Lv.1 || Lv.2 || Lv.3 || Lv.4 || Lv.5 || Lv. 6 || Lv. 7 || Lv. 8 || Lv. 9 || Lv. 10 || || 공격력 +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30% || ||<-3> '''클래스 스킬''' ||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Territory_creation.png|width=40]] || 진지작성 EX || 자신의 아츠 카드의 성능 12% UP ||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Debuffres.png|width=40]] || 요정계약 A || 자신의 약화 내성 10% UP[br]& 약화 상태 부여 성공률 10% UP || ||<-6> '''보구''' || ||<-6>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_1jIm_o8hk)]}}} || ||<-6> '''질주・정령안구 - 비이・비이・비이'''[br]([ruby(疾走・精霊眼球, ruby=ヴィイ・ヴィイ・ヴィイ)] | Вий Вий Вий) || ||<-2> 랭크 : EX ||<-2> 종류 : 정령보구 ||<-2> 타입 : '''{{{#blue,#6495ed Arts}}}''' || ||<-6> '''효과''' || ||<-6> 적 전체에게 강력한 공격 [Lv.n][br]& 방어력 DOWN (3턴) <오버차지로 효과 UP> [br]& 스킬 봉인 상태 부여 (1턴) || || '''보구 레벨''' || Lv.1 || Lv.2 || Lv.3 || Lv.4 || Lv.5 || || 위력 || 450% || 600% || 675% || 712.5% || 750% || || '''오버차지''' || 100% || 200% || 300% || 400% || 500% || || 방어력 - || 20% || 25% || 30% || 35% || 40% || ||<-5> '''커맨드 카드''' || || '''{{{#green,#0c0 Quick}}}''' || '''{{{#blue,#6495ed Arts}}}''' || '''{{{#blue,#6495ed Arts}}}''' || '''{{{#blue,#6495ed Arts}}}''' || '''{{{#red,#salmon Buster}}}''' || ||<-5> '''타격 횟수''' || || '''{{{#green,#0c0 Quick 4}}}''' || '''{{{#blue,#6495ed Arts 3}}}''' || '''{{{#red,#salmon Buster 3}}}''' || '''{{{#gray,#darkgray Extra 5}}}''' || '''{{{#blue,#6495ed NP 4}}}''' || === 히든 스탯 === ||<-4> '''속성''' || ||<-4> {{{#000,#eee '''[include(틀:글무리, 둘레=10px, 그림자=#5ecaf8, 내용=인)]'''}}}[br]여성 || || '''NP 획득량''' || '''스타 집중도''' || '''스타 발생률''' || '''즉사율''' || || 공격 0.51% / 피격 3% || 49 || 10.8% || 36% || === 프로필 === ||<-2> '''일러스트레이터, 성우''' || || ILLUST : sime || CV : [[하라 유미]] || || '''캐릭터 상세 (공식 번역)''' || ||아나스타샤 니콜라예브나 로마노바. 러시아 제국[* 일그오에서의 원문은 '[[로마노프 왕조|로마노프 제국]]'이라고 되어있다. 한국에서는 로마노프 제국이라는 표현을 안쓰는데다 한국에서 사용하는 '로마노프 왕조'로 쓰기에는 뒤에 나오는 '황제'와 대치된다. '[[왕조]]'가 일반적인 인식과 다르게 제국에서도 사용되기는 하는 지라 아쉬운 부분. 대체된 '러시아 제국'도 니콜라이 2세가 러시아에 세워진 모든 제국을 통틀어 마지막 황제인 게 사실이라 의미가 통하기는 한다.], 마지막 황제였던 [[니콜라이 2세]]의 막내딸. [[러시아 혁명]]에 말려들어, 가족과 하인, 애완동물 등과 같이 예카테린부르크[* 일그오에서의 원문은 '이파티예프 저택'. 이파티예프 저택이 예카테린부르크에 있으니 뜻은 통한다.]에서 학살되었다. || ||<-6> '''패러미터''' || || 근력 : E || 내구 : E || 민첩 : C || 마력 : A || 행운 : D || 보구 : C || || '''마테리얼 (공식 번역)''' || ||언록조건 : {{{#yellow 인연레벨 1에 도달하면 해금}}}|| ||신장/체중 : 158cm・40kg 출전: 역사적 사실 지역: 러시아 속성: 중립・중용 성별: 여성 비이는 그녀와 계약한 러시아 제국의 비장(秘蔵) 정령. || ||언록조건 : {{{#yellow 인연레벨 2에 도달하면 해금}}}|| ||기본적으로 천진난만하지만, 인간 불신의 기미가 있기에, 소환 직후의 신뢰하지 않는 단계에서는 담담한 어조로 말한다. 신뢰를 획득하면, 그녀 본래의 장난기 많고, 활발한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카메라로 거울을 찍어서, 자신의 모습을 남기는…… 요즘 식으로 말하면 셀카를 남겼다는 미소 지어지는 에피소드도 있다. 가족에게 보낸 편지도 몇 통인가 남아 있어, 그녀의 순진무구한 모습과 가족에 대한 깊은 애정이 엿보인다. || ||언록조건 : {{{#yellow 인연레벨 3에 도달하면 해금}}}|| ||○ 슈비브지크(Shvibzik) : B 아나스타샤의 과거 닉네임(의미는 작은 악마)이며, 동시에 비이의 능력 중 하나. 다양한 소소한 불가능을 가능케 한다. 상대가 가지고 있는 물건을 내 손으로 이동시키고, 대지가 살짝 갈라져 상대가 걸려 넘어지게 하는 등, '장난' 수준의 사상을 가능케 한다. 비교적 어마어마한 레벨의 능력이지만, 유효 범위는 좁고, 거기다가 뭔가를 살상할 수준으로 상처입히거나 파괴하는 일 등은 불가능. || ||언록조건 : {{{#yellow 인연레벨 4에 도달하면 해금}}}|| ||'질주・정령안구' 랭크: EX 종별: 정령보구 사정거리: ? 최대포착: ? 비이 비이 비이. 비이의 마안의 전력해방. 모든 것을 꿰뚫어 보는 안구는, 인과율조차도 뒤틀어 약점을 창출한다. '잔광, 불길한 피의 성채' 랭크: A+ 종별: 요새보구 사정거리: 1~99 최대포착: 11명 + 1마리 수메르키 크레믈. 러시아의 이곳저곳에 흩어져 있는 성채(크렘린, 혹은 크레믈)의 재현. 황제(차르)의 피를 잇는 아나스타샤는, 지극히 견고하고 아름다운 요새를 소환, 자신의 몸을 지키는 데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성은 아나스타샤가 선택한 자밖에 들어올 수 없다. 그 이외의 자, 침입자에 대해서는 성채 자체가 공격한다. FGO에서는 기본적으로 사용되지 않았다. || ||언록조건 : {{{#yellow 인연레벨 5에 도달하면 해금}}}|| ||비이, 라고 불리는 정령 혹은 요괴는 엄밀하게는 존재하지 않는다. 러시아의 문호인 고골의 괴기 단편 소설 '비이'에 등장한 창작 요괴이다. 다만, 비이와 비슷한 전승은 슬라브에 몇 개인가 존재하므로, 그것을 원형으로 삼은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아나스타샤가 계약한 비이는, 러시아 제국이 보유하고 있던 사역마다. 그는 그 마안으로 다양한 비밀을 폭로하고, 성채의 약점을 찾아내며, 게다가 적대하는 자를 피로 물들였다. 다만, 재능이 없다면 그를 보는 것도 조작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아나스타샤는 죽기 직전에, 겨우 그와 계약할 자격을 얻었다. || ||언록조건 : {{{#yellow 막간의 이야기 '절망성의 과거와 희망성의 미래'를 클리어하면 해금}}}|| ||본래대로라면 서번트였다고 해도 별다른 힘이 없을 존재였지만, 이문대의 간섭으로 비이의 힘을 얻은 것에 의해, 비할 데 없는 힘을 갖게 되었다. 로마노프 왕조의 혈통으로서 국민들을 이끈다는 사명감과, 그들이야말로 자신들을 학살한 자들이라는 증오의 틈새에서 고뇌한다. 그녀가 어느 쪽을 선택할지는 마스터 하기 나름이지만, 그 대부분은 증오하면서도 사명은 다한다는 고난의 길을 선택할 것이다. 그녀는 얼굴이 없는 누군가를 계속 미워할 정도로 약하지는 않은 것이다. || === 강화 소재 & 인연 포인트 === ||<-6> '''영기재림 재료'''(각 레벨 상한에 도달해야 가능) || || 기존▷1차 || ▷2차 || ▷3차 || ▷최종재림 || || 캐스터 피스 4개 || 캐스터 피스 12개[br]허영의 먼지 15개 || 캐스터 모뉴먼트 4개[br]추억의 소라껍데기 10개[br]혈루석 3개 || 캐스터 모뉴먼트 12개[br]혈루석 6개[br]영원결빙 12개 || ||<-5> '''스킬 강화 재료'''(종류 불문 요구 요소는 동일) || || Lv. 1▷Lv. 2 || ▷Lv. 3 || ▷Lv. 4 || ▷Lv. 5 || ▷Lv. 6 || || 술의 휘석 5개 || 술의 휘석 12개 || 술의 마석 5개 || 술의 마석 12개[br]추억의 소라껍데기 5개 || 술의 비석 5개[br]추억의 소라껍데기 10개 || || ▷Lv. 7 || ▷Lv. 8 || ▷Lv. 9 ||<-2> ▷Lv. 10 || || 술의 비석 12개[br]허영의 먼지 10개 || 허영의 먼지 20개[br]금단의 페이지 6개 || 금단의 페이지 18개[br]여진화약 72개 ||<-2> 전승결정 1개 || ||<-5> '''어펜드 스킬 강화 재료'''(종류 불문 요구 요소는 동일) || || Lv. 1▷Lv. 2 || ▷Lv. 3 || ▷Lv. 4 || ▷Lv. 5 || ▷Lv. 6 || || 술의 휘석 5개 || 술의 휘석 12개 || 술의 마석 5개 || 술의 마석 12개[br]봉황의 깃털 4개 || 술의 비석 5개[br]봉황의 깃털 8개 || || ▷Lv. 7 || ▷Lv. 8 || ▷Lv. 9 ||<-2> ▷Lv. 10 || || 술의 비석 12개[br]혈루석 3개 || 혈루석 6개[br]오로라강 6개 || 오로라강 18개[br]무지갯빛 실타래 24개 ||<-2> 전승결정 1개 || ||<-6> '''요구 인연포인트 수치''' || || 인연 레벨 || Lv.1 || Lv.2 || Lv.3 || Lv.4 || Lv.5 || || 레벨업 요구치 || 5,000 || 15,000 || 10,000 || 2,000 || 18,000 || || 총 인연 포인트 || 5,000 || 20,000 || 30,000 || 32,000 || 50,000 || || 인연 레벨 || Lv.6 || Lv.7 || Lv.8 || Lv.9 || Lv.10 || || 레벨업 요구치 || 150,000 || 430,000 || 340,000 || 320,000 || 405,000 || || 총 인연 포인트 || 200,000 || 630,000 || 970,000 || 1,290,000 || 1,695,000 || ||<-2> '''소지 시 추가로 입수 가능한 개념예장''' || || 인연예장[br]{{{-2 (인연 레벨 10)}}} || ★4 [[Fate/Grand Order/개념예장/인연예장/캐스터 클래스#s-2.9|OTMA]] || || 초콜릿 예장[br]{{{-2 (초콜릿 선물)}}} || ★4 [[Fate/Grand Order/개념예장/초콜릿/캐스터 클래스#s-2.10|비이(자립형)]] || === 대사 === [youtube(NuERutkeDH8)] ||<-5>
'''소환''' || ||<-4> "서번트 아나스타샤. 소환의 바람에 응하여, 여기에 찾아왔습니다. 이 아이는 '비이'랍니다. 나도 포함해서 잘 부탁해요." || ||<-5> '''마이룸''' || ||<|8> 기본 ||<-4>"주종... 이라. 확 와닿는 게 없네요. 하지만, 당신을 시종이라고 생각하면 되는 거겠지요?"|| ||<-4>"저는 항상, 모셔지는 쪽이었어요. 그러니, 서번트로서는 부적절한 행위를 저지를지도 모르겠지만, 노력하겠습니다."|| ||<-4>"비이. 인사하렴? 이 사람은 저의 마스터랍니다."|| ||<-4>"좋아하는 것... 딱히 아무 것도. 비이하고 지낼 수 있으면, 지금은 그것으로 좋아요. 그렇지? 비이."|| ||<-4>"싫어하는 것? 그런 것은 뻔하지 않습니까. 천박, 야만, 횡포, 방자, 교활, 그런 병사들입니다."|| ||<-4>"성배? 저희 일족이 지닌 이스터에그 쪽이 훨씬 고가랍니다? 네? 그런 용도가 아니라고요? ......흐음."|| ||<-4>"인리를 구하려던 거 아니였어요? 당신의 다리는 장식인가요?"|| ||<-4> {{{#!folding [ 2부 1장 클리어시 해금 ] "그래... [[영구동토제국 아나스타샤|저 쪽의 나]]와, 싸운거네. ...미안해요, 마스터. 여러가지로 부담이 들게 만들어버렸네. 신경 쓰지마, 라고 해도 괴롭네요."}}} || ||<|6> 인연레벨 전용 || || {{{#blue 1}}} ||<-3>"다가오지 말아 주세요."|| || {{{#green 2}}} ||<-3>"뭐…… 벽 너머로 대화하는 정도라면, 상관없지만요……"|| || {{{#lime 3}}} ||<-3>"뭐어…… 같은 방에 있는 정도라면, 괜찮아요……|| || {{{#yellow 4}}} ||<-3>"어머나, 마스터, 어서 와요. 잠시 기다려 보세요.[br]지금, 차를 끓일 테니.[br]황녀라고 해도, 말기에는 저 혼자서 많은 것들을 할 수 있게 되었거든요."|| || {{{#red 5}}} ||<-3>"잡은 손을, 놓지 말아줘요…….[br]제 눈에 닿는 곳에 머물러줘요.[br]저의 목소리를 들으면, 언제라도 대답해줘요.[br]저는 이제 더는 잃고 싶지 않아요."|| ||<|5> 상호작용 대사 || [[산밥|산타]] [[산느|계열]] [[산테라|서번트]] ||<-4>"아, 저기... 저는 그게, 산타하고는 아무런 관계도 없습니다. 네, 겨울입니다만, 그래도, 관계없다니까요!"|| || [[오사카베히메(Fate 시리즈)|오사카베히메]] ||<-5>"저, 죄송합니다. 자칭 공주라 하는 분을 뵈었습니다만, 저 분이 항상 들어가 있는 코타츠는 제 방에, 설치할 수는 없는 걸까요. 되는 거겠죠? 그렇지요?"|| || [[메피스토펠레스(Fate 시리즈)|메피스토펠레스]] ||<-5>"[[그리고리 라스푸틴|광대의 면상으로 주위를 즐겁게 하는 무리]]에겐 주의하라, 고 배웠습니다. 마스터도 방심하지 마시길."|| || [[이반 뇌제(Fate 시리즈)|이반 뇌제]] ||<-5>"읏...뇌제께서 계시는 군요. 실례지만 저, 한동안 자릴 비워두겠습니다. 저기, 시선이 거북하거든요. 시선이..."|| || [[코토미네 키레이(Fate/Grand Order)|그레고리 라스푸틴]] ||"라스푸틴…아니요, 당신에게 드릴 말은 없습니다. 이 마음이 가족에게 향하는 사랑인지, 원망인지…그것마저도, 제게는 알 수 없는 거니까요…"|| ||<|2> 기간 한정 || 마스터 생일 ||<-3>"어머, 버스데이인가 보네. 축하……… 할 수 없지. [[로마노프 왕조]]의 이스터 에그 같은 건 어때? 어? 안돼? …아까운 짓을 하는구나, 당신."|| || 이벤트 기간 ||<-3>"저는 아무래도 상관없지만, 뭔가 축제처럼 시끌벅적하네요. 참가하지 않아도 되나요?"|| ||<-5> '''강화''' || || 레벨 업 ||<-4>"응응, 느낌 좋아, 느낌 좋아."|| ||<|4> 영기재림 || 1차 ||<-3>"아...... 옷을 갈아입는 거군요. 기뻐요…… 잘 어울릴까요?"|| || 2차 ||<-3>"어떤가요...... 조금은 변했나요? 언니들을, 조금은 따라잡을 수 있었으면 좋겠는데……"|| || 3차 ||<-3>"이 정도면 파티에 나가는 것도 나쁘지 않겠네요. 언니들도 불러주시지 않겠어요?"|| || 4차 ||<-3>"자, 당신도 마스터라면, 책임 지는 법은 알고 있겠지요?.[br]그 목숨을, 로마노프의 황녀인 저에게, 바치세요.[br]……농담이에요. 진심으로 여기지 마세요.[br]저는 이미, 이것으로 충분하답니다."|| ||<-5> '''전투''' || ||<|2> 전투 개시 ||<-4>"얼어붙은 겨울에 대한 각오는 됐나요?"|| ||<-4>"거침없이 죽으세요."|| ||<|3> 카드 선택 ||<-4>"그래요."|| ||<-4>"네."|| ||<-4>"알았어요."|| ||<|6> 공격 ||<|4> 통상 공격 ||<-4>"죽어."|| ||<-4>"멈춰."|| ||<-4>"조용히 해."|| ||<-4>"움직이지 마."|| ||<|2> EXTRA 어택 ||<-3>"망가지고 찢기고 깨져 버려라!"|| ||<-3>"어디 있어요? ──거기군요."|| ||<|2> 피격 ||<-4>"꺄악..."|| ||<-4>"꺄아아아──악!"|| ||<|2> 스킬 사용 ||<|2> 통상 모션 ||<-3>"죽음에 빠지세요."|| ||<-3>"얼굴을 드세요."|| ||<|4> 보구 ||<|2> 보구 선택 ||<-4>"비이의 눈을 뜨게 하겠어요."|| ||<-4>"비이, 마안을 사용하세요."|| ||<|2> 보구 발동 ||<-4>"비이, 모든 것을 보세요. 모든 것을 꿰뚫으세요. 나의 묘비(墓表)에, 그 위대한 힘을 바치세요.'''『[ruby(질주・정령안구, ruby=비이・비이・비이)]』'''!"|| ||<-4>"비이, 부탁해. 모든 것을 저주해 죽이고, 빼앗아 죽이고, 얼려 죽이세요. 마안 기동──'''질주하라, 비이!'''"|| ||<|2> 사망 ||<-4>"다들...... 어디에...... 눈이, 보이지 않아...... 아무것도......"|| ||<-4>"...쉬세요, 비이...... 뒤는──"|| ||<|2> 전투 종료 ||<-4>"춥네요...... 따뜻한 장소는, 어디일까요."|| ||<-4>"그대로 얼어붙으세요. 언젠가 녹을 날도 오겠지요."|| ||<-2> '''2부 1장 최종전에서 적으로 등장 시''' || ||<|2> '''전투 개시''' ||"범인류사 따위가, 저를 이길 줄 아시나요?" || ||"그래요, 여기까지 다다르셨군요. 그럼, 나도 비이도 전력이야... 마스터, 회로를 돌리세요." || ||<|3> '''공격''' ||"정지." || ||"철퇴." || ||"침묵." || ||<|2> '''피격''' ||"꺄악..." || ||"꺄아아아──악!" || ||<|2> '''스킬 사용''' ||"비이, 부탁해." || ||"훗!" || || '''보구''' ||"마안 해방. 발로르 인챈트, 서킷 오버. 모두 죽여버리세요. 비이!" || ||<|2> '''사망''' ||"이걸로 잘 된거야... 이걸로... 잘 된 거라고..." || ||"[[카독 젬루푸스|카독]]... 당신은..." || == 상세 == 레오나르도 다 빈치, 불야성의 캐스터에 이은 3번째 5성 아츠 대군 캐스터이며, 스탯은 90 레벨 기준 ATK 10,546 / HP 14,259로 타마모노마에와 동일하다. 알트리아 캐스터 실장 후에는 무난히 시스템이 가능한 대군 딜러가 되었다. 1스킬은 각각 1턴 간 무적 관통+아츠 업+적 1체의 약화 내성 다운의 복합 스킬. 아츠뻥이 50%에 약화 내성 다운은 100%에 달하는 높은 배율임에도 불구하고 최소 쿨타임은 5턴으로 짧은 고성능 스킬이다. 2스킬은 카리스마의 바리에이션으로, 아군은 공격력을 20% 올리고 적은 20% 내리는 공방일체의 스킬이다. 무난한 공뻥 스킬. 3스킬은 축복 받은 NP 50% 선차지. 거기에 적 1체에게 저확률로 스턴을 부여한다. 1스킬의 약화 내성 저하와 같이 사용하면 확정 수준으로 확률이 상승한다. 다만 보통 NP 충전 스킬보다 쿨타임이 1턴 길다. 10레벨 기준 7턴. 이후 강화 퀘스트 16탄을 통해 스킬쿨이 1턴 줄고, 저 확률 스턴이 전체로 확대되고, 아츠 공격 내성 DOWN 디버프 20~30%(3턴)가 추가되었다. 보구는 아츠 대군 보구. 공격한 후 1턴 간 적들의 스킬을 봉인하고, 오버차지에 비례해 후방깎을 건다. 공격력이 다소 낮은 편임에도 카리스마 스킬이 있고, 1스킬 까지 사용한 상태에서는 제법 괜찮은 대미지를 보여준다. 다만 실장된지 꽤 지났음에도 보구퀘를 받지 못해 전반적으로는 하위권이다. == 평가 및 운용법 == NP 50% 차지 스킬 덕분에 다양한 용도로 활용가능한 아츠 전체보구 캐스터. 1, 2스킬을 통해 무난한 대군 딜링이 가능하며 2, 3스킬과 보구 부가옵션으로 조금은 서포팅 능력도 지녔다. 마찬가지로 NP 50% 차지 스킬을 지닌 [[페그오 캐네로|캐스터 네로]]와 비교할 경우, 단순 화력과 방어적인 측면에서는 공뻥,방뻥,불리상성 제거등의 화려한 스킬셋을 지닌 네로가 우위를 점한다. 또한 네로쪽이 아나스타샤보다 보구딜이 10% 정도 더 높기 때문에 일반적인 경우에는 네로를 더 많이 사용하게 될 것이다. 하지만 아츠 보구의 차지량을 활용하면 캐네로와 상당히 차별화된 운용도 가능하다. 1스킬을 사용하지 않고 3마리 어새신 상대로 막타만 오버킬을 내면 NP 20%가량을 보구로 얻으므로 마술예장으로 NP획득량을 늘리면[* NP10%를 직접 주유하거나 아츠 버프나 수급률 버프를 걸어주면 된다. 신주쿠 배럴타워처럼 1, 2라운드가 둘 다 낮은 HP의 어새신 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면 1스킬을 미리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 풀젤+서포터의 20차지로 2연사를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멀린을 채용해 3라운드의 버스터 딜러에게 영웅작성을 걸어주거나 공명과 50차지 딜러를 채용해 3라운드에서 흑성배를 달고 보구를 쓸 수 있게 된다. 혹은 엘레나나 오지만디아스 등의 전체20차지가 가능한 딜포터를 채용해 3라운드에서 같이 보구를 쓰는 방법도 있다. 클래스가 캐스터로 같고 100차지를 가진 니토크리스는 풀젤만 있으면 아무 제약없이 2연사를 할 수 있지만 아나스타샤는 카리스마로 3라운드 딜러의 딜을 더 늘려줄 수 있고 2라운드 보구딜이 더 높다는 장점이 있다. 파라켈수스, 타마모를 넣고 공명으로 오더체인지를 하면 보구 3연사도 가능하다. 다만 캐스터 진영에는 예장 없이도 보구 즉발이 가능한 니토크리스가 있기 때문에 굳이 3연사에 목을 맬 필요가 없어서, 1턴은 니토크리스에게 맡기고 2턴은 풀젤인 아나스타샤로, 3턴은 공명이나 라이네스의 주유+아나스타샤 3스킬로 다시 보구를 사용하는 것이 무난하다. 또한 아나스타샤는 한정캐인 네로와는 달리 상시 서번트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보구렙을 쌓기가 용이해서, 노리지도 않았는데 아나스타샤가 몇번 튀어나와서 보구렙이 높을 경우는 대부분의 던전에서 시스탬으로 보구연사가 가능하기에, 네로보다 나은 선택지가 될 수가 있다. 상향을 받은 불야성의 캐스터와 비교하면 아츠팟의 최대 메리트인 보구난사를 살리기엔 딜의 핵심 1스킬 아츠뻥이 1턴이라 시너지가 나지 않으며, 타수가 적어 회전력에서도 밀린다. 대신 공스탯이 처참해 보구 순환에 극단적으로 올인하는 불야캐 보단 평타위력이 안정적이고, 즉발 NP50% 차지가 있기에 NP30% 차지이기에 트릭키한 운영의 불야캐보단 무난한 운영에 적합하다. 1~2웨이브에서 적 체력이 많아서 오버킬이 나지 않는 던전이나, 1~2마리가 있어서 일반적인 3연사 시스템이 불가능한 경우도 아나스타샤는 공명 하나만으로 2연사는 확실히 보장되므로 편성 난이도가 더 낮다는 장점이 있다.[* 한 유튜버의 실험결과, 황녀의 보구랩이 높다면 '''이론상 버서커 던전에서도 시스탬이 돌아간다.'''역상성을 제외한다면 대부분의 던전에서 보구연사가 가능한 셈. 불야캐의 왕특공이 적용되지 않는한 전체적인 실용성에선 완전히 황녀가 우위를 점하는 수준이다.] 단점 중 하나로 스작 난이도가 상당히 높다. 2부 1장에 나온 신 재료인 여진화약을 무려 '''216개'''나 요구하기 때문. 게다가 특성 상 1,2,3스킬을 전부 스작해야 제 성능을 발휘하기 때문에... === [[페그오 캐밥|알트리아 캐스터]] 실장 후 === 페그오의 메타를 아츠로 바꿔버린 완벽한 아츠팟 서포터 [[페그오 캐밥|알트리아 캐스터]] 실장 이후 아나스타샤도 보구3연사가 가능해지면서 평가가 크게 바뀌었다. 더블캐밥의 버프를 받으면 예장 자유로 어쌔신 상대 3연사가 가능해지면서 주회 성능이 크게 올라갔다. 이는 자주 비교되는 불야캐도 마찬가지이다. 둘의 차이점은 보구 데미지는 큰 차이가 없고, ATK수치가 아나스타샤가 살짝 더 높고 NP차지량이 더 많은 대신에 보구 히트수가 불야캐가 더 높다. 시스템을 돌려보면 보구렙이 같다는 전제 하에 1스의 배율 덕분에 3웨이브 딜량은 불야캐보다 살짝 높지만, 아나스타샤는 보구퀘를 아직 못받아서 1, 2웨이브는 불야캐보다 낮다. 8주년 기념 강화퀘에서 강화를 받았으나 받은 거라고는 약화내성, 대마력 등에 허구헌날 막히는 저확률 스턴 전체화와 메타와 동떨어진 디버프로 사실상 옆그레이드라는 평을 받는다. 일반적인 시스템으로 보면 3라운드째의 딜이 강해지는 것 이상의 의미가 없고, 고난이도에서 쓰자니 대상이 전체로 바뀌어봤자 스턴은 확률이 터무니없이 낮고 그나마도 약체무효에 막히니 답이 없다. 그나마 아츠 내성 다운은 고난이도에서는 쓸 여지가 있는 정도. === 타 아츠 대군 캐스터와의 비교 === [include(틀:Fate/Grand Order/캐스터/대군/아츠)] == 기타 == 출시 전 스탠딩 일러스트만 공개됐을 때 [[타입문 갤러리]]에서는 일러스트를 [[시마드릴]]이 그린 거 아니냐는 논란이 있었다. 시마드릴치고는 잘 그린거라는 둥 말이 많았으나 최종재림 일러와 함께 일러스트 담당도 공개되면서 바로 사그라든 해프닝. == 관련 문서 == * [[아나스타샤(Fate 시리즈)]] == 둘러보기 == [include(틀:Fate/Grand Order/캐스터)] [include(틀:Fate/Grand Order 상시소환 서번트)] [[분류:Fate/Grand Order/서번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