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Fate/Grand Order/서번트/버서커)] [include(틀:Fate/Grand Order/관련 정보)] ||<-5> '''[[Fate/Grand Order|{{{#ffffff Fate/Grand Order}}}]]{{{#ffffff 의 53~57번째 서번트}}}''' || || 2015/7/31[br]서비스 개시 ||<|2> → || 2015/8/31[br][[Fate/Grand Order/이벤트/300만 DL 돌파 캠페인|300만 DL 기념 픽업]] ||<|2> → || 2015/9/25[br][[Fate/Grand Order/이벤트/달의 여신은 경단의 꿈을 꾸는가?|달경단 픽업]] || || [[틀:Fate/Grand Order/초기 서번트|초기 52 서번트]] || ★5 [[Fate/Grand Order/서번트/아처/길가메시|길가메시]]^^⏰^^[br]★4 [[Fate/Grand Order/서번트/아처/아탈란테|아탈란테]][br]★4 '''랜슬롯'''[br]★3 [[Fate/Grand Order/서번트/랜서/쿠 훌린 [프로토타입\]|쿠 훌린 [프로토타입\]]][br]★3 [[Fate/Grand Order/서번트/캐스터/메데이아|메데이아]] ||★5 [[Fate/Grand Order/서번트/아처/오리온|오리온]] || ## 문서 최상단 둘러보기 틀 2개 제한 때문에 틀이 2개만 있습니다. ## [목차] == 개요 == 이 문서는 [[Fate/Grand Order]]의 등장 서번트, 랜슬롯(버서커)의 인게임 성능에 대해서 다루고 있습니다. 캐릭터성과 성격 및 작중 행적 등은 [[랜슬롯(Fate 시리즈)]] 문서를 참조해 주십시오. == 인게임 정보 == === 아트워크 === ||<-4>
'''영기재림별 적용 그림''' || || '''1차''' || '''2차''' || '''3차''' || '''최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BerserkerLanceGOState1.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BerserkerLanceGOState2.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BerserkerLanceGOState3.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랜슬롯 버서커 최종.png|width=100%]]}}} || ||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latest?cb=20160110083007.png|width=100%]]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latest?cb=20160110083008.png|width=100%]]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latest?cb=20160111022438.png|width=100%]] || ||<-3><#ddd,#383b40> 인게임 스프라이트(구) || || [[파일:Lancelot_NewSprite1.png|width=100%]] || [br][br][[파일:Lancelot_NewSprite2.png|width=75%]] || [br][br][[파일:Lancelot_NewSprite3.png|width=90%]] || ||<-3><#ddd,#383b40> 인게임 스프라이트(신) || === 스테이터스 === ||<-9> '''영기재림 구간별 스테이터스''' || || || '''기존 스탯[br]Lv. 1''' || 기존 최대[br]Lv. 40 || 1차 최대[br]Lv. 50 || 2차 최대[br]Lv. 60 || 3차 최대[br]Lv. 70 || '''최종 수치[br]Lv. 80''' || '''성배전림[br]Lv. 100''' || '''성배전림[br]Lv. 120''' || || Atk || 1,746 || 6,190 || 7,875 || 9,280 || 10,197 || '''10,477''' || 12,685 || 14,894 || || Hp || 1,652 || 6,067 || 7,741 || 9,138 || 10,049 || '''10,327''' || 12,521 || 14,716 || ||<-11> '''보유 스킬''' || || '''이미지''' ||<-2> '''이름''' ||<-8> '''효과''' ||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Starzoom.png|width=40]] ||<-2> 무궁의 무련 A+ ||<-8> 자신의 스타 집중도 UP [Lv.n] (3턴) || || '''레벨''' || Lv. 1 || Lv. 2 || Lv. 3 || Lv. 4 || Lv. 5 || Lv. 6 || Lv. 7 || Lv. 8 || Lv. 9 || Lv. 10 || || 스타[br]집중도 + || 3,000% || 3,300% || 3,600% || 3,900% || 4,200% || 4,500% || 4,800% || 5,100% || 5,400% || 6,000% || || 쿨타임 ||<-5> 7 ||<-4> 6 || 5 || ||<-11> '''{{{#yellow 1차 영기재림}}}으로 획득''' || || '''이미지''' ||<-2> '''이름''' ||<-8> '''효과''' ||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Critgem.png|width=40]] ||<-2> 정령의 가호 A ||<-8> 자신의 스타 발생률 UP [Lv.n] (3턴) || || '''레벨''' || Lv. 1 || Lv. 2 || Lv. 3 || Lv. 4 || Lv. 5 || Lv. 6 || Lv. 7 || Lv. 8 || Lv. 9 || Lv. 10 || || 스타[br]발생률 + || 10% || 12% || 14% || 16% || 18% || 20% || 22% || 24% || 26% || 30% || || 쿨타임 ||<-5> 7 ||<-4> 6 || 5 || ||<-11> '''{{{#yellow 강화 퀘스트 랜슬롯[* [[페그오 강화 퀘스트 4탄]]] 클리어}}}로 획득''' || || '''이미지''' ||<-2> '''이름''' ||<-8> '''효과''' || || [[파일:external/fate-go.cirnopedia.info/skill_016.png|width=40]] ||<-2> 마력 역류 A ||<-8> 자신의 NP 획득량 UP [Lv.n] (1턴)[br]& 크리티컬 위력 UP [Lv.n] (3턴) || || '''레벨''' || Lv. 1 || Lv. 2 || Lv. 3 || Lv. 4 || Lv. 5 || Lv. 6 || Lv. 7 || Lv. 8 || Lv. 9 || Lv. 10 || || NP[br]획득량 + || 50% || 55% || 60% || 65% || 70% || 75% || 80% || 85% || 90% || 100% || || 크리티컬[br]위력 + || 30% || 32% || 34% || 36% || 38% || 40% || 42% || 44% || 46% || 50% || || 쿨타임 ||<-5> 7 ||<-4> 6 || 5 || ||<-11> '''어펜드 스킬''' || ||<-11> '''{{{#yellow 서번트 코인 120개}}}로 획득''' || || '''이미지''' ||<-2> '''이름''' ||<-8> '''효과''' ||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Divinity.png|width=40]] ||<-2> 추격 기교 향상 ||<-8> 자신의 Extra Attack 카드 성능 UP || || '''레벨''' || Lv.1 || Lv.2 || Lv.3 || Lv.4 || Lv.5 || Lv. 6 || Lv. 7 || Lv. 8 || Lv. 9 || Lv. 10 || || 엑스트라 + || 30% || 32% || 34% || 36% || 38% || 40% || 42% || 44% || 46% || 50% || ||<-11> '''{{{#yellow 서번트 코인 120개}}}로 획득''' || || '''이미지''' ||<-2> '''이름''' ||<-8> '''효과''' || || [[파일:external/fate-go.cirnopedia.info/skill_037.png|width=40]] ||<-2> 마력장전 ||<-8> 자신의 NP를 차지한 상태에서 배틀을 개시 || || '''레벨''' || Lv.1 || Lv.2 || Lv.3 || Lv.4 || Lv.5 || Lv. 6 || Lv. 7 || Lv. 8 || Lv. 9 || Lv. 10 || || NP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20% || ||<-11> '''{{{#yellow 서번트 코인 120개}}}로 획득''' || || '''이미지''' ||<-2> '''이름''' ||<-8> '''효과''' || || [[파일:크리티컬 발생 내성.png|width=40]] ||<-2> 대 버서커 크리티컬[br]발생 내성 ||<-8> 자신의 [버서커] 클래스에게 받는 크리티컬 발생 내성을 UP || || '''레벨''' || Lv.1 || Lv.2 || Lv.3 || Lv.4 || Lv.5 || Lv. 6 || Lv. 7 || Lv. 8 || Lv. 9 || Lv. 10 || || 내성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30% || ||<-3> '''클래스 스킬''' || || [[파일:external/fate-go.cirnopedia.info/skill_027.png|width=40]] || 대 마력 E || 자신의 약화 내성 10% UP || || [[파일:external/fate-go.cirnopedia.info/skill_033.png|width=40]] || 광화 C || 자신의 버스터 카드 위력 6% UP || ||<-6> '''보구''' (변경 전) || ||<-6>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efCzWJNejo)]}}} || ||<-6> '''연출 변경 후''' || ||<-6>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4X471kdbt8)]}}} || ||<-6> [[나이트 오브 아너|'''기사는 맨손으로 죽지 않는다 - 나이트 오브 아너'''[br]([ruby(騎士は徒手にて死せず, ruby=ナイト・オブ・オーナー)] | Knight of Honor)]] || ||<-2> 랭크 : A ||<-2> 종류 : 대군보구 ||<-2> 타입 : '''{{{#green,#0c0 Quick}}}''' || ||<-6> '''효과''' || ||<-6> 자신의 공격력 UP (3턴) <오버차지로 효과 UP>[br]+ 적 전체에게 강력한 공격 [Lv.n] || || '''보구 레벨''' || Lv.1 || Lv.2 || Lv.3 || Lv.4 || Lv.5 || || 위력 || 600% || 800% || 900% || 950% || 1,000% || || '''오버차지''' || 100% || 200% || 300% || 400% || 500% || || 공격력 + || 10% || 15% || 20% || 25% || 30% || ||<-5> '''커맨드 카드''' || || '''{{{#green,#0c0 Quick}}}''' || '''{{{#blue,#6495ed Arts}}}''' || '''{{{#red,#salmon Buster}}}''' || '''{{{#red,#salmon Buster}}}''' || '''{{{#red,#salmon Buster}}}''' || ||<-5> '''타격 횟수''' || || '''{{{#green,#0c0 Quick 2}}}''' || '''{{{#blue,#6495ed Arts 2}}}''' || '''{{{#red,#salmon Buster 1}}}''' || '''{{{#gray,#darkgray Extra 3}}}''' || '''{{{#green,#0c0 NP 10}}}''' || === 히든 스탯 === ||<-4> '''속성''' || ||<-4> {{{#000,#eee '''[include(틀:글무리, 둘레=10, 그림자=#5ecaf8, 내용=지)]'''}}}[br]남성, 원탁의 기사 || || '''NP 획득량''' || '''스타 집중도''' || '''스타 발생률''' || '''즉사율''' || || 공격 0.5% / 피격 5% || 10 || 5% || 52% || === 프로필 === ||<-2> '''일러스트레이터, 성우''' || || ILLUST : [[코야마 히로카즈]] || CV : [[오키아유 료타로]] || || '''캐릭터 상세 (공식 번역)''' || ||원탁의 기사 중에서도 최강으로 평가받는 "호수의 기사". 왕비 귀네비어와의 불륜과 사랑이 카멜롯을 파멸로 이끌었다는, 그야말로 아서 왕 전설의 부정적인 면을 상징하는 인물. || ||<-6> '''패러미터''' || || 근력 : A || 내구 : A || 민첩 : A+ || 마력 : C || 행운 : B || 보구 : A || || '''마테리얼 (공식 번역)''' || ||언록조건: {{{#yellow 인연레벨 1에 도달하면 해금}}}|| ||신장/체중 : 191cm・81kg 출전: 아서 왕 전설 지역: 영국 속성: 질서・광 성별: 남성 최고의 기사였기에 그 잘못은 너무나도 무겁다. || ||언록조건 : {{{#yellow 인연레벨 2에 도달하면 해금}}}|| ||어려서 부모님을 잃고 호수의 요정 니뮤에 밑에서 자라 '호수의 기사'라는 별명을 얻었다. 성인이 된 후 브리튼 섬으로 건너가 아서 왕과 만나면서 [[원탁의 기사(Fate 시리즈)|원탁의 기사]]에 이름을 올린다. 그 무용과 기사도 정신은 타의 모범이 되었다고 한다. || ||언록조건 : {{{#yellow 인연레벨 3에 도달하면 해금}}}|| ||왕비 귀네비어에 대한 사랑에 목숨을 바친 삶 또한 그의 기사도로 보면 필연적이었다. 왕에 대한 반역이 빠르게 파멸의 길에 이르렀다면 그래도 구원은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 무용이 너무나도 대단하였기에 사태는 최악의 결과를 초래한다. || ||언록조건 : {{{#yellow 인연레벨 4에 도달하면 해금}}}|| ||"기사는 맨손으로 죽지 않는다" 랭크: A 종별: 대인보구 나이트 오브 아너. 손에 쥔 물건에 '자신의 보구'라는 속성을 부여해 다루는 보구 능력. 어떤 무기나 병기라도 D 랭크에 상당하는 의사보구가 된다. || ||언록조건 : {{{#yellow 인연레벨 5에 도달하면 해금}}}|| ||○무궁의 무련: A+ 한 시대에 무쌍을 자랑하는 수준에 이른 무예의 수련. 정신력, 기술, 체력이 완전한 합일을 이루어 어떠한 정신적 제약의 영향 아래에서도 완전한 전투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 ||언록조건 : {{{#yellow 막간의 이야기 '기사는 맨 손으로 죽지 않는다'를 클리어하면 해금}}}|| ||너무나 많은 영예를 누렸음에도 회한 속에서 최후를 맞이한 기사의 집념, 특히 왕과 왕비를 향한 결코 답이 나오지 않는 애증의 마음 탓에 그는 영겁의 광기에 사로잡힌다. 그 고뇌를 잠재울 단 하나의 만남을 찾아 흑기사는 쉼 없이 싸운다. || === 강화 소재 & 인연 포인트 === ||<-4> '''영기재림 재료'''(각 레벨 상한에 도달해야 가능) || || 기존▷1차 || ▷2차 || ▷3차 || ▷최종재림 || || 버서커 피스 4개 || 버서커 피스 10개[br]용의 역린 3개 || 버서커 모뉴먼트 4개[br]허영의 먼지 8개[br]혼돈의 발톱 5개 || 버서커 모뉴먼트 10개[br]허영의 먼지 16개[br]용의 송곳니 24개 || ||<-5> '''스킬 강화 재료'''(종류 불문 요구 요소는 동일) || || Lv. 1▷Lv. 2 || ▷Lv. 3 || ▷Lv. 4 || ▷Lv. 5 || ▷Lv. 6 || || 광의 휘석 4개 || 광의 휘석 10개 || 광의 마석 4개 || 광의 마석 10개[br]혼돈의 발톱 3개 || 광의 비석 4개[br]혼돈의 발톱 5개 || || ▷Lv. 7 || ▷Lv. 8 || ▷Lv. 9 ||<-2> ▷Lv. 10 || || 광의 비석 10개[br]용의 역린 2개 || 용의 역린 4개[br]운제철 5개 || 운제철 15개[br]용의 송곳니 48개 ||<-2> 전승결정 1개 || ||<-5> '''어펜드 스킬 강화 재료'''(종류 불문 요구 요소는 동일) || || Lv. 1▷Lv. 2 || ▷Lv. 3 || ▷Lv. 4 || ▷Lv. 5 || ▷Lv. 6 || || 광의 휘석 4개 || 광의 휘석 10개 || 광의 마석 4개 || 광의 마석 10개[br]허영의 먼지 8개 || 광의 비석 4개[br]허영의 먼지 16개 || || ▷Lv. 7 || ▷Lv. 8 || ▷Lv. 9 ||<-2> ▷Lv. 10 || || 광의 비석 10개[br]대기사훈장 8개 || 대기사훈장 16개[br]오로라강 5개 || 오로라강 15개[br]효광노심 12개 ||<-2> 전승결정 1개 || ||<-6> '''요구 인연포인트 수치''' || || 인연 레벨 || Lv.1 || Lv.2 || Lv.3 || Lv.4 || Lv.5 || || 레벨업 요구치 || 4,500 || 20,000 || 2,500 || 2,500 || 10,500 || || 총 인연 포인트 || 4,500 || 24,500 || 27,000 || 29,500 || 40,000 || || 인연 레벨 || Lv.6 || Lv.7 || Lv.8 || Lv.9 || Lv.10 || || 레벨업 요구치 || 160,000 || 365,000 || 315,000 || 310,000 || 350,000 || || 총 인연 포인트 || 200,000 || 565,000 || 880,000 || 1,190,000 || 1,540,000 || ||<-2> '''소지 시 추가로 입수 가능한 개념예장''' || || 인연예장[br]{{{-2 (인연 레벨 10)}}} || ★4 [[Fate/Grand Order/개념예장/인연예장/버서커 클래스#s-3.3|흑기사의 투구]] || || 초콜릿 예장[br]{{{-2 (초콜릿 선물)}}} || ★4 [[Fate/Grand Order/개념예장/초콜릿/버서커 클래스#s-3.4|누군가의 보검]] || === 대사 === ||<-5>
'''소환''' || ||<-5> "Shrrrrrr……" || ||<-5> '''마이룸''' || ||<|5> 기본 ||<-4>"[[알트리아 펜드래곤|Arrrrthurrrrrrr]]……"[* '좋아하는 것' 대화 패턴.]|| ||<-4>"Arrrrthurrrrrrr……!"[* '싫어하는 것' 대화 패턴.]|| ||<-4>"Aa?"|| ||<-4>"……Ar……thur……"|| ||<-4>"[[갤러해드(Fate 시리즈)|Gala……ha...d……]]"[* '성배에 대하여' 대화. 보이스 목록이 추가되기 전까지 [[마슈 키리에라이트]]의 전승령인 갤러헤드에 반응하는 대사로 추정되었으나 사실 일반 대화패턴이었다.]|| ||<|2> 기간 한정 || 마스터 생일 ||<-4>"Birth……day……"|| || 이벤트 기간 ||<-4>"!?……!?……!?……"|| ||<-5> '''강화''' || || 레벨 업 ||<-4>"Gaaaaaaaaa!!"|| ||<|2> 영기재림 || 2차 ||<-4>"Oouooo........."|| || 4차 ||<-4>"Arrrr!"|| ||<-5> '''전투''' || || 전투 개시 ||<-4>"Arrrr!"|| ||<|2> 카드 선택 ||<-4>"Ahrrr"|| ||<-4>"Ohrr"|| ||<|3> 공격 ||<|2> 평상 공격 ||<-4>"Arrrr!"|| ||<-4>"Aa"|| || EXTRA 어택 ||<-4>"Arrrthurrrrrr!"|| || 피격 ||<-4>"Uaaaaaaaaa!!"|| || 스킬 사용 ||<-4>"Arrrr"|| ||<|2> 보구 || 보구 선택 ||<-4>"Ohhhhh"|| || 보구 발동 ||<-4>"Arrrthurrrrrr!!"|| || 사망 ||<-4>"Ahrrrr……Ohrrrrr……"|| || 전투 종료 ||<-4>"Ahrrrrrrr!!"|| == 상세 == 15년 8월 31일 패치로 가챠에 추가되었다. 스텟 자체는 우수하다. 공격력이 10477라 4성 버서커 중에서 헤라클레스, 엘도라도의 버서커 다음으로 높다. 참고로 최종재림 이후의 레벨업 효율은 낮으니 성배를 먹일 예정이 없다면 80레벨로 충분하다. 버서커답게 기본 카드가 QABBB 구성이라 버브체가 가능은 하지만 보구가 퀵이라 보버체는 불가능하다. 그리고 타격 수가 낮은데 기본 스타 발생률과 np 획득량도 낮아 평타로 뭔가 얻어보겠다는 생각은 버리는 게 좋다. 거기다 공격력 버프가 보구에만 달려있고 광화 랭크도 낮아서 일반적으론 눈에 보이는 스탯에 비해 평타 공격력이 낮은 편이다. 가장 큰 문제는 끔찍하게 구린 평타의 NP 수급률. 기본 np 획득량이 0.5%, 적은 타격 횟수, 아츠 1장이라는 상황이 겹쳐 브체 NP 최대 수급량이 무려 전 서번트 중 뒤에서 '''1위'''이며 클래스 보정을 제외한 ABQ의 기본 수급량은 10.5%에 불과하다. 그래서 쉽게 보구를 쓰려면 NP 선충전 계통 예장이 필수적이고, 젤릿치가 있어도 공명, 엘레나, 셰익스피어, 스카디 같이 NP를 즉시 충전해주는 서포터가 없이는 사용이 꺼려질 정도다. 퀵 보구를 통한 스타&np 수급이 지나치게 많이 이루어지는 걸 우려한 밸런스 팀의 조정에 의해 NP 수급률이 아주 낮게 설정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4장까지 출시된 대군 + 퀵 보구 소유자들 중 보구를 쓰고 나서도 행동할 수 있는 건 아탈란테와 랜슬롯 뿐이었다. 마찬가지로 대군 + 퀵 보구를 가진 프랑과 타마캣의 경우엔 보구를 사용 후 기절하기 때문에 NP 수급률에 페널티를 둘 필요가 없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 이후엔 3성인 코타로를 제외하고는 대군 + 퀵 보구 사용자들의 NP 수급률이 크게 칼질당하지 않았으므로 다소 지나친 조치라는 말을 듣기도 한다.] 그래서 후술할 더블스카디 시스템처럼 어지간히 랜슬롯에게 NP를 밀어주는 파티가 아니라면 보구는 일회용이라 생각하는 게 좋다. 스킬은 크리스타 특화. 무궁의 무련은 스타집중, 정령의 가호는 스타수급률 증가, 마력 역류는 크리뻥이다. 무궁의 무련은 집중률이 무려 '''3000~6000%'''지만 랜슬롯 자체의 스타집중률이 꼴랑 10인지라 실질적으로 다른 서번트들의 3~6배가 되는 정도라서 일단 스킬작을 많이 해놓는 게 좋다. 스타수급률 증가는 10레벨 기준으로 30% 증가 수준이라 투자 비용 대비 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존재감 없는 스킬이다.~~직감 의문의 1승~~ 참고로 [[페그오 아르주나|아르주나]]의 "1할짜리 쓰레기" 밈에서 큰 지분을 담당하는 천리안이 '''36%'''의 스타 발생률을 상승시킨다. 그나마 보구가 다단히트해서 아르주나보다는 별을 많이 벌지만 그래봤자 직감의 15개에는 전혀 미치지 못한다. 마력역류의 크리티컬 위력 증가 30~50%는 3턴 지속인 데다 배율도 높아 굉장히 쏠쏠하다. 그리고 이 스킬에 붙어있는 NP 수급률 50~100% 증가는 배율 자체는 높지만 랜슬롯의 극도로 저조한 NP 수급률이 발목을 제대로 잡는다. 그 때문에 스카디가 나오기 전에는 보구를 사용할 때나 아츠 크리티컬을 터트릴 때 외에는 활용하기가 영 힘들다는 평을 받기도 했다. 보구는 퀵인데, 자체적으로 오버차지로 상승하는 공업 효과가 있다. 공업을 걸고 공격을 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실질 데미지가 아주 조금 높아진다. 퀵인 데다가 히트수가 많아서 3마리를 때리면 30개, 퀵 체인+3마리 전원 오버킬을 하면 50개 가량의 별을 벌어온다. 아쉽게도 자뻥이 이걸로 끝이고 보구 강화퀘도 없다 보니 대군 보구를 가진 4성 버서커 중에 '''최하위권의 보구 딜'''을 가지게 되었다. 히든 속성이 땅인 점이 겹쳐서 보구 1레벨로는 추가적인 버프 없이 경던의 일반 금테 적을 확정적으로 잡을 수 없다. 같은 대군 퀵보구 버서커인 타마모 캣이나 프랑켄슈타인도 히든 속성이 땅이라 상대적으로 강한 적도 없다. 거기다가 크리스타를 기껏 모아도 다음 턴에 버슬롯의 카드가 제대로 나와주지 않으면 아무 의미가 없고, 적이 1명만 나올 경우는 타격수가 그만큼 줄어들어서 스타벌이 용도로도 쓸 수 없다. == 평가 및 운용법 == === 스카디 실장 이전 === 라이코처럼 스타를 모아서 크리를 치는 것에 특화되어 있다. 다른 파티원이 번 스타가 적정량 있는 상태에서 무궁의 무련을 사용해 스타를 몰아받거나, 아니면 보구로 스타를 30개 언저리까지 대량수급하여 다음 턴에 직접 크리를 친다. 올크리 버스터 브레이브 체인이 가능한 상황에서 무섭게 몰아치고 퇴장하는 것이 가장 깔끔한 활용법. 기본적으로 강력한 버서커이다보니 크리티컬이 터지면 딜이 미친 듯이 나온다. 거기다 3스킬로 크리티컬 대미지 강화도 되기에 더더욱 돋보인다. 하지만 그 구성 상 활약 시간이 짧고 결정적으로 그 폭발적인 맹활약을 위한 전제조건이 너무나도 많은 게 문제였다. * NP수급량이 밑바닥이라 보구 쓰려면 젤릿치나 공명은 필수. 크리뻥+NP수급량 상승의 3스킬을 얻기는 했으나 NP수급량 버프가 1턴이라 아쉬움이 많았다. * 버서커에 생존기 없어서 크리 터지면 순식간에 누워버린다. * 보구는 1레벨로는 경던조차 밀지 못할 정도로 데미지가 저질이라 보구 레벨이 높지 않으면 운용이 난감했다. * 게다가 보구가 퀵이라 마마를 비롯한 다른 버스터 대군과는 달리 영웅작성으로도 보구 위력을 강화시키는 것은 불가능했다. * 스스로 크리스타 수급이 가능한 수단이 실질적인 1회용인 보구 밖에 없는데 보구를 사용해도 보구로 타격한 적이 1마리였거나, 다음 턴에 버슬롯의 카드가 나오지 않으면 크리도 못하고 평타만 치다가 죽는다. * 스킬작하는데 운제철, 용아도 엄청나게 많이 먹는다. 결과적으로 버슬롯을 메인으로 쓰려면 높은 보구 레벨+지속적인 크리스타 수급요원+방어쪽 서포터+NP수급 요원을 일일이 붙여줘야하는 밑작업과 게임의 대한 이해도가 엄청나게 많이 필요했고 다른 서번트에게 그런 조건을 죄다 붙이면 버슬롯보다 더 오래, 더 잘 싸우니 이렇다할 차별점이 없었다. === 스카디 실장 이후 === [[https://mobile.twitter.com/yosyua_fgo/status/1023573253900496898|더블 스카디의]] [[https://www.youtube.com/watch?v=SoOEDxBy4wI|버프를 받은 버슬롯]]. 스카디 이후 길가메시 급으로 강해졌다는 평가를 듣는 암굴왕과 1:1로 비교해도 꿀리지 않으며, 어떤 면에서는 더 뛰어나다는 평이 나올정도로 평가가 올라갔다. 5성대군 딜러 최강을 논하는 서번트와 비교할정도로 버슬롯의 입지가 올라갔다는것.[* 5성기준으로 개편되어 4성중 S랭크가 단 둘이 된 앱미디어 평가에서도 버슬롯과 니토크리스가 뽑혔다.] 보구의 높은 타수를 기반으로 더블 스카디의 버프를 받아 보구로 NP를 50이상 다시 채우고 스카디의 NP주유로 보구를 연속으로 사용하는 퀵 대군 보구연사 시스템이 발견된 것이다. 특히 다른 퀵 대군 서번트와는 달리 상성을 적게 타는 '''버서커''' 클래스이니만큼 포리너 위주 던전을 제외한[* 2부 6장의 여러 프리 퀘스트가 대표적.] 어떤 유형의 던전에도 대응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다. 버슬롯의 보구에 달린 공격력버프는 3턴이므로 더블 스카디를 기용한 소위 '시스템' 파티에 잘 어울리는 편. 다만 NP 획득량이 여전히 부족한 편이라는 점이 발목을 잡는다. 자신의 NP 획득률 버프인 마력역류가 '''1턴'''이기 때문에 3번째 보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추가 NP 획득 버프 또는 NP주유 스킬 지원이 필요하고, 개념예장으로 풀돌 컬라이더스코프 혹은 노돌 젤릿치 + 어펜드 스킬 10레벨이 필요하다는 점이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typemoon&no=4436892|단점이다.]][* 사실 시스템에서 보통 풀돌 젤릿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가 더 드물기는 하지만 버슬롯은 거기에 더해 마술 예장도 2004년과 마술협회로 고정되어 버리는게 문제다. 2004년은 한턴 np수급을 예장에 있는 np수급률 버프로 하므로 최소한의 2004년 예장 레벨이 보장되어야 하며 그렇게 해도 금새 만렙이 되어버리는게 단점이고, 마술협회는 딜뻥 스킬이 없다.] 보통 2004년의 파편, 마술협회 제복으로 1라운드에 np수급률이나 NP를 올리고 2라운드에 버슬롯의 3스킬을 사용해서 시스템을 돌린다. 보구1레벨에 히든상성 동위, 3기사 3마리 적 기준으로 1라운드에 적 체력이 30000이하여야 보구 3연사가 가능하다. 보구 2레벨이 되면 40000정도까지 가능하다. 3스킬의 수급률 100%증가가 커서 2라운드에 np를 49채우는 것은 적이 3마리일때는 보통 별 문제가 안되며 적이 캐스터나 라이더라면 2마리일때조차 무난히 연사가 가능하다. 창옥의 마법소녀나 할로윈 쁘띠데블을 풀돌 젤릿 대신 사용할 경우 한번은 리차지만으로 100을 채울 필요가 있으며, 캐스터나 라이더 던전이 아니면 대체로 사용하기 어렵다. 물론 오더체인지로 공명 같은 차지 서포터를 추가 활용하면 노돌 젤릿만으로도 보구 3연사가 가능하다. 1라운드에 공명으로 20%를 주유시키고 2라운드에서 감식안을 걸어준 후, 후열의 다른 스카디와 오더 체인지를 하면 된다. 1라인은 원초의 룬 1번만 걸어도 충분히 밀 수 있고, NP 20%정도는 채워주므로 충분히 가능하다. 공명이 5성이기는 해도 풀돌 젤릿치에 비하면 비용이 적게 들어가므로 핵과금이 아니라도 가능해진다. 공명의 공뻥으로 버슬롯의 보구 레벨이 낮더라도 어느정도 커버되는 장점도 있다.인연렙 11렙 확장패치 이전엔 대개 인연렙이 만렙인 경우가 많은 공명이 한자리를 차지해서 인연작할 자리가 한자리 줄어든다는 단점이 있었지만 인연렙 11렙에 다다르는 경험치가 워낙 어마어마하고 11렙에 다다르면 성정석 보상도 크기에 지금은 해결되었다. 오더 체인지가 번거로워서 귀찮은 면은 있으나 가성비는 좋은 편이다. 더블 스카디를 쓰지 않고 풀젤과 스카디 하나만 사용해서 2연사를 하는 방법도 있다. 마력역류의 배율이 100%로 높기 때문에 이 용도로 사용할 때에 한해서는 연사가 암굴왕보다 더 수월하다. 보구레벨이 충분히 높고, 1라운드를 수bb로 정리하면서 버슬롯의 커맨드를 고정하면 크리딜까지 포함해 대부분의 프리퀘를 3턴클 할 수 있다. 보구딜과 연사 난이도를 따지면 더블 스카디를 사용할 때보다 더 못하지만 자기 스카디를 사용하지 않고 인연레벨을 골고루 올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스카디의 버프를 받는 퀵 커맨드 카드 성능을 보자면 퀵 카드가 1장인데다 성능이 나빠 원초의 룬은 실질적으로 보구의 위력과 스타 생성을 올리는데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원초의 룬을 2회 받은 퀵 평타는 버슬롯의 공격력이 높은 관계로 상당히 강하긴 한데 1장인데다가 퀵의 성능이 나빠 별을 끔찍하게 벌지 못해서 큰 의미가 없다.[* 퀵이 한장뿐이고 타수가 겨우 2타라서 스카디의 무시무시한 퀵크리 버프를 살리기 힘든건 명백한 디메리트지만 역으로 버서커의 공격상성과 버슬롯의 높은 공격력, 3버스터에 자가 크뻥으로 운 나쁘게 퀵이 안나와도 딜적인 측면에서는 커다란 차이가 없다.] 스카디로 인해 많이 날아오르기는 했지만, 애초에 퀵 시스템 자체가 막대한 준비가 필요한 기믹이라 진입장벽이 높다는 점은 버슬롯도 벗어날 수 없고, 3B1A1Q 커맨드 카드 구성이라 버스터 평타 데미지는 기대할 수 있으나 스카디의 퀵버프와 퀵 크리티컬 버프를 받을 수 있는 퀵 평타 성능이 좋지 않다는 문제점,[* 보구 데미지만으로 스카디 시스템을 돌릴 수 없는 경우에 한한 문제점이다.] 또한 고난이도 던전이나 보스전에서 버슬롯을 사용하기엔 제약이 따를 수 있다. 스카디 시스템이 스카디 버프를 돌리는 3턴 안에 보구연사와 크리 극딜로 적을 처치하지 못하면 현자타임이 올 수 밖에 없고, 거기다 버슬롯은 버서커 클래스인지라 현자타임이 왔을 때 생존력이 다른 퀵 딜러들보다 약하다. 버슬롯 고난이도 던전들 클리어 동영상이 전부 3턴이며, 보스가 회피와 무적을 난무하는 2부 3장 같은 곳에서 버슬롯이 별 힘을 못 쓰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한마디로 파밍과 3턴클에 올인된 서번트라고 보면 된다. [[페그오 룰카디|룰카디]]가 추가되면서 더욱 평이 좋아졌는데, [[페그오 룰카디|수영복 스카디]]의 추가로 [[https://www.youtube.com/watch?v=nAkfhwzoffs|흑성배 3연사]]가 가능해진 것이 이유. === 타 퀵 대군 버서커와의 비교 === [include(틀:Fate/Grand Order/버서커/대군/퀵)] == 타 서번트와의 비교 == 마찬가지로 상성을 적게 타는 퀵 대군 딜러인 [[Fate/Grand Order/서번트/엑스트라 클래스/어벤저/암굴왕|암굴왕]]과 비교하면 일장일단이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암굴왕이 더 우위다. 암굴왕은 NP 획득량 업 버프가 3턴이라 암굴왕의 시스템 안정성이 더 높으며[* 버슬롯의 보구레벨이 높은 게 아니라면 어새신, 버서커 던에서는 암굴왕의 시스템 적성이 훨씬 높다.] 풀돌 컬라이도스코프 이용 시 마술예장 사용에 제약이 없고,[* 풀돌 컬라이도스코프가 없는 경우 버슬롯은 칼데아 전투복으로 오더 체인지-공명을 사용하지 않는 이상 시스템이 돌아가지 않지만, 암굴왕은 칼데아 전투복뿐만 아니라 NP 20을 충전해 주는 마술협회 제복으로도 시스템을 돌릴 수 있다.] 퀵이 2장이므로 퀵 크리를 치기 좋다. 다만 버슬롯은 4성 서번트라 파티 편성에서 코스트 이점이 있고, 상시 서번트라 보구 레벨이 암굴왕보다 훨씬 올리기 쉬우며 버서커 클래스 특유의 1.5배의 보구 데미지 측면에서 우위에 있다.[* 암굴왕은 극지예장, 버슬롯은 2004년 예장이라고 가정 시 예장 공뻥과 강철의 결의가 없을 경우(1라운드 데미지) 버슬롯 보구 1레벨:49144 보구 5레벨:81907 / 암굴왕 보구 1레벨:46720 보구 5레벨:70080. 예장 공뻥과 암굴왕이 강철의 결의를 적용했을 때(3라운드 데미지) 버슬롯 보구 1레벨:127328 보구 5레벨:212213 / 암굴왕 보구 1레벨:140161 보구 5레벨:210241. 2라운드 데미지 및 보구 레벨, 성배작 등 더 상세한 비교는 [[https://m.dcinside.com/board/typemoon/5368970|참고]].] 또한 암굴왕에게는 무적관통과 약체상태 해제라는 고난이도에서 특히 빛나는 스킬들이 있으며, 버서커인 버슬롯보다 생존력이 더 우월하다. 같은 퀵 대군 버서커인 항우의 경우는 전체 스펙과 2중 자뻥때문에 자체적인 보구딜은 압도적으로 버슬롯을 찍어누르지만, 더블 스카디를 붙여도 수급률이 낮아서 보구 3연사가 절대로 불가능한 탓에, 버슬롯과는 달리 시스템 보정을 받지 못한다. == 기타 == 적으로 나오면 히든속성인 알트리아 페이스를 우선적으로 공격한다. 알트리아 페이스 속성이기 때문에 원본인 알트리아던 모드레드건 잔 다르크건 상관없으며 이들의 우열도 없다. 히든속성이 없는 아서는 제외. 등장 당시에는 무궁의 무련이 잘 작동하지 않았으나 이후 패치로 수정되었다. 한그오 오픈초엔 경던/qp던 앵벌이 요원으로 많이 쓰이는 서번트였다. 길가 픽업이라 다들 질러댔고 상대적으로 4성이라 많은 사람들이 획득했는데, 버서커라 상성도 안타고 실질 공격력은 현 한그오 대군 서번트 중 최고 수준이기 때문. 앞의 길가 픽업과 맞물려 과금을 좀 한 사람들은 보구 레벨도 2 이상으로 올린 사람들이 그리 드물지 않은 점도 한 몫 했다. 페제 콜라보 직전 픽업에서는 아예 단독 4성 픽업인지라 길가메시를 뽑다가 버슬롯 보구업을 하는 마스터들도 많았다. 모든 종류 서번트가 골고루 나오는 네로제 때에도 유용하게 활용되었지만 NP를 채우기 힘들다는 점 때문에 다른 대군 버서커에게 밀리기 시작했다. 이후 스카디가 나오면서 픽업때 아예 버슬롯만 노리고 지르는 마스터가 많이 늘어났다. 3차 재림시에는 일러스트가 [[가로등]] 빠따에서 아론다이트로 바뀌는데 실제 인게임 모델은 여전히 가로등이었다. 15/11/11일 14시 패치로 3차 재림시 아론다이트를 들게 됐다. 다만, 막상 패치된 이후에는 모션이 가로등을 들고 치는 것보다 타격감이 떨어진다는 의견이 많다. 엑셀제로 복각 이벤트에서 [[https://youtu.be/Tf4Dpsy_Nhg|공격 모션이 리뉴얼 되었다]]. 애니에서 보여줬던 기관단총 난사부터 시작해서,[* 하지만 타수는 그대로다.] 보구 모션에선 F-15까지 출연하고, 근접 버스터 공격은 아예 세이버일 때의 보구 '아론다이트 오버로드'를 거의 그대로 가져왔다.[* 특히 특유의 전기톱 효과음도 그대로다.] 가로등을 든 제1/2단계 재림과 아론다이트를 든 제3단계 모션도 다르다.[* 무기가 가로등에서 아론다이트로 바뀜에 따라 가로등으로 때리는 모션만 아론다이트로 베는 모션으로 바뀐다. 그외 기관단총이나 대물 저격총 사용은 그대로 나온다.] 보구 연출이 바뀌면서 시간이 길어진거 아니냐는 불만이 일부 있지만, 실제로는 리뉴얼 전보다도 빨라졌다.[* 공격모션이 다양해져서 더 느려보이지만 실제론 착각. 원래 버슬롯의 보구모션은 공중에서 발칸포가 떨어지는 걸 기다리는 시간이 쓸데없이 길어서 별로 빠르지 않았다. 애초에 대부분의 보구 모션 리뉴얼은 화려해지면서도 쓸데없는 시간을 줄여 모션 시간을 조금씩 단축시키는 경우가 많다.] == 관련 문서 == * [[랜슬롯(Fate 시리즈)]] == 둘러보기 == [include(틀:Fate/Grand Order/버서커)] [include(틀:Fate/Grand Order 상시소환 서번트)]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Fate/Grand Order/서번트/버서커, version=1517)] [[분류:Fate/Grand Order/서번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