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라디오헤드)] [include(틀:The Bends)] ||<-5><#000> '''{{{#E20612 Fake Plastic Trees}}}{{{#E8A66F 의 수상 이력}}}''' || ||<-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순위=381)]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 순위=376, 연도=2004, 순위2=385, 연도2=2010)] ---- [include(틀:NME 선정 500대 명곡, 순위=302)] ---- }}} || ||<#000><-2> '''{{{+1 Fake Plastic Tree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6gDhsUWCHrg, width=100%, height=200)]}}} || || '''싱글 발매일''' ||[[1995년]] [[5월 15일]] || || '''싱글 B면''' ||[[India Rubber]][br][[How Can You Be Sure?]] || || '''앨범 발매일''' ||[[1995년]] [[3월 13일]] || || '''녹음일''' ||[[1994년]] || || '''장르''' ||[[얼터너티브 록]], [[포스트 브릿팝]] || || '''러닝 타임''' ||4:50 || || '''작사/작곡''' ||[[라디오헤드]] || || '''프로듀서''' ||존 레키 ||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9em" [[The Bends|{{{#CF2E25 '''The Bends'''}}}]]}}} || || '''레이블''' ||[[파일:7FF17EF7-7612-4390-BF5C-B00EF61850AD.jpg|width=28]] 팔로폰 레코드 ,,([[파일:영국 국기.svg|width=20]] [[영국]]),,[br][[파일:캐피톨 레코즈 로고.svg|width=35]] 캐피톨 레코드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미국]]),,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싱글 커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akeplastictree.jpg|width=100%]]}}}|| }}}}}}}}}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n5h0qHwNrHk, height=250)]}}} || || '''공식 뮤직비디오''' || 1995년 발표된 [[라디오헤드]]의 2집 [[The Bends]]의 네 번째 트랙이자 세 번째 싱글. [[The Bends]] 내에서 가장 평론적 평가가 높고 [[High and Dry]]와 함께 가장 대중적으로 사랑 받는 노래이다. 도시의 가짜나무를 보고 영감을 받은 대량생산에 관한 노래이다. 성형수술에 대한 가사도 나온다. 성형을 아무리해도 주름살이 생기는걸 중력이 잡아당긴다고(But gravity always wins) 표현했다. 도시의 삶, 가짜 젊음, 가짜 사랑, 가짜 일상, 가짜 행복에 대해 조소하는 내용이다. 톰은 머리에 떠오르는 대로 가사를 썼는데, 쓰고 보니 웃겼다고 한다. == 가사 == ||<-2><#000000> ---- {{{+2 '''{{{#CF2E25 Fake Plastic Trees}}}'''}}} ---- Her green plastic watering can 그녀의 초록색 플라스틱 물뿌리개 For a fake Chinese rubber plant 가짜 중국산 고무 식물을 위한 In a fake plastic earth 가짜 플라스틱 흙에서 That she bought from a rubber man 그건 그녀가 고무 남자에게서 샀어 In a town full of rubber plans 가짜 계획들로 가득한 마을에서 To get rid of itself 스스로를 없애기 위해서 말이야 It wears her out 그게 그녀를 지치게 해 It wears her out 그게 그녀를 지치게 해 It wears her out 그게 그녀를 지치게 해 It wears her out 그게 그녀를 지치게 해 She lives with a broken man 그녀는 부서진 남자와 살고 있어 A cracked polystyrene man 깨진 폴리스티렌 남자지 Who just crumbles and burns 그는 그냥 바스러지고 타들어가 He used to do surgery 그는 예전에 수술을 했었어 For girls in the eighties 80년대 여자애들을 위한 수술을 But gravity always wins 하지만 중력이 언제나 이겨 And it wears him out 그리고 그게 그를 지치게 해 It wears him out 그게 그를 지치게 해 It wears him out 그게 그를 지치게 해 It wears 그게 그를 She looks like the real thing 그녀는 진짜처럼 보여 She tastes like the real thing 그녀는 진짜인 것처럼 느껴져 My fake plastic love 내 가짜 플라스틱 사랑 But I can't help the feeling 하지만 그 감정은 참을 수 없어 I could blow through the ceiling 천장을 뚫어 버릴 것 같아 If I just turn and run 내가 그냥 돌아서서 도망친다면 And it wears me out 그리고 그게 날 지치게 해 It wears me out 그게 날 지치게 해 It wears me out 그게 날 지치게 해 It wears me out 그게 날 지치게 해 And if I could be who you wanted 그리고 내가 만일 네가 원하는 이가 될 수 있었다면 If I could be who you wanted 내가 만일 네가 원하는 이가 될 수 있었다면 All the time 언제나 All the time 언제나 ---- [[라디오헤드|[[파일:Radiohead Bends.png|height=30]]]] || == 여담 == * 뮤직비디오에는 색상으로만 모든 물건을 구별할 수 있는 슈퍼마켓에서 쇼핑카트를 탄 톰의 모습이 담겨 있다. 이것은 사람들이 단지 무언가를 사기 위해서라면 무엇이든 기꺼이 사려는 과소비에 관한 주제를 강조한다. * 인터뷰에 가사내용에서는 성형수술을 한 사람들이 80년생 젊은이로 돌아가는 내용이 있는데 80년대로 돌아가고 싶냐고 질문을 받자 톰은 부정하며 그 시절로 돌아가고 싶어하는 건 청바지 밖에 없다고 이야기한 적도 있다. * [[https://www.youtube.com/results?search_query=Radiohead+-+Fake+Plastic+Trees+%28Acoustic+Version%29|Acoustic Version]]도 휼륭하다. * 톰이 좋아하는 곡이라 한다. * [[제프 버클리]]의 공연에서 할렐루야을 듣고와서 녹음실에서 녹음을 했다고 한다. 녹음이 다 끝나고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The Bends, version=237)] [[분류:The Bends]][[분류:라디오헤드 노래]][[분류:얼터너티브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