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1 Fade to Black}}}}}}'''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ade_to_Black.png|width=100%]]}}} || || '''{{{#white 발매일}}}''' || 2022년 3월 21일 || || '''{{{#white 장르}}}''' || [[발라드]] || || '''{{{#white 작곡}}}''' || 안드레아스 스톤 요한슨, 앤더즈 레토프[br]세바스챤 슙, 토마스 스텐가드 || || '''{{{#white 작사}}}''' || 안드레아스 스톤 요한슨, 앤더즈 레토프[br]세바스챤 슙, 토마스 스텐가드 || [목차] [clearfix] == 개요 == [[아제르바이잔]]의 가수 [[나디르 뤼스탬리]]의 곡. == 성적 == [[리투아니아]]에서 69위를 기록했다. == 영상 == === 뮤직비디오 === ||<#A5393D> {{{#white '''뮤직비디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Gd1AFKR_-E)]}}}|| [[https://youtu.be/9h2JL5n2aJM|비하인드 더 신]] 영상이 있다. === 유로비전 === ||<#A5393D> {{{#white '''세미 파이널'''}}} ||<#A5393D> {{{#white '''파이널'''}}}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LbQwIau1Ms)]}}}||{{{#!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egPzHEL4ms)]}}}|| == 가사 == || 원어 || 한국어 번역 || ||Stay The story barely started Can't you Stay Do you really want no part of this? One so sweet Reverie You back off slowly through the door You always go and blame the weather The weather It hurts so fast When love goes bad Until at last We fade to black And I'm numb, numb Numb, numb Wait I need some time to fix this, can’t you wait? We can't afford to miss this You back off slowly through the door You always go and blame the weather The weather It hurts so fast When love goes bad Until at last We fade to black And I'm numb, numb Numb, numb We're living in a memory The present is the price I pay Fade to black We fade to black We're living in a memory The present is the price I pay It hurts so fast When love goes bad Until at last We fade to black || || 가사는 이별을 겪은 화자의 감정을 나타내는 내용이다. ==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2022년|2022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 [include(틀: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참가자/2022)] [[파일:fadetoblackeuro.jpg]]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2022년|2022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참가했다. 퍼포먼스가 예술성을 중시하면서 보컬도 고음 하이라이트부분까지 잘 소화했지만 정작 대중들에게는 기억에 잘 남지 않았던 모양인지 텔레보팅에서 거의 점수를 받지 못하고 반면에 예술성을 높게 보는 심사위원들에게 점수를 많이 받은 곡이다. 세미파이널은 무려 텔레보팅에서 점수를 하나조차 받지 못했음에도 심사위원 점수만으로만 올라간 케이스이다. 그랜드파이널은 그나마 조지아로부터 텔레보팅 3점을 받았지만 그게 전부였다. 하지만 그 3점을 제외하고는 심사위원에게 받은 점수만으로 16위를 달성했다. == 여담 == 2022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서 [[고음/노래 목록/해외|가장 높은 음]]을 가진 노래이다. [[분류:2022년 노래]][[분류: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참가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