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1 '''FRS''' }}} }}}[br]{{{#white ''Future Rifle System''}}}[br]{{{#white 미래형 소총 체계}}} || ||<-2>{{{#white '''이력'''}}} || ||'''역사'''||1969년~1974년 || ||'''분류'''||[[돌격소총]] 도입[br][[유탄발사기]] 도입[br][[총알/탄자의 종류#플레셰트, Fléchette|플레셰트탄]] 도입 || ||'''국가'''||[[파일:미국 국기.svg|width=23]] [[미합중국]] || ||'''운용'''||[[파일:미합중국 육군 마크.svg|width=23]] [[미합중국 육군]] || ||'''담당'''||[[파일:external/www.army.mil/amc.png|width=23]] 미합중국 육군무기사령부 || ||'''계약'''||[[파일:aai-corporation_logo 0.png|width=23]] 에어크래프트 아머먼트 || [목차] [clearfix] == 개요 == FRS(미래형 소총, Future Rifle System)은 1969년부터 1974년까지 진행된 [[미합중국 육군|미 육군]]의 차기 [[제식 소총]] 사업이며, [[AAI]](에어크래프트 아머먼트, Aircraft Armaments Incorporated)[* 1950년에 창립되어 [[https://en.wikipedia.org/wiki/AAI_RQ-2_Pioneer|RQ-2 파이오니어(Pioneer)]] 및 [[https://en.wikipedia.org/wiki/AAI_RQ-7_Shadow|RQ-7 쉐도우(Shadow)]] [[무인기|무인항공기]] 개발 이력도 가진 [[미국]] [[방위산업체]] 중 하나였지만, 2007년 부로 텍스트론(Textron) 사에 인수되었다.] 사가 선정되었음에도 수차례에 걸친 심사를 통과하지 못하고 중단되었다. == 상세 == ||
[[파일:aai-spiw 1.jpg|width=100%]] || || SPIW || || [[파일:external/i847.photobucket.com/SAI-56-015.jpg|width=100%]] || || XM19, XM70, SBR || [[베트남 전쟁]]이 한창 진행 중인 1969년, [[미합중국 육군|미 육군]]은 신뢰성과 [[대인저지력]] 측면에 잡음이 많은 [[M16A1]]을 과도기적인 무기로 평가를 내리고 장기 운용을 꺼렸기 때문에 비현실적인 사양의 [[SPIW|특수목적 개인화기(SPIW)]] 도입을 포기하는 대신에 시급한 현지 조달을 위해 요구 조건들을 대폭 낮춘 미래형 소총 사업을 개시하였다. 여기에는 폐쇄된 [[스프링필드 아모리#미국의 조병창|스프링필드]] [[조병창]]의 설계와 미 육군 소화기국(USASASA)의 연구를 바탕으로 시험 제작된 [[제너럴 일렉트릭]] 사의 DCR(복합 행정 소총, Dual Cycle Rifle)와의 비교에서 우위를 나타낸 AAI 사의 SFR(연발 [[총알/탄자의 종류#플레셰트, Fléchette|플레셰트]] 소총, Serial Flechette Rifle)에[* 이 또한 자사의 [[SPIW#AAI SPIW|SPIW]] 설계에 직영향을 받아 외형 및 내부 특징이 그대로 이어졌다.] 곧바로 [[XM19 SFR|XM19]]라는 시험 제식명이 부여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전부터 지적된 고질적인 문제점 중 하나인 과도한 부피와 무게를 줄이려는 시도로 프랭크포드(Frankford) 조병창의 다양한 [[https://apps.dtic.mil/sti/pdfs/AD0765459.pdf|탄약]]과 피카티니(Picatinny) 조병창의 30mm [[유탄발사기]] 개발 협업도 함께 이루어져 정식 운용에 한걸음 다가가는 듯 보였다. ||
[[파일:frs-ammo_displayed 0.jpg|width=100%]] || || [[https://woodinlab.com/|우딘 연구소]]에 소장된 관련 탄약[* [[http://www.cartrology.com/cartridges/114|4.32×45mm T216]], [[http://www.cartrology.com/cartridges/189|5.77×57mm XM645]] 아래에 있는 화살촉 3개의 8.38×64mm [[윈체스터(총기회사)|윈체스터]], 화살촉 4개의 9.53×76mm 윈체스터는 너무 큰 탓에 반려되어 실제로는 쓰이지 않았다.] || 하지만 이는 전투개발실험연구소(CDEC) 주도의 성능 시험에서 단발 명중률에 저조한 결과를 나타내면서 화살촉이 아닌 초소형 [[총알/탄자의 종류|탄자]]를 쓰는 것으로 초점을 옮기기로 결정이 내려져 1974년에 XM70으로 개량되었지만, [[미국]] [[메릴랜드|메릴랜드 주]] 애버딘 무기시험장에서의 또다른 성능 시험에 고작 6발 발사만에 고장을 일으킨데다 설상가상으로 발사 중에 미세한 [[유리섬유]] [[새보]] 파편이 튀어 사용자에게 [[현기증]]과 호흡기 염증을 일으켰고 급기야는 [[베트남]] 철수의 여파로 [[NDAA|국방 예산 책정]]에 빠듯해진 [[의회]]의 압력까지 받아 결국 [[프로토타입|시제]] 단계를 벗어나지 못한채 종료되고 말았다. 이러한 실패의 배경에는 사양 기준을 낮췄다고는 하지만 [[CAD|컴퓨터 지원 설계]]도 보편화되지 않은 당시의 기술 수준을 여전히 고려하지 않고 괄목적인 성능 향상을 바란 미 육군의 안일한 태도가 깔려 있었기 때문에 제대로 된 완성은 커녕 곳곳에 산재한 구조적, 소재적 한계에 가로막한 급조물들이 나올 수 밖에 없었다. AAI 사는 이에 굴하지 않고 사출 성형된 [[나일론]] 재질의 부품들로 경량화와 단가 절감을 꾀한 SBR(연발 탄환 소총, Serial Bullet Rifle) 설계로 미 육군의 지속된 차세대 제식 소총 수요에 따른 [[ACR#Advanced Combat Rifle|ACR(발전형 돌격소총, Advanced Combat Rifle)]] 사업은 물론, 이후의 [[LSAT 경기관총|LSAT(경량 소화기 기술 연구, Lightweight Small Arms Technologies)]] 사업에도 의욕적으로 참여했으나, 모두 타당성 검토에 부딫혀 지연을 겪다 그렇게 역사 뒤로 사라졌다. == 출처 == * [[http://ww2.rediscov.com/spring/VFPCGI.exe?IDCFile=/spring/DETAILS.IDC,SPECIFIC=11807,DATABASE=objects]] * [[https://modernfirearms.net/en/assault-rifles/u-s-a-assault-rifles/spiw-eng/]] * [[https://armourersbench.com/tag/future-rifle-program/]] * [[https://guns.fandom.com/wiki/AAI_XM19]] * [[https://guns.fandom.com/wiki/AAI_XM70]] * [[https://guns.fandom.com/wiki/AAI_SBR]] * [[https://guns.fandom.com/wiki/Dual_Cycle_Rifle]] * [[https://books.google.co.kr/books?id=URRUxF6GPE8C&pg=PA1420&dq=us+army+future+rifle+system+xm19&hl=ko&sa=X&ved=2ahUKEwi30bT3nN33AhVJqVYBHTWUD_oQ6AF6BAgJEAI#v=onepage&q=us%20army%20future%20rifle%20system%20xm19&f=false]] * [[https://books.google.co.kr/books?id=VHQGvsiDUOsC&pg=RA5-PA8&dq=us+army+future+rifle+system+program+FRS&hl=ko&sa=X&ved=2ahUKEwjy8qOlmN33AhUvgVYBHdJdDKYQ6AF6BAgFEAI#v=onepage&q=us%20army%20future%20rifle%20system%20program%20FRS&f=false]] * [[https://books.google.co.kr/books?id=abdK9l7WtkwC&pg=PA1419&dq=us+army+future+rifle+program&hl=ko&sa=X&ved=2ahUKEwjz5JbDnN33AhXKqFYBHbtFDEUQ6AF6BAgGEAI#v=onepage&q=us%20army%20future%20rifle%20program&f=false]] * [[http://pewpewpew.work/usa/r/frs/frs.htm]] * [[https://apps.dtic.mil/dtic/tr/fulltext/u2/a017721.pdf]] * [[https://www.koreascience.or.kr/article/JAKO197941548155359.pdf]] == 관련 문서 == * [[미군/장비/보병 무기/관련 사업]] [[분류:군사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