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Fortune Arterial)] ||<-2>
{{{#373a3c,#dddddd '''{{{+1 FORTUNE ARTERIAL 붉은 약속}}}''' (2010)[br]FORTUNE ARTERIAL 赤い約束}}}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포츈아테리얼_애니키비주얼.jpg|width=100%]]}}} || ||<-2>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373a3c,#dddddd 장르}}}''' ||[학원물|학원]], [[러브 코미디]] || || '''{{{#373a3c,#dddddd 원작}}}''' ||[[AUGUST(게임 브랜드)|AUGUST]] || || '''{{{#373a3c,#dddddd 감독}}}''' ||[[나와 무네노리]] || || '''{{{#373a3c,#dddddd 조감독}}}''' ||닛타 야스나리(新田靖成) || || '''{{{#373a3c,#dddddd 시리즈 구성}}}''' ||하세가와 카츠미(長谷川勝己) || || '''{{{#373a3c,#dddddd 캐릭터 디자인}}}''' ||[[이시하라 요시하루|이시하라 메구미]](石原 恵) || || '''{{{#373a3c,#dddddd 디자인 웍스}}}''' ||카와사키 아이카(川崎愛香) || || '''{{{#373a3c,#dddddd 미술 감독}}}''' ||아베 유키에(阿部幸恵) || || '''{{{#373a3c,#dddddd 컬러 디자인}}}''' ||시노하라 아이코(篠原愛子) || || '''{{{#373a3c,#dddddd 촬영 감독}}}''' ||키타오카 타다시(北岡 正) || || '''{{{#373a3c,#dddddd 편집}}}''' ||히라키 다이스케(平木大輔) || || '''{{{#373a3c,#dddddd 음향 감독}}}''' ||[[이와나미 요시카즈]] || || '''{{{#373a3c,#dddddd 음악}}}''' ||안자이 타카아키(安齋孝秋) || || '''{{{#373a3c,#dddddd 음악 제작}}}''' ||AMG MUSIC || || '''{{{#373a3c,#dddddd 제작 총지휘}}}''' ||야스다 타케시(安田 猛) || || '''{{{#373a3c,#dddddd 프로듀서}}}''' ||이마모토 나오시(今本尚志)[br]베니야 요시카즈(紅谷佳和)^^[[테레비 도쿄]]^^ || || '''{{{#373a3c,#dddddd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카와사키 토모코(川﨑とも子) || || '''{{{#373a3c,#dddddd 애니메이션 제작}}}''' ||[[ZEXCS]][br][[feel.]] || || '''{{{#373a3c,#dddddd 제작}}}''' ||슈지칸 학원 학생회(修智館学院生徒会) || || '''{{{#373a3c,#dddddd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10년 10월|2010. 10. 09.]] ~ 2010. 12. 25. || || '''{{{#373a3c,#dddddd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테레비 도쿄]] / (토) 01:23 || || '''{{{#373a3c,#dddddd 편당 러닝타임}}}''' ||24분 || || '''{{{#373a3c,#dddddd 화수}}}''' ||12화 || || '''{{{#373a3c,#dddddd 시청 등급}}}''' ||정보 없음 || || '''{{{#373a3c,#dddddd 관련 사이트}}}''' ||[[http://www.tv-tokyo.co.jp/anime/fortune/|[[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 || [목차] [clearfix] == 개요 == [[ZEXCS]]와 [[feel.]]에서 제작을 맡아 1쿨짜리 애니메이션이 [[애니메이션/2010년 10월|2010년 10월]]에 방영되었다. 감독은 [[나와 무네노리]]. == [[Fortune Arterial#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Fortune Arterial, 앵커=등장인물)] == 음악 == === 주제가 === ==== OP ==== ||<-2>
'''{{{#373a3c,#dddddd OP[br]絆-kizunairo-色}}}'''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GOUW0zNNUPg, width=100%)]}}} || ||<-2> '''{{{#373a3c,#dddddd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Hs_rIBPgTn8, width=100%)]}}} || ||<-2> '''{{{#373a3c,#dddddd Full ver.}}}''' || || '''노래''' || [[Lia]] || || '''작사''' || RUCCA || || '''작곡''' || 루카(流歌) || || '''편곡''' || 마키노 노부히로(牧野信博)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2> 나노카유키(菜香ゆき) || || '''연출''' || || '''작화감독''' || [[이시하라 요시하루|이시하라 메구미]](石原 恵)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 ==== ED ==== ||<-2>
'''{{{#373a3c,#dddddd ED[br]I miss you}}}'''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373a3c,#dddddd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373a3c,#dddddd Full ver.}}}''' || || '''노래''' || Veil || || '''작사''' ||<|3> 야기 유이치(八木雄一) || || '''작곡'''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2> 닛타 야스나리(新田靖成) || || '''연출''' || || '''작화감독''' || [[이시하라 요시하루|이시하라 메구미]](石原 恵)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 === 삽입곡 === ||<-2>
'''{{{#373a3c,#dddddd 11화 삽입곡[br]赤い約束}}}'''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373a3c,#dddddd Full ver.}}}''' || || '''노래''' || Veil || || '''작사''' || 사나기(さなぎ) || || '''작곡''' ||<|2> sumiisan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 ||<-2>
'''{{{#373a3c,#dddddd 12화 삽입곡[br]赤い約束 for TV ANIMATIO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373a3c,#dddddd Full ver.}}}''' || || '''노래''' || Veil || || '''작사''' || 사나기(さなぎ) || || '''작곡''' || sumiisan || || '''편곡''' || 안자이 타카아키(安斎孝秋)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 == 회차 목록 == ||
'''회차''' || '''제목'''[* 국내에서는 정식 방영이 이뤄지지 않는 작품이므로 한국어 제목 번역은 임의로 서술되었다.]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작화감독''' || '''방영일''' || ||<-8> '''TVA''' || || 제1화 || {{{-2 渡り鳥[br]철새}}} || {{{-2 하세가와 카츠미[br](長谷川勝己)}}} || {{{-2 닛타 야스나리[br](新田靖成)}}} || {{{-2 후지사와 사사[br](藤沢紗々)}}} || {{{-2 이소노 사토루[br](磯野 智)[br]코타니 쿄코[br](小谷杏子)}}} || {{{-2 [[이시하라 요시하루|이시하라 메구미]][br](石原 恵)}}} || {{{-2 2010.10.09.}}} || || 제2화 || {{{-2 始業式[br]시업식}}} || {{{-2 [[마치다 토우코]]}}} || {{{-2 코바야시 타카시[br](小林孝志)}}} || {{{-2 이타니 키요타카[br](井硲清高)}}} || {{{-2 니시오 키미타케[br](西尾公伯)}}} ||<|2> {{{-2 이소노 사토루}}} || {{{-2 2010.10.16.}}} || || 제3화 || {{{-2 千年泉[br]천년샘}}} || {{{-2 오오치 케이이치로[br](大知慶一郎)}}} || {{{-2 닛타 야스나리}}} || {{{-2 타카바야시 히사야[br](高林久弥)}}} || {{{-2 후지와라 미키오[br](藤原未来夫)}}} || {{{-2 2010.10.23.}}} || || 제4화 || {{{-2 新入り[br]신입}}} || {{{-2 야마다 야스노리[br](山田靖智)}}} || {{{-2 야마모토 타카시[br](山本天志)}}} || {{{-2 서혜진[br](徐恵眞)}}} || {{{-2 [[야마우치 노리야스]][br]후데사카 아키노리[br](筆坂明規)}}} || {{{-2 카라스 히로아키[br](鳥 宏明)}}} || {{{-2 2010.10.30.}}} || || 제5화 || {{{-2 鍵[br]열쇠}}} || {{{-2 오오치 케이이치로}}} ||<-2> {{{-2 스즈비시 케이타[br](鈴菱啓太)}}} || {{{-2 코마츠 아사미[br](小松麻美)[br]이토 미나[br](伊藤美奈)[br]오가와 이치로[br](をがわいちろを)}}} || {{{-2 이시하라 메구미[br]이소노 사토루[br]우스다 요시오[br](臼田美夫)}}} || {{{-2 2010.11.06.}}} || || 제6화 || {{{-2 手紙[br]편지}}} || {{{-2 하세가와 카츠미}}} ||<-2> {{{-2 마키노 요시타카[br](牧野吉高)}}} || {{{-2 미야지마 히토시[br](宮嶋仁志)[br]나카무라 유스케[br](中村勇介)}}} || {{{-2 우스다 요시오}}} || {{{-2 2010.11.13.}}} || || 제7화 || {{{-2 前触れ[br]조짐}}} || {{{-2 야마다 야스노리}}} || {{{-2 야마모토 타카시}}} || {{{-2 후지사와 사사}}} || {{{-2 코타니 쿄코[br]스기모토 토모코[br](杉本智子)[br]히로오 카나코[br](広尾佳奈子)}}} || {{{-2 이시하라 메구미[br]이소노 사토루}}} || {{{-2 2010.11.20.}}} || || 제8화 || {{{-2 記憶[br]기억}}} || {{{-2 하세가와 카츠미[br]오오치 케이이치로}}} || {{{-2 마나히[br](真奈陽)}}} || {{{-2 쿠도 히로아키[br](工藤寛顕)}}} || {{{-2 니시오 키미타케}}} || {{{-2 카라스 히로아키}}} || {{{-2 2010.11.27.}}} || || 제9화 || {{{-2 眷属[br]권속}}} || {{{-2 야마다 야스노리}}} ||<|2> {{{-2 야마모토 타카시}}} || {{{-2 타카바야시 히사야}}} || {{{-2 후지와라 미키오}}} || {{{-2 이시하라 메구미[br]우스다 요시오}}} || {{{-2 2010.12.04.}}} || || 제10화 || {{{-2 渇き[br]갈증}}} || {{{-2 하세가와 카츠미[br]마치다 토우코}}} || {{{-2 서혜진}}} || {{{-2 야마우치 노리야스[br]키타무라 토모유키[br](北村友幸)[br]야마자키 마사카즈[br](山崎正和)}}} || {{{-2 카라스 히로아키}}} || {{{-2 2010.12.11.}}} || || 제11화 || {{{-2 訣別[br]결별}}} ||<|2> {{{-2 하세가와 카츠미}}} || {{{-2 사토 유스케[br](佐藤雄助)}}} || {{{-2 [[나카야마 아츠시(애니메이션 감독)|나카야마 아츠시]]}}} || {{{-2 아베 토모유키[br](阿部智之)}}} || {{{-2 이소노 사토루}}} || {{{-2 2010.12.18.}}} || || 제12화 || {{{-2 赤い約束[br]붉은 약속}}} || {{{-2 닛타 야스나리}}} || {{{-2 후지사와 사사}}} || {{{-2 이토 미나[br]오가와 이치로}}} || {{{-2 이시하라 메구미[br]이소노 사토루[br]우스다 요시오}}} || {{{-2 2010.12.25.}}} || ||<-8> '''OVA''' || || OVA || {{{-2 たどり着いた場所[br]다다른 장소}}} || {{{-2 하세가와 카츠미}}} || {{{-2 닛타 야스나리}}} || {{{-2 닛타 야스나리[br]서혜진}}} || {{{-2 우스다 요시오[br]키타죠 나오아키[br](北條直明)[br]키타무라 토모유키[br]스기모토 토모코[br]타케우치 마유미[br](竹内真弓)[br]모리마에 카즈야[br](森前和也)[br]야마우치 노리야스[br]야마모토 아츠시[br](山本篤史)}}} || {{{-2 이시하라 메구미[br]이소노 사토루[br]카라스 히로아키}}} || {{{-2 2011.02.26.}}} || == 평가 == 캐릭터 디자인으로 [[이시하라 메구미]]가 기용되면서 [[벳칸코]]의 원안이 거의 그대로 움직이는 듯한 작화 퀄리티가 일품. 사건 진행 순서를 TVA 전용 엔딩에 맞춰 완전히 재구성했고, 각색하는 과정에서 캐릭터들의 성격이 심하게 과장되거나 원작에서의 이벤트가 묘하게 비틀어지는 등, 안타깝게도 결국 스토리 면에서는 그렇게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다. 특히 마지막 결말 부분[* 엄밀히 따지면 게임 본편의 에리카 노멀이나 트루루트 엔딩, 그 어느 쪽과도 다르지만 작품 전체에서 중요한 네타인 천년샘이나 권속에 관련된 내용을 3화부터 깔아두는 것을 보면 나름 트루루트 쪽을 지향했던 것으로 생각된다.]은 노멀 엔딩인지 [[해피엔딩]]인지 알 수 없는 엔딩이라고 까이기도 했다. 그러나 제작과정에서 현실과 다소 타협할 수밖에 없는 에로게 원작 애니메이션의 한계를 언급하며 옹호하는 사람도 다수 있다. 방송국으로만 보아도 기존의 갸루게 원작 애니메이션 매체가 주로 방영되었으며 수위에 관대한 편이었던 UHF나 WOWOW 계통이 아닌, '''전무후무한 갸루게 원작의 TV도쿄 방영'''으로 자극적인 남성향 요소는 최대한 배제하고 일상 이벤트를 건전하게 풀어가고자 한 점이 보인다. 문제는 이게 '''하필 [[요스가노소라|전설은 아니고 레전드]]와 같은 시기에 방영되어''' 자꾸 비교되었다는 점이다. 판매량만 비교했을 땐 요스가노소라는 초동 7800장으로 성공했지만 포츈 아테리얼은 2200장이라는 그럭저럭인 결과를 남겼다. 유일하게 호평이었던 요소는 Lia가 부른 오프닝곡 정도. == 외부 링크 == * [[http://www.tv-tokyo.co.jp/anime/fortune/|애니메이션 홈페이지]]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Fortune Arterial, version=150)] [[분류:Fortune Arterial]][[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에로게 원작 TV 애니메이션]][[분류:2010년 4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feel.]]